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375B1 -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 Google Patents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375B1
KR102264375B1 KR1020190118857A KR20190118857A KR102264375B1 KR 102264375 B1 KR102264375 B1 KR 102264375B1 KR 1020190118857 A KR1020190118857 A KR 1020190118857A KR 20190118857 A KR20190118857 A KR 20190118857A KR 102264375 B1 KR102264375 B1 KR 102264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lder
door
rotation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639A (ko
Inventor
송성일
김진호
김진영
권용은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3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는,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며, 전방 일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바디프레임, 상기 수납공간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상기 수납공간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거치대, 상기 도어와 연결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유닛 및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유닛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기 설정된 회전 범위에서 상기 회전유닛과 연동되어 전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를 전후 이동시키는 선형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Furniture for Storing Clothes Having Door Interactive Cradle}
본 발명은 의류수납용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수납용 가구에 관한 것이다.
가정, 의류매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의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하는 옷장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옷장은 내부에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수납공간의 상부에는 옷걸이 등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옷장은 옷걸이의 특성 상 의류를 거치대와 수직한 방향으로 수납하게 되며, 따라서 옷장의 전후 방향 길이는 필연적으로 의류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는 옷장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는 원인이 되며, 소정의 실내공간에 다른 가구들과 함께 배치하는 과정에서 조화를 해치고, 공간 활용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옷장은 거치대가 수납공간 내에 깊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의류를 꺼내거나 수납하는 과정에서 상반신을 수납공간 측으로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72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점유하는 부피를 최소화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류수납용 가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는,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며, 전방 일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바디프레임, 상기 수납공간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상기 수납공간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거치대, 상기 도어와 연결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유닛 및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유닛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기 설정된 회전 범위에서 상기 회전유닛과 연동되어 전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를 전후 이동시키는 선형이동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한 쌍이 상기 수납공간의 개구된 전방을 양분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한 쌍의 도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부재가 측 방향을 따라 서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의 외주면 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걸림부에 걸려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1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의 외주면 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형이동유닛은 상기 회전유닛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할 경우 상기 제2걸림부에 걸려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과 함께 상기 선형이동유닛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단위거치부 및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거치부의 후방에 면 접촉되어 상기 제1단위거치부와의 사이에 의류 거치도구가 걸리는 걸림홀을 형성하되, 상기 제1단위거치부에 대해 측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단위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선형이동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선형이동유닛의 전후 이동과 함께 전후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단위거치부 또는 상기 제2단위거치부 중 어느 하나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홀의 형태를 가변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홀에 걸린 의류 거치도구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보조가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가변유닛은 상기 보조가변유닛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단위거치부 또는 상기 제2단위거치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축회전부재를 포함하고, 본 발명은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캠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유닛과 동일한 중심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선형이동유닛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캠 돌기가 상기 축회전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축회전부재를 축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단위거치부 또는 상기 제2단위거치부 중 어느 하나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캠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는,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의류가 거치되어 있는 거치대가 전후 이동되므로, 사용자가 수납공간 측으로 상반신을 굽히지 않고도 의류를 손쉽게 거치시키거나 꺼낼 수 있어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는 도어를 폐쇄시킬 경우 거치대에 걸려 있는 의류가 회전되어 비스듬하게 거치되므로, 의류수납용 가구 자체의 부피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의 내부 구조를 전방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의 내부 구조를 후방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도어와 연동되는 거치대를 구동시키기 위한 일련의 구성요소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에 따라 거치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거치대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보조가변유닛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및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캠유닛, 보조가변유닛 및 거치대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는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며, 전방 일부가 개구된 수납공간(S)이 형성된 바디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프레임(100)은 상단부(102)와 하단부(104) 사이에 수납공간(S)의 개구부가 위치되며, 바디프레임(100)의 상단부(102) 내측에는 이하 서술할 도어연동형 거치대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된다.
또한 바디프레임(100)의 하단부(104)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보조수납서랍(106)이 구비된다. 다만, 바디프레임(100)의 형태는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바디프레임(100)에는, 수납공간(S)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도어(11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110)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 수납공간(S)의 개구된 전방을 양분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도어(110)는 바디프레임(1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바디프레임(110)의 상단부(102) 및 하단부(104) 둘레에는 도어(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각 도어(1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부재(112)가 측 방향을 따라 서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도어(110)가 바디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할 경우 각 단위부재(112)가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되어 도어(110) 잔체에 자연스럽게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도어(110)는 각각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손잡이(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의 내부 구조를 전방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의 내부 구조를 후방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도어(110)와 연동되는 거치대(2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일련의 구성요소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는 바디프레임(100)의 상단부(102) 내측에 구비되는 거치대(210)와, 회전유닛(220)과, 선형이동유닛(310)을 포함한다.
거치대(210)는 수납공간(S)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의류가 걸린 옷걸이(H) 등을 거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대(210)의 보다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회전유닛(220)은 도어(110)와 연결되고, 중심축(230, 24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어(110)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유닛(220)은 원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도어(110)에 대응되도록 거치대(210)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선형이동유닛(310)은 거치대(2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회전유닛(220)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유닛(220)의 기 설정된 회전 범위에서 회전유닛(220)과 연동되어 전후 이동됨에 따라, 거치대(210)를 전후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형이동유닛(310) 역시 회전유닛(220)와 같이 거치대(210)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하나의 선형이동유닛(310)은 하나의 회전유닛과 대응되어 구동된다.
그리고 선형이동유닛(310)은,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선형이동유닛(310)을 바디프레임(100)의 천장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바(320) 및 제2고정바(330)를 포함한다.
제1고정바(320) 및 제2고정바(330)는 선형이동유닛(310)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이 바디프레임(100)의 천장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를 위해 바디프레임(100)의 천장부에는 제1고정바(320) 및 제2고정바(330)를 전후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바(320)는 하단이 거치대(210) 측으로 연장되어 거치대(210)와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선형이동유닛(310)이 전후 이동될 경우 거치대(210) 역시 함께 전후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세부 구조와, 도어(110)의 개방에 따라 거치대(21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2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걸림부(222)와, 제1걸림부(222)와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부(2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110)의 상단에는 도어(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제1걸림부(222)에 걸려 회전유닛(220)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1연장부(224)가 형성된다.
즉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도어(110)를 개방시킬 경우, 도어(110)가 바디프레임(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연장부(224)가 회전유닛(220)의 제1걸림부(222)에 걸리게 되며, 회전유닛(220)은 도어(110)의 이동과 함께 중심축(230, 240)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도 7과 같이 도어(110)가 더 개방됨에 따라 회전유닛(220)이 보다 회전될 경우, 제2걸림부(221)가 선형이동유닛(310)의 제2연장부(312)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2연장부(312)는 선형이동유닛(310)으로부터 회전유닛(22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연장부(312)는 회전유닛(220)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할 경우 제2걸림부(221)에 걸려 회전유닛(220)의 회전과 함께 선형이동유닛(310)을 전후 이동시키게 되고, 선형이동유닛(310)과 연결된 거치대(2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110)를 개방시키게 될 경우 일련의 과정을 통해 거치대(210)가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110)를 폐쇄시키게 될 경우에는, 위 설명한 과정의 역순의 과정을 통해 거치대(210)가 수납공간(S) 내측으로 수용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유닛(220)은 각각 양측으로 이격된 제1중심축(230) 및 제2중심축(240)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이때 일측의 회전유닛(220)의 제1중심축(230)은 회전유닛(220)을 관통하여 바디프레임(100)의 하단부(104)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도 3 참조).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중심축(230)에는, 거울(232) 및 선반(234)이 구비된 형태를 가지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가 완전히 개방되어 거치대(21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중심축(230)에 연결된 거울(232)의 전면이 사용자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거치대(210)의 보다 자세한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거치대(210)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2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단위거치부(212a)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단위거치부(212b)가 서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면 접촉된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1단위거치부(212a) 및 제2단위거치부(212b)의 사이에는 옷걸이(H)와 같은 의류 거치도구가 걸리는 걸림홀(211)을 형성하고, 제1단위거치부(212a)와 제2단위거치부(212b)는 서로 측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보조가변유닛(340)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캠유닛(250), 보조가변유닛(340) 및 거치대(210)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중심축(240, 도 8 참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유닛(220)의 하부에는, 해당 회전유닛(220)과 동일한 제2중심축(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캠유닛(250)이 구비된다. 이때 캠유닛(250)은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캠 돌기(2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중심축(2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유닛(220)에 인접한 선형이동유닛(310)의 하부에는, 보조가변유닛(340)이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보조가변유닛(340)은 상부의 선형이동유닛(310)과 제1고정바(320)를 공유하는 형태로 캠유닛(250)의 측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보조가변유닛(340)은 선형이동유닛(310)의 전후 이동과 함께 전후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가변유닛(340)은, 보조가변유닛(340)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축회전부재(350)를 더 포함한다.
축회전부재(350)는 보조가변유닛(240)의 중심부에 형성된 보조회전축(34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초기 상태에서 일측이 보조가변유닛(240)의 수용공간(342)에 수용되고, 타측이 캠유닛(250)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축회전부재(350)는 축회전부재(350)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거치대(210)의 제1단위거치부(212a) 또는 제2단위거치부(212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52)를 포함하고, 보조가변유닛(240)의 일측 바닥에는 연결부재(352)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345)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352)의 하단부는 제2단위거치부(212b)에 형성된 연결홈(214)에 삽입되어, 연결부재(352)는 제2단위거치부(212b)에 연결된 상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이동유닛(310)이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축회전부재(350)의 일측이 보조가변유닛(240)의 수용공간(342)에 수용되고, 타측이 캠유닛(250)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며, 캠유닛(250)의 캠돌기(252)는 축회전부재(350)의 타측에 접촉된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거치대(210)는 제1단위거치부(212a) 및 제2단위거치부(212b)가 서로 어긋나게 접촉된 상태를 가지며, 제1단위거치부(212a)의 일측 및 제2단위거치부(212b)의 타측에는 각각 상대와 면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면(213a, 213b)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단위거치부(212a) 및 제2단위거치부(212b)의 어긋남에 의해 걸림홀(211) 역시 비스듬하게 변형된 형태를 가지며, 이와 같은 걸림홀(211)에 거치된 옷걸이(H)는 비스듬하게 회전된 상태를 가진다.
즉 도어(11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옷걸이(H)가 거치대(210)에 비스듬한 상태로 거치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의류수납용 가구는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이동유닛(310)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캠유닛(250)이 회전되어 캠돌기(252)가 축회전부재(350)의 타측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축회전부재(350)는 보조회전축(34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일측이 보조가변유닛(240)의 수용공간(342)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가진다.
따라서 축회전부재(350)의 회전과 함께 연결부재(352) 역시 수납홈(345)으로부터 인출되며, 제2단위거치부(212b)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거치대(210)는 제1단위거치부(212a) 및 제2단위거치부(212b)가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 되며, 걸림홀(211)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즉 도어(110)가 개방되어 거치대(21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옷걸이(H)가 거치대(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전되며, 사용자는 각 옷걸이(H)에 걸린 의류를 편리하게 거치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바디프레임
110: 도어
210: 거치대
210a: 제1단위거치부
210b: 제2단위거치부
220: 회전유닛
230: 제1중심축
240: 제2중심축
250: 캠유닛
310: 선형이동유닛
320: 제1고정바
330: 제2고정바
340: 보조가변유닛
350: 축회전부재

Claims (8)

  1. 삭제
  2.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며, 전방 일부가 개구된 수납공간(S)이 형성된 바디프레임(100);
    상기 수납공간(S)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110);
    상기 수납공간(S)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거치대(210);
    상기 도어(110)와 연결되고, 중심축(230, 24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110)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유닛(220); 및
    상기 거치대(2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유닛(220)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유닛(220)의 기 설정된 회전 범위에서 상기 회전유닛(220)과 연동되어 전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210)를 전후 이동시키는 선형이동유닛(31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210)는 한 쌍이 상기 수납공간(S)의 개구된 전방을 양분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1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유닛(220)은 상기 한 쌍의 도어(110)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의류수납용 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부재(112)가 측 방향을 따라 서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의류수납용 가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2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부(222)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110)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11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걸림부(222)에 걸려 상기 회전유닛(220)을 회전시키는 제1연장부(224)가 형성되는 의류수납용 가구.
  5.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며, 전방 일부가 개구된 수납공간(S)이 형성된 바디프레임(100);
    상기 수납공간(S)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110);
    상기 수납공간(S)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거치대(210);
    상기 도어(110)와 연결되고, 중심축(230, 24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110)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유닛(220); 및
    상기 거치대(2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유닛(220)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유닛(220)의 기 설정된 회전 범위에서 상기 회전유닛(220)과 연동되어 전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210)를 전후 이동시키는 선형이동유닛(31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유닛(2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선형이동유닛(310)은 상기 회전유닛(2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유닛(220)이 회전할 경우 상기 제2걸림부(221)에 걸려 상기 회전유닛(220)의 회전과 함께 상기 선형이동유닛(310)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2연장부(312)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6.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며, 전방 일부가 개구된 수납공간(S)이 형성된 바디프레임(100);
    상기 수납공간(S)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110);
    상기 수납공간(S)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거치대(210);
    상기 도어(110)와 연결되고, 중심축(230, 24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110)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유닛(220); 및
    상기 거치대(2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유닛(220)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유닛(220)의 기 설정된 회전 범위에서 상기 회전유닛(220)과 연동되어 전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210)를 전후 이동시키는 선형이동유닛(310);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2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단위거치부(212a); 및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거치부(212a)의 후방에 면 접촉되어 상기 제1단위거치부(212a)와의 사이에 의류 거치도구가 걸리는 걸림홀(211)을 형성하되, 상기 제1단위거치부(212a)에 대해 측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단위거치부(212b);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이동유닛(310)과 연결되어 상기 선형이동유닛(310)의 전후 이동과 함께 전후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단위거치부(212a) 또는 상기 제2단위거치부(212b) 중 어느 하나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홀(211)의 형태를 가변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홀(211)에 걸린 의류 거치도구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보조가변유닛(3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가변유닛(340)은 상기 보조가변유닛(340)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단위거치부(212a) 또는 상기 제2단위거치부(212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부(352)를 포함하는 축회전부재(350)를 포함하고,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캠 돌기(252)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유닛(220)과 동일한 중심축(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선형이동유닛(310)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유닛(220)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캠 돌기(252)가 상기 축회전부재(350)에 접촉되어 상기 축회전부재(350)를 축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부(352)가 상기 제1단위거치부(212a) 또는 상기 제2단위거치부(212b) 중 어느 하나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캠유닛(250)을 더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7. 삭제
  8. 삭제
KR1020190118857A 2019-09-26 2019-09-26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KR102264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57A KR102264375B1 (ko) 2019-09-26 2019-09-26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57A KR102264375B1 (ko) 2019-09-26 2019-09-26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39A KR20210036639A (ko) 2021-04-05
KR102264375B1 true KR102264375B1 (ko) 2021-06-14

Family

ID=7546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857A KR102264375B1 (ko) 2019-09-26 2019-09-26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9065B (zh) * 2022-05-24 2023-11-14 金鹏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自动选衣的智能衣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710A (ja) * 1985-07-04 1987-01-16 株式会社 玉井近代工芸社 タンス
JPH04735Y2 (ko) * 1987-06-23 1992-01-10
KR920002137U (ko) * 1990-07-25 1992-02-24 김태호 전자계를 이용한 원적외선 치료기
KR20100087547A (ko) * 2009-01-28 2010-08-05 이수정 신발장
KR101376034B1 (ko) * 2012-01-31 2014-03-19 정진관 옷걸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옷장
KR200477279Y1 (ko) 2014-12-23 2015-05-28 (주) 대신가구 개인 옷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39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0622B1 (en) Refrigerator
EP2072937A2 (en) Drawer for a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lated refrigerating apparatus
CN203755041U (zh) 洗衣机
CN106461312A (zh) 冰箱
JP7279255B2 (ja) 装飾シート付きのヒンジ部品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102264375B1 (ko)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CN110573044A (zh) 柜子
JP5624749B2 (ja) 什器
EP2801686B1 (en) Opening ddevice for coplanar doors
CN114061227B (zh) 多关节连杆铰链和包括该多关节连杆铰链的冰箱
KR200442585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의 선반 체결구조
JP5268592B2 (ja) キャビネット及びトイレユニット
KR101428918B1 (ko) 욕실장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JP5784102B2 (ja) 什器
EP2415370B1 (en) Cabinet with pull-out shelf provided with articulated arm and guide means.
KR20170071039A (ko) 냉장고
KR200172798Y1 (ko) 슬라이딩 도어 수납함
KR200487976Y1 (ko) 포켓 슬라이딩도어용 손잡이
KR200167921Y1 (ko) 수납장 겸용 쌀통
JPH0116429Y2 (ko)
DK202070086A1 (en) Hinge assembly for a door of a refrigeration compartment
KR200192826Y1 (ko) 다용도 장
KR200168805Y1 (ko) 장식용 캐비넷
KR100512717B1 (ko) 선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