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596B1 -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596B1
KR100420596B1 KR10-2001-0074407A KR20010074407A KR100420596B1 KR 100420596 B1 KR100420596 B1 KR 100420596B1 KR 20010074407 A KR20010074407 A KR 20010074407A KR 100420596 B1 KR100420596 B1 KR 10042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data
terminal
mobile phone
fo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320A (ko
Inventor
김연
Original Assignee
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95717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205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준 filed Critical 한재준
Priority to KR10-2001-007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5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글자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의 목적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글자체(font)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 새로운 글자체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글자체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첫째로, 내장되어 있는 글자체 데이터를 다른 이동 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단말기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글자체가 정해지면, 이것을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의 모델에 상관없은 표준 포맷으로 변경하는 절차와 이것을 문자메시지 전송 프로토콜(IS-637 및 그 호환 프로토콜)이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그 예로 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는 글자체 데이터를 새로 생성 편집하거나 기존의 글자체를 편집하는 기능을 가진 폰트 에디터를 내장할 수도 있다.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가 글자체를 편집할 수 있는 폰트 에디터를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폰트 에디터는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으로 사용자가 쉽게 글자체를 편집할 수 있다.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글자체의 크기는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기 때문에 이 폰트 에디터는 글자체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로, 특정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서 글자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체크하여 글자체 데이터를 식별하는 절차와 식별된 글자체 데이터를 각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절차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절차와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반영하는 절차를 가진다.
(4) 발명의 효과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가 내장된 글자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새로운 글자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A handheld mobile phone device with font data transmission and receiving function}
기존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는 메뉴나 문자 메시지 기능 등에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서 고유한 글자체를 가지고 있고 이를 위한 글자체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글자체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폰 제조사가 제공하는 글자체 데이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최근 들어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기술이 발달하고 디스플레이 기술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에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다양한 글자체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는 내장되어 있는 글자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았고 또한 글자체를 사용자가 편집하는기능도 제공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는 내장된 글자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없고 또한 내장된 글자체 데이터를 편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글자체 데이터를 다른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로 전송하고 수신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글자체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자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글자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것을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문자 메시지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이다.
도 1는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첫째로, 내장되어 있는 글자체 데이터를 다른 이동 전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단말기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글자체가 정해지면, 이것을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의 모델에 상관없은 표준 포맷으로 변경하는 절차와 이것을 문자메시지 전송 프로토콜(IS-637 및 그 호환 프로토콜)이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그 예로 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는 글자체 데이터를 새로 생성 편집하거나 기존의 글자체를 편집하는 기능을 가진 폰트 에디터를 내장할 수도 있다.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가 글자체를 편집할 수 있는 폰트 에디터를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폰트 에디터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으로 사용자가 쉽게 글자체를 편집할 수 있다.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글자체의 크기는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기 때문에 이 폰트 에디터는 글자체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로, 특정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서 글자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체크하여 글자체 데이터를 식별하는 절차와 식별된 글자체 데이터를 각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절차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절차와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반영하는 절차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등,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 및 전화번호 편집, 메일 송수신 등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110)는 LCS(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상태 정보 및 사용 모드에 따른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부(14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다운컨버팅(DOWN CONVERTING) 및 필터링(FILTERING)하여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변조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업컨버팅(UP CONVERTING) 및 필터링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메모리(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글자체(font)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요청하고 다운로드 받아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글자체를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이 메모리에 내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본 발명에 따라서 글자체(font) 데이터를 서비스 수신해서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하는 것에 관한 개략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이동 전화 달말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글자체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체 데이터를 다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필요할 경우 이를 새로이 생성하고 편집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자는 각 단말기간에 글자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새로 생성하고 편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글자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데이터 전송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이 더욱 발전할 경우, 현재의 PC를 통한 통신을 능가하는 화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메시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Claims (6)

  1. (정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 및 전화번호 편집, 메일 송수신 등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단말기의 상태 정보 및 사용 모드에 따른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다운컨버팅(DOWN CONVERTING) 및 필터링(FILTERING)하여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변조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업컨버팅(UP CONVERTING) 및 필터링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RF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글자체(font)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요청하고 다운로드 받아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글자체를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글자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신된 데이터 중에서 글자체 데이터를 식별하고 이것을 메모리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반영하며, 수신된 글자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선택할 수 있는 절차 및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
  2. 삭제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수신된 글자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메모리공간을 가지는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
  4. (정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 및 전화번호 편집, 메일 송수신 등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받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단말기의 상태 정보 및 사용 모드에 따른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다운컨버팅(DOWN CONVERTING) 및 필터링(FILTERING)하여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변조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업컨버팅(UP CONVERTING) 및 필터링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RF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글자체(font)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요청하고 다운로드 받아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글자체를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글자체 데이터를 전송하고, 지정된 글자체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폰트 에디터를 내장한 것을 특지응로 하는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
  5. 삭제
  6. (정정) 제5항에 있어서, 새로운 글자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폰트 에디터를 내장한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
KR10-2001-0074407A 2001-11-27 2001-11-27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KR10042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07A KR100420596B1 (ko) 2001-11-27 2001-11-27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07A KR100420596B1 (ko) 2001-11-27 2001-11-27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320A KR20030043320A (ko) 2003-06-02
KR100420596B1 true KR100420596B1 (ko) 2004-03-09

Family

ID=2957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407A KR100420596B1 (ko) 2001-11-27 2001-11-27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27B1 (ko) * 2002-12-06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의 폰트를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문자의 폰트 변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51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말기의 다중 폰트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0846734B1 (ko) * 2006-11-08 2008-07-16 (주)에스엔씨소프트 폰트 코덱이 결합된 문자메시지, 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728A (ko) * 1999-07-02 2001-02-05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문자 폰트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56886A (ja) * 1999-11-24 2001-06-08 Nec Corp 無線携帯端末
KR20010095496A (ko) * 2000-04-10 2001-11-07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 방법
KR20010110374A (ko) * 2001-11-06 2001-12-13 김연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를 위한 글자체 데이터 다운로드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728A (ko) * 1999-07-02 2001-02-05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문자 폰트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56886A (ja) * 1999-11-24 2001-06-08 Nec Corp 無線携帯端末
KR20010095496A (ko) * 2000-04-10 2001-11-07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 방법
KR20010110374A (ko) * 2001-11-06 2001-12-13 김연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를 위한 글자체 데이터 다운로드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227B1 (ko) * 2002-12-06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의 폰트를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문자의 폰트 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320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6027C2 (ru) Персонализац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EP1215867B1 (en) Emoticon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8346297B2 (en) Multi-tap keyboard user interface
JPH1056666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のメッセージのメニュー駆動入力方法
CN1086080C (zh) 在具有短消息业务功能的数字移动通信终端中发送短消息的方法
CN112154640B (zh) 一种消息的播放方法及终端
GB2348082A (en) Communication terminal handling messages including graphics
WO2007008050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flashcon in a instant messenger of a mobile device
KR10034248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KR20040105032A (ko) 휴대폰의 원격 기능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0596B1 (ko)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00059275A (ko)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이미지 문자정보의 송수신방법
KR100532075B1 (ko)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를 위한 글자체 데이터 다운로드서비스 방법
KR1003386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
KR20020013108A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의 그래픽메시지 전송방법
JP5726562B2 (ja) 通信端末、送信プログラム、送信方法、メールシステムおよび送信/受信方法
KR100395321B1 (ko) 이동통신단말기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문장편집 방법
KR20030037949A (ko) 글자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이동 전화 단말기
KR20010092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07804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처리 방법
KR200200902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명함 서비스 방법
KR100566267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형태에 따른 착신음 발생방법
JP2006304181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機能設定方法、機能設定システム
KR20070049702A (ko) 특수 효과가 적용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212

Effective date: 201509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000319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212

Effective date: 2015092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103

Effective date: 2016061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300001406;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713

Effective date: 2016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