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410B1 -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 Google Patents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410B1
KR100654410B1 KR1020050127661A KR20050127661A KR100654410B1 KR 100654410 B1 KR100654410 B1 KR 100654410B1 KR 1020050127661 A KR1020050127661 A KR 1020050127661A KR 20050127661 A KR20050127661 A KR 20050127661A KR 100654410 B1 KR100654410 B1 KR 10065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tool
diffusion bonding
superplastic forming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윤종훈
이영무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410B1/ko
Priority to CNB2006101658803A priority patent/CN100496852C/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22F3/14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23K20/023Thermo-compression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4Preventing or minimising gas access, or using protective gases or vacuum during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6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with interposition of special material to facilitate connection of the parts, e.g. material for absorbing or produc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8Selection of media, e.g. special atmospheres for surrounding the working area
    • B23K35/383Selection of media, e.g. special atmospheres for surrounding the working area mainly containing noble gases or 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4Titanium or alloy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치구, 중부치구 및 하부치구로 이루어진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부치구에 고정되고, 하단부에 쐐기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부 및 하부 치구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봉, 쐐기결합홈에 결합되어 하부치구가 연결봉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쐐기 및 중부치구 내에 적층된 확산접합용 모재에 압력을 가하는 밀폐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에 의하면 대용량의 유압프레스가 없어도 고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모재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합면에 미세크랙이나 기공 등의 결함이 없는 고품질의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을 현저하게 낮은 비용으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확산접합, 치구, 가압, 초소성성형, 판재

Description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Tools for diffusion bonding and superplastic form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봉 및 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에 의해 제조된 구조물에 대한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110...상부치구
111...성형가스 주입로 120...중부치구
130...하부치구 131...보호가스 주입로
140...연결봉 141...쐐기결합홈
150...쐐기 160...밀폐용기
161...상부판재 162...중부판재
163...하부판재 164...용접부
165...파이프 170...밀폐판재
180...모재
본 발명은 고상접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재를 여러층으로 적층한 모재를 고상상태에서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상접합은 기존의 용융용접과 달리 모재를 고체상태로 유지하면서 일체화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모재의 용융을 방지 또는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모재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특성을 보존하고 접합부의 결함발생을 최소화하여 일체화된 부품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복합재료등 신금속소재의 개발과 첨단산업의 발달로 고상접합 기술이 크게 각광을 받고 발전하게 되었으며 이로인해 기존의 용융용접 기술로는 접합이 불가능한 소재, 복잡한 형상의 소재, 고품질 및 고정밀성이 요구되는 소재 등의 접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고상접합 기술로는 마찰열을 이용하는 마찰접합, 삽입금속을 이용하는 브레이징, 원자의 확산현상을 응용한 확산접합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확산접합은 모재를 용융시키지 않을 정도의 고온에서 모재가 큰 소성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정도의 정수압력을 가함으로써 고상상태에서 접합하는 방법이다.
한편 확산접합기술은 초소성성형, 항온성형, 열산 정수압 성형 기술등과 함께 연계되어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일체형으로 제조하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확산접합시에는 고온에서 고압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때 프레스나 기체를 이용하여 고압을 형성하게 된다. 기체를 이용하여 고압을 형성하게 될 경우, 기체의 기밀을 유지하며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유압프레스가 필요하며, 모재를 균일하게 가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대용량의 유압프레스 없이 고압을 형성하기 위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모재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는 상부치구, 중부치구 및 하부치구로 이루어진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상부치구에 고정되고, 하단부에 쐐기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부 및 하부 치구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쐐기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치구가 상기 연결봉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쐐기; 및 상기 중부치구 내에 적층된 확산접합용 모재에 압력을 가하는 밀폐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쐐기결합홈의 단면이 사다리꼴 모양인 것을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연결봉 및 상기 쐐기는 니켈합금내열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중부치구 및 상기 하부치구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밀폐용기는 상기 모재의 단면과 같은 모양의 형상인 하부판재; 상기 하부판재와 같은 모양과 크기이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재; 및 상기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가스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중부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및 하부판재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밀폐용기는 상기 확산접합용 모재와 같은 재질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봉 및 쐐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100)는 상부치구(110), 중부치구(120) 및 하부치구(130)를 구비하며, 하단부에 쐐기결합홈(141)이 형성된 연결봉(140), 상기 쐐기결합홈(141)에 결합되는 쐐기(150) 및 모재(180)에 압력을 가하는 밀폐용기(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치구(110)에는 성형가스 주입로(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입로(111)로 유입되는 불활성 기체가 상기 밀폐용기(160)에 주입되어 모재(180)가 가압성형 된다. 여기서 상기 불활성 기체는 아르곤 가스(Argon Gas)인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치구(110)의 하부에는 확산접합 하고자 하는 모재(180)가 안치되는 중부치구(120)가 위치하며, 상기 상부치구(110)와 상기 중부치구(120) 사이에는 밀폐판재(170)가 게재되어 상기 상부 및 중부치구(110, 120)를 밀폐하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모재(180)는 금속판재를 여러 층으로 적층한 것으로, 이 때 금속판재는 화학적 세척이나 기계적 연마방법 등으로 처리되어 깨끗한 표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된 모재(180)는 본 발명에 의한 치구 내부에 안치되어 서로 접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중부치구(120)의 하부에는 보호가스 주입로(131)가 형성된 하부 치구(130)가 위치한다. 상기 보호가스는 가압성형 중에 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 때 상기 보호가스는 아르곤 가스인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연결봉(140)은 하단부에 상기 쐐기(150)가 결합할 수 있는 쐐기결합홈(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치구(110)에 고정되며 상기 중부 및 하부치구(120, 130)를 관통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쐐기(150)는 상기 쐐기결합홈(141)에 결합하여 상기 하부치구(130)가 상기 연결봉(1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치구(110)쪽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쐐기결합홈(141)의 단면은 사다리꼴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쐐기(150)는 상기 쐐기결합홈(141)에 깊게 결합될수록 상기 쐐기결합홈(141)의 빗면을 따라 상기 연결봉(140)의 상단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쐐기(150)는 상기 하부치구(130)를 상기 상부치구(110)쪽으로 더욱 밀착시키게 된다.
게다가, 상기 연결봉(140) 및 상기 쐐기(150)는 니켈합금내열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니켈내열합금강은 인코넬625(상품명)일 수 있다.
상기 연결봉(140) 및 쐐기(15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중부 및 하부치구(110, 120, 130)를 서로 밀착시키면 고온고압의 환경에서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중부치구(120) 및 상기 하부치구(1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치구(100)의 기밀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확산접합의 안정성 및 품질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게다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구는 더욱 견고하며 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용기(160)는 상기 모재(180)의 단면과 같은 모양의 형상인 하부판재(163)와 상기 하부판재(163)와 같은 모양과 크기이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재(161) 및 상기 하부판재(163)와 상기 상부판재(161)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가스가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중부판재(16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중부 및 하부판재(161, 162, 163)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접법은 TIG(Tungsten Inert Gas)용접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IG(Tungsten Inert Gas)용접을 이용할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판재(161, 163)는 상기 중부판재(162)를 필러메탈로 이용하여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메탈이란 용접열에 의해 용융되어 모재를 접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금속으로 일반적인 용접에서는 용접봉이 그 역할을 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상부판재(161)에는 성형가스가 상기 밀폐용기(160)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공(미도시)이 형성된 부위에 파이프(165)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160)는 제한된 크기의 치구내에서 성형가스의 압력을 손실없이 상기 모재(180)에 균일하게 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모재(180)와 같 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밀폐용기(160)의 내부로 유입된 고압의 성형가스는 상기 밀폐용기(160)를 팽창시켜 상기 모재(180)를 가압하게 된다. 이 때, 기체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상기 모재(180)는 가압면에 대하여 균일한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확산접합의 품질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를 이용한 티타늄 합금의 접합과정을 나타내보았다.
티타늄 합금인 Ti-6AL-4V로 만들어진 두께 2.04㎜의 판재를 지름 120㎜의 원반모양으로 2장 절삭하여 상부판재(161) 및 하부판재(163)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티타늄 합급 판재를 안지름 100㎜, 바깥지름 130㎜의 링모양으로 절삭하여 중부판재(162)를 준비하였다. 상기 상부판재(161)에는 가스 주입을 위하여 지름 5㎜의 통공을 뚫고, 파이프(165)를 TIG용접으로 고정시켰다. 상기 상부판재(161)와 하부판재(163) 사이에 상기 중부판재(162)를 놓고 TIG용접을 하여 상기 밀폐용기(160)를 만들었다.
티타늄 합금인 Ti-6AL-4V로 만들어진 두께 2.04㎜의 판재를 지름 100㎜의 원반모양으로 50장을 절삭하여 그 표면을 화학세척한 후 상기 중부치구(120)에 순차적으로 쌓았다. 그리고 상기 중부치구(120)의 상부에 상기 밀폐용기(16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 중부 및 하부치구(110, 120, 130)를 상기 연결봉(140)과 쐐기(150)를 이용하여 결합하였다. 이 때, 상기 연결봉(140) 및 쐐기(150)는 고온에서도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인코넬625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상부 및 하부치구(110, 130)의 공기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상기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100)를 대략 800℃로 가열하였다. 그리고 상기 밀폐용기(160)에 40Bar 혹은 그 이하의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기 시작하였다. 상기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100)의 온도가 대략 875℃에 도달하면 40Bar 혹은 그 이하의 압력을 대략 30분간 유지한 후, 기체압력을 제거하고 온도를 서서히 내려 노냉시켰다.
한편, 상기 과정을 진행할 때, 상기 티타늄 금속판재가 산화되지 않도록, 보호가스를 이용하여 하부치구(130) 내부를 진공 또는 환원성 상태로 유지하였다.
이렇게 일체형으로 완성된 구조물의 접합면에 대한 미세조직 사진이 도 5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접합면에 미세크랙이나 기공 등의 결함이 없고 고체상태에서 원자확산 및 결정입계의 이동으로 완전한 확산접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에 따르면, 대용량의 유압프레스가 없어도 고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모재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합면에 미세크랙이나 기공 등의 결함이 없는 고품질의 확산접합을 현저하게 낮은 비용으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상부치구, 중부치구 및 하부치구로 이루어진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상부치구에 고정되고, 하단부에 쐐기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부 및 하부 치구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쐐기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치구가 상기 연결봉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쐐기; 및
    상기 중부치구 내에 적층된 확산접합용 모재에 압력을 가하는 밀폐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쐐기결합홈의 단면이 사다리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 및 상기 쐐기는,
    니켈합금내열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부치구 및 상기 하부치구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는,
    상기 모재의 단면과 같은 모양의 형상인 하부판재;
    상기 하부판재와 같은 모양과 크기이며,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재; 및
    상기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가스를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중부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판재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는,
    상기 확산접합용 모재와 같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KR1020050127661A 2005-12-22 2005-12-22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KR10065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661A KR100654410B1 (ko) 2005-12-22 2005-12-22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CNB2006101658803A CN100496852C (zh) 2005-12-22 2006-12-14 用于扩散结合和超塑成形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661A KR100654410B1 (ko) 2005-12-22 2005-12-22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410B1 true KR100654410B1 (ko) 2006-12-05

Family

ID=3773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661A KR100654410B1 (ko) 2005-12-22 2005-12-22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4410B1 (ko)
CN (1) CN10049685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77B1 (ko) 2007-12-26 2009-11-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불활성 가스를 이용한 이종재료의 확산접합용 장치
KR101466386B1 (ko) * 2013-08-27 2014-11-27 (주) 유광 고강도 금속 용접을 위한 열교환용 패널의 고정 지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4559B2 (en) * 2014-12-24 2018-11-13 Medtronic, Inc. Kinetically limited nano-scale diffusion bond structures and methods
CN111660000B (zh) * 2020-06-08 2021-10-01 上海交通大学 铝合金多层板同步超塑变形扩散连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5480A (en) 1979-12-29 1981-08-01 Kobe Steel Ltd Method of joining hard-to-join material
JPH03150303A (ja) * 1989-11-07 1991-06-26 Kobe Steel Ltd 熱間静水圧プレス方法
JPH04238885A (ja) * 1991-01-10 1992-08-26 Kobe Steel Ltd 銅または銅合金を多孔質成形体に含浸させる方法
KR20050080754A (ko) * 2005-07-25 2005-08-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중 금속판재의 확산접합용 치구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5480A (en) 1979-12-29 1981-08-01 Kobe Steel Ltd Method of joining hard-to-join material
JPH03150303A (ja) * 1989-11-07 1991-06-26 Kobe Steel Ltd 熱間静水圧プレス方法
JPH04238885A (ja) * 1991-01-10 1992-08-26 Kobe Steel Ltd 銅または銅合金を多孔質成形体に含浸させる方法
KR20050080754A (ko) * 2005-07-25 2005-08-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중 금속판재의 확산접합용 치구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77B1 (ko) 2007-12-26 2009-11-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불활성 가스를 이용한 이종재료의 확산접합용 장치
KR101466386B1 (ko) * 2013-08-27 2014-11-27 (주) 유광 고강도 금속 용접을 위한 열교환용 패널의 고정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6852C (zh) 2009-06-10
CN1986137A (zh)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2032A (en) Bonding
KR100681534B1 (ko) 다중 금속판재의 확산접합용 치구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구조물
KR100654410B1 (ko) 확산접합 및 초소성성형용 치구
JPH0499207A (ja) 等方圧加圧処理用カプセルの製作方法
JP2006522722A (ja) 気密封止製品および関連製造方法
CN114243358B (zh) 气密性金属封装结构及制作方法
KR20140089587A (ko) 돌기 저항 브레이징을 이용한 초합금 구조물 및 대응 초합금 부품을 접합 또는 수리하는 방법
US20090049794A1 (en) Heat exchanger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transient liquid phase bonding agent and vacuum compression brazing
CN114453693A (zh) 一种纯锆层连接tzm合金和石墨的接触反应钎焊工艺
US9352412B2 (en) Method of forming a bonded assembly
US11278961B2 (en) Containment for hot isostatic pressing and vacuum degassing apparatus
CN111843165B (zh) 一种金刚石微流道的扩散连接方法
JP6734746B2 (ja) 円筒形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JPS58141880A (ja) 超硬合金の接合方法
US9908194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manent bond between a ferrous alloy and an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US3497945A (en) Method for solid state welding
CN111687530A (zh) 一种吸氢膨胀物质与其他材料的复合方法
JPS607590B2 (ja) 拡散接合による製品の製造方法
JP2004148387A (ja) 矩形流路内蔵型冷却パネル及びその製作方法
US6405918B1 (en) Mechanical retention system for braze and solder joints
JPH04325470A (ja) 金属箔クラッドセラミックス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45787A (ko) 브레이징용 납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접합물 브레이징 방법
JPH06331090A (ja) 周囲の環境から容器の内部を封止するための方法
KR20010096370A (ko) 초경재료와 고속도강의 접합 방법
JPH02121796A (ja) ろう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