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79Y1 - 개인 옷장 - Google Patents

개인 옷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79Y1
KR200477279Y1 KR2020140009487U KR20140009487U KR200477279Y1 KR 200477279 Y1 KR200477279 Y1 KR 200477279Y1 KR 2020140009487 U KR2020140009487 U KR 2020140009487U KR 20140009487 U KR20140009487 U KR 20140009487U KR 200477279 Y1 KR200477279 Y1 KR 200477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body
sliding drawer
pers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성철
서동권
Original Assignee
(주) 대신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신가구 filed Critical (주) 대신가구
Priority to KR2020140009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1/00Expanded, threaded, driven, headed, tool-deformed, or locked-threaded fastener
    • Y10S411/999Expanded, threaded, driven, headed, tool-deformed, or locked-threaded fastener with retainer, e.g. tethe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개인 옷장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개인 옷장은, 캐비닛 본체; 상기 캐비닛 본체의 상단부 전방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용 몰딩부재; 상기 장식용 몰딩부재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 또는 언로킹(unlocking)시키는 디지털 도어락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본체의 배면판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통기공은 상기 캐비닛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공기의 순환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옷장{Wardrobe}
본 고안은, 개인 옷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도어락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개인 옷장에 관한 것이다.
옷을 보관할 때 사용되는 옷장은 가정이나 대중사우나, 체육관의 탈의실 등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가주 중의 하나이다.
여러 종류 중에서 특히, 대중사우나 또는 체육관의 탈의실 등에 사용되는 옷장은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통 작은 사이즈를 갖도록 제조되고, 또한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가정에서 사용되는 옷장을 금속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가정 내의 다른 가구들과 인테리어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목재로 제조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옷장을 제조하는 제조사마다 그 외형은 다를 수 있으나 옷장의 대부분은 사각의 캐비닛 구조를 이루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옷장들에 대한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2-000541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0755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0031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43865호 등에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옷장은 전술한 것처럼 캐비닛 구조의 본체와 도어로 이루어진 극히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개인 옷장으로 사용하기에는 보안상 혹은 내부 구조의 편의상 그 효율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적인 옷장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구조를 갖는 개인 옷장의 구조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2-000541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0755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0031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43865호
본 고안의 목적은, 디지털 도어락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개인 옷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캐비닛 본체; 상기 캐비닛 본체의 상단부 전방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용 몰딩부재; 상기 장식용 몰딩부재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 또는 언로킹(unlocking)시키는 디지털 도어락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본체의 배면판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통기공은 상기 캐비닛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공기의 순환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옷장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캐비닛 본체 내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선반; 상기 캐비닛 본체 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제1 슬라이딩 서랍; 및 상기 캐비닛 본체 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제2 슬라이딩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서랍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슬라이딩 서랍의 사이즈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는 거울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울 유닛은, 거울 플레이트; 및 상기 거울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는 거울 선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본체와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회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센서; 상기 카운터 센서의 카운팅 결과값이 출력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카운팅 결과값을 리셋하는 리셋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콤팩트한 구조일지라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옷이나 개인 물품의 수납, 보관 또는 사용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의 개인 옷장에서 도어를 단계적으로 개방한 상태의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의 개인 옷장에서 도어를 단계적으로 개방한 상태의 도면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100)은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미도시)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캐비닛 본체(110), 장식용 몰딩부재(120), 도어(130),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포함한다.
캐비닛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100)의 몸체를 이룬다. 캐비닛 본체(1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 본체(110) 내에 옷을 비롯하여 개인 물품들, 예컨대 넥타이, 장갑, 양말, 속옷, 허리띠, 시계, 반지 등을 위치별로 보관할 수 있다.
캐비닛 본체(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푸트(112)가 마련된다. 푸트(112)들은 캐비닛 본체(110)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푸트(112)가 단순히 도시되어 있으나 푸트(112)는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캐비닛 본체(110)의 수평을 효율적으로 맞출 수 있다.
장식용 몰딩부재(120)는 캐비닛 본체(110)의 상단부 전방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장식용 몰딩부재(120)는 캐비닛 본체(110)의 상단부 전방 영역에 결합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100)의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식용 몰딩부재(120)가 단순히 사각 바아 타입으로 되어 있으나 장식용 몰딩부재(120)는 해당 위치에서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모양의 것들로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장식용 몰딩부재(120)가 사각 바아 타입이 아닌 일정한 문양을 띤 형상의 것이나 야광 소재로 적용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100)의 외관의 미가 달라질 수 있어 새로운 개인 옷장(100)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도어(130)는 장식용 몰딩부재(120)의 하부 영역에서 캐비닛 본체(110)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한다.
이처럼 도어(130)가 장식용 몰딩부재(120)의 하부 영역에서 회동 개폐되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처럼 도어(130)를 닫더라도 장식용 몰딩부재(120)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도어(130)의 회동 개폐를 위해 캐비닛 본체(110)와 도어(130) 사이에는 다수의 힌지(H)가 마련된다.
이러한 도어(130)의 내벽에는 거울 유닛(16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거울 유닛(160)이 마련됨으로써, 도어(130)의 개방 시 거울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거울 유닛(160)은 거울 플레이트(161)와, 거울 플레이트(161)의 하부에 마련되는 거울 선반대(162)를 포함하는데, 도시된 것처럼 유닛 단위로 마련되어 도어(130)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40)은 도어(130)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130)를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 도 1 참조) 또는 언로킹(unlocking, 도 4 및 도 5 참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지털 도어락(14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디지털 도어락(140) 대신에 플라스틱 번호키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캐비닛 본체(110)의 배면판에는 다수의 통기공(111a,111b)이 형성된다. 다수의 통기공(111a,111b)은 상부의 제1 통기공(111a)과 하부의 제2 통기공(111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처럼 다수의 통기공이 캐비닛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져 캐비닛 본체(110)의 내부가 습하지 않도록 한다.
캐비닛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선반(150), 제1 슬라이딩 서랍(151), 그리고 제2 슬라이딩 서랍(152)이 마련된다.
선반(150)은 캐비닛 본체(110) 내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며, 개인 물품을 보관할 때 사용한다. 선반(150)은 그 전면이 막히지 않은 개방형이다.
제1 슬라이딩 서랍(151)은 캐비닛 본체(110) 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고, 제2 슬라이딩 서랍(152)은 캐비닛 본체(110) 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각기 선반(150)과 더불어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장소를 이룬다.
특히, 제1 슬라이딩 서랍(1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152)은 서랍식이기 때문에 넥타이, 장갑, 양말, 속옷, 허리띠, 시계, 반지 등을 위치별로 보관하기에 좋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슬라이딩 서랍(152)의 사이즈가 제1 슬라이딩 서랍(151)의 사이즈보다 크게 마련된다. 따라서 안정감 있는 구조가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한 구조일지라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옷이나 개인 물품의 수납, 보관 또는 사용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200) 역시, 캐비닛 본체(110), 장식용 몰딩부재(120), 거울 유닛(160)을 구비하는 도어(130),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포함한다.
캐비닛 본체(110) 내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선반(150)을 비롯하여 제1 슬라이딩 서랍(1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152)이 갖춰져 개인 물품을 종류별로 혹은 위치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어(130)의 일측에는 도어(130)의 개방 회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센서(261)와, 카운터 센서(261)의 카운팅 결과값이 출력되는 표시부(262)와, 표시부(262)에 출력된 카운팅 결과값을 리셋하는 리셋 버튼(263)이 구비된다.
물론, 카운터 센서(261), 표시부(262) 및 리셋 버튼(263)은 도면과 달리 캐비닛 본체(110)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카운터 센서(261), 표시부(262) 및 리셋 버튼(263)이 마련될 경우, 예컨대 하루에 도어(130)를 몇 번 열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수의 확인으로 인해 자신이 아닌 타인이 도어(130)를 개방했는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다음 날이 되면 다시 리셋 버튼(263)을 눌러 초기 제로 세팅을 해둘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콤팩트한 구조일지라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옷이나 개인 물품의 수납, 보관 또는 사용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 역시, 카운터 센서(261)와, 카운터 센서(26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도어락(140)의 동작을 강제 로킹시키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370)를 포함한다.
즉 컨트롤러(370)는 카운터 센서(261)로부터의 정보, 예컨대 도어의 개방 회수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 디지털 도어락(140)의 동작을 강제 로킹시킴으로써, 자신이 아닌 타인이 더 이상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370)는 중앙처리장치(371, CPU), 메모리(372, MEMORY), 서포트 회로(3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371)는 본 실시예에서 카운터 센서(26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도어락(140)의 동작을 강제 로킹시키도록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3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371)와 연결된다. 메모리(3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3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3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3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370)는 카운터 센서(26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도어락(140)의 동작을 강제 로킹시키도록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370)가 카운터 센서(26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도어락(140)의 동작을 강제 로킹시키도록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3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3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디지털 도어락(140)이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콤팩트한 구조일지라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옷이나 개인 물품의 수납, 보관 또는 사용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400) 역시, 캐비닛 본체(110), 장식용 몰딩부재(120), 거울 유닛(160)을 구비하는 도어(130),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포함한다.
캐비닛 본체(110) 내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선반(150)을 비롯하여 제1 슬라이딩 서랍(1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152)이 갖춰져 개인 물품을 종류별로 혹은 위치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캐비닛 본체(110)의 외측에는 조도 센서(470)가 마련되며, 캐비닛 본체(110)의 내부에는 조명부재(480)가 마련된다. 그리고 조명부재(480)는 도시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된다.
즉 컨트롤러는 조도 센서(47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재(48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예컨대, 어두운 밤이 되어 형광등을 켜지 않은 상태인 경우, 조도 센서(470)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로 정보를 전송하면, 도어(130)가 개방될 때 컨트롤러가 조명부재(480)를 자동으로 온(on)시킨다.
따라서 도어(130)만을 개방하더라도 조명부재(480)로 인해 캐비닛 본체(110)의 내부가 훤하게 밝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130)를 다시 닫으면 조명부재(480)는 오프(off)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콤팩트한 구조일지라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옷이나 개인 물품의 수납, 보관 또는 사용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500) 역시, 캐비닛 본체(110), 장식용 몰딩부재(120), 거울 유닛(160)을 구비하는 도어(130),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포함한다.
캐비닛 본체(110) 내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선반(550)을 비롯하여 제1 슬라이딩 서랍(5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552)이 갖춰져 개인 물품을 종류별로 혹은 위치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슬라이딩 서랍(5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552)은 각각 제1 및 제2 구동부(551a,552a)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조작한 후, 도어(130)를 개방하면 컨트롤러(570)가 제1 및 제2 구동부(551a,552a)를 컨트롤함으로써, 제1 슬라이딩 서랍(5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552)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다. 즉 도어(130)를 개방하면 제1 슬라이딩 서랍(5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552)이 자동으로 열리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콤팩트한 구조일지라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옷이나 개인 물품의 수납, 보관 또는 사용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600) 역시, 캐비닛 본체(110), 장식용 몰딩부재(120), 거울 유닛(160)을 구비하는 도어(130),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포함한다.
캐비닛 본체(110) 내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선반(650)을 비롯하여 제1 슬라이딩 서랍(6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652)이 갖춰져 개인 물품을 종류별로 혹은 위치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슬라이딩 서랍(6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652)과 그 외곽 프레임(651a,652a)은 내부가 투시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도어(130)를 개방한 경우, 굳이 제1 슬라이딩 서랍(651)과 제2 슬라이딩 서랍(652)을 열지 않더라도 내부의 개인 물품을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콤팩트한 구조일지라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옷이나 개인 물품의 수납, 보관 또는 사용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옷장(700) 역시, 캐비닛 본체(110), 장식용 몰딩부재(720), 도어(130),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장식용 몰딩부재(720)에는 스크린 출입구(77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린 출입구(777a)를 통해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롤 스크린(777)이 인출될 수 있다. 롤 스크린(777)은 광 프로젝트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영화 등을 감상할 수 있는 가상 모니터가 될 수 있어 편리한 이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디지털 도어락(140)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가 부착되어 있어서 보안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효율적이어서 옷을 비롯한 다양한 개인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콤팩트한 구조일지라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옷이나 개인 물품의 수납, 보관 또는 사용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개인 옷장 110 : 캐비닛 본체
111a,111b : 통기공 120 : 장식용 몰딩부재
130 : 도어 140 : 디지털 도어락
150 : 선반 151 : 제1 슬라이딩 서랍
152 : 제2 슬라이딩 서랍 160 : 거울 유닛
161 : 거울 플레이트 162 : 거울 선반대

Claims (4)

  1. 배면판의 상부와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캐비닛 본체;
    상기 캐비닛 본체의 상단부 전방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용 몰딩부재;
    상기 장식용 몰딩부재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 또는 언로킹(unlocking)시키는 디지털 도어락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
    상기 캐비닛 본체 내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선반;
    상기 캐비닛 본체 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제1 슬라이딩 서랍;
    상기 캐비닛 본체 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개인 물품을 보관하는 제2 슬라이딩 서랍;
    상기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되, 거울 플레이트와, 상기 거울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는 거울 선반대를 포함하는 거울 유닛;
    상기 캐비닛 본체와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 회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센서;
    상기 카운터 센서의 카운팅 결과값이 출력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카운팅 결과값을 리셋하는 리셋 버튼;
    상기 제1 슬라이딩 서랍을 개방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슬라이딩 서랍을 개방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카운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회수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디지털 도어락 또는 플라스틱 번호키의 동작을 강제로 로킹시키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 서랍을 자동 개방시키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옷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9487U 2014-12-23 2014-12-23 개인 옷장 KR200477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487U KR200477279Y1 (ko) 2014-12-23 2014-12-23 개인 옷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487U KR200477279Y1 (ko) 2014-12-23 2014-12-23 개인 옷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279Y1 true KR200477279Y1 (ko) 2015-05-28

Family

ID=5351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487U KR200477279Y1 (ko) 2014-12-23 2014-12-23 개인 옷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3357A (zh) * 2016-03-02 2017-09-1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衣柜、智能镜子及其控制方法
KR20210036639A (ko) 2019-09-26 2021-04-05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31Y1 (ko) * 2001-08-17 2001-11-22 주식회사 성민산업 붙박이장
KR100661741B1 (ko) * 2004-12-30 2006-12-28 주식회사 시공테크 금고형 문화재 및 유물 보관용 항습내화 수납장
KR20070000357U (ko) * 2007-03-03 2007-03-22 노수업 관물 함 보관 구조
JP2009211130A (ja) * 2008-02-29 2009-09-17 Piirekku:Kk 開閉回数関連情報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31Y1 (ko) * 2001-08-17 2001-11-22 주식회사 성민산업 붙박이장
KR100661741B1 (ko) * 2004-12-30 2006-12-28 주식회사 시공테크 금고형 문화재 및 유물 보관용 항습내화 수납장
KR20070000357U (ko) * 2007-03-03 2007-03-22 노수업 관물 함 보관 구조
JP2009211130A (ja) * 2008-02-29 2009-09-17 Piirekku:Kk 開閉回数関連情報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3357A (zh) * 2016-03-02 2017-09-1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衣柜、智能镜子及其控制方法
KR20210036639A (ko) 2019-09-26 2021-04-05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연동형 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수납용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20277S1 (en) Spice cabinet with washboard doors
EP1577434A3 (en) Laundry appliance utility shelf
CN104905562A (zh) 一种新型的衣柜
US20210353057A1 (en) Hanging storage enclosure
KR200477279Y1 (ko) 개인 옷장
JP2013248391A (ja) 冷蔵薬品キャビネット
KR20160060977A (ko) 의류 수납장
JP2010536509A (ja) ワードローブ収納システム
CN104366993B (zh) 一种多功能玄关鞋柜
WO2016107420A1 (zh) 一种前后多层结构的储物柜
CN206043920U (zh) 一种新型衣柜门
KR20180000268A (ko) 퍼즐형 조립식 매트리스를 구비한 수납형 침대
CN204132782U (zh) 一种新型衣柜
KR101241297B1 (ko) 코너용 물품 수납장
CN105326226A (zh) 一种多功能衣柜
CN202820330U (zh) 多功能玄关收纳装置
CN206295110U (zh) 多功能玄关柜
KR200470392Y1 (ko) 원룸형 주택의 중문형 붙박이 가구 장치
CN201260515Y (zh) 全自动军用衣柜
JP2008048841A (ja) 収納家具
CN208755326U (zh) 物品柜
CN107212612A (zh) 一种可照明衣柜
CN206808993U (zh) 一种具有杀菌和干燥功能的衣柜
KR200429087Y1 (ko) 앨범수납부가 구비된 거실장
CN206462647U (zh) 一种多功能玄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