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318B1 - 특성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특성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318B1
KR100652318B1 KR1020047006247A KR20047006247A KR100652318B1 KR 100652318 B1 KR100652318 B1 KR 100652318B1 KR 1020047006247 A KR1020047006247 A KR 1020047006247A KR 20047006247 A KR20047006247 A KR 20047006247A KR 100652318 B1 KR100652318 B1 KR 100652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ing
characteristic
correction
image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8127A (ko
Inventor
아사다료지
다케우치아키히로
우스이아키라
사카모토요시타카
기모토다카유키
아케야마다모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용 촬상신호를 취급하는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콘트라스트 등의 표시 상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각종 특성의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장치(1)와 촬상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장치(2)와, 기록장치(2)로부터 얻어지는 기록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3)와, 재생장치(3)로부터 얻어지는 재생신호의 특성을 전환하는 특성변환장치(7)와, 특성변환장치(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5)를 구비한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으로서, 촬상장치(6)가 대개 2종류의 감마커브특성을 갖고, 상기 감마커브특성 데이터를 기록장치로 기록하고, 재생장치(3)로 추출하고, 그 데이터에 따라 특성변환장치(7)로 재생화상의 감마커브특성을 전환하여 표시장치(5)에 출력한다.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 감마커브특성, 특성변환장치, 표시장치, 재생장치

Description

특성보정장치{CHARACTERISTIC CORRECTING DEVICE}
본 발명은 촬상신호의 특성을 보정하는 특성보정장치, 촬상 ·재생시스템, 특성보정방법, 그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텔레비전방송 등에 사용되는 신호(이하, 비디오신호라 함)를 사용하여 기록, 재생하는 시스템을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에서 101은 촬상장치, 102는 기록장치, 103은 재생장치, 105는 표시장치이다. 촬상장치(101)는 일반적으로는 텔레비전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라고 불리는 것이며, 비디오신호를 출력한다. 기록장치(102)는 촬상장치(101)의 출력신호를 기록하는 VTR(Video Tape Recorder) 또는 디스크 레코더이고, 재생장치(103)는 기록장치(102)에서 기록된 기록매체의 정보에 따라 신호를 재생한다. 표시장치(105)는 재생장치(10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표시시킨다. 또, 표시장치(105)는 촬상장치(101)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최근 HD(High Definition) 방송기기의 진전에 의해 영화를 전자화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즉, 필름에 기록하기 위한 영상신호(이하, 필름신호라 함)를 비디오테이프 등에 기록하는 전자 시네마 시스템 등으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101)에는 필름신호와 비디오신호의 양쪽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해 촬상장치(101)에서는 촬상한 영상이 필름신호로서 출력되기 위한 변환이 이루어져 있다.
이하 종래의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시스템구성에서, 통상의 텔레비전방송 등에 사용되는 비디오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촬상장치(101)는 HD 방식이라면 1080/60i(i : 인터레이스, 이하 i라고 표시) 또는 720/60p(p : 프로그레시브, 이하 p라고 표시)의 포맷의 촬상신호를 출력한다. 촬상신호(101)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기록장치(102), 재생장치(103) 및 표시장치(105)도 촬상장치(101)의 촬상신호의 포맷에 맞는 방식에 대응하고 있다. 필드주파수는 주사방식(i 또는 p)에 의한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60Hz로 고정되어 있다.
또, 감마특성에 관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방송 카메라용 감마커브)가 사용된다. 도 12에서 입력광량 100%라는 것은 촬상장치(101)의 출력신호의 레벨로서 100 IRE(0.7VPP)(출력신호레벨에 대해서는 0.7VPP를 100%로 하여 100 IRE라고 표기함)의 값이 나오는 입력광량이다.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는 이와 같이 사양이 정해져 있다(방송카메라의 규격 : ITU-R BT709). 또, 피부색의 레벨이 60 내지 70 IRE가 되도록 촬상장치(101)의 구경조정이 행해진다. 도 13의 (a)는 이러한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를 사용한 촬상장치(101)의 출력을 방송카메라용 감마커브의 사양에 기초한 CRT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105)로 보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시스템에서 필름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촬상장치(101)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레임주파수가 24Hz(영화의 프레임 주파수)이고, 주사방식은 24P(24 progressively - scanned signal)이다. 또, 필름카메라와 마찬가지로 변속 가능한 촬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프레임 레이트의 촬상신호를 얻는 것이 요구된다. 또, 그 경우는, 그 촬상장치(101)의 출력측의 기록장치(102), 재생장치(103), 표시장치(105)에서도, 그 여러가지 프레임 레이트로의 대응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 특허공개 2002-152569호 공보에서, 종래의 비디오용 촬상장치를 사용하여, 상기의 여러가지 프레임 레이트로 대응하기 위한 처리가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에 의해, 가변 프레임 주파수에 대해서는 처리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촬상장치(101)를 사용하여 필름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는 넓은 동적 범위에서 계조성을 확보하는 것이 촬상장치(101)에 요구된다. 그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을 사용하여 보정하는 대신에,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을 사용하여 동적 범위 내의 모든 신호계조가 거의 선형적으로 변환되는 동작이 최근의 비디오 카메라 레코더 등에 도입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신호는 최종적으로 필름에 기록될 때에 필름의 특성에 맞는 변환표를 통해 필름에 기록된다.
이상과 같이, 비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을 이용하더라도 그 일부를 고침으로써 필름신호를 위한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에서는, 촬상장치(101)가 필름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는 촬상장치(101)가 동적 범위 내의 모든 신호의 계조를 거의 균일하게 확보하는 감마커브특성(도 12의 필름신호용 감마커브를 참조)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디오신호를 출력한 경우에 비해 표시장치(105)에서 재생되는 촬상신호가 전체적으로 어둡고, 콘트라스트가 낮은 화상이 되어 버린다. 예컨대, 입력광 100%에 대하여 출력신호의 레벨은 50∼60 IRE이고, 사람의 얼굴의 피부색의 레벨은 30∼40 IRE로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촬상신호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촬상장치(101)가 필름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라도, 모니터로 확인하기 쉬운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보정장치, 촬상 ·재생시스템, 특성보정방법, 그 프로그램,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발명은, 비디오 신호용과 필름 신호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갖는 시스템에서의 특성보정장치로, 제 1 촬상신호를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정보가 저장된 기억부와,
상기 보정정보와, 제 1 촬상신호의 촬상상태에 관련시켜서 미리 설정된 촬상정보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상기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해 소정의 특성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2 촬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서,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표시한 경우보다도 상기 제 2 촬상신호를 표시한 경우 쪽이 선명한 화 상이 얻어질 정도로, 상기 제 1 촬상신호에 관련되는 촬상정보에 따라 상기 소정의 특성의 보정이 이루어지는 제 1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3 발명은, 상기 소정의 특성은 촬상장치에서 입사광량과 출력신호의 관계를 결정하는 감마특성인 제 1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1 촬상신호는 필름용 감마특성을 갖는 촬상신호이고, 상기 제 2 촬상신호는 소정의 감마특성을 갖는 촬상신호이며,
상기 소정의 감마특성은 촬상시에 사용되는 임의의 입사광량에서, 상기 필름용 감마특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신호보다 크고, 비디오용 감마특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신호 이하의 신호가 얻어지는 감마특성인 제 1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5 발명은, 상기 보정정보는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상기 제 2 촬상신호에 일 대 일로 대응시켜 보정하기 위한 표 또는 수식인 제 1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6 발명은, 상기 소정의 감마특성의, 그 신호출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는 영역에서, 상기 신호출력에 대한 비트할당이 상기 소정값 이하의 영역에서의 상기 신호출력에 대한 비트할당보다도 많고,
상기 소정값은 상기 비디오용 감마특성에서의 니 포인트(knee point)의 신호출력값 또는 ITU-R BT709 규격에서 100%의 신호출력이 얻어지는 값인 제 4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7 발명은, 상기 소정의 감마특성은 ITU-R BT709 규격에서, 상기 제 1 촬 상신호의 50∼60% 레벨의 신호가 실질상 80% 이상의 레벨의 신호로 보정된 것인, 제 4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8 발명은, 상기 소정의 감마특성은 ITU-R BT709 규격에서,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30∼40% 레벨의 신호가 60∼70% 레벨의 신호로 보정된 것인, 제 4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제 1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10 발명은, 상기 보정정보에는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특성이 다른 복수의 감마특성을 갖는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감마특성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촬상신호가 얻어지는, 제 4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11 발명은,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2 촬상신호와 함께 상기 제 1 촬상신호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12 발명은, 상기 보정은 (1) R, G, B마다, (2) Y, Pb, Pr마다, (3) Y, Pb, Pr 중 Y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4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이다.
제 13 발명은, 촬상되어야 할 대상을 촬상하여 제 1 촬상신호 및 제 1 촬상신호의 촬상상태에 관련시켜서 미리 설정된 촬상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1 촬상신호 및 상기 촬상정보신호가 입력되는 제 1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와,
상기 제 2 촬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촬상 ·재생시스템이다.
제 14 발명은, 촬상신호를 색보정하는 색보정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색보정장치는 상기 특성보정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2 촬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성보정장치에 입력되는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색보정하는, 제 13 발명의 촬상 ·재생시스템이다.
제 15 발명은, 비디오 신호용과 필름 신호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갖는 시스템에서의 특성보정방법으로, 기억부에 저장된 제 1 촬상신호를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정보와, 제 1 촬상신호의 촬상상태에 관련시켜서 미리 설정된 촬상정보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상기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해 소정의 특성을 보정하는 특성보정방법이다.
삭제
제 16 발명은, 제 1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의 상기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상기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해 소정의 특성을 보정하는 보정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표시장치(5)에서의 화상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표시화상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6)가 구비하는 감마커브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특성변환장치(7)의 내부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표시장치(5)에서의 화상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표시화상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10)가 구비하는 복수종류의 필름용 감마커브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촬상장치(10)가 구비하는 복수종류의 필름용 감마커브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표시장치(12)에서의 화상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표시화상도.
도 11은 종래의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비디오용 및 필름용 감마특성의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에서의 표시장치(105)에서의 화상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표시화상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촬상장치의 필름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1
특성으로부터 비디오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2
특성으로 변화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3
특성보정장치의 입출력특성의 특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4
특성보정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5
특성보정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의 다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6, 10 : 촬상장치 2 : 기록장치
3 : 재생장치 4, 7, 11 : 특성변환장치
5, 12 : 표시장치 8 : 감마변환회로
9 : 전환회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촬상 ·재생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1은 각종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장치, 2는 상기 촬상장치의 출 력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장치, 3은 기록장치(2)의 출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4는 재생장치(3)의 출력신호의 특성을 전환하는, 본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의 일례인 특성변환장치, 5는 특성변환장치(4)의 출력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특성변환장치(4)는 촬상장치(1)의 촬상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득상승(gain up)량에 따른 노이즈 저감량을 기억하는 기억부(20)와 노이즈 저감처리를 행하는 보정부(21)를 내부에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구성상의 차이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구성의 특성변환장치(4)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재생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촬상장치(1)는 필름신호 또는 비디오신호로서 각종 촬상신호 S1을 출력한다. 촬상장치(1)가 종래예의 촬상장치(101)와 다른 점은 촬상상태를 나타내는 촬상정보신호 a1을 촬상신호 S1과 동시에 출력하는 점이다. 이러한 촬상정보신호 a1로서는, 예컨대, 이득상승정보를 들 수 있다. 기록장치(2)는 촬상장치(1)로부터의 촬상신호 S1 및 촬상정보신호 a1을 그대로 기록한다. 재생장치(3)는 기록장치(2)로부터의 기록신호 S2를 수신하여 촬상신호 자체를 재생하고, 본 발명의 제 1 촬상신호의 일례인 재생신호 S3을 출력하는 것과 함께, 촬상정보신호 a1을 추출하고, 촬상정보신호 a1에 기초한 컨트롤신호 b1을 특성변환장치(4)로 출력한다.
특성변환장치(4)에서, 보정부(21)는 입력된 컨트롤신호 b1에 기초하여, 기억부(20)에 저장된 노이즈 저감량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재생장치로부터의 재생신호 S3의 특성을 변환하고, 본 발명의 제 2 촬상신호의 일례인 출력신호 S4로서 표시장 치(5)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성변환장치(4)는 컨트롤신호 b1에 포함되는 이득상승정보에 기초하여, 이득상승량에 따른 노이즈 저감처리를 행한다. 표시장치(5)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신호를 충실하게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에서의 화상의 출력예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의 (a)는 촬상장치(1)가 촬상하는 피사체의 화상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매우 어두운 상태의 화상을 나타낸다. 이 피사체를 촬상장치(1)에서 이득상승(예컨대, 36dB 상승)하여 촬상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재생신호를 그대로 표시장치(5)에 표시한 경우의 화상을 도 2의 (b)에 나타낸다. 이득상승에 의해, 화상 전체가 밝아지기 때문에, 피사체를 확인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노이즈도 강조되어, 전체적으로 선명하지 않은 화상이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에서는 촬상상태(이득상승 36dB이라는 촬상정보신호 a1)에 따라 특성변환장치(4)에서 특성을 전환한다. 즉, 특성변환장치(4)에서는, 이득상승의 레벨에 따라 노이즈의 저감량이 선택된다. 그 결과, 표시장치(5)에서는 노이즈 저감이 최적화된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저감처리는 특히 정지 화상이라면 필드의 가산 등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처리로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에 의하면, 촬상장치(1)에서 촬상된 신호가 촬상정보신호 a1에 따라 특성변환장치(4)에 의해 그 특성이 변환되어 표시장치(5)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어떠한 촬상상태에서도 표시장치(5)에서 비교적 최적의 상태로 표시하는 것, 또는 화상확인을 하는 것이 가능 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 촬상정보신호 a1은 이득상승 이외의 정보여도 되고, 세부처리의 이득, 주파수 등에 관한 정보여도 되고, 그 경우에도 이들의 촬상정보신호 a1에 따라 노이즈의 저감이 이루어지면,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경우는 특성변환장치(4)의 기억부(20)에는 각 촬상정보신호 a1에 대응한 노이즈저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 특성변환장치(4)에서, 노이즈의 저감 이외의 처리가 촬상정보신호 a1에 따라 이루어져도 된다. 그 경우는 특성변환장치(4)의 기억부(20)에는 각 촬상정보신호 a1에 대응한 각 처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 촬상정보신호 a1은 촬상장치(1)로부터 출력되지 않더라도, 기록장치(2)에서 기록된 촬상신호로부터 재생장치(3)가 촬상상태(예컨대, 노이즈의 양 등)를 추출하여 촬상정보신호 a1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제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촬상기록데이터를 특성변환장치(4)로부터 얻어지는 신호로 치환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고화질, 고성능의 촬상기록신호로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6은 각종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장치, 2는 촬상장치(6)의 출력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장치, 3은 기록장치(2)의 출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7은 재생장치(3)의 출력신호의 특성을 변환하는, 본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의 일례인 특성변환장치, 5는 특성변환장치(7)의 출력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특성변환장치(7)의 내부에는 감마변환회로(8)와, 전환회로(9)를 갖고 있다(도 5 참조). 감마변환회로(8)는 입력된 신호의 감마커브특성을 변환하기 위한 회로이고, 전환회로(9)는 컨트롤신호 b1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것인지 감마변환회로(8)를 경유하여 출력시킬 것인지를 전환하기 위한 회로이다. 제 2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촬상장치(6)가 필름용과 비디오용의 대략 두종류로 분류되는 감마커브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점과, 특성변환장치(7)가 모든 감마커브특성을 대개 한 종류의 감마커브특성으로 변환하는 감마특성변환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그 밖의 구성요소의 장치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재생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4,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는 촬상장치(6)가 구비하는 대략 2종류의 감마커브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4의 상방에 위치하는 커브는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이고, 하방에 위치하는 커브는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이다.
도 5는 특성변환장치(7)의 내부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8은 감마변환회로, 9는 전환회로이다. 감마변환회로(8)는 내부에 기억부(30) 및 보정부(31)를 구비한다. 기억부(30)에는 촬상정보신호 a1에 따라 감마커브특성을 변환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보정부(31)는 기억부(30)에 저장되어 있는 감마커브특성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감마특성을 변환한다.
촬상장치(6)가 그 촬상신호 S1로서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인 경우, 다양한 피사체가 촬상된 입력신호는 도 4에 나타내는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에 기초하여 변환되고, 비디오신호로서 촬상장치(6)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 촬상신호 S1과 함께 촬상정보신호 a1로서 감마정보가 출력된다. 이 때의 감마정보에는 촬상장치(6)가 각종 감마커브특성 중의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으로 분류되는 감마커브특성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촬상장치(6)가 필름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인 경우, 촬상된 입력신호는 도 4에 나타내는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에 기초하여 변환되고, 촬상신호 S1은 필름신호로서 촬상장치(6)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 촬상신호 S1과 함께 촬상정보신호 a1로서 감마정보가 출력된다. 이 때의 감마정보에는 촬상장치(6)가 각종 감마커브특성 중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으로 분류되는 감마커브특성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재생장치(3)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록신호 S2가 입력되고, 본 발명의 제 1 촬상신호의 일례인 재생신호 S3을 출력하는 것과 함께, 기록신호 S2로부터 추출한 감마정보를 컨트롤신호 b1로서 특성변환장치(7)에 출력한다. 특성변환장치(7)에서, 컨트롤신호 b1에 포함되는 정보가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을 나타내고 있을 때, 전환회로(9)는 입력된 재생신호 S3이 감마변환회로(8)를 경유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되는 경로를 선택하고, 컨트롤신호 b1에 포함되는 정보가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을 나타내고 있을 때, 스위치회로(9)는 입력된 재생신 호 S3이 감마변환회로(8)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경로를 선택한다.
감마변환회로(8)는 도 4에 나타내는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이 대개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에 가까운 변환특성을 갖는다. 즉, 특성변환장치(7)에 입력되는 재생신호 S3이 비디오신호이거나 필름신호이더라도 특성변환장치(7)는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을 갖는 신호(즉, 비디오신호)로서, 재생신호 S3을 그대로, 또는 변환하여, 본 발명의 제 2 촬상신호의 일례인 출력신호 S4로서 표시장치(5)에 출력한다. 촬상장치(1)로부터 출력된 촬상신호가 비디오신호이건 필름신호이건 표시장치(5)에서는 비디오신호의 계조로 촬상신호가 재현된다. 도 6의 (a), (b)는 표시장치(5)에서의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필름신호 출력모드에서 촬상한 것을 감마변환회로(8)를 통과시키지 않고 표시시킨 경우의 표시장치(5)의 화면을 나타낸다. 이 화면은 종래기술에서의 화면(도 13의 (b))과 동일하고, 전체적으로 콘트라스트가 낮은 표시화상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을 사용한 경우는 필름신호 출력모드에서 촬상된 신호라도, 비디오신호로서 촬상된 것과 동일한 특성으로 감마변환되기 때문에,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장치(1)를 비디오신호용과 필름신호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특히 필름신호를 표시할 때에 문제가 되는 콘트라스트가 낮은 화상을 감마변환으로 거의 비디오용 감마특성으로 변환함으로써, 통상의 비디오신호용 모니터에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어 화상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또한, 촬상 ·재생시스템 전체도 비디오신호용으로서, 또 필름신호용으로서 겸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촬상 ·재생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10은 각종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장치, 2는 촬상장치(10)의 출력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장치, 3은 기록장치(2)의 출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11은 재생장치(3)의 출력신호의 특성을 변환하는 특성변환장치, 12는 특성변환장치(11)의 출력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제 3 실시예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과 크게 다른 점은 표시장치(12)가 감마데이터를 표시하는 점이고, 그 밖의 구성요소의 장치에 대해서는 동일하며, 그 동작도 동일한 동작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8, 도 9, 도 10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복수종류의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8은 대략 기본이 되는 필름용 감마커브특성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6
1을 기준으로 전체의 톤을 바꾼 특성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7
1-1,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8
1-2 등을 나타내고, 도 9는 기본특성
Figure 112004017419987-pct00009
1로부터, 고휘도부의 재현범위를 바꾼
Figure 112004017419987-pct00010
1-3,
Figure 112004017419987-pct00011
1-4 등을 나타낸다. 이 특성변화에 의해, 촬상,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최종필름으로 변환되었을 때에, 미묘하게 그 계조 및 색조의 재현특성이 변한다. 필름신호모드에서의 촬상의 경우는, 그 예술성때문에 각 장면 또는 커트마다 촬상특성(감마커브특성 등)을 빈번히 바꾸는 경우가 많고, 편집, 필름으로의 기록 에서도 그 영상을 확인하면서, 그 특성에 따른 처리, 대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촬상 장면 또는 커트마다의 감마커브특성 데이터는 작품제작을 위한 편집, 필름기록처리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된다.
본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에 의하면, 이 감마커브특성 데이터(도 7의 c1)를 특성변환장치(11)로부터 각 출력화상에 있던 타이밍으로 표시장치(12)로 출력하고, 표시장치(12)에서 그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의 표시예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의 (a1)은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
Figure 112004027098969-pct00012
1-1로 촬상된 신호가 특성변환장치(11)에서 감마변환되지 않은 경우의 표시를 나타내고, 도 10의 (a2)는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
Figure 112004027098969-pct00013
1-2로 촬상된 신호가 특성변환장치(11)에서 감마변환되지 않은 경우의 표시를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들 촬상신호가 특성변환장치(11)에서 감마변환되고, 비디오신호모드에서 촬상된 것과 동일한 특성으로 감마변환되기 때문에, 도 10의 (c), (d)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콘트라스트가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촬상장치(10)에서의 촬상시의 감마특성을 나타내는 문자가 동시에 표시장치(12)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필름신호를 표시할 때에 문제가 되는 낮은 콘트라스트인 화상을 감마변환으로 비디오신호의 감마커브특성에 가까운 특성으로 변환함으로써, 통상의 비디오용 모니터로 표시할 수 있어, 양호한 표시, 확인을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촬상시의 감마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필름의 편집, 처리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도 4에 나타내는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은 입력광량이 100%일 때의 출력신호레벨이 100 IRE에 대응한다. 입력광량이 100%를 초과하는 영역에서는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의 경사는 서서히 0에 가까워진다. 또, 출력신호레벨이 100 IRE를 초과하는 영역에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위 니 처리(knee processing)에 의해 입력광량 600% 정도까지 그래프의 경사를 작게 하고, 입력광량에 대한 신호출력레벨의 변화를 압축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0부터 109 IRE까지의 출력신호레벨에서 균등하게 비트가 할당되어 있으면, 출력신호가 100 IRE를 초과하는 영역에서는 입력광량의 동적 범위가 크더라도 상대적으로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적어진다. 즉, 입력광이 비디오신호를 촬상할 때의 5배 이상의 광이 입력되더라도, 분해능력이 거의 재현되지 않고, 백색부분의 계조가 평탄하게 되어(소위 백색채도(white saturation)가 되어) 계조가 거의 재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력신호레벨이 100IRE를 넘는 영역, 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 포인트(knee point)를 넘는 영역에서는 비트할당을 다른 영역보다도 많게 해 둔다. 즉, 입력광량이 100%가 초과하는 영역에서 입력광량이 변화하더라도, 그 변화가 출력신호에 반영될 정도로 비트할당을 많게 하면 된다.
또, 0부터 109 IRE까지의 출력신호레벨에서 균등하게 비트가 할당되어 있더라도, 기록장치(2) 이후 또는 기록재생장치(42) 이후에 처리되는 비트수를 촬상장치(1, 6, 41)에서 처리되는 비트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특성변환장치(7, 11) 또는 감마특성 보정장치(43)에서의 처리비트수를 촬상 장치(1, 6, 41)에서 처리되는 비트수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문자정보는 표시장치(12)에 직접 입력하는 것은 아니고, 재생장치(3)에서 검출한 후, 특성변환장치에서 미리 화상에 혼합해 두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제 3 실시예에서는 필름용 감마특성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마찬가지로 비디오용 감마특성을 화상제작하기 위해 여러가지로 바꾸었을 때에도, 그 감마값을 표시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4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41은 촬상장치, 42는 기록재생장치, 43은 본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의 일례인 감마특성 보정장치, 44는 제 2 기록재생장치, 45는 (색보정) ·표시장치, 46은 기억장치, 47은 외부제어 컴퓨터, 48, 49는 입력경로 선택장치이다.
도 14에서, 촬상장치(41)는 소위 텔레비전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라고 불리는 것이며, 통상의 영화촬영용으로 설정된 필름제작 목적의 종래보다 넓은 동적 범위를 갖는 감마특성을 가진 신호(필름신호)를 출력한다. 이 필름신호를 기록재생장치(42)를 개재한 후, 또는 촬상장치(41)의 출력을 그대로 감마특성 보정장치(43)에 공급한다. 입력경로 선택장치(48)는 입력경로 선택장치(48)에 의해 입력신호를 선택하고, 필름신호를 각종 변형예를 갖는 비디오신호로 변환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출력표시의 종류마다 보정값을 기억할 수 있는 기억장치(46)를 갖고 있다. 또, 외부제어기기인 외부제어 컴퓨터(47)와도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표시마다의 최 적 감마특성보정값 또는 특수효과를 갖게 하기 위한 감마를 정하기 위한 실험검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표시장치(45)의 개별적인 편차에 의한 보정값을 실험검증하여 간단히 좁힐 수 있다. 감마특성 보정장치(43)는 특수효과를 노린 경우를 제외하면, 입력경로 선택장치(48)에서 선택된 신호를 통상의 경우는 촬상장치(41)의 비트처리수 이상의 비트수로 신호처리한다.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상세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서, 31은 SDI(Serial Digital Interface)(Y, Pb, Pr)로부터 R, G, B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장치, 32는 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감마특성보정용 보정장치, 33은 R, G, B로부터 SDI(Y, Pb, Pr)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장치, 35는 R, G, B 각 색의 계조표시장치, 36은 CPU, 336은 비휘발성 기억장치, 37은 외부제어단자 IO I/F(이 경우는 RS 232C, 물론 IEEE1394나 USB도 가능).
도 17에서, 입력신호는 통상은 R, G, B나 Y, Pb, Pr의 형태로 공급되지만 SDI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Y, Pb, Pr의 경우를 기재하고 있다.
이 신호는 R, G, B 변환장치(31)에서 R, G, B로 변환된다.
단, RGB로 입출력되는 경우는 변환장치(31)와 변환장치(33)는 불필요하다.
변환장치(31)의 출력신호 R, G, B는 감마특성 보정장치(32)에 의해 감마특성의 보정이 행해진다. 그 보정정보는 비휘발성 기억장치(336)에 의해 복수개의 감마보정표가 각 촬상정보신호 a1에 일 대 일로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고, 그 중 하나의 표가 촬상정보신호 a1에 따라 CPU(36)에 의해 인출된다. 그리고, 각 색계조 표시장치(35)에서 각 색계조마다의 보정정보로 변환되고, 감마특성 보정장치(32)에서 R, G, B마다 감마특성의 보정처리가 가해진다.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휘발성 메모리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전원을 오프하면 그 메모리내용은 리세트된다. 물론 이 부분을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최종설정을 기억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마특성 보정장치(32)의 출력은 변환장치(33)에 의해 SDI(Y, Pb, Pr)로 변환되어 후단에 공급된다. 외부 제어단자 IO I/F(37)는 외부 제어컴퓨터(47)에 접속하는 것이며, 외부 제어컴퓨터(47)로부터 얻어진 정보는 비휘발성 기억장치(336)에 기억된다.
감마특성 보정표는 표시장치(5, 12, 45)의 편차나 특수효과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최적의 표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을 행하여 최적의 보정표가 효율적으로 작성되어 있다.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내는 예와의 차이는 신호가 Y, Pb, Pr의 신호 그대로 처리되어 있는 점이다. 또 이 예의 전개로서 Y, Pb, Pr 중 Y신호에만 감마보정을 가하는 간이적인 방법으로도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촬상 ·재생시스템에서,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출력이 그대로 (색보정) ·표시장치(45)에서 재생되는 경우와, 그 상태를 기록재생장치(44)로 기록하여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출력측에서 비디오영상용으로 색보정되는 경우가 있다. 색보정된 신호는 이와 같이 하여 입력경로 선택장치(49)에 의해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출력인지, 기록재생장치(44)의 출력경로의 신호 중 어느 쪽인지가 선택되어, (색보정) ·표시장치(45)에 공급되어 영상재현된다. 또, 기록 재생장치(44)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색보정) ·표시장치(45)에서 색보정되는 경우도 물론 있다. (색보정) ·표시장치로서는 DLP 시네마용 등에 사용되는 것이 사용되고, 또 입력경로 선택장치(49)의 선택신호는 어느 하나의 경로로 색보정이 가해진 후, 방송용으로서 사용된다.
또, 색보정은 기록재생장치(44)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동적 범위가 넓은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입력측에서, 색보정장치(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도 19 참조). 일반적으로 색보정은 감마보정된 후가 아니면 레벨에 따라 색이 바뀌므로 어렵지만, 본 실시예의 촬상 ·재생시스템에 의하면, 높은 콘트라스트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색보정을 할 수 있으므로, 동적 범위가 넓은, 감마특성 보정장치의 입력측의 신호를 색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보다 정밀도가 높은 색보정을 할 수 있다.
또, 감마특성 보정장치(43)는 촬상장치(41), 기록재생장치(42, 44) 또는 (색보정) ·표시장치(45)에 내장되는 경우도 있고, 그 경우는 시스템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 비휘발성 기억장치(336)에 기억되는 것은 표가 아니고 수식이어도 된다. 그 경우는 비휘발성 기억장치(336)의 기억용량이 작아진다.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추천보정특성에 대해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보정) ·표시장치(45)가 CRT 디스플레이의 경우,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출력값에서의 보정값이 0∼70 IRE의 영역에서는 경사가 2∼2.5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70 IRE 이상의 영역에서는 서서히 경사의 증가가 감쇠하고, 109 IRE 에서 경사가 1에 가까워지는 특성이다. 도 16은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입출력특성에서 보정값이 가해지지 않을 때를 경사 1(45도)의 직선으로 하고, 보정이 가해질 때의 변화를 변환특성예로서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신호를 감마변환하는 경우의 감마커브특성과 감마변환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경사에 약 2배의 차가 있다. 상세하게는, 감마특성 보정장치(43)의 출력이 70 IRE 부근까지는 직선에 비해 2 내지 2.6배의 경사가 되고, 70 IRE를 초과하는 부근부터는 서서히 감소하여, 109 IRE 부근에서 경사 1로 되돌아가는 커브가 된다. 경사의 변이는 감마커브특성에서의 니 포인트를 어느 부분에 설정할 것인지, 또는 마스터
Figure 112004017419987-pct00014
의 중심값(통상은 CRT가 2.2이므로 그 역수인 0.45이지만, 0.3 내지 0.65와 같이 가변할 수 있다)의 설정에 따라 최적값이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니 포인트도 40 IRE로부터 상방에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정값의 경사는 1에서 시작하여 3.8 부근까지 변화한다.
또, 모든 실시예에서, 촬상상태를 재생장치로 검출하여, 그것에 따라 특성보정장치의 특성을 전환하도록 하고 있지만, 검출을 없애고, 수동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모든 실시예에서, 특성보정장치는 브라운관 이외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등 다른 각 표시장치의 감마특성에 따라 비디오용 및 필름용의 경우에 각각 맞는 특성변환을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모든 실시예에서, 특성보정장치를 각 재생장치 또는 각 표시장치에 내장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모든 실시예에서, 각 촬상장치, 각 기록장치, 각 재생장치는 카메라 레코더 등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일체화된 것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촬상장치가 통상의 비디오용 감마커브로서 복수의 감마커브인
Figure 112004017419987-pct00015
1-1,
Figure 112004017419987-pct00016
1-2,
Figure 112004017419987-pct00017
1-3···과, 필름용 감마커브로서 복수의 감마커브인
Figure 112004017419987-pct00018
2-1,
Figure 112004017419987-pct00019
2-2,
Figure 112004017419987-pct00020
2-3···의 대략 2종류로 분류되는 복수의 감마커브를 갖고, 이러한 복수의 감마커브를 식별하는 정보를 감마정보로 해도 된다. 그 경우, 특성변환장치(7)는 입력된 감마정보가
Figure 112004017419987-pct00021
1의 종류일 때는 그대로의 상태로,
Figure 112004017419987-pct00022
2의 종류일 때는
Figure 112004017419987-pct00023
1의 종류와 마찬가지의 특성이 되도록 재생신호 S3의 감마커브특성을 변환해도 된다. 그와 같은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2 실시예∼제 4 실시예까지의 설명에서, 재생신호 S3의 감마특성을, 필름신호용 감마커브특성으로부터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으로 변환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필름용 감마특성으로부터 비디오신호용 감마커브특성 사이의 특성으로 변환해도 된다. 이 경우, 일례로서 얼굴의 피부색(입력광량이 30∼40%에 상당)을 60∼70 IRE의 출력신호레벨로 변환하는 특성이 바람직하다. 또, 50∼60%의 입력광량을 80 IRE 정도 이상으로 변환하는 특성도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경우라도 콘트라스트가 상승되므로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상까지의 설명에서, 각 특성변환장치에 입력되는 것은 각 재생장치로부터의 출력이라고 하였지만, 각 기록장치로부터의 출력이어도 되고, 각 촬상장치로부터의 출력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촬상신호는 기록신호 S2일 수 있 고, 촬상신호 S1일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술한 본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또는, 장치, 소자 등)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특성보정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또는, 장치, 소자 등)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이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또한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와 협동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일부 수단(또는, 장치, 소자 등)」은 그들의 복수의 수단 중 하나 또는 몇 개의 수단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상기 「일부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는 그들의 복수의 단계 중 하나 또는 몇 개의 단계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수단(또는, 장치, 소자 등)의 기능」은 상기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상기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의 동작」은 상기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 동작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형태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형태는, 전송매체 내를 전송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며,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데이터구조로서는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포맷, 데이터 표, 데이터 리스트, 데이터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또, 기록매체로서는 ROM 등이 포함되고, 전송매체로서는 인터넷 등의 전송매체, 광·전파·음파 등이 포함된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컴퓨터는 CPU 등의 순수한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펌웨어나, OS, 또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되고,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의 상태 정보에 따라, 특성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어떠한 촬상상태라도 비교적 최적의 상태에서의 표시, 또는 화상확인이 가능한 것과 함께, 고화질, 고성능의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추가하여, 촬상장치를 비디오용과 필름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특히 필름용 촬상신호를 표시할 때에 문제가 되는 콘트라스트가 낮은 화상을 감마변환으로 비디오용 감마커브특성에 가까운 특성으로 변환함으로써 통상의 비디오용 모니터로 표시할 수 있어, 양호한 표시, 확인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도 비디오용, 필름용으로 겸용할 수 있고, 소위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을 현재의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어, 저렴한 필름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추가로, 촬상시의 감마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비디오용에서는 물론, 특히 필름용 편집, 처리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효율이 좋고, 편집, 화상제작에 최적인 필름 또는 비디오용 촬상신호 기록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촬상장치가 필름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라도 모니터로 확인하기 쉬운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특성보정장치, 촬상·재생시스템, 특성보정방법, 그 프로그램,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비디오 신호용과 필름 신호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갖는 시스템에서의 특성보정장치로,
    제 1 촬상신호를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정보가 저장된 기억부와,
    상기 보정정보와, 제 1 촬상신호의 촬상상태에 관련시켜서 미리 설정된 촬상정보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상기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해 소정의 특성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 특성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촬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서,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표시한 경우보다도 상기 제 2 촬상신호를 표시한 경우 쪽이 선명한 화상이 얻어질 정도로, 상기 제 1 촬상신호에 관련되는 촬상정보에 따라 상기 소정 특성의 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특성은 촬상장치에서 입사광량과 출력신호의 관계를 결정하는 감마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촬상신호는 필름용 감마특성을 갖는 촬상신호이고, 상기 제 2 촬 상신호는 소정의 감마특성을 갖는 촬상신호이며,
    상기 소정의 감마특성은 촬상시에 사용되는 임의의 입사광량에서, 상기 필름용의 감마특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신호보다 크고, 비디오용의 감마특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신호 이하의 신호가 얻어지는 감마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정보는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상기 제 2 촬상신호에 일 대 일로 대응시켜 보정하기 위한 표 또는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감마특성의, 그 신호출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는 영역에서, 상기 신호출력에 대한 비트할당이 상기 소정값 이하의 영역에서의 상기 신호출력에 대한 비트할당보다도 많고,
    상기 소정값은 상기 비디오용 감마특성에서의, 니 포인트(knee point)의 신호출력값 또는 ITU-R BT709 규격에서 100%의 신호출력이 얻어지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감마특성은 ITU-R BT709 규격에서,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50∼60% 레벨의 신호가 실질상 80% 이상의 레벨의 신호로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감마특성은 ITU-R BT709 규격에서,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30∼40% 레벨의 신호가 60∼70% 레벨의 신호로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정보에는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특성이 다른 복수의 감마특성을 갖는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감마특성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촬상신호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촬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2 촬상신호와 함께 상기 제 1 촬 상신호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은 (1) R, G, B마다, (2) Y, Pb, Pr마다, (3) Y, Pb, Pr 중의 Y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보정장치.
  13. 촬상되어야 할 대상을 촬상하여 제 1 촬상신호 및 제 1 촬상신호의 촬상상태에 관련시켜서 미리 설정된 촬상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1 촬상신호 및 상기 촬상정보신호가 입력되는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특성보정장치와,
    상기 제 2 촬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촬상·재생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촬상신호를 색보정하는 색보정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색보정장치는 상기 특성보정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2 촬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성보정장치에 입력되는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색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촬상·재생시스템.
  15. 비디오 신호용과 필름 신호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갖는 시스템에서의 특성보정방법으로,
    기억부에 저장된 제 1 촬상신호를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정보와, 제 1 촬상신호의 촬상상태에 관련시켜서 미리 설정된 촬상정보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상기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해 소정의 특성을 보정하는 특성보정방법.
  16. 삭제
  17.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성보정장치의 상기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상기 제 1 촬상신호를 상기 제 2 촬상신호로 보정하기 위해 소정의 특성을 보정하는 보정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47006247A 2002-06-26 2003-06-24 특성보정장치 KR100652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85764 2002-06-26
JPJP-P-2002-00185764 2002-06-26
JPJP-P-2002-00292163 2002-10-04
JP2002292163 2002-10-04
PCT/JP2003/007951 WO2004004328A1 (ja) 2002-06-26 2003-06-24 特性補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127A KR20040068127A (ko) 2004-07-30
KR100652318B1 true KR100652318B1 (ko) 2006-11-30

Family

ID=3000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247A KR100652318B1 (ko) 2002-06-26 2003-06-24 특성보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3295B2 (ko)
EP (1) EP1441518B1 (ko)
JP (1) JP4260746B2 (ko)
KR (1) KR100652318B1 (ko)
CN (1) CN1311683C (ko)
WO (1) WO2004004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967A (ja) * 2005-07-13 2007-02-01 Fujifilm Holdings Corp 撮影装置
KR101244912B1 (ko) * 2006-05-29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감마 보정 장치 및 방법
US8274526B2 (en) 2006-12-14 2012-09-25 Thomson Licen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isual gamma correction of displays
JP4363468B2 (ja) * 2007-07-12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並びに映像信号処理プログラム
ES2391601T3 (es) 2007-12-20 2012-11-28 Dsm Fine Chemicals Austria Nfg Gmbh & Co Kg Formación de ésteres de nitrato en microreactores y milireactores usando una extracción de producto continua en un régimen de flujo turbulento
US8279351B2 (en) * 2008-10-27 2012-10-02 Rgb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rdware-efficient continuous gamma curve adjustment
JP5436020B2 (ja) * 2009-04-23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20150055503A (ko) 2013-11-13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디스플레이를 위한 적응적 이미지 보상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21966A (ko) * 2014-08-18 2016-0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및 영상 표시 시스템
JP6624889B2 (ja) * 2015-10-30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7253A2 (en) * 1991-03-31 1992-10-07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verting input video signal to motion picture film image
JP2001298750A (ja) * 2000-04-14 2001-10-2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入力装置、画像入力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4195B2 (ja) 1992-12-28 2002-08-12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395237B2 (ja) 1993-03-26 2003-04-07 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画像読取装置
US5589954A (en) * 1993-05-28 1996-12-31 Ricoh Company, Ltd. γ-correction curve selecting apparatus and a γ-correction curve creating apparatus
JPH09331453A (ja) * 1996-06-13 1997-12-22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100275681B1 (ko) * 1996-08-28 2000-12-15 윤종용 히스토그램 추출에 의한 실 색 보정(rcc) 테이블 변경장치
JP3092522B2 (ja) 1996-09-03 2000-09-25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H10276349A (ja) * 1997-03-27 1998-10-13 Asahi Optical Co Ltd 画像信号補正装置
KR100240070B1 (en) * 1997-07-10 2000-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lor calibration in image system
JP3421568B2 (ja) 1998-03-11 2003-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再生装置
US6594387B1 (en) * 1999-04-30 2003-07-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nhanced color correction
US6727959B2 (en) * 1999-11-22 2004-04-27 Conexant Systems, Inc. System of and method for gamma correction of real-time video
JP2001169143A (ja) 1999-12-10 2001-06-22 Nec Viewtechnology Ltd テレシネ検出による自動ガンマ補正方法及び装置
JP2001203933A (ja) 2000-01-19 2001-07-27 Hitachi Ltd 撮像装置
US7088390B2 (en) * 2000-06-19 2006-08-08 Olympus Optical Co., Ltd. Imaging apparatus in which exposure control is performed to suppress changes in sensitivity due to changes in gradation mode
JP3854101B2 (ja) * 2000-06-22 2006-12-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4192418B2 (ja) * 2000-10-27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661588B2 (ja) 2000-11-07 2005-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ネマ信号作成システム
JP2002152552A (ja) * 2000-11-10 2002-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ンマ補正回路
JP4783985B2 (ja) * 2001-02-28 2011-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映像処理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7253845B2 (en) * 2002-01-22 2007-08-07 Thomson Licensing Color non-uniformity correction for LCOS
JP2003230022A (ja) * 2002-02-01 2003-08-1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006347B2 (ja) * 2002-03-15 2007-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7253A2 (en) * 1991-03-31 1992-10-07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verting input video signal to motion picture film image
JP2001298750A (ja) * 2000-04-14 2001-10-2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入力装置、画像入力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63295B2 (en) 2008-12-09
CN1311683C (zh) 2007-04-18
JPWO2004004328A1 (ja) 2005-11-04
CN1586072A (zh) 2005-02-23
JP4260746B2 (ja) 2009-04-30
EP1441518B1 (en) 2017-01-18
WO2004004328A1 (ja) 2004-01-08
EP1441518A4 (en) 2005-02-16
US20050104987A1 (en) 2005-05-19
EP1441518A1 (en) 2004-07-28
KR20040068127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1773A (en)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combined image signals in order to extend dynamic range
US10896634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057653B1 (en) Apparatus capable of image capturing
US6100928A (en) Digital camera with variable gain to offset exposure error
US20090147018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81685A (ja)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処理システム
JP2009003011A (ja)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3926947B2 (ja) 画像データ形成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処理方法
US6710802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JP2007057599A (ja)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処理システム
KR100652318B1 (ko) 특성보정장치
CN104247398A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50174440A1 (en) Color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US1179814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124671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8970732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90128650A1 (en) Imaging Device
US7466352B2 (en) Gamma correction device i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01024975A (ja) 撮像装置
JP2003348442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US885425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40036116A (ko) 칼라 공간을 이용한 동영상 칼라 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JP7332325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86044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4120337B2 (ja) 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