KR100657063B1 - 세탁기등의전원개폐장치및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등의전원개폐장치및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063B1
KR100657063B1 KR1019980063368A KR19980063368A KR100657063B1 KR 100657063 B1 KR100657063 B1 KR 100657063B1 KR 1019980063368 A KR1019980063368 A KR 1019980063368A KR 19980063368 A KR19980063368 A KR 19980063368A KR 100657063 B1 KR100657063 B1 KR 10065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switch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460A (ko
Inventor
시게오 우메타니
사다유키 다마에
미츠유키 기우치
가즈히코 아사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동작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에 있어서, 전원 차단 상태, 즉 부하가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일 때에 직류 전원으로 통전하지 않아 스탠바이 전력이 없는 상태에서 스위치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스위치의 조작 스트로크가 짧아, 가벼운 터치로 입력할 수 있어, 조작성, 방수성을 향상시킨다.
직류 전원(11)에 접속된 교류 전원(8)을 전원 개폐 수단(13)에 의해 개폐하고, 전원 개폐 수단(13)과 병렬로, 전원의 투입을 입력하는 전원 투입 스위치(15)를 접속한다. 제어 수단(17)은 전원 투입 스위치(15)가 온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 직류 전원(11)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전원 개폐 수단(13)을 폐쇄 상태로 하고, 동작 개시 후에 전원의 입력하는 전원 차단 스위치(16)가 온 상태로 되면, 전원 개폐 수단(13)을 개방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 및 제어 장치{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WASHING MACHINES}
본 발명은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동작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원 개폐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이하,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하(1)는 모터(2), 급수 밸브(3), 배수 밸브(4)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 수단(5)에 의해, 쌍방향성 사이리스터(thyristor) 등으로 구성된 파워 스위칭 수단(6)을 거쳐 제어되며,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과정에 따라 순차 동작한다.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7)은 부하(1)에 접속되는 교류 전원(8)을 개폐한다. 조작 표시 수단(9)은 세탁, 헹굼, 탈수 등의 운전 설정, 운전의 개시, 일시 정지 등을 입력하고, 운전 상태나 이상(異常)시에는 그 내용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스위치(10)를 가지며, 이 스위치(10)는 전원의 투입, 차단을 입력하기 위한 노멀 오픈형(normal open type)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만 온 상태로 된다.
직류 전원(11)은 교류 전원에 접속되어, 제어 수단(5)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수위 검지 수단(12)은, 세탁 겸 탈수조(도시하지 않음) 내의 수위를 검지하여, 그 출력을 제어 수단(5)에 입력함으로써, 소정 수위까지 급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세탁기의 스위치(10)를 투입, 차단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15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교류 전원(8)이 접속된 상태에서는, 직류 전원(11)에는 항상 통전되어 있고, 제어 수단(5)은 조작 표시 수단(9)에 마련한 스위치(10)를 항상 감시하고 있어, 단계(141)에서 스위치(10)가 눌려지면, 단계(142)에서 현재 상태로부터 스위치(10)의 입력이 온(on)인지 오프(off)인지를 판단한다.
온(on)인 경우에는, 단계(143)에서 조작 표시 수단(9)에 의해 운전의 설정 등을 접수하는 초기 대기 상태를 표시하고, 단계(144)에서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7)을 폐쇄한 상태로 한 후, 다음 과정으로 이동한다. 단계(142)에서 오프(off)인 경우에는, 단계(145)에서 부하(1)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부하(1)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단계(146)에서 부하(1)를 오프하고, 단계(147)에서 지연 시간 T를 마련한다. 부하(1)가 동작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148)로 진행하여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7)을 개방 상태로 하고, 단계(149)에서 조작 표시 수단(9)을 소등(消燈)한 후, 다시 스위치(10)의 입력 대기로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세탁기를 운전하고 있지 않는 상태, 즉 부하(1)의 전원이 오프인 상태에서도, 스위치(10)의 입력 대기를 위해, 제어 수단(5)을 동작시켜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직류 전원(11)에는 항상 교류 전원(8)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항상 스탠바이 전력이 소비되고 있어,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그 저감책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직류 전원(11)이 항상 통전 상태이기 때문에, 직류 전원(11)을 구성하고 있는 회로 부품의 발열(發熱)이 있어, 세탁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조작부가 뜨거워진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부터, 전원 개폐 수단과 전원 스위치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하여, 전원 차단용 솔레노이드를 내장한 수동식의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타입의 전원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직류 전원으로 통전하지 않고 전원을 투입/차단하고, 전원 스위치의 차단 동작만을 제어 수단에 의해 동작시키는 예도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원 스위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방수성도 불량하며, 온/오프시의 조작 스트로크가 커지기 때문에, 조작성이 불량하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차단 상태, 즉 부하가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일 때에 직류 전원으로 통전하지 않아 스탠바이 전력이 없는 상태에서 스위치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스위치의 조작 스트로크가 짧아 가벼운 터치로 입력할 수 있어, 조작성,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순시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순시 정전이 그 발생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세탁기 등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는,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직류 전원에 접속된 교류 전원을 전원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하고, 전원 개폐 수단과 병렬로, 전원의 투입을 입력하는 전원 투입 스위치를 접속하도록 구성하며, 제어 수단은, 전원 투입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 직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서 전원 개폐 수단을 폐쇄된 상태로 하고, 동작 개시 후에 전원의 차단을 입력하는 전원 차단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면,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원 절단 상태, 즉 부하가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일 때에, 직류 전원으로 통전하지 않아 스탠바이 전력이 없는 상태에서 스위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조작 스트로크가 짧아 가벼운 터치로 입력할 수 있어, 조작성,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 등의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전원 개폐 장치와, 순시 정전의 발생을 검지하는 순시 정전 검지 수단과, 전해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전원 유지 수단과, 타이머로 이루어지는 전원 재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순시 정전을 검지하면 전원 재구동 수단을 동작시켜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 상태로 하고, 전원 재구동 수단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을 검지하면 전원 개폐 수단을 폐쇄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순시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순시 정전이 그 발생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직류 전원과,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동작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직류 전원에 접속된 교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 개폐 수단과, 상기 전원 개폐 수단과 병렬로 접속된 전원의 투입을 입력하는 전원 투입 스위치와, 전원의 차단을 입력하는 전원 차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 투입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 직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폐쇄 상태로 하고, 동작 개시 후에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전원 차단 상태, 즉 부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 상태로 하여, 직류 전원으로의 통전을 행하지 않고서 스탠바이 전력이 0(zero)인 상태에서 스위치 투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전원 투입을 입력하는 전원 투입 스위치와 직렬로, 저항기로 이루어지는 돌입 전류 방지 수단을 접속시킨 것이며, 전원 투입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흐르는 돌입 전류를 억제할 수 있어, 회로 부품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부하에 접속한 교류 전원을 개폐하는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을 포함하고, 전원 개폐 수단은, 직류 전원에 접속시켜 교류 전원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전원 개폐 수단에 소용량의 소자를 이용할 수 있어, 그 때문에 전원 투입시의 동작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전원 개폐 장치와, 순시 정전의 발생을 검지하는 순시 정전 검지 수단과, 전해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전원 유지 수단과, 타이머로 이루어지는 전원 재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순시 정전을 검지하면 상기 전원 재구동 수단을 동작시켜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전원 재구동 수단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폐쇄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순시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순시 정전이 그 발생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개폐 수단(13)은, 부하(1) 및 직류 전원(11)에 접속되는 교류 전원(8)을 개폐한다. 전원 상태 표시 수단(14)은 전원의 투입/차단 상태를 표시한다. 전원 투입 스위치(15)와 전원 차단 스위치(16)는, 각각 전원의 투입/차단을 입력하는 것으로, 노멀 오픈형으로서, 눌려져 있는 동안만 온(on) 상태로 된다. 전원 투입 스위치(15)가 눌려져 있는 동안, 교류 전원(8)은 직류 전원(11)과 통전되고 직류 전원(11)은 제어 수단(17)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 수단(17)은, 쌍방향성 사이리스터 등으로 구성된 파워 스위칭 수단(6)을 거쳐서, 모터(2), 급수 밸브(3), 배수 밸브(4) 등으로 구성한 부하(1)를 제어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킴과 동시에, 전원 개폐 수단(13)을 폐쇄 상태로 하여 이것을 계속 유지한다. 또한, 동작 개시 후에 전원 차단 스위치(16)가 눌려지면, 전원 개폐 수단(13)을 개방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으며, 직류 전원(11)은 트랜스(18), 브릿지 다이오드(19), 안정화 전원 회로(20)로 구성되고, 전원 개폐 수단(13)이 폐쇄된 상태일 때에는 제어 수단(17)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전원 투입 스위치(15)는 전원 개폐 수단(13)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 전원 개폐 수단(13)이 개방 상태일 때에도, 전원 투입 스위치(15)가 눌려져 있을 때에는 제어 수단(17)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 수단(17)은, 저항 R1을 거쳐서 트랜지스터 Q1을 온, 오프시키고, 전원 개폐 수단(13)의 코일(13a)을 여자(勵磁)시킴으로써 전원 개폐 수단(13)을 개폐하는 출력 단자 OUT과, 전원 차단 스위치(16)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단자 IN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를 투입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해 설명한다. 단계(51)에서 전원 투입 스위치(15)가 눌려지면, 단계(52)에서 제어 수단(17)에 직류 전원(11)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이 개시된다. 단계(53)에서, 출력 단자 OUT를 하이(high) 상태로 하여 트랜지스터 Q1을 온시킨다. 다음에, 단계(54)에서 전원 개폐 수단(13)의 코일(13a)이 여자됨에 따라, 전원 개폐 수단(13)이 폐쇄 상태로 되어 이것이 유지된다. 단계(55)에서 전원 상태 표시 수단(14)의 표시를 온 상태로 하여, 전원 투입의 상태로 하고,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위치를 차단시키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4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단계(61)에서 입력 단자 IN이, 전원 차단 스위치(16)의 전원 차단을 접수하면, 제어 수단(17)은 단계(62)에서 부하(1)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부하(1)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63)에서 부하(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단계(64)에서 지연 시간 T'을 마련한 후, 단계(65)로 진행한다.
부하(1)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65)로 진행하여 전원 상태 표시 수단(14)을 오프시키고, 단계(66)에서 출력 단자 OUT를 로우 상태로 하여, 트랜지스터 Q1을 오프시킴으로써 전원 개폐 수단(13)으로의 통전을 차단하며, 전원 개폐 수단(13)을 개방 상태로 하여, 직류 전원(11)으로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스위치 차단 동작을 종료한다.
(실시예 2)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항(21)은, 전원 투입 스위치(1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어, 전원 투입 스위치(15)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흐르는 돌입 전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를 투입, 차단시키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1의 도 3에 있어서의 단계(51) 내지 단계(55), 도 4에 있어서의 단계(61) 내지 단계(66)의 일련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전원 투입 스위치(15)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흐르는 돌입 전류를 억제할 수 있어, 회로 부품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22)은, 제어 수단(23)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부하(1)에 접속되는 교류 전원(8)을 개폐한다. 전원 개폐 수단(24)은 직류 전원(11)에 접속되는 교류 전원(8)을 개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으며, 직류 전원(11)은 전원 개폐 수단(24)이 폐쇄 상태일 때에는 제어 수단(23)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전원 투입 스위치(15)는, 전원 개폐 수단(24)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 전원 개폐 수단(24)이 개방 상태일 때에도, 전원 투입 스위치(15)가 눌려져 있을 때에는 제어 수단(23)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 수단(23)은, 전원 차단 스위치(16)의 전원 차단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단자 IN과, 저항 R1을 거쳐 트랜지스터 Q1을 온, 오프시키고, 전원 개폐 수단(24)의 코일(24a)을 여자시킴으로써 전원 개폐 수단(24)을 개폐시키기 위한 출력 단자 OUT1과, 저항 R3을 거쳐 트랜지스터 Q2를 온, 오프시키고,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22)을 개폐시키기 위한 출력 단자 OUT2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를 턴 온시키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9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단계(71)에서 전원 투입 스위치(15)가 눌려지면, 단계(72)에서 제어 수단(23)에 직류 전원(11)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이 개시된다. 단계(73)에서, 출력 단자 OUT1을 하이 상태로 하여, 트랜지스터 Q1을 온 상태로 한다. 다음에, 단계(74)에서 전원 개폐 수단(24)의 코일(24a)이 여자됨에 따라, 전원 개폐 수단(24)이 폐쇄 상태로 되어 이것이 유지된다. 단계(75)에서 전원 상태 표시 수단(14)의 표시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76)에서 제어 수단(23)은 출력 단자 OUT2를 하이 상태로 하여, 트랜지스터 Q2를 턴 온시킴으로써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22)을 폐쇄 상태로 한 후,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위치를 차단시키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단계(81)에서 전원 차단 스위치(16)의 전원 오프를 접수하면, 제어 수단(23)은 단계(82)에서 부하(1)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부하(1)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83)에서 부하(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단계(84)에서 지연 시간 T'을 마련하여, 단계(85)로 진행한다.
부하(1)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85)로 진행하여, 출력 단자 OUT2를 로우 상태로 하고, 트랜지스터 Q2를 오프시킴으로써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22)을 개방 상태로 하며, 단계(86)에서 전원 상태 표시 수단(14)을 오프시키고, 단계(87)에서 출력 단자 OUT1을 로우 상태로 하여, 트랜지스터 Q1을 오프시킴으로써 전원 개폐 수단(24)을 개방 상태로 하여, 직류 전원(11)으로의 통전을 차단하고,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전원 개폐 수단(24)은, 직류 전원(11)으로의 통전만을 개폐하기 때문에, 전원 개폐 수단(24)에 소용량의 소자를 이용할 수 있어, 전원 투입시의 동작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순시 정전 검지 수단(25)은, 교류 전원(8)의 순시 정전의 발생을 검지하는 것으로, 교류 전원을 강압하여, 교류 전원에 동기한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순시 정전의 발생을 검지함과 동시에, 제어 수단(26)에 순시 정전의 발생을 출력한다. 전원 재구동 수단(27)은 순시 정전으로부터 복귀시키기 위한 소정 시간을 계측하는 것이며, 제어 수단(26)으로부터 순시 정전의 발생이 입력되면, 소정 시간을 계측하여, 제어 수단(26)에 소정 시간의 도달을 출력한다. 전원 유지 수단(28)은, 순시 정전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전원 개폐 수단(13)을 재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으며, 제어 수단(26)은, 저항 R1을 거쳐서 트랜지스터 Q1을 온, 오프시키고, 전원 개폐 수단(13)의 코일(13a)을 여자시킴으로써 전원 개폐 수단(13)을 개폐하는 출력 단자 OUT와, 전원 차단 스위치(16)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단자 IN1과, 순시 정전 검지 수단(25)으로부터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단자 IN2와, 전원 재구동 수단(27)인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순시 정전이 발생했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도 13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단계(91)에서 순시 정전의 발생을 검지하면, 단계(92)에서 전원 재구동 수단(27)인 타이머를 개시시키고, 단계(93)에서 부하(1)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부하(1)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94)에서 부하(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단계(95)에서 지연 시간 T'을 마련하고, 단계(96)으로 진행한다.
부하(1)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96)에서 전원 상태 표시 수단(14)을 오프시킨다. 다음에, 단계(97)에서 출력 단자 OUT를 로우 상태로 하여, 트랜지스터 Q1을 오프시키고, 전원 개폐 수단(13)으로의 통전을 차단하여, 단계(98)에서 전원 개폐 수단(13)을 개방 상태로 한다.
단계(99)에서 전원 재구동 수단이 소정 시간 t에 도달하면, 단계(100)에서 출력 단자 OUT를 하이 상태로 하고, 트랜지스터 Q1을 턴 온시켜, 전원 개폐 수단(13)에 통전시킨다. 단계(101)에서 전원 개폐 수단(13)이 온 상태로 된 후, 단계(102)에서 전원 상태 표시 수단(14)을 턴 온시키고,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다음 과정이란, 순시 정전이 발생하기 전의 상태 또는 초기 대기 상태이다.
따라서, 순시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순시 정전이 그 발생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세탁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세탁기 이외의, 예를 들면, 의류 건조기, 식기 세척 건조기 등의, 제어 수단에 의해 과정을 제어하는 기기의 전원 개폐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직류 전원과,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동작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직류 전원에 접속된 교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 개폐 수단과, 상기 전원 개폐 수단과 병렬로 접속된 전원의 투입을 입력하는 전원 투입 스위치와, 전원의 차단을 입력하는 전원 차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 투입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 직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폐쇄 상태로 하고, 동작 개시후에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원 차단 상태, 즉 부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 상태로 하여, 직류 전원으로 통전시키지 않고서, 제어 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스위치 입력할 수 있어, 스탠바이 전력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스위치가 차단 상태일 때에는 직류 전원으로 통전되지 않기 때문에, 직류 전원을 구성하는 회로 부품의 발열도 없어, 조작부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와 전원 개폐 수단을 별도로 마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어, 조작성, 방수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전원 투입 스위치와 전원 차단 스위치를 별도로 마련함에 따라, 회로 구성도 간단화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전원 투입을 입력하는 전원 투입 스위치와 직렬로, 저항기로 이루어지는 돌입 전류 방지 수단을 접속하였기 때문에, 전원 투입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흐르는 돌입 전류를 억제할 수 있어, 회로 부품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부하에 접속된 교류 전원을 개폐하는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전원 개폐 수단은, 직류 전원에 접속되어 교류 전원을 개폐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원 개폐 수단에 소용량의 소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전원 투입시의 동작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전원 개폐 장치와, 순시 정전의 발생을 검지하는 순시 정전 검지 수단과, 전해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전원 유지 수단과, 타이머로 이루어지는 전원 재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순시 정전을 검지하면 상기 전원 재구동 수단을 동작시켜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전원 재구동 수단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폐쇄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순시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순시 정전이 그 발생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동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동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전원 투입 입력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동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전원 차단 입력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블럭도,
도 6은 동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블럭도,
도 8은 동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회로도,
도 9는 동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전원 투입 입력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동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의 전원 차단 입력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세탁기 등의 제어 장치의 블럭도,
도 12는 동 세탁기 등의 제어 장치의 회로도,
도 13은 동 세탁기 등의 제어 장치의 순시 정전 발생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종래의 전원 개폐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블럭도,
도 15는 동 전원 개폐 장치의 전원 투입/차단 입력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교류 전원 11 : 직류 전원
13 : 전원 개폐 수단 15 : 전원 투입 스위치
16 : 전원 차단 스위치 17 : 제어 수단

Claims (4)

  1. 교류 전원과,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 전원과,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교류 전원간을 개폐하는 전원 개폐 수단과,
    상기 전원 개폐 수단과 병렬로 접속된 전원 투입 스위치와,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 동작하는 제어 수단과,
    전원의 차단을 입력하는 전원 차단 스위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 투입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폐쇄 상태로 하고, 동작 개시 후에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 상태로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의 개방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 투입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한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투입을 입력하는 상기 전원 투입 스위치와 직렬로, 저항기로 이루어지는 돌입 전류 방지 수단을 접속한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부하에 접속한 교류 전원을 개폐하는 부하용 전원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전원 개폐 수단은, 직류 전원에 접속하여 교류 전원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세탁기 등의 전원 개폐 장치.
  4. 청구항 1에 기재된 전원 개폐 장치와,
    순시 정전의 발생을 검지하는 순시 정전 검지 수단과,
    전해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전원 유지 수단과,
    타이머로 이루어지는 전원 재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순시 정전을 검지하면 상기 전원 재구동 수단을 동작시켜 전원 개폐 수단을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전원 재구동 수단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전원 개폐 수단을 폐쇄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세탁기 등의 제어 장치.
KR1019980063368A 1998-02-26 1998-12-31 세탁기등의전원개폐장치및제어장치 KR100657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44966A JPH11239690A (ja) 1998-02-26 1998-02-26 洗濯機等の電源開閉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98-044966 1998-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460A KR19990071460A (ko) 1999-09-27
KR100657063B1 true KR100657063B1 (ko) 2007-04-25

Family

ID=1270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368A KR100657063B1 (ko) 1998-02-26 1998-12-31 세탁기등의전원개폐장치및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239690A (ko)
KR (1) KR100657063B1 (ko)
CN (2) CN1109152C (ko)
TW (1) TW43548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73543B (en) * 2008-06-25 2012-10-01 Toshiba Kk Washing machine
KR101677612B1 (ko) * 2009-10-29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5624944B2 (ja) * 2011-05-31 2014-11-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および電気機器
JP5784431B2 (ja) * 2011-09-13 2015-09-24 株式会社東芝 負荷駆動装置および洗濯機
CN107245837B (zh) * 2013-07-24 2019-01-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903A (ko) * 1987-10-22 1989-06-16 다니이 아끼오 세탁기등의 전원개폐제어장치
JPH06284605A (ja) * 1993-03-30 1994-10-07 Sharp Corp 電源装置
KR950003220A (ko) * 1993-07-12 1995-02-16 김동학 아파타이트 성형소결체의 제조방법
JPH08289471A (ja) * 1994-12-29 1996-11-01 Thomson Consumer Electron Inc 最小スタンバイ電力の配分装置及び方法
KR970024441A (ko) * 1995-10-11 1997-05-30 구자홍 광 에너지를 이용한 소비전력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0051U (zh) * 1987-01-02 1988-11-30 郭少智 洗衣机程序控制器
CN2036315U (zh) * 1988-06-22 1989-04-19 曾广华 遥控的电源插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903A (ko) * 1987-10-22 1989-06-16 다니이 아끼오 세탁기등의 전원개폐제어장치
JPH06284605A (ja) * 1993-03-30 1994-10-07 Sharp Corp 電源装置
KR950003220A (ko) * 1993-07-12 1995-02-16 김동학 아파타이트 성형소결체의 제조방법
JPH08289471A (ja) * 1994-12-29 1996-11-01 Thomson Consumer Electron Inc 最小スタンバイ電力の配分装置及び方法
KR970024441A (ko) * 1995-10-11 1997-05-30 구자홍 광 에너지를 이용한 소비전력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387125Y (zh) 2000-07-12
CN1109152C (zh) 2003-05-21
KR19990071460A (ko) 1999-09-27
TW435481U (en) 2001-05-16
JPH11239690A (ja) 1999-09-07
CN1227296A (zh)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50323B (zh) 用于减少家用电器的待机状态能耗的电子控制装置和方法
CN103210563B (zh) 用于减少家用电器的备用状态能耗的电子控制设备和方法
US8358037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operating a household appliance
KR100657063B1 (ko) 세탁기등의전원개폐장치및제어장치
EP2372493B1 (en) Device for reducing standby-mode energy consumption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100883507B1 (ko) 삼상유도전동기의 절전구동장치
JP3827392B2 (ja) 電子または電気機器
JP2000350885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KR100883506B1 (ko) 삼상유도전동기의 리액터식 절전구동장치
JP3855375B2 (ja) 洗濯機等の電源開閉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3739199B2 (ja) 電子または電気機器
JP3629877B2 (ja) 洗濯機
KR920006358B1 (ko) 세탁기의 예약 시스템
JPH10118384A (ja) 洗濯機等の電源開閉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3457570B2 (ja) 電気機器の制御装置
JPH04248382A (ja) 容量の異なる複数の電動機の始動装置
JPH10136567A (ja) 電源制御装置
JPH1195806A (ja) 電源制御装置
KR20030089011A (ko)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알고리즘이 적용된 세탁기와 그제어방법
JP2553830B2 (ja) 洗濯機等の給水弁制御装置
JP2523798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8202233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60042B1 (ko) 히터의 제어회로
KR200438990Y1 (ko)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JPH05122990A (ja) 電気機器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11

Effective date: 200608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