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614B1 -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614B1
KR100649614B1 KR1020050043453A KR20050043453A KR100649614B1 KR 100649614 B1 KR100649614 B1 KR 100649614B1 KR 1020050043453 A KR1020050043453 A KR 1020050043453A KR 20050043453 A KR20050043453 A KR 20050043453A KR 100649614 B1 KR100649614 B1 KR 100649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rank
coupled
corner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창호
박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노
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7134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496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노, 천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노
Priority to KR102005004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코너를 갖는 싱크대의 내부에 형성된 선반의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선반이 출입토록 하면서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코너 싱크대의 선반은 주부들에게는 불필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어져 있는 것이어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적절한 사용을 위한 수단이 요구되었던 것이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 제안된 것으로는 슬라이딩 인출장치를 이용토록 하여 문이 개폐되면서 동시에 선반이 출입되어지면서 활용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의 단점이 안정성이 결여되었다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안정성을 확보토록 하고 동시에 출입의 용이성은 물론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코너싱크대 선반의 출입

Description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Shelf device of a sink on the corner}
도 1은 본 발명의 선반이 인출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반이 인출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관상태도.
도 5는 하나의 크랭크로 작동되는 상태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반 11 : 받침축
12 : 축홈 13 : 면취부
20 : 제 1 크랭크 21 : 절곡부
22 : 수평부 25 : 가이드축
26 : 탄성수단
30 : 제 1 회전축 40 : 걸림턱
본 발명은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코너를 갖는 싱크대의 내부에 형성된 선반의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코너에 위치된 싱크대의 선반이 출입이 안정성을 갖게 되면서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
현재 코너 싱크대의 선반은 주부들에게는 불필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여져 있으면서도 공간의 활용을 위한 아쉬운 부분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선반의 사용을 위한 수단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수단에 부응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현재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보 1999-13293에서는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링크수단에 의하여 문이 개폐되면서 선반이 거의 직각으로 회전되어지면서 코너에서 선반이 인출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개폐문과의 작동이나 구조가 복잡하다는 것이고, 특히 복잡성으로 인하여 작동에 많은 하자발생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보안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20-214589호 제안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은 그 구성이 스윙레버를 복수의 축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시도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인출시에 또 다른 링크수단에 의하여 유동되어짐으로 작동의 안정성이 결여되어진 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의 안정성과 제작의 용이성은 물론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코너 싱크대의 개폐문의 전단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토록 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크랭크의 일단 을 각각 장착토록 하고 상기 크랭크의 각각의 타단은 선반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축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결합토록 함으로서 안정성과 제작의 용이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개폐문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가지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회전축(30)과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타측에 설치된 제 2 회전축(30a)과 일단이 상기 제 1 회전축(30)에 결합하고 타단은 선반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1 크랭크(20) 및 일단이 상기 제 2 회전축(30a)에 결합하고 타단은 선반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2 크랭크(20a)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의 모서리에는 면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크랭크(20)와 제 2 크랭크(20a)의 회동하는 궤적을 따라서 상기 선반이 회동하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불필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어온 싱크대 코너의 공간을 활용하는 선반의 인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크랭크(20)는 일단이 제 1 회전축(30)에 결합된 절곡부(21)와 상기 절곡부(21)와 직각으로 절곡되고 타단에서 연장되는 수평부(22)와 경사부(23) 및 재수평부(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크랭크(20a)는 일단이 제 1 회전축(30)에 결합된 수평부(22a)와 경사부(23a) 및 재수평부(24a)로 이루어지며, 제 1 크랭크(20)의 재수평부(24)와 제 2 크랭크(20a)의 재수평부(24a)는 선반의 인출 후,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크랭크(20)의 회동은 걸림턱으로 단속되며, 상기 제 2 크랭크(20a)의 회동 또한 걸림턱으로 단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코너 싱크대의 개폐문의 전단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제 1 회전축(30)과 제 2 회전축(30a)을 고정토록 하고 상기 제 1 회전축(30)과 제 2 회전축(30a)에 회전가능하게 제 1 크랭크(20)와 제 2 크랭크(20a)의 일단을 각각 장착토록 하고 상기 제 1 크랭크(20)과 제 2 크랭크(20a)의 각각의 타단은 선반(1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받침축(11)과 제 2 받침축(11a)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제 1 크랭크와 제 2 크랭크의 회전축이나 받침축은 모두 축홈(12)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것이고, 또한 싱크대의 개폐문측에 위치되어지는 일측의 제 1 크랭크(20)의 구조는 코너싱크대에 장착고정되는 부위는 거의 직각의 형태로 절곡되어진 절곡부(21)와 상기 절곡부(21)와 연장되며 수평부(22)와 경사부(23)및 재수평부(24)로 형성되는 것이고, 벽측에 위치되어지는 타측의 제 2 크랭크(20a)는 수평부(22a)와 경사부(23a)와 재수평부(24a)로 형성되는 것이고, 이때 제 1 크랭크(20)의 수평부(22)가 회전축(30)에 거의 수평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제 2 크랭크(20a)의 수평부(22a)는 회전축(30a)에 수직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각도는 선반이 인출될 경우에 장방형의 선반이 직각으로 회전되면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고, 들어갈 때에는 직각으로 접여지면서 들어가게 되는 것이며 또한 들어간 상태에서는 절곡부(21)에 의하여 코너 싱크대의 내측에 위치되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절곡부에 의하여 선반이 싱크대의 밖으로 빠져나오면 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은 2개의 대응되는 제 1 크랭크과 제 2 크랭크와 각각 결합된 제 1 받침축(11)과 제 2 받침축(11a)에 의하여 정확하게 받쳐지게 됨으로 선반(10)의 유동이 발생되어지지 않게 됨으로 안정적인 출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 1 크랭크(20)와 제 2 크랭크(20a)의 작동은 회전반경의 양단으로 각각 걸림턱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선반이 출입되어질 경우에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직각으로 이동은 그 이동범위에서 걸려지는 부분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반의 모서리 부분과 같이 선반의 회동시 수납공간의 벽면과 맞닿는 위치에 면취부(13)를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삭제
따라서 인출될 경우에 제 1 크랭크와 제 2 크랭크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선반을 받쳐주게 되므로 선반은 안정성을 갖게 되는 것이고, 또한 선반을 받쳐주게 되는 제 1 크랭크와 제 2 크랭크가 서로 다른 각도에서 작동되어짐으로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이 제 1 크랭크와 제 2 크랭크에 의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짐으로 제작 또한 용이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개폐문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가지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에 인접한 일면에 설치된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고 타단은 선반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크랭크 및 상기 선반의 하부면에서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크랭크와 회동가능하도록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의 모서리에는 면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가 회동하는 궤적을 따라서 상기 선반이 회동하며 인출되며 상기 가이드축이 일정 각도 내에서 선반의 회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2 개의 크랭크로 실시되고 있으나 하나의 크랭크로 형성할 경우에는 선반의 자유로운 유동을 단속하기 위하여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축(25)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선반의 자유로운 유동을 방지하면서 크랭크의 궤도를 따라 선반이 싱크대에서 출입되어지는 것이고 이때 크랭크는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진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와 거의 직각으로 연장된 짧은 수평부와 상기 짧은 수평부에서 예각으로 경사진 긴 경사부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긴 경사부의 선단으로는 가이드 축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과 긴 경사부 사이에는 탄성수단(26)이 삽입설치되어 어느정도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축과 크랭크가 이루는 각도는 선반의 수납시 90 도 이고, 선반의 인출시 180 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 축의 선단으로는 선반과의 회전가능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수단은 다양한 회전가능하고 안정적인 공지의 수단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 축은 가능하면 직각에서 예각으로 치우치게 됨으로서 선반의 출입이 직각으로 굴곡지면서 출입되어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탄성수단은 가이드 축의 자연적인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선반이 회전될 경우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너 싱크대의 선반이 크랭크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굴곡되어지는 궤도를 이루게 됨으로 선반의 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선반이 가이드 축이나 2개의 크랭크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받쳐주게 됨으로 작동의 안정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개폐문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가지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회전축(30);과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타측에 설치된 제 2 회전축(30a);과
    일단이 상기 제 1 회전축(30)에 결합하고, 타단은 선반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1 크랭크(20); 및
    일단이 상기 제 2 회전축(30a)에 결합하고, 타단은 선반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2 크랭크(20a);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의 모서리에는 면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크랭크(20)와 제 2 크랭크(20a)의 회동하는 궤적을 따라서 상기 선반이 회동하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랭크(20)는 일단이 제 1 회전축(30)에 결합된 절곡부(21)와 상기 절곡부(21)와 직각으로 절곡되고 타단에서 연장되는 수평부(22)와 경사부(23) 및 재수평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크랭크(20a)는 일단이 제 2 회전축(30a)에 결합된 수평부(22a)와 경사부(23a) 및 재수평부(24a)로 이루어지고,
    제 1 크랭크(20)의 재수평부(24)와 제 2 크랭크(20a)의 재수평부(24a)는 선반의 인출 후,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랭크(20)의 회동은 걸림턱으로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크랭크(20a)의 회동은 걸림턱으로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6. 개폐문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가지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에 있어서,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에 인접한 일면에 설치된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고, 타단은 선반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크랭크; 및
    상기 선반의 하부면에서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크랭크와 회동가능하도록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의 모서리에는 면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가 회동하는 궤적을 따라서 상기 선반이 회동하며 인출되며, 상기 가이드축이 일정 각도 내에서 선반의 회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절곡부와 짧은 수평부 및 긴 경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벌어진 각도는 직각에서 예각으로 치우침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과 긴 경사부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가이드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KR1020050043453A 2005-05-24 2005-05-24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KR10064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453A KR100649614B1 (ko) 2005-05-24 2005-05-24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453A KR100649614B1 (ko) 2005-05-24 2005-05-24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20U Division KR200406559Y1 (ko) 2005-10-18 2005-10-18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614B1 true KR100649614B1 (ko) 2006-11-27

Family

ID=3771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453A KR100649614B1 (ko) 2005-05-24 2005-05-24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6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320A (ja) * 1991-11-27 1993-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隅用収納装置
KR200276774Y1 (ko) 2002-02-15 2002-05-27 주식회사 맥시멈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KR200288889Y1 (ko) 2002-06-12 2002-09-11 김일현 싱크대용 수납선반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320A (ja) * 1991-11-27 1993-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隅用収納装置
KR200276774Y1 (ko) 2002-02-15 2002-05-27 주식회사 맥시멈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KR200288889Y1 (ko) 2002-06-12 2002-09-11 김일현 싱크대용 수납선반 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61738A1 (zh) 运动机构、面板机构及家用电器
CN106461312A (zh) 冰箱
CN207420280U (zh) 锁扣结构、门系统及窗系统
KR100649614B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CN209359835U (zh) 一种可变容积家庭药箱
JP6892453B2 (ja) 衣類処理装置
KR200406559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
US20080122330A1 (en) Cabinet with guiding assembly
JP4982415B2 (ja) 電気洗濯機
KR101603592B1 (ko) 냉장고 홈바용 댐핑장치
KR200442585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의 선반 체결구조
KR102264375B1 (ko)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KR100828608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의 개폐어셈블리
CN206683064U (zh) 空调室内机和空调
US7360849B2 (en) Lava-brick
CN207750369U (zh) 电子产品及其面板180°翻转结构
JP5451732B2 (ja) 遊技機
KR200288889Y1 (ko) 싱크대용 수납선반 인출장치
JP4320459B2 (ja) 縦型遊技機の開閉連結装置
JPH066539Y2 (ja) 扉の開閉機構
CN208325919U (zh) 一种包装盒
CN219241713U (zh) 一种旋转折叠门及钢柜
CN221091801U (zh) 一种收纳盒
KR200403193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CN209410804U (zh) 票箱以及应用该票箱的自助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222

Effective date: 201011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000044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222

Effective date: 201011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