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671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671B1
KR100652671B1 KR1020040074855A KR20040074855A KR100652671B1 KR 100652671 B1 KR100652671 B1 KR 100652671B1 KR 1020040074855 A KR1020040074855 A KR 1020040074855A KR 20040074855 A KR20040074855 A KR 20040074855A KR 100652671 B1 KR100652671 B1 KR 10065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text
input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952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671B1/ko
Priority to CNB2005100089177A priority patent/CN100369036C/zh
Publication of KR2006002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메시지 작성시, 좀더 많은 문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문자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와; 문자메시지 작성모드를 통해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시, 입력되는 문자 메시지가 문자 입력범위를 초과했을 경우, 문자 재배열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입력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RAWING UP A CHARACTER MESS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메시지 작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메시지 작성시, 좀더 많은 문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문자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문자메시지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한다.
이러한, 상기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모드로 진입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측 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그 수신측으로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예컨대, 문자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는중에 더이상 입력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문자메시지인 경우에는 80byte를 최대 전송량으로 규정하고 있기때문에 그 이상의 문자메시지는 전송할 수 없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문자메시지를 수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방향키로 삭제하고자 하는 문자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후, 취소키를 입력하여 입력한 문자를 삭제하여 문자메시지를 재작성한다.
그러나, 대체로 문자를 삭제하기 보다는 문자메시지 내용중 문자간의 공백을 제거한후 추가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공백이 있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삭제키를 입력하여 해당 공백을 제거한 후에 추가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문자메시지 작성시, 좀더 많은 문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성된 문자메시지에 공백을 제거하기 위해 문자를 재배열하여 최소한의 문자메시지 전송을 회수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자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와; 문자메시지 작성모드를 통해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시, 입력되는 문자 메시지가 문자 입력범위를 초과했을 경우, 문자 재배열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입력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작성함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 입력중, 문자 메시지 입력범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문자 입력범위 초과시, 문자재배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입력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문자 메시지를 재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재배열된 문자메시지에 추가로 문자메시지를 입력받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작성에 따른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 전화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도면 1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과 관련이 미비한 음성통화와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모듈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야 하는 모듈이다. 이에,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키 입력부(11)는 문자(숫자, 국문, 영문 등)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시지 송수신부(13)는 문자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한다.
메모리(15)는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를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제어부(17)는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시, 입력되는 문자메시지가 문자메시지 입력범위를 초과했을 경우, 문자간의 공백없이 붙여쓰기 기능을 실행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7)는 문자간의 공백이 없도록 문자를 재배열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 재배열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인 문서작성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붙여쓰기'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
표시부(19)는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내용을 표시한다.
지금까지 첨부한 장치 구성를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하여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의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작성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11단계에서 제어부(17)는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인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이면 표시부(19)에 문자 메시지 작성모드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후, 2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7)는 문자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 진입하여, 215단계에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에 따라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9)에 표시하며 217단계로 진행한다.
예컨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을 첨부한 도 3(a)와 같이 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7)는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구하기 전까지 입력되는 문자메시지가 입력범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217단계의 판단결과를 도시한 바로는 문자메시지 입력범위를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213단계로 복귀하여 문자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즉, 이와 같은 경우는 상기 도 3(a)에서 문자가 추가로 입력된 도 3(b)와 같은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문자메시지 작성에 따른 방법을 기술하기 위해서 가정한 것이므로, 입력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문자메시지에 대해서도 문자메시지 전송이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즉, 상기 도 3(a)와 도 3(b)의 문자메시지 상태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21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문자메시지가 입력범위를 초과하였다고 판단 되면, 상기 제어부(17)는 키 입력부(11)의 키조작이 있더라도 상기 문자메시지 입력범위를 초과한 이후의 키조작에 대해서는 표시부(19)에 표시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가 더이상의 문자입력을 원하지 않을경우에는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구할 것이다.
그러면,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7)는 붙여쓰기 기능이 실행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2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7)는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223단계를 수행하여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수신자측으로 전송한다.
반면, 문자메시지의 입력범위를 초과한 도 3(c)와 같은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소정문자만을 더 입력해서 전송하고자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붙여쓰기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붙여쓰기 기능은 메뉴키를 통해서 실행될 수 있거나, 특정 단축키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 219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부(17)는 붙여쓰기 기능이 실행되었다고 판단한후,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시 문자간의 공백을 제거한다. 이러한, 상기 문자간의 공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앞서 기술하였듯이 문자 재배열(붙여쓰기) 기능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에, 2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7)는 문자재배열을 통해 추가로 입력할 수 있게 문자입력을 대기하고, 229단계에서 추가로 입력되는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9) 에 표시한다.
이후, 23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7)는 문자메시지 전송 요구가 있을경우, 233단계로 진행하여 추가로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성된 문자메시지 내용중, 문자간의 공백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추가적으로 문자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메시지의 제한된 전송량을 최대로 활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백없이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재배열하여 최소한의 문자메시지 전송회수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메시지 전송시 부과되는 요금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으로 공백을 제거하여 추가로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문자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와;
    문자메시지 작성모드를 통해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문자메시지 작성모드시, 입력되는 문자 메시지가 문자 입력범위를 초과했을 경우, 문자 재배열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입력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재배열은,
    문자 메시지의 모든 문자간 공백을 삭제하여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작성함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 입력중, 문자 메시지 입력범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문자 입력범위 초과시, 문자재배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입력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문자 메시지를 재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재배열된 문자메시지에 추가로 문자메시지를 입력받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작성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된 문자메시지에 추가로 문자메시지를 입력받는 과정은,
    문자재배열을 통해 제거된 공백 데이터양만큼 추가로 문자가 입력될 수 있게 입력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재배열은,
    문자 메시지의 모든 문자간 공백을 삭제하여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KR1020040074855A 2004-09-18 2004-09-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KR10065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55A KR100652671B1 (ko) 2004-09-18 2004-09-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CNB2005100089177A CN100369036C (zh) 2004-09-18 2005-02-25 一种移动通信终端及其文字消息制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55A KR100652671B1 (ko) 2004-09-18 2004-09-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52A KR20060025952A (ko) 2006-03-22
KR100652671B1 true KR100652671B1 (ko) 2006-12-06

Family

ID=3660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855A KR100652671B1 (ko) 2004-09-18 2004-09-18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2671B1 (ko)
CN (1) CN100369036C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204A (ja) * 1995-02-07 1996-08-20 Fujitsu Ltd 文書処理装置
JPH09330313A (ja) * 1996-06-12 1997-12-22 Hitachi Ltd 文書処理装置
JP3565682B2 (ja) * 1997-06-02 2004-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伝送情報の表示機能を有する情報端末装置
JP2000311039A (ja) * 1999-04-28 2000-11-07 Sharp Corp 部分拡大表示装置及び部分拡大表示方法
CN1149876C (zh) * 2000-09-26 2004-05-12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缩放显示功能的掌上型装置
US20020080152A1 (en) * 2000-12-22 2002-06-27 Takuma Sudo Event-for-change oriente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JP2003022066A (ja) * 2001-07-10 2003-01-24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端末装置およびスペース文字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9036C (zh) 2008-02-13
KR20060025952A (ko) 2006-03-22
CN1750690A (zh)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31429A (ja) 携帯通信端末のメッセージ修正方法及びその携帯通信端末
US9462432B2 (en) Instant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70229556A1 (en) Display data size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JP4180617B2 (ja) 移動通信端末機及び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JP2005196780A (ja) 携帯端末機でアバターを用いたメッセージ処理装置及び方法
US81269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data in a mobile telephone
KR100566975B1 (ko) 휴대폰의 원격 기능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231391A (zh) 电视机快速输入密码的方法及系统
KR10042447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02000980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폰트 변경 방법
KR1006526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메시지 작성방법
CN115086295A (zh) 文件传输方法、文件传输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801985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ligning preference items
KR100402792B1 (ko)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
KR1007937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자메일전송방법
AU3682099A (en) Mobile tele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396274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단문문자서비스문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장치
KR100748689B1 (ko) 휴대용 단말 및 그 단말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072371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컨텐츠별 메뉴 리스트 동적 변경 방법 및시스템
KR100806499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KR100983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5507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글자체로 문자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KR10120061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와 외부단말기 간의 데이터전송량을 최소화하는 방법
KR2008006711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432617Y1 (ko) 메시지 부분 수신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