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93Y1 -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93Y1
KR200403193Y1 KR20-2005-0026167U KR20050026167U KR200403193Y1 KR 200403193 Y1 KR200403193 Y1 KR 200403193Y1 KR 20050026167 U KR20050026167 U KR 20050026167U KR 200403193 Y1 KR200403193 Y1 KR 200403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ink
corner
present
shelf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권 전
Original Assignee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7041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319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명진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6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의 코너에 'ㄱ'자상으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코너 싱크대의 수납장 내부 사각 공간에 설치된 선반을 2축 지지(two axes pivot)상태로 가설하여 선반 전면적을 수납장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하여 사각 공간에 위치하는 선반에 수납된 그릇 등의 주방도구를 간편하게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A revolving withdraw device for shelves of sink cabinet}
본 고안은 주방의 코너에 'ㄱ'자상으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코너 싱크대의 수납장 내부 사각 공간에 설치된 선반을 회동시켜 외부로 인출하여 사각 공간에 위치하는 선반에 수납된 그릇 등의 주방도구를 간편하게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선반을 2축지지(two axes pivot)상태로 가설하여 선반 전면적을 수납장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를 가정의 주방에 설치할 경우 대부분 벽면을 따라 배치하여 설치하고 있으며, 이 경우 벽면의 양측 코너에 싱크대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대체로 |자상의 싱크대가 서로 중첩되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필연적이다.
상기의 경우 싱크대를 일측 벽면 코너에 붙여 설치를 한 후 다른 싱크대를 먼저 설치된 싱크대의 일면과 접하도록 하면서 다른 벽면에 설치하여 'ㄱ'자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바, 이와 같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코너에 붙여 설치되는 싱크대를 제작할 때 다른 싱크대와 접하는 면은 도어가 필요치 않게 되므로 서로 교차하여 접하는 부분은 폐쇄되고, 일측 개방 측에만 도어를 장착하게 됨으로써 접하는 면측의 싱크대 내부 공간은 사각화되어 싱크대의 수납공간의 활용에 크게 제한을 받게 되는 결함이 있다.
또한, 사각 공간 내에 선반 등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선반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선반에 그릇 등의 주방용구를 수납함에 있어 사용자는 일면의 도어를 개방한 후 몸을 구부려 팔이나 몸의 상체를 상기 싱크대 안쪽으로 넣은 후 주방용구를 수납하여야하는 불편이 뒤따르고 싱크대 안쪽에 수납된 주방도구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도 싱크대 도어쪽의 선반에 수납된 주방도구들을 모두 꺼낸 후 안쪽의 사용하고자 하는 주방도구를 찾아 꺼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어 코너싱크대의 수납장의 이용이나 사용에 많은 불편과 번거로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편과 번거러움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번호 제 97-26549호와, 출원번호 제 99-2957호로 슬라이딩 인출방식이 제안한 바 있으나, 이들은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작동하는 복잡한 링크방식이어서 제작이 많은 비용과 노고를 요구하는 한편, 도어에 설치된 측방후레임부와, 싱크대 내벽에 설치된 후방후레임부 사이의 슬라이딩 이송수단이 소정 형상을 갖는 루프(loop)식 구조물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도어의 개폐시 슬라이딩 동작이 보다 부드럽고 유연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선반을 간단한 2축 지지방식으로 선반을 가설하여 선반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회동시켜 선반 전면적(全面積)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사각진 코너 싱크대의 수납장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게 하여 싱크대의 코너 수납장의 수납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선반 회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선반을 도어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종래 방식을 탈피하여 2개의 축으로 지지된 선반체를 외부로 인출하는 작동에 의하여 2축 지지에 의하여 2중으로 회동하여 인출 또는 수납되게 하여 선반체의 작동을 누구나 적은 힘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선반 회동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선반체를 2개의 축에 연결간을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요인이 적어 내구성을 향상하고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선반 회동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너 싱크대의 상판과 지판 사이에 가설되는 제1주축과 도어측 측판에 가설되는 복수의 제2지축과; 제1지축과 제2지축에 연설되는 제1, 제2 연결간과; 제1 및 제2 연결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선반체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의 정면에서 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싱크대(100)의 수납장 전방 중간 위치의 코너장(101)의 상판(102)의 직하방과 지판(103) 사이에 제1 주축(10)을 기립시켜 입설하고, 도어개방측 측판(104)에는 브라켓(21)과 핀(22)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2 지축(20)을 착설한다.
상기한 측판(104)에 착설된 제2 지축(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주축(10)의 소정위치에는 베어링(11)을 개입한 받침대(12)를 후술하는 선반체(40)의 매수에 따라 상,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착설하고, 받침대(12)의 상부에는 상, 하측의 제1 연결간(13) 일측단의 보스(14)를 회동 가능하게 축설하여 재치하고, 연결간(13)의 타측단(15)에는 선반체(40)의 저면에 고정 돌설한 회전축(41)을 각각 축착하여 와샤(42)로 회동하게 결합시키는 한편, 중간부에는 선반체(40)의 저면을 받쳐 보강하는 볼(16)을 스프링(17)으로 탄설한 지지구(18)를 착설하여 선반체(40)가 회동시 선반체(40)의 저면이 볼(16)과 접촉하여 지지되면서 원활하게 활주하여 회동하게 하여 준다.
또한, 제2 지축(20)의 브라켓(21)에는 각각 제2 연결간(22)의 일단부(22a)가 핀(23)으로 회동하게 축착되어 와샤(24)로 결합되고, 제2 연결간(22)의 타단부(22b)는 제1 연결간(13)과 동일하게 선반체(40)의 소정 위치의 저면에 고정 돌설된 회전축(43)과 축 결합하여 와샤(44)로 회동하고, 중간부에는 선반체(40)의 저면을 받쳐 보강하는 볼(25)을 스프링(26)으로 탄설한 지지구(27)를 착설하여 선반체(40)가 회동시 선반체(40)의 저면이 볼(25)과 접촉하여 지지되면서 원활하게 활주하여 회동하게 하여 준다.
한편, 제1 주축(10)과 제2 지축(20)에 의하여 2중으로 회동하면서 인출되는 2축 피봇 상태의 선반체(40)는 회동시 가급적 싱크대(100)의 코너장(101)의 내측면과 충돌하는 등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8"자형으로 구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선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상태에서는 선반체(40)가 상하 2단으로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반체(40가 1단 또는 다단으로 설치되어도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도면 중 200,201은 제1 주축 상하 고정용 브라켓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싱크대(100)의 코너장(101)의 도어(도시 생략)를 개방하고 필요한 선반체(40)을 인출하고자 할 때,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반체(40)의 전방 난간(40a)을 잡고 외측 전방으로 당기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축(10) 및 제2 지축(20)의 제1, 제2 연결간(13),(22)는 미동하는 상태로 인출방향으로 작동하면서 선반체(40)는 저면의 회전축(41),(43)를 중심으로 연동하는 상태로 제2 연결간(22)측의 부분이 먼저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선반체(40)를 전방으로 더욱 인출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연결간(13),(22)이 회동하여 선반체(40)의 우측부가 전부 인출된 상태가 되면 선반체(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주면 선반체(40)은 제1 연결간(13) 및 제2 연결간(22)의 회동에 의하여 도 7과 같은 상태로 전부 외부로 인출되어 선반체(40)의 인출과정을 종료하게 되는데, 이때 제1 연결간(13)의 후방 반원상의 절곡부(h)에 의하여 코너장(101)의 중앙 지주(105)의 간섭없이 선반체(40)을 도 7과 같은 상태로 전면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한 후 용도가 종료하면 상기와는 반대로 선반체(40)을 먼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후 상기의 역순으로 선반체(40)를 코너장(101)내부로 밀어주면 선반체(40)을 도 4와 같은 원래의 위치로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선반을 간단한 2축 지지방식으로 선반을 가설하여 선반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회동시켜 선반 전면적(全面積)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사각진 코너장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게 하여 싱크대의 코너 수납장의 수납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으며, 선반을 도어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종래 방식에 비하여 2개의 축으로 지지된 선반체를 외부로 인출하는 작동에 의하여 2축 지지에 의하여 2중으로 회동하여 인출 또는 수납되게 하여 선반체의 작동을 누구나 적은 힘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선반체를 2개의 축에 연결간을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요인이 적어 내구성을 향상하고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의 정면에서 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주축 11: 베어링 12: 받침대 13: 제1연결간
14: 보스 15: 타측단 16: 볼 17: 스프링
18: 지지구 20: 제2지축 21: 브라켓 22: 제2연결간
22a: 일단부 22b: 타단부 23: 핀 24: 와샤
25: 볼 26: 스프링 27: 지지구 40: 선반체
41,43: 회전축 42,44: 와샤

Claims (3)

  1. 코너장의 선반체를 인출하는 인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싱크대의 코너장에 가설되는 제1 주축과 도어측 측판에 가설되는 복수의 제2 지축과;
    제1 지축과 제2 지축에 연설되는 제1, 제2 연결간과;
    제1 및 제2 연결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체를 구비하여서 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제2 연결간에는 선반체를 지지하는 볼을 스프링으로 탄설한 지지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주축과 제2 지축에 적어도 1단 이상 복수단으로 선반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KR20-2005-0026167U 2005-09-12 2005-09-12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KR200403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167U KR200403193Y1 (ko) 2005-09-12 2005-09-12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167U KR200403193Y1 (ko) 2005-09-12 2005-09-12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93Y1 true KR200403193Y1 (ko) 2005-12-09

Family

ID=4370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167U KR200403193Y1 (ko) 2005-09-12 2005-09-12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8753C2 (ru) Холодильник (варианты)
EP1894509B1 (en) Built-in domestic appliance with decorative panel applied to the door
US7243396B2 (en) Door hinge
EP1705328A1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a flap door for furniture
CN106461312A (zh) 冰箱
KR200403193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
CN212014998U (zh) 转角飞蝶盆结构
JP5190967B2 (ja) ヒンジ機構
KR200442585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의 선반 체결구조
KR20070000495U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의 선반 체결구조
CN107012644B (zh) 衣物取放口活动式滚筒洗衣机
CN201763096U (zh) 上下翻转式盖板的连接装置
CN108542327B (zh) 一种洗碗机
CN100581415C (zh) 家用器具
JPH074133A (ja) 左右開きの扉構造
CN209404014U (zh) 转动式托盘装置及橱柜
CN109577800B (zh) 门体组件和具有其的家用电器
KR200360525Y1 (ko) 싱크대의 회전 선반용 가이드장치
CN202895198U (zh) 自张开工具盒
WO2018213981A1 (zh) 翻折式洗手盆
CN205689053U (zh) 一种复杂饰面暗门的安装结构
WO2022268160A1 (zh) 制冷器具
JP4060808B2 (ja) 収納家具の扉構造
KR20140002674U (ko) 접이식 도어용 힌지 브래킷
CN210289468U (zh) 一种多角度定位双轴合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128

Effective date: 201007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222

Effective date: 201007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31

Effective date: 201103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