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499B1 -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499B1
KR100806499B1 KR1020020079078A KR20020079078A KR100806499B1 KR 100806499 B1 KR100806499 B1 KR 100806499B1 KR 1020020079078 A KR1020020079078 A KR 1020020079078A KR 20020079078 A KR20020079078 A KR 20020079078A KR 100806499 B1 KR100806499 B1 KR 10080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footer
short message
portable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193A (ko
Inventor
김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79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4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의 사용시 미리 저장된 머리말 및 꼬리말을 첨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저장 방법은, 머리말/꼬리말 편집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이 작성되는 단계; 및 작성된 머리말/꼬리말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입력 방법은,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 삽입 여부가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 삽입 기능을 선택되면,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필드의 크기가 계산되는 동시에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단계; 문자코드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필드의 크기를 제외한 나머지 크기에 해당하는 단문 메시지가 작성되고,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앞뒤에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가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문 메시지, 휴대용 단말기, 머리말, 꼬리말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METHOD FOR USING HEADER AND FOOTER IN HANDS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입력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키입력부 120 : MSM
130 : 메모리부 140 : 표시부
150 : RF 송수신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 기능(Short Message Service)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과 꼬리말을 편집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라 함은,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의 규격을 따른 양방향 데이터 무선 호출 서비스로, 단말과 단말 간에 최대 150바이트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에 문자 및 숫자로 구성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서비스 종류는 짧은 메시지 전송, 긴급 메시지 표시, 날짜·시간 기록, 메시지 인식 등이 있다.
한편,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점차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인터넷을 이용한 이메일에 비하여 다양한 메뉴, 즉, 자주 사용하는 머리말 및 꼬리말을 첨부하는 기능이 없어, 단문 메시지 이용시마다 동일한 내용을 계속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의 사용시 미리 저장된 머리말 및 꼬리말을 첨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저장 방법은, 머리말/꼬리말 편집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이 작성되는 단계; 및 작성된 머리말/꼬리말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입력 방법은,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 삽입 여부가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 삽입 기능을 선택되면,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필드의 크기가 계산되는 동시에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단계; 문자코드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필드의 크기를 제외한 나머지 크기에 해당하는 단문 메시지가 작성되고,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앞뒤에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가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단말기 시스템은, 키입력부(110), MSM(Mobile Station Modem)(120), 메모리부(130), 표 시부(140) 및 RF 송수신부(15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선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 신호를 후술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1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MSM(120)은, 상기 키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문자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문자 코드를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구성하며, 상기 키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메모리부(130)로부터 머리말 및 꼬리말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머리말 및 꼬리말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에 부가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메모리부(130)는, 상기 머리말 및 꼬리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MSM(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머리말 및 꼬리말 데이터를 상기 MSM(1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상기 MSM(120)으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RF 송수신부(150)는, 상기 MSM(120)으로부터 출력된 단문 메시지 데이터를 RF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머리말 및 꼬리말의 저장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메뉴키를 선택하고, 이에 의해 단 말기의 표시부(140)에는 메뉴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된 메뉴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머리말/꼬리말 편집 기능을 선택한다(S201).
다음에,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거나, 기호 또는 이미지를 삽입함으로써, 머리말/꼬리말을 작성한다(S202).
이후에, 머리말/꼬리말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저장할 것을 지시하고, MSM(120)은 작성된 머리말/꼬리말을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S20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입력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머리말 및 꼬리말의 입력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메뉴키를 선택하고, 이에 의해 단말기의 표시부(140)에는 메뉴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된 메뉴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을 선택한다(S301).
다음에, 표시부(140)에는 머리말/꼬리말을 삽입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 창이 뜨게 되고, 사용자는 머리말/꼬리말 삽입 여부를 선택한다(S302).
만약, 사용자가 머리말/꼬리말 삽입 기능을 선택하면, MSM(120)은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머리말/꼬리말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필드의 크기를 계산하는 동시에 임시 저장한다(S303).
이후에,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문자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필드의 크기를 제외한 나머지 크기에 해당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를 상기 단문 메시지의 앞뒤에 삽입한다(S304). 여기서, 우리가 실제 보내는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스펙 상에서 사용자 데이터 필드(user data field)라고 하는데, 머리말/꼬리말 입력 여부를 단문 메시지 작성 전에 결정하는 이유는,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user data field)를 미리 계산하기 위함이다. 즉, 단문 메시지 작성 후 전송전에 머리말/꼬리말 입력 여부를 묻는다면, 원 단문 메시지의 데이터 양이 클 경우 메시지의 내용을 줄이거나 머리말과 꼬리말을 줄여야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머리말/꼬리말도 따로 필드를 규정하지 않은 이상 사용자 데이터 필드(user data field)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사업자와 규약을 갱신해야 할 필요도 없고, 타 사업자간의 전송에서 충돌이 생길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머리말/꼬리말 삽입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문자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단문 메시지를 작성한다(S305).
마지막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RF 송수신부(150)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0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자주 사용하는 머리말 및 꼬리말을 첨부하는 기능이 없어, 단문 메시지 이용시마다 동일한 내용을 계속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문 메시지의 사용시 미리 저장된 머리말 및 꼬리말을 첨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저장 방법은,
    머리말/꼬리말 편집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이 작성되는 단계; 및
    작성된 머리말/꼬리말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의 입력 방법은,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 삽입 여부가 선택되는 단계;
    머리말/꼬리말 삽입 기능을 선택되면,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필드의 크기가 계산되는 동시에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단계;
    문자코드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차지하는 필드의 크기를 제외한 나머지 크기에 해당하는 단문 메시지가 작성되고, 상기 머리말/꼬리말 데이터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앞뒤에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가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머리말/꼬리말 삽입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코드가 입력됨으로써, 일반 단문 메시지가 작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KR1020020079078A 2002-12-12 2002-12-1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KR10080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078A KR100806499B1 (ko) 2002-12-12 2002-12-1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078A KR100806499B1 (ko) 2002-12-12 2002-12-1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193A KR20040051193A (ko) 2004-06-18
KR100806499B1 true KR100806499B1 (ko) 2008-02-21

Family

ID=3734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078A KR100806499B1 (ko) 2002-12-12 2002-12-1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4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55A (ko) * 1997-08-08 1999-03-05 윤종용 팩스데이터의 부가정보 관리방법
JP2007099001A (ja) * 2005-09-30 2007-04-1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655A (ko) * 1997-08-08 1999-03-05 윤종용 팩스데이터의 부가정보 관리방법
JP2007099001A (ja) * 2005-09-30 2007-04-1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ブレーキ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1999-0015655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193A (ko) 200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9599A1 (en)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JPH1056666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のメッセージのメニュー駆動入力方法
JP2002342773A (ja) メッセージ内で定義されるアイコンの動画の管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ータ構造、ならびにこの方法を実行することが可能な携帯端末
JP2003101667A (ja) 無線通信メッセージの機能を拡張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プロトコル
US20020090068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files in mobile phone
KR19990018645A (ko)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969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메일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장치
US20100273513A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sending messages using the mobile phone
KR100806499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머리말 및 꼬리말 사용 방법
KR1006751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니코드 문자열 처리방법
KR1005637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워드프로세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US200900834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browser in portable terminal
KR100661583B1 (ko) 유니코드를 포함하는 에스엠에스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서비스 방법
JP3531564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用電話端末
KR100496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KR100420596B1 (ko)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KR100703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사용자 서명을추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63481A (ko) 파일 변환을 이용한 폰트 미지원 데이터 복구 방법 및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
KR10107216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장문메시지 첨부방법
KR100983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820548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메신저 기능 구현 방법
KR20070005774A (ko) 발신자 식별 정보 표시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5133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회신 장치 및 방법
KR100810282B1 (ko) 메시지 예약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9066944A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of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