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936B1 -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936B1
KR100656936B1 KR1020050072215A KR20050072215A KR100656936B1 KR 100656936 B1 KR100656936 B1 KR 100656936B1 KR 1020050072215 A KR1020050072215 A KR 1020050072215A KR 20050072215 A KR20050072215 A KR 20050072215A KR 100656936 B1 KR100656936 B1 KR 10065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hift lever
shift
operating membe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0Magnetic or electromagnetic sensors
    • B60W2420/503Hall effect or magnetoresistive, i.e. active 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의 위치를 자석과 홀 IC를 이용하여 비접점 방식으로 감지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 바이 와이어, 비접점식, 자석, 홀 IC

Description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 SHIFT BY WIRE SYSTEM }
도 1은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위치감지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 위치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센서작동부재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센서부의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서작동부재, 11 : 지지부,
12 : 장공, 14 : 슬라이더,
16 : 자석, 20 : 센서부,
22 : 센서하우징, 24 : 홀 IC,
200 : 스티어링 칼럼, 230 : 변속레버,
250 : 시프트암, 270 : 리테이너,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의 위치를 자석과 홀 IC를 이용하여 비접점 방식으로 감지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란 엔진의 회전 속도를 차량의 주행상태에 맞추어 적절히 감속하여 프로펠라 샤프트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주행 중 잦은 변속조작으로 인한 운전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이러한 변속조작이 자동으로 행해지는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자동 변속을 위해서 차량의 여러 주행상태에 따른 변속패턴을 미리 입력시켜 둔 변속기 제어 장치(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가 구비되며, 이 변속패턴에 따른 변속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전기적으로 반응하여 변속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속기에는 여러 밸브기구 즉, 변속조작기구들이 구비된다.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종래 변속기와 변속레버간의 기계적인 연결/작동 구조를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엑추에이터를 이용하여 ECU가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패키지/NVH/디자인적으로 기계식 시스템에 비해 매우 유리한 차세대 변속 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구조도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52690(발명의 명칭: 자동 변속 차량의 인히비터 스위치 제어 구조)에 공개된 내용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석에서 변속 레버(7)에 의해 인히비터 스위 치(4)의 변속 레인지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인바 상기 변속 레버(7)는 도면에서와 같은 회전 노브로서 형성시킬 수도 있고, 그와는 다른 구조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변환 레버(7)는 운전석에서 가장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변환 레버(7)로부터의 변환 신호는 변속기 제어 장치(6)에서 체크가 되어 변속할 레인지를 확인한 후 그에 맞는 전압을 변속기 하우징 일측으로 장착시킨 스텝 모터(5)에 공급시키도록 하며, 상기의 스텝 모터(5)는 매뉴얼 샤프트(3)를 연동시키게 된다. 운전석에 설치시킨 상기 변환 레버(7)를 간단히 필요로 하는 변속 레벨로 조작시키게 되면 변속기 제어 장치(6)에서는 이를 체크하여 스텝 모터(5)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이렇게 해서 작동되는 스텝 모터(5)에 의해 매뉴얼 샤프트(3)가 회동되면서 인히비터 스위치(4)의 접점위치를 변환시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위치감지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블록선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출원번호 10-2004-4624) 한 발명(이하 '선출원'이라 함)으로써, 이하 이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출원 발명은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스티어링 샤프트(210)가 내장되어 있는 스티어링 칼럼(200)과, 이 스티어링 칼럼(200)에 장착되어 변속단을 조작하기 위한 변속레버(230)와, 변속레버(230)에 장착되는 위치감지스위치(400)와, 자동변속기(10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티어링 칼럼(200)에는 스티어링 칼럼(20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시프트암(250)이 조립된다.
시프트암(250)에는 변속레버(230)가 연결 장착되어 시프트암(250)을 회동 조작한다.
시프트암(250)의 하단에는 리테이너(270)가 장착된다.
리테이너(270)에는 변속레버(230)의 조작에 따른 변속레버(2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스위치(400)가 장착된다.
위치감지스위치(400)는 변속레버(230)의 위치를 감지한다.
액추에이터(500)는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의 명령에 따라 매뉴얼 샤프트(미도시)를 작동시킨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시프트암(250)에 장착된 변속레버(230)를 조작하면, 리테이너(270)에 장착된 위치감지스위치(400)가 변속레버(23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된 변속레버(230)의 위치는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에 입력되어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의 명령에 따라 액추에이터(500)가 매뉴얼 샤프트(미도시)를 작동시킨다.
즉, 종래의 변속레버(230)와 자동변속기(100)를 연결해주는 케이블 대신 위치감지스위치(400)와 액추에이터(500)를 사용함에 따라, 케이블이 불필요하여 엔진룸 이음의 실내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설계시 유리하다.
또한, 케이블의 불필요에 따라 스티어링 칼럼(200)의 수리시 또는 교체시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매뉴얼 샤프트는 인히비터 스위치(7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인히비터 스위치(700)는 매뉴얼 샤프트의 위치를 검출하여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에 전달하는 스위치로서, 고정접점 상을 매뉴얼 샤프트의 작동에 의해 가동접점이 접촉함에 따라 이에 의한 전기신호를 단자부(미도시)를 통해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에 전달한다.
이러한, 인히비터 스위치(700)는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 2003-0026138호에 상세히 제시되어 있다.
이로써, 위치감지스위치(400)에 의해 감지된 변속레버(230)의 위치는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에 입력되어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의 명령에 따라 액추에이터(500)의 모터가 구동된다.
한편, 위치감지스위치(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P), 후진주행(R), 중립(N), 전진주행(D), 3단(3), 2단(2), 저속주행(L)의 7가지 변속단의 각 위치에 따라 접점을 전환시켜 변속레버(2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접점방식의 스위치이다.
가령, 현재 변속레버(230)의 위치가 주차(P) 변속단인데 운전자가 후진주행(R) 변속단의 위치로 변속레버(230)를 조작하면 위치감지스위치(400)의 공통단자(common terminal,410)와 후진주행(R) 단자가 브러시에 의해 연결되고 이 신호를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가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히비터 스위치(700)로부터 매뉴얼 샤프트의 현재 위치(각도)와 변속레버(230)의 감지된 신호를 비교하여 액추에이터(500)를 구동시킨다.
후진주행(R) 변속단에서 전진주행(D) 변속단으로 변속레버(230)를 조작할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접점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변속레버(230)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변속레버(2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진주행(D) 변속단에서 주차(P) 변속단 또는 후진주행(R) 변속단으로 변속레버(230)를 조작할 경우에는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는 변속레버(230)의 위치감지 신호, 인히비터 스위치(700)의 신호뿐만 아니라, 차속센서(600)를 이용하여 차속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매뉴얼 샤프트를 이동시키지 않고 경고등(800) 또는 경고음(900)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변속기 제어 유니트(300)는 차속을 감지하여 차량이 주행중일경우에 변속레버(230)를 주차(P) 또는 후진주행(R) 변속단으로 이동하더라도 매뉴얼 샤프트를 이동시키지 않고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동변속기(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서는 변속단의 각 위치에 따라 접점을 전환시켜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점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서 접점의 마모로 인한 접촉불량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동 안정장치(Fail-Safe)측면에서도 매우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 접점간의 통전상태를 감지하는 접점방식이 아닌 자석과 홀 IC를 사용하여 비접점방식으로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스티어링 칼럼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센서작동부재와; 상기 센서작동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작동부재에는 자석이 부착된다.
상기 센서부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홀 IC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 IC는 상기 센서하우징 내 PCB상에 변속레버의 작동각과 일치하는 각각의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센서작동부재는, 상기 변속레버에 장착되되 장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하부에 자석이 장착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장공에 삽입 장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의 너비는, 두 개의 홀 IC의 간격(t1)보다 크되, 세 개의 홀 IC의 간격(t2)보다는 작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하이레벨(High level)전압과 로우레벨(Low level)전압을 각각 0볼트초과 5볼트미만 사이에서 설정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어 측정된 전압이 상기 하이레벨전압과 로우레벨전압 사이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처리하고, 그 외에는 비정상상태로 처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 위치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와 센서작동부재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과 비교하여 변속레버 위치감지장치(즉 종래의 위치감지스위치)와 제어부가 다른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 외 스티어링 칼럼, 자동변속기, 매뉴얼샤프트, 액추에이터 등은 선출원과 동일한바 이하 생략한다.
먼저, 위치감지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230), 센서작동부재(10), 센서부(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속레버(230)는 스티어링 칼럼(2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200)에는 스티어링 칼럼(20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시프트암(250)이 장착되고 상기 시프트암(250)에는 변속레버(230)가 연결 장착 되어 상기 시프트암(250)을 회동 조작한다.
상기 시프트암(250)의 하단에는 리테이너(27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변속레버(230)와 상기 시프트암(25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작동부재(10)는 상기 변속레버(2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칼럼(2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변속레버(230)가 회전하면 상기 센서작동부재(10)도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센서작동부재(10)는 상기 변속레버(23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시프트암(25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서부(20)는 상기 센서작동부재(1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리테이너(27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센서작동부재(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와 슬라이더(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변속레버(230)에 장착되되 장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장공(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며, 자석(16)은 상기 슬라이더(14)의 하면(下面) 즉 상기 센서부(20)와 인접한 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센서작동부재(10)는 단순히 상기 지지부(11)만으로 즉 평평한 막대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센서부(20)와 인접하는 면 즉 상기 지지부(11)의 하면에 자석(16)이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0)는 센서하우징(22)과 상기 센서하우징(22)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홀 IC(24)로 이루어진다.
도 6에 상기 홀 IC(24)가 상기 센서하우징(22)에 5개 장착되어 있으나, 그 수는 변속레버(230)의 변속단수 또는 차량의 구조에 따라 적절한 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에서 직선 및 그 직선에 기재된 부호는 변속레버(230)가 1a에서 5a로 이동할 경우 그에 따라 자석(16)이 1a에서 5a로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자석(16) 하부에 장착된 홀 IC(24)를 표현하기 위해 자석(16)을 투명하게 표현하였다.
상기 홀 IC(24)는 상기 센서작동레버(230)가 단순한 막대형이면 호(狐)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센서작동레버(230)가 지지부(11)와 슬라이더(14)로 이루어지면 상기 센서하우징(22)에는 상기 슬라이더(14)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홀 IC(24)는 직선으로 배치된다.
이는 상기 변속레버(230)가 회전하면 상기 지지부(11)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14)는 상기 장공(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자석(16)의 너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형성된 홀 IC(24)에서 두 개의 홀 IC(24)의 간격(t1)보다 크되, 세 개의 홀 IC(24)의 간격(t2)보다는 작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석(16)이 홀 IC(24)를 두 개 덮을 수는 있어도 세 개는 덮을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제어한다.
상기 센서부(20)는, 하이레벨(High level)전압과 로우레벨(Low level)전압을 각각 0볼트초과 5볼트미만 사이에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어 측정된 전압이 상기 하이레벨전압과 로우레벨전압 사이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처리하고, 그 외에는 비정상상태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20)가 하이레벨전압을 4볼트로 로우레벨전압을 1.3볼트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4∼1.3볼트이면 정상상태로 처리하고, 그 외에는 비정상상태로 처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어유니트가 홀 IC(24)의 불량, 전선의 단락 또는 단선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의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의 출력 전압이 4∼1.3볼트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회로도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서 점선은 홀 IC(24)가 정상 작동되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고, 실선은 홀 IC(24)가 파손 또는 고장난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홀 IC가 두 개 장착된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써, 이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전원인 V1과 P1사이에는 다이오드가 장착되고, P1은 P2와 P5에 각각 연결되고, P2는 다시 P3과 P10에 각각 연결되며, P3은 제어유니트, 접지점, P4에 각각 연결된다.
P2와 P3사이에는 R12가 장착되고, P3과 접지점과의 사이에는 R14가 장착되며, P3과 P4와의 사이에는 R13이 각각 장착된다.
P4는 접지점과 1번 홀 IC(H1)에 각각 연결되는데, P4와 접지점 사이에는 C12가 장착된다.
한편, P5는 접지점과 P6에 각각 연결되고, P6은 P7과 P8에 각각 연결되며, P7은 다시 접지점과 1번 홀 IC(H1)에 각각 연결된다.
P5와 접지점 사이에는 C1이, P5와 P6사이에는 R1이 각각 장착되고, P7과 접지점 사이에는 C11이 장착된다.
1번 홀 IC(H1)는 P4, P7, 접지점과 각각 연결된다.
P6에 연결되는 P8은 접지점과 2번 홀 IC(H2)에 각각 연결되는데, P8과 접지점 사이에는 C21이 장착된다.
P2와 연결되는 P10은 제어유니트, 접지점, P9와 각각 연결되고, P9는 접지점과 2번 홀 IC(H2)에 각각 연결된다.
P2와 P10 사이에는 R22가 장착되고, P10과 접지점 사이에는 P24가 장착되며, P10과 P9 사이에는 P23이 장착되며, P9와 접지점 사이에는 C22가 장착된다.
2번 홀 IC(H2)는 P8, P9, 접지점과 각각 연결된다.
여기에서, V1은 5볼트이고, 다이오드는 1SS355이고, R1은 100이고, R12 및 R22는 1K이고, R13 및 R23은 390이고, R14 및 R24는 4.7K이고, C1과 C11 및 C21은 각각 0.1u이며, C12 및 C22는 0.01u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홀 IC가 2개(H1, H2)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회로이고, 홀 IC가 더 많이 장착되면 상술한 1번 홀 IC(H1)와 2번 홀 IC(H2)의 연결과 같이 확장시키면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운전자가 변속레버(230)를 이동시키면 상기 센서작동레버(230)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20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변속레버(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센서작동레버(230)에 부착된 자석(16)이 복수의 상기 홀 IC(24)의 상부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상기 홀 IC(24)의 출력값이 바뀌게 된다.
이때, 변속레버(230)의 이동에 따라 완전히 이동된 자석(16)은 한 개의 홀 IC(24) 상부만을 덮도록 한다.
상기 홀 IC(24)의 출력값은 상기 제어유니트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니트는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변속기를 작동시킨다.
만일, 어느 홀 IC(24)가 고장난 경우, 해당 홀 IC(24)에 해당하는 비트(Bit)를 마스킹(Masking)한다.
이때, 홀 IC(24)의 고장여부는 도 7에 도시된 회로도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센싱하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센서하우징(22)에 5개의 홀 IC가 장착되고, 각각의 홀 IC에 대하여 1번 홀 IC를 2진수로 00001, 2번 홀 IC를 2진수로 00010, 3번 홀 IC를 2진수로 00100, 4번 홀 IC를 2진수로 01000, 5번 홀 IC를 2진수로 10000로 각각 표현한다.
여기에서 1번 홀 IC가 고장난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서 16진수표현으로 0xfe(이진수로 11111110)를 센서 입력에 해당하는 변수에 Bitwise AND 연산하여 위치를 판단한다.
그래서, 이 경우 1번 홀 IC 신호가 들어오면 마스킹결과 즉, 00001과 11111110을 Bitwise AND 연산하여 위치값은 '0'이 된다.
이때, 다른 홀 IC의 경우는 마스킹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자석(16)이 홀 IC(24)위에서 움직일 때 홀 IC(24)와 홀 IC(24) 사이에 자석(16)이 삽입되어 '0'이라는 값이 발생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자석(16)의 너비는 상기 자석(16)이 이동할 때 두 개의 홀 IC(24)를 덮을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즉, 상기 자석(16)의 너비는, 복수개로 형성된 홀 IC(24)에서 두 개의 홀 IC(24)의 간격(t1)보다 크되, 세 개의 홀 IC(24)의 간격(t2)보다는 작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당 홀 IC(24)에 해당하는 비트를 마스킹하여 홀 IC(24)의 비정상상태에서도 제어를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는 도 4에 도시된 선출원과 동일하다.
본 발명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변속레버 위치감지장치를 센서작동부재에 자석을 부착하여 비접점식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접점방식에 의한 접점의 노화 및 마모를 줄일 수 있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홀 IC를 사용함으로써, 자석의 위치를 쉽게 측정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변속레버의 위치 또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유니트가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른 자동변속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셋째, 센서작동부재를 지지부와 슬라이더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홀 IC의 배치가 쉽고, 자석이 직선 운동하므로 더욱 정확한 센싱을 할 수 있다.
넷째, 자석의 너비를 두 개의 홀 IC의 간격(t1)보다 크게 하고 세 개의 홀 IC의 간격(t2)보다는 작게 함으로써, 어느 홀 IC가 고장난 경우 해당 홀 IC에 해당하는 비트를 마스킹하여 홀 IC의 비정상상태에서도 제어를 지속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센서부가 하이레벨전압과 로우레벨전압을 각각 0볼트초과 5볼트미만 사이에서 설정하고, 상기 제어유니트가 그에 따라 정상 또는 비정상을 판단함으로써, 홀 IC의 파손뿐만 아니라 전선의 단선 또는 단락도 감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스티어링 칼럼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센서작동부재와;
    상기 센서작동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작동부재는,
    상기 변속레버에 장착되되 장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하부에 자석이 장착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장공에 삽입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4. 스티어링 칼럼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센서작동부재와;
    상기 센서작동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작동부재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센서부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홀 IC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석의 너비는, 두 개의 홀 IC의 간격(t1)보다 크되, 세 개의 홀 IC의 간격(t2)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5. 스티어링 칼럼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센서작동부재와;
    상기 센서작동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작동부재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센서부는, 하이레벨(High level)전압과 로우레벨(Low level)전압을 각각 0볼트초과 5볼트미만 사이에서 설정하며,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어 측정된 전압이 상기 하이레벨전압과 로우레벨전압 사이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처리하고, 그 외에는 비정상상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KR1020050072215A 2005-08-08 2005-08-08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KR10065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215A KR100656936B1 (ko) 2005-08-08 2005-08-08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215A KR100656936B1 (ko) 2005-08-08 2005-08-08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936B1 true KR100656936B1 (ko) 2006-12-13

Family

ID=3773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215A KR100656936B1 (ko) 2005-08-08 2005-08-08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508B1 (ko) 2009-02-09 2011-12-05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차량의 기어변속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475A (ja) 1999-05-07 2000-11-21 Tokai Rika Co Ltd 無接触式位置検出装置
KR20010086486A (ko) * 2000-03-02 2001-09-13 윤장진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 레버 위치 감지 장치
US6382045B1 (en) * 2000-09-11 2002-05-07 Teleflex Incorporated Single lever shift assembly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transmission
JP2004138235A (ja) 2002-08-20 2004-05-13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475A (ja) 1999-05-07 2000-11-21 Tokai Rika Co Ltd 無接触式位置検出装置
KR20010086486A (ko) * 2000-03-02 2001-09-13 윤장진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 레버 위치 감지 장치
US6382045B1 (en) * 2000-09-11 2002-05-07 Teleflex Incorporated Single lever shift assembly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transmission
JP2004138235A (ja) 2002-08-20 2004-05-13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508B1 (ko) 2009-02-09 2011-12-05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차량의 기어변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3087B (zh) 用于自动化的或自动的变速器的换档装置
US4911031A (en)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S7293480B2 (en) Shifting device
US6422104B2 (en) Apparatus for setting selection gate positions for change speed in automatic gear transmission
CN101169184B (zh) 档位切换机构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DE60238731D1 (de) Schalt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6339325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gear positions of automobile transmission
EP0373273B1 (en)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CN1131794C (zh) 用于电子气动换档系统的自动换档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656936B1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US6397696B2 (en) Automatic gear transmission
JPH05118414A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100505720B1 (ko) 오토/매뉴얼 모드선택이 가능한 컬럼 타입의 변속조작기구
JP4548573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2010060125A (ja) 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H08295146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ギヤシフト位置検出装置
KR100510351B1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변속레버 위치감지장치
KR20050077063A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JP4986742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JP2856627B2 (ja) ギヤ位置検出装置
KR102635920B1 (ko)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JP3484945B2 (ja) 手動変速機の変速段検出機構
KR950002738Y1 (ko) 변속기 조작장치
KR10051487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
KR0137523Y1 (ko) 자동차용 백램프스위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