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625B1 - 논리적인 센서망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논리적인 센서망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625B1
KR100649625B1 KR1020040052062A KR20040052062A KR100649625B1 KR 100649625 B1 KR100649625 B1 KR 100649625B1 KR 1020040052062 A KR1020040052062 A KR 1020040052062A KR 20040052062 A KR20040052062 A KR 20040052062A KR 100649625 B1 KR100649625 B1 KR 10064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ode
node
programmable network
resource
program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800A (ko
Inventor
쿵시앙-충
블라다리오
Original Assignee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시앙-충 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시앙-충 쿵 filed Critical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05000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복수의 모드들과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로 이루어진 센서망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 한 개의 리소스는 감지장치(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주변장치(예를 들어, 저장 또는 기록시스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한 개의 실시예에서는, 망내의 최소한 한 개의 노드가 그 노드에서 이용가능한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와 리소스의 형태 또는 성능을 결정한다. 상기 리소스의 형태 또는 성능에 근거하여, 노드는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연관되며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획득한다.

Description

논리적인 센서망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logical sensor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있는 노드(100)의 대표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는 노드와 리소스(resource)의 망(network)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망을 동작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노드(20, 22)에서 이용자와 연관된 노드(21)에 이르는 정보통신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노드(20, 22)에서 저장노드(40)에 이르는 정보통신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저장노드(40)로부터, 이 실시예에서 이용자와 연관된 노드(21)에 이르는 정보통신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출원은, 참조난에 포함되어 있는, "논리적인 센서망을 위한 방법과 시스 템"이라는 제목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2003년 7월 7일에 제출된 미국 임시특허번호 60/485,544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센서망과 관련되며, 좀 더 자세하게는, 감지, 연산 그리고 네트워킹 기능을 가지는 장치의 망의 자동 프로그래밍에 관한 것이다.
지능센서(intelligent sensor)와 마이크로 센서의 이용가능성은 무선 센서망의 발전을 촉진하게 되었다. 무선 센서망은, 특히 환경감시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상황에서는 사실상 무한대의 응용성을 가지고 있다. 센서망의 응용의 몇 가지 보기는 원격 건강관리, 농업, 환경적응, 건축, 특이 사항이 존재하는 보수유지, 군사감시, 및 의료재난을 포함한다.
종래의 센서망은 여러가지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신뢰성을 주기 위해서, 종래의 센서망은 자주 리던던트(redundant)한 상태로 되어야 했다.
즉, 한 개 이상의 센서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 필요한 정보들이 신뢰성 있게 수집되고 보고되도록 하기 위해서, 많은 양의 센서를 배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었다. 무선 네트워킹의 발달에 따라, 높은 수준의 리던던트 시스템들이 더욱 가능하게 되었으나, 배치하거나 또는 동작시키는데 있어서 비용이 너무 많이 들게 되었다.
게다가, 수집된 정보의 망 라우팅(network routing)은, 대부분의 망구조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모든 노드들이 단일한 홉(single hop)을 통해 모든 다른 노드로 연결되지 않는 어느 망에서는, 반복 메카니즘이 요구된다. 게다가, 노드들이 자주 왕복하는 센서망에서는, 망이 실패에 대처하는 방법이 망의 성능과 신뢰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노드 실패시에 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망들은 무선 주파수 환경이 변화될 때에 연결이 신속하게 변화되며, 노드들의 전원이 예측할 수 없는 방법에 의해 고갈될 수 있는 경우에, 센서망내에서 특히, 요구된다.
복수의 카메라를 센서로서 이용하는 카메라 감시 시스템과 같은, 종래의 센서망에서는,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단 카메라의 위치가 침입자에게 노출되면, 감시 시스템의 효과성은 없어지게 된다. 게다가, 카메라를 이동시키면 시스템 재구성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무선기술을 통해 센서의 모두 또는 일부가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지는 센서 시스템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게다가, 많은 응용분야에서는, 센서가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거나 또는 위험한 위치내에 배치되므로, 많은 또는 모든 센서들은, 대부분 관리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군사상황을 감시하는데 이용되는 망내의 센서들은 적대적인 상대의 지역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위험한 화학물질의 레벨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센서들은 위험한 화학물질의 위험수준을 가지는 지역내에 배치될 수 있다. 최소한 이러한 이유때문에, 프로그램 가능하고, 융통성이 있으며, 스스로 구성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센서망을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센서 데이터는 센서의 물리적인 위치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센서의 공간좌표를 결정하는 일은 중요하다. 사실, 현재까지 많은 노력들이 로컬라이제이션 기술(localization techniques)을 완성하는 데에 기울여졌다. 비용, 크기, 또는 전력 그리고 조준선(line of sight)에 대한 제한은 GPS와 같은 글로벌 위치측정 기술의 사용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 경우에,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센서망은 예를 들어, 망 자체내에 센서의 사용을 포함하는 다른 로컬라이제이션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센서망은, 그것들이 일반적으로 희망하는 응용분야에서 매우 전문화된 소프트웨어 그리고/또는 구성예측(configuration expectation)을 가지고 배치된다는 제한 조건의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망들은, 대부분 동일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공유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가정의 안전, 가정의 안전감시, 아이들의 감시 및 노인들의 보호를 위해 설치된다. 동일한 응용분야에서도, 센서와 그들의 기능의 향상은 자주 비용이 많이 드는 시스템 재구성과 소프트웨어 변경을 요구하게 된다.
필요한 것은, 동일한 센서망이 가능하다면 여러가지 응용분야를 지원하고,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시스템의 변경과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과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상기 망은 새로운 센서와 장치들의 자동적인 구성을 포함시키고 구성하는 것을 지원하게 된다. 추가로 필요한 것은, 새로운 형태와 독립적인 리소스에 의해 센서응용 프로그래머가 센서망을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센서망 프로그래밍 환경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resource)로 구성되는 센서망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 이다. 여기에서, 한 개의 리소스는 , 감지장치(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주변기기(예를 들어, 저장 또는 기록시스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망내의 최소한 한 개의 노드가 그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한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와 그 리소스의 형태를 판단한다. 리소스의 형태에 근거하여, 노드는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연관시킨다. 상기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노드는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처리기가,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처리기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형태에 근거하여, 리소스의 형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을 상기 처리기와 연관시키는 연관단계와,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판단되어 제공된 명령들을 획득하는 획득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기이다.
대표적인 망
본 발명에 따르는 센서망은 복수의 노드들과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으로 구성된다. 리소스는 , 마이크로폰, 개스 검출기, 광검출기, 이동 검출기, 듣기 장치, 울트라사운드 장치, 또는 온도측정계와 같은 센서, 또는 오디오, 비데오 또는 영상의 저장, 표시,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해 이용되는 장치와 같은 주변기기가 될 수 있다. 리소스는 노드내에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그 노드와 연관되어 있다. 노드내에 내장되어 있는 리소스는 그 노드의 물리적인 범위내에 물리적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그 노드에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 노드와 연관된 리소스는 그 노드로부터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무선 전자통신을 통해서 그 노드와 통신하거나 또는 그 노드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노드(100)의 대표적인 보기이다. 대표적인 노드(100)는, 예를 들어 처리기(110), 메모리(12), 망 인터페이스(130)와 센서 인터페이스(140)로 구성된다. 노드(100)는 예를 들어, 표준 전원, 태양전원, 또는 전지가 되는 전원(도시 안됨)을 포함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노드(100)는 노드(100)내에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버스(bus)가 될 수 있는 통신링크(160)를 통해 그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150)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즉, 노드(100)는 노드(100)로부터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예를 들어 무선통신이 될 수 있는 통신링크(16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센서(15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는, 한 개 이상의 노드가 마이크로-제어기-급(micro-controller-class) 노드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급 노드내의 처리기(110)는, 예를 들어 ARM 회사에 의해 판매되는 ARM7 처리기와 같은 64MHz, 32 비트 처리기 또는 다른 비슷한 종류의 처리기를 포함한다. 메모리(120)는, RAM, 플래시 메모리, 또는 RAM과 플래시의 결합이 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노드(100), 망 프로토콜 스택, 망 라우팅 프로토콜을 동작시키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리소스들을 동작시키는 다른 소프트웨어 또는 구동기들을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120)는 응용코드와 같이 망에 의해서 사용되는 다른 소프트웨어, 또는 망내에서 리소스들을 발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노드들은 버클리 소재의 캘리포니아 대학에 의해 개발된 "모트(mote)"와 같은 더 작고, 저전력의 노드가 될 수 있다. UCB 모트는 매우 작은 컴퓨터이며, 단지 밀리미터에서 수 센티미터의 크기를 가지며, 그것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모트(mote)는 약 1밀리미터 * 2밀리미터의 크기이며, 128Kb의 플래시 메모리를 가지는 8비트 처리기, 4Kb 시스템 RAM, 수십 미터의 RF범위를 가지는 FSK라디오와 같은, 통신장치와, 저전력 전원 및 특히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모트(mote)는 사건-구동(event-driven) 다중판독(multireading) 운영 시스템이 되는, 작은 OS와, UCB에 의해서 개발된 NesC, C와 같은 언어로 기재된 응용들을 운영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에서는, 한 개 이상의 노드가, 모트보다 더 작고, UCB에서 개발된 다른 스마트 노드인 Smart Dust가 된다.
노드(100)의 다른 적합한 보기는, 시스트로닉스에서 제공하는 JStamp이다. JStamp는 32미트 제어기, 2Mb 메모리와 전력이 적게 들면서도 연산적인 면에서는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순수 실행 J'avaR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1 * 2인치로 된 물리적으로 작은 장치이다. 소프트웨어는 Java에서 개발되어 노드상으로 로드된다.
노드(100)내의 망 인터페이스(130)는 망의 다른 노드와 리소스와 통신하기 위한 어떤 이용가능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서는, 노드의 일부 또는 모두가 물리층 표준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uetooth RF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장치들은 Bluetooth 기술과 호환되는 무선 주파수 칩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센서망내의 노드들은, 예를 들어,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SMA), IEEE802.11과 같은 매체-억세스 제어(MAC) 프로토콜 또는 그와 동등한 것을 이용하여, 물리층 상부의 또 다른 층들과 통신할 수 있다.
센서 인터페이스(140)는, 센서(150)가 처리기(110)와/또는 메모리(120)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어느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센서(150)가 노드(100)에 물리적으로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다면, 센서 인터페이스(140)는 표준버스와 그의 프로토콜이 된다. 그러나, 센서(150)가 노드(100)로부터 멀리 위치해 있다면, 센서 인터페이스(140)는 무선 인터페이스와 그 프로토콜이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센서 인터페이스(140)가 아나로그-디지털 변환기와/도는 다중화기를 포함한다.
컴퓨터 기술에 종사하는 사람은 다른 적합하고, 더욱 작은 연산장치가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노드(100)는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RFID 판독기 또는 다른 휴대용 연산장치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센서 망은 한 개 이상의 리소스를 가지 는 한 개 이상의 노드를 포함한다. 망내의 노드(100)의 일부 또는 모두는 한 개 이상의 리소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구동기(driver)와 같은 소프트웨어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노드(100)의 일부 또는 모두는 망을 통해 동적으로 각각의 리소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얻을 수가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노드(100)가 근처에서 특별한 리소스와 연관되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검출할 때에, 노드(100)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논리망 동작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센서망은 한 개 이상의 리소스를 가지는 한 개 이상의 노드를 포함한다. 최소한 한 개의 실시예에서는, 모든 노드가 가정, 창고 또는 병원과 같은, 감시되는 영역내에 지리학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망의 이용자들은 이동기 가능하다. 즉, 이용자는 그 영역의 주위를 이동할 수 있다. 망내의 각 노드는 먼저 주위 환경을 파악할 필요가 없으나, 동작중이거나 도는 구동시에 망의 환경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서는, 망내의 노드의 일부 또는 모두는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연관된다. 게다가, 노드의 일부 또는 모두는 연관된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그들의 기능들을 동적으로 구성을 할 수 있다. 논리레벨 프로그래밍을 사용하게 되면, 어느 특정한 장치의 구체적인 물리적 위치를 모르더라도, 카메라, 마이크로폰 또는 이용자와 같은 논리적인 노드 이름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이 기재될 수 있다.
인터넷과 대부분의 데이터망은 IP 어드레스 208.154.23.54와 같은 망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드레스는, 노드의 공간 어드레스 즉, 경도, 위도, 고도 또는 x, y, z 좌표에 대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 어느 실시예에서는, 응답노드의 공간 어드레스를 알 필요가 없다. 그러나, 공간정보가 요구되면, 어느 노드의 공간 어드레스는 기존의 방법들중 어느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는, 한 개 이상의 노드들이 예를 들어, GPS 장치와 같은, 공간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 어느 특정한 노드가 GPS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노드는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 다른 노드들과 통신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보기는, 본 발명에 기재된 노드와 리소스들의 망을 도시하고 있는 도 2를 참조하면서 기술될 것이다. 도 2는, 예를 들어, 전자적으로 감시되는 가정, 병원 또는 창고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보기에서는, 노드(20, 21, 22, 23, 24)가 마이크로-제어기급 노드이다. 노드(26, 27)는 내장된 리소스를 가지는 모트(mote)이다. 예를 들어 노드(26)는, 내장된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모트이며 노드(27)는 내장된 온도센서를 가지는 모트이다. 노드(40)는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저장노드로서 작용하는 마이크-제어기급이다. 도 2에서, "이용자"는 노드(21)의 부근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망을 동작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한 개 이상의 노드가 구동된다(단계 310). 예를 들어, 한 개 이상의 노드의 구동은 전체적으로 망의 초기 구동시에 또는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 일어난다. 예를 들어, 한 개 이상의 개별적인 노드가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장시간 동안 비구동상태 "슬립(sleep)"상태로 된다. 이러한 노드들은 사건이 검출되면 구동상태가 된다. 몇 개의 실시예에서는, 한 개 이상의 노드가 어느 시간에서 타이머를 사용하여 자신과/또는 다른 노드를 구동시키게 된다. 게다가, 망내의 몇 개의 노드들은 인접한 노드의 그룹을 동기화된 비동작상태로 만드는 "피코넷(piconet)"으로 조직될 수 있다.
구동시에, 노드는 그 노드에서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노드(20)는마이크로폰(50)이 인접한 곳에 있다는 것을 감지하고, 노드(22)는 카메라(51)가 근처에 있다는 것을 감지한다. 노드(21)는 센서를 운반하거나 또는 휴대하는 이용자가 근처에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노드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는 이용자, 노드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이용자 또는 영상인식기술에 의해 이용자를 검출하는 노드에 의해서 이용자가 노드(21)에 등록할 수 있다는 것을 감지한다.
노드는 예를 들어, 그 노드가 통신에 이용가능하다는 통지문을 발송하고 누가 응답하는지를 기다림으로써 그 노드에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노드가 리소스에 의해 전달된 메시지를 단지 청취함으로써 그 노드에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어느 사건에서는, 노드가 리소스를 검출할 때에, 그 노드는, 그 노드자체가 특정한 리소스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30). 예를 들어, 노드(20)는 마이크로폰(50)이 근처에 있고 그것과 통신하기를 희망한다고 결정한다. 그 후에 노드(20)는 그 노드가 마이크로폰(50)과 통 신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가지고 있지 않다면, 노드(20)는 망을 통해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얻게 된다(단계 335). 노드(20)는 예를 들어, 망을 통해 마이크로폰(50)을 위한 구동기 요청을 방송한다. 그 요청에 대해, 노드(20)는 적합한 구동기를 노드(20)가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드레스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얻게 된다. 어느 실시예에서는, 노드(20)가 원거리에서 제어된다. 즉 노드(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는, 노드(20)가 아닌 망위의 어느 곳에 존재할 수 있으나 노드(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노드가 구동되어 그 노드에서 이용가능한 한 개 이상의 리소스를 판단한 후에, 그 노드는 한 개 이상의 다른 노드 또는 전체 망으로 자신의 역할 또는 성능을 전파한다(단계 340). 예를 들어, 노드(21)는 논리적인 노드 이름 "이용자"와 연관되며 자신을 망에 대해 "이용자"로서 공지한다. 이것은 이용자가 노드(21)에 등록되어 있거나 또는 노드(21)가 이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노드(20)는 논리적인 노드 이름 "마이크로폰"과 연관시키며 그 노드가 마이크로폰과 연관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망으로 전달한다.
노드들은, 그 노드의 역할과 정보가 이용가능하다면 또는 이용가능할 때에, 노드가 맡게 될 역할 또는 노드가 수신하고 싶은 정보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연관된다. 예를 들면, 노드(21)는 또한 논리적인 노드 이름 "표시"와 연관시킬 수가 있다. 이것은 그 노드가 표시를 할 수 있으며 그 노드가 이용가능하다면 카메라 또는 비데오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싶다는 것을 나타낸다.
노드가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연관되어 있고, 데이터는 리소스로부터 얻을 수가 있으며(단계 345), 정보형태의 요청이 진행중이라면(단계 350), 노드는 요청노드로 곧 바로 수신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단계 355).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노드(20)는 마이크로폰(50)이 그 노드에서 이용가능하며 논리적인 노드 이름 "마이크로폰"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판단한다. 마이크로폰(50)이 예를 들어 문에서의 두드림과 같은 소리를 검출하게 되면, 이 데이터는 이러한 정보를 요청한 다른 노드들로 분배하기 위해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청각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희망과/또는 사용하는 성능을 나타내는 논리적인 노드 이름 "스피커"를 가지는 다른 노드들이 요청하였다면, 노드(20)는 이러한 정보를 "스피커"라는 논리적인 노드이름과 연관된 노드들로 전송한다. 노드(20)는, 또한 그 노드가, 소리를 요청한 노드들로 전달하기 원하는 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망으로 방송한다.
어느 실시예들에서는, 노드(20)가 예를 들어 이용자가 망에 등록되어 있는 지를 검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정감시 시스템의 망 "이용자"는 가정 감시 시스템내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어느 소리를 통보받기를 원하는 가정의 주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리소스로부터 어떤 데이터도 얻을 수가 없다면, 노드는 단순히 기다리게 된다(단계 347). 데이터가 리소스로부터 얻을 수가 있으나, 데이터의 형태에 대한 진행중인 요청이 없다면, 그 데이터는 저장된다(단계 360).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50)은 문의 두드림을 검출할 수 있으며, 노드(20)는 논리적인 노드 이름 '마이크로폰"과 연관되어지나, 논리적인 노드 이름 "스피커"와 연관된 노드들은 없다. 그리고 논리적인 노드 이름 "이용자"와 연관된 노드들도 없다. 이 경우에, 이러한 데이터 형태가 요청되는 시간까지, 데이터가 노드(40)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집으로 돌아와서 "이용자"로서 망과 연관되면, 이용자는 저장방치로부터 데이터를 회수할 수가 있다.
어느 실시예들에서는, 망내의 노드들이 정보를 제공할 때에 협력하도록 동작으로 프로그램이 된다. 예를 들어, 모드(20)가 마이크로폰의 역할을 맡았다고 망이 검출할 때에, 노드(20)는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동적으로 프로그램이 되어, 소리가 검출되면, 인접한 한 개 이상의 카메라가 대응하는 비데오 또는 정지화를 수집하기 위해서 구동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이 소리를 검출하면, 노드(20)는 논리적인 노드 이름 "카메라"로 등록된 어느 노드가 논리적인 노드 이름 "이용자"를 가지는 노드로 비데오 또는 정지화(still image)를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만약 이 보기와 같이, 노드(22)가 논리적인 노드 이름 "카메라"로 등록되어 있다면, 노드(22)는 노드(21)로 비데오를 전송하게 된다.
도 4는 상술한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 발생하며, 노드(20, 22)에서 이용자와 연관되는 노드(21)에 이르는 정보통신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이용자가 노드(21)와 연관되어 있다면, 노드(20)는 그 소리를 노드(29)로 전달하며, 그 다음에 그 노드는 그 소리를 노드(25)로 전달한다. 그 노드는 그 소리를 노드(27)와 최종적으로 노드(21)로 전달하게 된다. 그 마지막 노드에서 그 소리 는 이용자에게 전달된다. 이와같이, 카메라(51)로부터 수집된 비데오 데이터는 노드(22)로 전달되며, 노드(28, 40, 26)를 통해 노드(21)로 전달된다. 이 보기에서는, 상기 경로들 중의 어느 한 경로내의 노드들중 어느 노드들이 실패하거나 또는 이용가능하지 못하다면, 그 정보는 다른 경로를 통해 노드(21)로 라우팅된다. 애드 혹 망(ad hoc networks)에 대한 종래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이러한 경로를 이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바와같이 도 2에 도시된 보기에서는, 한 개 이상의 리소스가 특정한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연관되어 있다면, 그 망은 그 리소스들중의 어느 것이 응답하기에 가장 적합한 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52)가 작동하고 논리적인 노드 이름 "카메라"와 연관되어 있다면, 두 개의 리소스가 카메라, 노드(22)와 연관된 카메라(51)와 노드(24)와 연관된 카메라(52)로 등록된다. 이 경우에, 노드(20)는 예를 들어 카메라중 어느 카메라가 필요성에 가장 적합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이 된다. 카메라(51)가 필요성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그리고 그 카메라가 더 인접한 곳에 있고, 더 좋은 해상도를 가지고, 더 좋은 각도에 있거나 또는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던지 사건에 관해 이용가능한 정보의 품질을 개선한다면, 노드(20)는 이용자에게 전송된 비데오가 카메라(51)에서 나왔다는 것을 망으로 통지하게 된다.
대부분의 응용분야에서는, "이용자"를 포함하는 노드들중 어느 노드는 이동성이 있다. 이동성 이용자는 예를 들어 노드(21)의 범위로부터 이동하여 노드(26)의 범위내에 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노드가 그 노드에 부착되거 나 또는 이용자에 의해 운반되는 센서와 더 이상 통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노드(21)가, 이용자가 더 이상 그 범위내에 있지 않다고 감지하면, 노드(21)는 이용자와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것을 망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용자가 다른 노드의 범위내로 이동하거나 또는 다른 노드에서 등록하기까지 등록된 이용자가 없게 된다. 즉, 노드(26)는 이용자가 그 범위내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용자가 노드(26)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전파하게 된다. 만약 노드(21)가 이용자와 연락이 안된다고 발표하지 않았다면, 노드가 이용자와 접촉하였다는 것을 전파하는 것은 망으로 하여금 이용자와 노드(21)의 연관성을 삭제하도록 만들게 된다.
이용자 또는 어느 노드를 이용할 수 없는 기간 동안에는,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진행되는 동안 리소스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저장된다. 예를 들어, 노드(20 또는 22)가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어느 이용자도 망내의 한 노드와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판단하면, 노드(20 또는 22)는 그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망에서는, 망내의 한 개 이상의 노드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의 성능을 나타내는 논리적인 노드 이름 "저장"과 이미 연관되어 있다. 그렇다면, 노드(20 또는 22)는 논리적인 노드 이름 "저장"과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노드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어느 실시예에서는, 망 프로토콜에 따라, 노드(20 또는 22)가 저장요청을 전달하고, 수신확인을 대기하며, 그 데이터를 저장위치로 전달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예를 들어, 노드(40)가 논리적인 노드 이름 "저장"과 연관되며/ 또는 그 노드가 저장기능이 있다는 것을 노드(20과/또는 22)로 응답하게 된다. 도 5는 노드(20과 22)로부터 저장노드(40)에 이르는 정보통신의 대표적인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가 저장노드(40)내에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 요청이 나중에 수신되거나 또는 공표되면, 그 데이터는 저장노드(40)로부터 요청자에게 전달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용자는 노드(21)의 범위내에 다시 들어가게 된다. 노드(21)는, (예를 들어 노드가 그것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용자에 의해 운반되는 센서와 통신한다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이용자가 그 노드의 범위에 다시 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망으로 이용자와 연락이 된다는 것을 재방송한다. 저장노드(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드(26)를 통해 정보를 노드(21)로 전송한다.
상기에서는, 망내의 각 노드가 구동시에 연관성을 설정하게 되며, 이것은 망의 초기 구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망 내의 각 노드는 다른 시간에서도 그의 연관성을 재설정 또는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 개 이상의 노드가 그 연관성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여 재방송하게 된다. 최소한 한 개의 실시예에서는, 한 개 이상의 노드가 망의 상태변경 또는 구성시에 그 연관성을 재평가하여 재방송하게 된다. 재방송을 통해, 망내의 노드들은 망에 도달하기 위한 이용가능한 경로를 갱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명세서와 실시예를 통 해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기술된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내에서, 명세서와 보기들은 단지 대표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43)

  1.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로 구성되는 망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형태에 근거하여, 리소스의 형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연관시키는 연관단계와,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판단되어 제공된 명령들을,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다른 망노드 또는 외부입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망동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억세스가능한 논리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망동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리소스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최소한 한 개의 응답을, 상기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형태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온도센서, 오디오 장치, 개스 검출기, 오디오/영상/비데오 레코더 또는 재생기, 저장장치 또는 다른 주변기기중 한 개 이상이 되는 망동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중 최소한 한 개를 실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최소한 상기 명령들중 한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통해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망내의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중 한 개 이상의 망노드에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망내의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중 한 개 이상의 망노드로부터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로 감각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통해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감각적인 입력의 이용가능성을 망내의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는 망내의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중 한 개 이상의 망노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는 이용자로서 연관되며,
    이용자로서 연관되는 망내의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로 상기 감각입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망내에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가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지 않는다면,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적인 입력이 저장된 후에, 망내의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로부터 입력된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감각적인 입력을 요청했던 망내의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14.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로 구성되는 망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한 개 이상의 성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한 개 이상의 성능에 근거하여, 리소스의 형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을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연관시키는 연관단계와,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제어하는 제어단 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억세스 가능하나, 그 망노드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한 개 이상의 명령을 이용하여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리소스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최소한 한 개의 응답을, 상기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형태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온 도센서, 오디오 장치, 개스 검출기, 오디오/영상/비데오 레코더 또는 재생기, 저장장치 또는 다른 주변기기중 한 개 이상이 되는 망동작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중 최소한 한 개를 실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최소한 상기 명령들중 한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통해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망내의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중 한 개 이상의 망노드에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망내의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중 한 개 이상의 망노드로부터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이용가능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로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통해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감각적인 입력의 이용가능성을 망내의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는 망내의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중 한 개 이상의 망노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는 이용자로서 연관되며,
    이용자로서 연관되는 망내의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로 상기 감각입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망내에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가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지 않는다면,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적인 입력이 저장된 후에, 망내의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로부터 입력된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감각적인 입력을 요청했던 망내의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26.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리소스들로 구성되는 망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제 1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가 이용자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망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제 2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제 1의 리소스와 연관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가 상기 제 1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제 1의 명령들을 상기 제 2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의 리소스를 통해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망을 통해 상기 제 1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있는 이용자에게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전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망동작 방법.
  27.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리소스들로 구성되는 망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리소스의 형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함께 한 개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등록시키는 등록단계와,
    제 1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제 1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연관된 어떤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로부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요청단계와,
    제 2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연관된 리소스로부터의 감각적인 입력을, 상기 제 1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연관된 상기 제 2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제 1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로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망동작 방법.
  28. 처리기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처리기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형태에 근거하여, 리소스의 형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을 상기 처리기와 연관시키는 연관단계와,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판단되어 제공된 명령들을 획득하는 획득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기.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은 망노드 또는 외부입력수단으로부터 획득되는 처리기.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또한 상기 처리기에 의해 획득된 명령들을 저장하는 처리기.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형태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온 도센서, 오디오 장치, 개스 검출기, 오디오/영상/비데오 레코더 또는 재생기, 저장장치 또는 다른 주변기기중 한 개 이상이 되는 처리기.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중 최소한 한 개를, 상기 처리기를 통해 실행하는 명령을 추가로 포함하는 처리기.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로 하여금 상기 명령들중 최소한 한 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은,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통해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망내의 한 개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밍노드에 상기 감각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상기 처리기가 실행하도록 하는 처리기.
  34. 제 32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망내의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중 한 개 이상의 망노드로부터 감각적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기.
  35.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처리수단에 의해 실행가능한 한 개 이상의 명령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고,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형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형태에 근거하여, 리소스의 형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연관시키고,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판단되어 제공된 명령들을,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제공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감지수단이 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의 범위내에 물리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의 형태가 판단된 후에,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한 개 이상의 명령세트들중 최소한 한 개의 명령이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39.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처리수단에 의해 실행가능한 한 개 이상의 명령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고,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한 개 이상의 성능을 판단하며,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한 개 이상의 성능에 근거하여, 리소스의 형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연관시키고,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감지수단이 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의 범위내에 물리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42.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의 형태가 판단된 후에,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한 개 이상의 명령세트들중 최소한 한 개의 명령이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43. 네트워크된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와 통신할 수 있으며, 관할영역에 걸쳐 지리학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는,
    최소한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 또는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처리수단에 의해 실행가능한 한 개의 명령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최소한 한 개의 리소스가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고,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의해, 상기 최소한 한 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의 형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형태에 근거하여, 리소스의 형태와 연관된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과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를 연관시키고,
    최소한 한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한 개 이상의 논리적인 노드 이름에 근거하여 판단되어 제공된 명령들을 상기 최소한 한 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망노드에 제공하기 위해서, 메모리내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네트워크된 감지 시스템.
KR1020040052062A 2003-07-07 2004-07-05 논리적인 센서망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 KR100649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554403P 2003-07-07 2003-07-07
US60/485,544 2003-07-07
US10/869,878 2004-06-18
US10/869,878 US9626862B2 (en) 2003-07-07 2004-06-18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logical sensor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800A KR20050005800A (ko) 2005-01-14
KR100649625B1 true KR100649625B1 (ko) 2006-11-24

Family

ID=3864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062A KR100649625B1 (ko) 2003-07-07 2004-07-05 논리적인 센서망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626862B2 (ko)
JP (1) JP4511267B2 (ko)
KR (1) KR100649625B1 (ko)
DE (2) DE102004032902B4 (ko)
MY (1) MY144965A (ko)
TW (1) TWI2773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9914B2 (en) * 2004-03-31 2011-04-19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ote networks using directional antenna techniques
US20050265388A1 (en) * 2004-05-12 2005-12-0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Aggregating mote-associated log data
US20060064402A1 (en) * 2004-07-27 2006-03-23 Jung Edward K Y Using federated mote-associated indexes
US7457834B2 (en) * 2004-07-30 2008-11-25 Searete, Llc Aggregation and retrieval of network sensor data
US9062992B2 (en) * 2004-07-27 2015-06-23 TriPlay Inc. Using mote-associated indexes
US20050256667A1 (en) * 2004-05-12 2005-11-1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Federating mote-associated log data
US8161097B2 (en) * 2004-03-31 2012-04-1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Aggregating mote-associated index data
US8200744B2 (en) * 2004-03-31 2012-06-1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ote-associated index creation
US7366544B2 (en) * 2004-03-31 2008-04-29 Searete, Llc Mote networks having directional antennas
US20050255841A1 (en) * 2004-05-12 2005-11-17 Searete Llc Transmission of mote-associated log data
US7599696B2 (en) 2004-06-25 2009-10-06 Searete, Llc Frequency reuse techniques in mote-appropriate networks
US20050267960A1 (en) * 2004-05-12 2005-12-0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ote-associated log creation
US20060004888A1 (en) * 2004-05-21 2006-01-05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Delaware Using mote-associated logs
US8335814B2 (en) * 2004-03-31 2012-12-1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Transmission of aggregated mote-associated index data
US7389295B2 (en) * 2004-06-25 2008-06-17 Searete Llc Using federated mote-associated logs
US8346846B2 (en) * 2004-05-12 2013-01-01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Transmission of aggregated mote-associated log data
US9261383B2 (en) * 2004-07-30 2016-02-16 Triplay, Inc. Discovery of occurrence-data
WO2005094494A2 (en) * 2004-03-31 2005-10-13 Searete Llc Aggregating mote-associated index data
US7580730B2 (en) * 2004-03-31 2009-08-25 Searete, Llc Mote networks having directional antennas
US20050227686A1 (en) * 2004-03-31 2005-10-13 Jung Edward K Y Federating mote-associated index data
US7941188B2 (en) * 2004-03-31 2011-05-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Occurrence data detection and storage for generalized sensor networks
US20060062252A1 (en) * 2004-06-30 2006-03-23 Jung Edward K Mote appropriate network power reduction techniques
US7536388B2 (en) * 2004-03-31 2009-05-19 Searete, Llc Data storage for distributed sensor networks
US20060079285A1 (en) * 2004-03-31 2006-04-13 Jung Edward K Y Transmission of mote-associated index data
US8275824B2 (en) * 2004-03-31 2012-09-2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Occurrence data detection and storage for mote networks
US7317898B2 (en) 2004-03-31 2008-01-08 Searete Llc Mote networks using directional antenna techniques
US9008055B2 (en) * 2004-04-28 2015-04-14 Kdl Scan Designs Llc Automatic remote services provided by a home relationship between a device and a server
US8972576B2 (en) * 2004-04-28 2015-03-03 Kdl Scan Designs Llc Establishing a home relationship between a wireless device and a server in a wireless network
US7630336B2 (en) * 2004-10-27 2009-12-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vent-based formalism for data management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7298279B1 (en) 2005-05-19 2007-11-20 The Williams Companies, Inc. Open-ended device monitoring system
US20070060098A1 (en) * 2005-08-03 2007-03-15 Innerwireless Radio frequency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with wireless mesh sensor networks
KR100724520B1 (ko) * 2005-09-27 2007-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노드 지원장치, 센서노드 통합개발장치 및 이를 이용한센서 네트워크 개발시스템
WO2008131706A1 (de) * 2007-04-30 2008-11-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Zuordnung von knoten eines funknetzwerkes zu gateways
WO2008135197A1 (en) * 2007-05-03 2008-11-13 Roche Diagnostics Gmbh Improved lysis and reverse transcription for mrna quantification
JP2008304124A (ja) * 2007-06-07 2008-12-18 Toshiba Corp 二酸化炭素濃度測定用センサーシステム
KR101263380B1 (ko) * 2009-11-11 201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논리적인 센서 네트워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066553B1 (ko) * 2010-04-29 2011-09-2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대응을 위한 가상 센서 및 구동체 통합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US8739602B2 (en) * 2010-10-20 2014-06-03 The University Of Vermont And State Agricultural College Portable ultrafine particle sizer (PUPS) apparatus
CN102053865B (zh) * 2011-01-05 2012-11-21 南京大学 一种基于软件主体的环境探知平台系统及其环境探知方法
US8881164B2 (en) * 2011-10-18 2014-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process with utilization reduction
AU2017223188B2 (en) 2016-02-26 2019-09-19 Amazon Technologies, Inc.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397528B2 (en) 2016-02-26 2019-08-27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for secondary devices with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1393108B1 (en) 2016-02-26 2022-07-19 Amazon Technologies, Inc. Neighborhood alert mode for triggering multi-device recording, multi-camera locating, and multi-camera event stitching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841542B2 (en) 2016-02-26 2020-11-17 A9.Com, Inc. Locating a person of interest using shared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9965934B2 (en) 2016-02-26 2018-05-08 Ring Inc.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for parcel theft deterrence
US10489453B2 (en) 2016-02-26 2019-11-26 Amazon Technologies, Inc. Searching shared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748414B2 (en) 2016-02-26 2020-08-18 A9.Com, Inc. Augmenting and sharing data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CN110741419A (zh) 2017-10-02 2020-01-3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传感器装置及气体监视系统
US11006128B2 (en) 2018-02-20 2021-05-11 Arlo Technologies, Inc. Camera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US11206412B2 (en) 2018-02-20 2021-12-21 Netgear, Inc. Band steering for a low power device
US11576127B2 (en) * 2018-02-20 2023-02-07 Netgear, Inc. Mesh-based home securit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044A (en) 1995-01-19 2000-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network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for
US5971597A (en) * 1995-03-29 1999-10-26 Hubbell Corporation Multifunction sensor and network sensor system
GB9720856D0 (en) * 1997-10-01 1997-12-03 Olivetti Telemedia Spa Mobile networking
US6052784A (en) * 1997-10-14 2000-04-18 Intel Corporation Network discovery system and method
US6437692B1 (en) 1998-06-22 2002-08-20 Statsign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mote devices
US6208247B1 (en) * 1998-08-18 2001-03-27 Rockwell Science Center, Llc Wireless integrated sensor network using multiple relayed communications
JP3980768B2 (ja) * 1998-09-02 2007-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協調方法
US6604140B1 (en) * 1999-03-31 2003-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rvice framework for computing devices
US6910068B2 (en) * 1999-06-11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XML-based template language for devices and services
US6735630B1 (en) * 1999-10-06 2004-05-11 Sensoria Corporation Method for collecting data using compact internetworked wireless integrated network sensors (WINS)
JP4240695B2 (ja) 1999-11-12 2009-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器間協調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US6748278B1 (en) * 2000-03-13 2004-06-08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led system with computer-based remote control facilitator
US7734724B2 (en) 2000-09-06 2010-06-08 Xanboo Inc. Automated upload of content based on captured event
JP3826735B2 (ja) 2001-06-11 2006-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システムによる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分散システムを構成する機器
JP2003122710A (ja) 2001-10-10 2003-04-25 Sony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処理サーバ、情報管理サーバ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4518719B2 (ja) 2001-12-10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69472B2 (en) 2002-03-27 2011-06-28 Xerox Corporation Automatic camera steering control and video conferen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32902A1 (de) 2005-02-10
TWI277317B (en) 2007-03-21
MY144965A (en) 2011-11-30
DE102004032902B4 (de) 2007-12-13
KR20050005800A (ko) 2005-01-14
DE102004064012B8 (de) 2009-02-19
US9779619B2 (en) 2017-10-03
US20130222151A1 (en) 2013-08-29
US20130201877A1 (en) 2013-08-08
DE102004064012B4 (de) 2007-12-27
US9747788B2 (en) 2017-08-29
US9626862B2 (en) 2017-04-18
JP4511267B2 (ja) 2010-07-28
TW200507526A (en) 2005-02-16
JP2005045784A (ja) 2005-02-17
US20050021724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625B1 (ko) 논리적인 센서망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
US201302010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logical sensor network
JP4605703B2 (ja) 節電化されたモビリティ対応型システム及び節電方法
US10979853B2 (en) Beacon addressing
JP4335181B2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センサデバイス制御方法
US6347095B1 (en)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use in proximity-based networking
US20140085100A1 (en) Wireless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rodent traps
US20150005024A1 (en) Mobile devic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y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JP7043809B2 (ja) 通信システム
JP2003123177A (ja) 情報処理装置、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951671B2 (ja) センサ管理装置、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24075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상에서 에너지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018956A (ja) 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装置、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及び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07279895A (ja) 監視対象の地理的位置を監視する監視システム
JP2018185632A (ja) 監視対象実体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1013129A (ja) 動き監視システム
JP2011258109A (ja) センシング方法および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7247385B2 (ja) 通信システム、半導体装置、電子機器および通信方法
JP2022056598A (ja) 振動検出装置、振動検出システムおよび振動検出方法
JP2017049909A (ja) データ処理装置、通知方法、データ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rruggia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Issakar Semantic senso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