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931B1 -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931B1
KR100648931B1 KR1020050091285A KR20050091285A KR100648931B1 KR 100648931 B1 KR100648931 B1 KR 100648931B1 KR 1020050091285 A KR1020050091285 A KR 1020050091285A KR 20050091285 A KR20050091285 A KR 20050091285A KR 100648931 B1 KR100648931 B1 KR 10064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load
voltage power
outpu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931B1/ko
Priority to US11/371,103 priority patent/US7505702B2/en
Priority to CN2006101317372A priority patent/CN1941582B/zh
Priority to CN201110199332.3A priority patent/CN10227953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931B1/ko
Priority to US12/365,336 priority patent/US77157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나 레이저 복합기 등에 적용되는 고압 전원 장치에서, 증폭 회로를 하나의 칩(Chip)으로 구성하고, 인체 저항이나 접지(GND)에 의한 이상 부하가 출력단에 인가될 경우에, 부하 감지 회로를 통해 이상 부하를 감지하면 칩의 동작을 오프시켜 고전압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개방 스위치 불량이나 기타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부하로 작용하는 현상기를 꺼내게 되는 경우에, 고압 출력단의 부하가 기준치보다 매우 낮게 검출되므로, 고압 전원 칩의 동작을 차단하여 고전압이 출력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출력단과 접지가 쇼트(Short) 상태가 되어도 이상 부하를 검출하여 고전압이 출력되지 않게 함으로서, 주변 부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부하, 고압, 전원, 레이저 프린터, 레이저 복합기, 현상기, HVPS, ASIC

Description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High power supply apparatus for controlling strangeness load}
도 1은 종래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증폭부 140 : 변압부
150 : 정류부 160 : 출력부
170 : 부하 180 : 궤환부
210 : 고압전원 처리부 211 : PWM 인터페이스
212 :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213 : 프로그램 저장부
214 : 발진부 215 : 전원 리셋부
216 : 디지털 레귤레이터 217 : A/D 변환기
220 : 변압/정류부 230 : 고압 제어부
240 : 부하 검출부 310 : 부하 제어 선택부
TR1, TR2 : 트랜지스터 COMP1, COMP2 : 비교기
R1 ~ R13 : 저항 C1 ~ C9, Ca, Cb : 캐패시터
본 발명은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프린터나 레이저 복합기 등에 적용되는 고압 전원 장치에서, 증폭 회로를 하나의 칩(Chip)으로 구성하고, 인체 저항이나 접지(GND)에 의한 이상 부하가 출력단에 인가될 경우에, 부하 감지 회로를 통해 이상 부하를 감지하면 칩의 동작을 오프시켜 고전압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압 전원 장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및 메인 보드(Main Board)로부터 5 V와 24 V 등의 입력 전압을 받아서 엔진 제어부(Engine Controller)의 하이/로우(High/Low) 혹은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의해 전사 과정의 화상 형성에 필요한 각각의 고압을 생성하여 출력시키는 장 치이다. 또한, DC 입력전압 24 V를 변압기(Transformer)를 이용하여 수백 ~ 수천 V의 고전압으로 출력시킨다.
도 1은 종래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고압 전원 장치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증폭부(130), 변압부(140), 정류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고압 전원의 출력을 위해 PWM Duty 신호 혹은 On/Off 신호를 입력부(120)로 인가하며, 입력부(120)는 On 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TR1)를 동작시켜 인가된 전원 신호를 RC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DC 레벨로 변환시키며, Reference 신호와 같이 증폭부(130)의 입력으로 인가시킨다.
증폭부(130)는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변압부(140)의 입력 신호를 생성시키며, 변압부(130)는 증폭부(130)에서 인가된 입력 신호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TR2)를 동작시키며, 구동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Base)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여 변압기 1차측 발진회로의 시정수 및 출력 크기를 제어하여 2차측에 교류 형태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변압부(130)의 2차측 전압은 정류부(140)를 통하여 DC 형태의 전압을 발생시키며, 정류된 DC 형태의 최종 전압은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170)에 의해 전원이 소모되고, 출력부(160)의 전단에서 일부의 전류는 궤환부(180)를 통해 증폭부(130)로 귀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고압 전원 장치가 적용된 OA 기기에서, 고전압은 토너(Toner)의 유동을 통한 화상 형성을 위해 사용되며, 이때 현상기의 롤러 (Roller)가 부하(Load)로 인식된다. 따라서, 세트(Set) 상에서 현상기(부하)가 없을 때에는 고압의 출력이 불필요하며, 오히려 현상기를 꺼내는 등 비정상(Abnormal)적인 상황으로 인한 고전압의 출력은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세트의 커버(Cover)를 열고 현상기를 꺼내었을 때 고압 단자가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닿을 수 있다. 커버 개방시, 고압 회로의 입력 전압이 끊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드물게 커버 개방 스위치 불량이나 기타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현상기를 꺼내게 된다면, 고압 단자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감전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안전 규격에서 요구하는 고압 전원 장치의 규격은 고전압이 출력될 때 인체저항 2 ㏀을 출력단에 인가하고, 이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2 ㎃를 넘어서는 안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고전압 출력이 접지(GND)와 쇼트(Short)가 된다면 회로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출력단에 인체 저항이나 접지와 접촉이 될 경우에 고전압의 출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나 레이저 복합기 등에 적용되는 고압 전원 장치에서, 증폭 회로를 하나의 칩(Chip)으로 구성하고, 인체 저항이나 접지(GND)에 의한 이상 부하가 출력단에 인가될 경우에, 부하 감지 회로를 통해 이상 부하를 감지하면 칩의 동작을 오프시켜 고전압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오동작하거나 오류를 일으키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도, 부하 감지 회로를 통해 이상 부하를 감지하면, 제어부의 제어 없이도 칩의 동작을 자동으로 오프시켜, 고전압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는, 인가된 직류 전원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압전원 처리부; 상기 직류 전원을 고압의 전원으로 변압시키고 정류시키는 변압/정류부; 이상 부하의 검출을 위해, 부하로부터 출력된 부하 전압을 일정 기준 전압과 비교한 비교 전압을 출력하는 부하 검출부; 및 상기 부하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비교 전압이 최저 부하에 해당하는 설정 기준값보다 작게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로 칩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고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는, 비메모리 집적회로 형태이고, 상기 부하 검출부는 상기 부하 전압과 상기 일정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압 제어부는, 상기 비교 전압이 상기 설정 기준값 이상으로, 정상적인 고전압 출력 상태일 경우,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로 로우 레벨의 칩 인에 이블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부하 검출부를 통해 설정 기준값 이하의 전압을 검출하게 되면,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로 인가하는 칩 인에이블 신호를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변경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는, 상기 고압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를 입력받는 PWM 인터페이스; 상기 고압 제어부 내의 집적회로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각 출력 채널의 출력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발진부; 전원의 리셋 기능을 담당하는 전원 리셋부;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 및 상기 PWM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와, 상기 A/D 변환기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신호를 비교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디지털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SPI 직렬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는, 인가된 직류(DC) 전원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압전원 처리부; 상기 직류 전원을 고압의 전원으로 변압시키고 정류시키는 변압/정류부; 이상 부하의 검출을 위해, 부하로부터 출력된 부하 전압을 일정 기준 전압과 비교한 비교 전압을 출력하는 부하 검출부; 및 상기 비교 전압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값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고압 제어부; 및 상기 부하 검출부로부터 인가된 비교 전압 신호와, 상기 고압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고압전원 처 리부로 인가하는 부하 제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하이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이고,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는, 정상적인 동작 상태일 경우에 상기 고압 제어부로부터 로우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 제어 선택부는, 상기 부하 검출부로부터 인가된 상기 비교 전압과 상기 설정 기준값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 비교한 상기 결과값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 증폭한 상기 결과값과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둘 중에 하나라도 로우 레벨이면 하이 레벨의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NAND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DC 형태의 고전압이 출력되는 조건에서, 최종 출력단에 부하가 존재하고 이 부하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부하에 연결된 부하 검출부에 부하 감 지 전위가 발생되고, 이 부하 감지 전위는 고압 제어부의 ADC 포트로 인가된다. 이때, 고압 출력단의 부하는 최저 수 ㏁ 이상이며, 이 경우 최저 부하에 해당하는 부하 전압값을 기준값(Reference)으로 설정하고, 부하 감지 전위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고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는, 고압전원 처리부(HVPS ASIC:High Voltage Power Supply Application-Specific Intergrated Circuit)(210), 변압/정류부(Trans/Rectifier)(220), 고압 제어부(HVPS Controller)(230), 및 부하 검출부(Load Detector)(240)를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고압전원 처리부(2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게이트나 OP 앰프 등의 집적회로(IC)가 아닌, 본 발명에 따라 고전압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특정 용도로 설계된 비메모리 집적회로(IC)로서, 고압 제어부(230)로부터 인가된 직류(DC) 24 V의 전원을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변압/정류부(220)는 직류(DC) 24 V의 전원을 고압의 전원으로 변압시키고 정류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고압 제어부(230)는 부하 검출부(240)를 통해 부하(170)의 전압을 검출하여, 부하(170)의 전압이 최저 부하에 해당하는 설정 기준값보다 작게 출력되는 경우에, 고압전원 처리부(210)로 인가하는 칩 인에이블 신호(Chip Enable Signal)를 로우 (Low) 레벨에서 하이(High) 레벨로 변경시켜, 고압전원 처리부(210)의 동작을 차단함으로써, 고압전원 처리부(210)에서 더 이상 고전압이 출력되지 못하도록 강제로 제어한다.
부하 검출부(240)는 이상 부하의 검출을 위해, 부하(170)로부터 출력된 부하 전압을 일정 기준 전압과 비교한 비교 전압을 고압 제어부(230)로 인가한다. 이때, 비교 전압은 고압 제어부(230)의 ADC(Analog/Digital Converter) 포트를 통해 디지털 형태의 전압 데이터로 인가되고, 고압 제어부(230)는 전압 데이터가 설정 기준값보다 작은 값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부하 검출부(240)는 부하 전압과 일정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기(COMP1)를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비교기(COMP1)의 입력단(12)에는 직렬의 두 저항(R10, R11)을 통해 변압/정류부(220)가 연결되어 있고, 두 저항(R10, R11)의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제7 캐패시터(C7)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7 캐패시터(C7)와 접지의 연결점에는 부하(17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직렬의 두 저항(R10, R11)과 변압/정류부(220)의 연결선과, 제7 캐패시터(C7)와 부하(170)의 연결선 사이에는 제5 캐패시터(C5), 직렬의 저항(R8, R9), 및 제6 캐패시터(C6)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비교기(COMP1)의 다른 입력단(13)과 출력단(14) 사이에는 저항(R12) 및 캐패시터(C8)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제1 비교기(COMP1)의 출력단은 저항(R13)을 통해 고압 제어부(230)가 연결되어 있으며, 고압 제어부(230)와의 연결선과 접지 사이에 제9 캐패시터(C9)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즉, 위와 같이 구성된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는, 정상적인 부하 상태에서 고압 제어부(230)가 고압전원 처리부(210)로 로우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하고, 고압전원 처리부(21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고압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부하 검출부(240)를 통해 기준값 이하의 전압을 검출하게 되면, 고압 제어부(230)는 고압전원 처리부(210)로 인가하는 로우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를 하이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로 전환하여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압전원 처리부(210)는 하이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면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한편, 고압전원 처리부(210)는 그 내부에 PWM 인터페이스(Interface)(211), 프로그램 인터페이스(Programming Interface)(212), 프로그램 저장부(P2ROM)(213), 발진부(OSC:Oscillator)(214), 전원 리셋부(POR:Power On Reset)(215), 디지털 레귤레이터(Digital Regulator)(216), A/D(Analog/Digital) 변환기(Converter)(217) 등을 구비하고 있다.
PWM 인터페이스(211)는 고압 제어부(230)로부터 인가되는 PWM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레귤레이터를 통해 원하는 출력을 얻게 된다.
프로그램 인터페이스(212)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로서 주변 집적회로(IC)와 통신하기 위한 직렬 통신 장치이며, 고압 제어부(230) 내의 집적회로(IC)와 통신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13)는 각 출력 채널의 출력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컨대, PWM 신호가 A이고 출력이 "1000"이 되도록 하려면, 세팅 값을 프로그램으로 생성하여 프로그램 저장부(213)에 업로드(Upload)하게 된다.
발진부(214)는 집적회로(IC)로 이루어진 고압전원 처리부(2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파수를 발진시키며, 전원 리셋부(215)는 전원의 리셋 기능을 담당한다.
디지털 레귤레이터(216)는 PWM 인터페이스(211)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와, A/D 변환기(217)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신호를 비교하여 출력을 제어한다.
A/D 변환기(217)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도 2의 구성에서, 디지털 레귤레이터(216)와 A/D 변환기(217)는 다수 개의 구성으로 PWM 인터페이스(21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변압/정류부(220)는 저항(R5)을 통해 고압전원 처리부(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변압/정류부(220)의 출력단에 저항(R6, R7)을 통한 궤환부(180)가 고압전원 처리부(210)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는, 고압 제어부(230)가 오동작하거나 오류(Error)를 일으키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도, 부하 검출부(240)를 통해 이상 부하가 검출되면, 고압 제어부(230)의 제어 없이도 고압전원 처리부(210)의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제어 선택부(310)를 구비한다.
여기서, 부하 제어 선택부(310)는 부하 검출부(240)에서 출력된 이상 부하 전압을 비교기(COMP2)로 인가하고, 기준값(Vref)과 비교하여 정상일 때 하이(High) 신호, 이상 부하일 때 로우(Low) 신호가 비교기(COMP2)에서 출력되어 NAND 회로에 입력되도록 하며, 또한 고압 제어부(230)에서 인가된 제어 신호(Chip Enable Signal)를 NAND 회로로 인가하여, 둘 중 한 신호가 로우(Low) 레벨이면 NAND 회로에서 고압전원 처리부(210)로 하이(High)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게 한다.
따라서, 고압전원 처리부(210)는 하이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동작을 중단하게 되고, 고압 전원의 출력을 정지하게 된다.
한편, 고압 제어부(230)가 부하 검출부(240)를 통해 이상 부하를 감지하면, 고압전원 처리부(210)에 칩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전원 처리부(210)에 인가하는 24 V의 Vcc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고압전원 처리부(210)의 동작을 중지시켜 부하(170)로 인가되는 출력부(160)의 고전압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프린터나 레이저 복합기 등에 적용되는 고압 전원 장치에서, 증폭 회로를 하나의 칩(Chip)으로 구성하고, 인체 저항이나 접지(GND)에 의한 이상 부하가 출력단에 인가될 경우에, 부하 감지 회로를 통해 이상 부하를 감지하면 칩의 동작을 오프시켜 출력 고전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개방 스위치 불량이나 기타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부하로 작용하는 현상기를 꺼내게 되는 경우에, 고압 출력단의 부하가 기준치보다 매우 낮게 검출되므로, 고압 전원 칩의 동작을 차단하여 고전압이 출력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출력단과 접지가 쇼트(Short) 상태가 되어도 이상 부하를 검출하여 고전압이 출력되지 않게 함으로서, 주변 부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인가된 직류(DC) 전원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압전원 처리부;
    상기 직류(DC) 전원을 고압의 전원으로 변압시키고 정류시키는 변압/정류부;
    이상 부하의 검출을 위해, 부하(Load)로부터 출력된 부하 전압을 일정 기준 전압과 비교한 비교 전압을 출력하는 부하 검출부; 및
    상기 부하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비교 전압이 최저 부하에 해당하는 설정 기준값보다 작게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로 칩 인에이블 신호(Chip Enable Signal)를 인가하여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고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는,
    비메모리 집적회로(IC)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부는,
    상기 부하 전압과 상기 일정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제어부는,
    상기 비교 전압이 상기 설정 기준값 이상으로, 정상적인 고전압 출력 상태일 경우,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로 로우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부하 검출부를 통해 설정 기준값 이하의 전압을 검출하게 되면,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로 인가하는 칩 인에이블 신호를 로우(Low) 레벨에서 하이(High) 레벨로 변경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는,
    상기 고압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를 입력받는 PWM 인터페이스;
    상기 고압 제어부 내의 집적회로(IC)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각 출력 채널의 출력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발진부;
    전원의 리셋 기능을 담당하는 전원 리셋부;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 및
    상기 PWM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와, 상기 A/D 변환기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신호를 비교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디지털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직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7. 인가된 직류(DC) 전원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고압전원 처리부;
    상기 직류(DC) 전원을 고압의 전원으로 변압시키고 정류시키는 변압/정류부;
    이상 부하의 검출을 위해, 부하(Load)로부터 출력된 부하 전압을 일정 기준 전압과 비교한 비교 전압을 출력하는 부하 검출부; 및
    상기 비교 전압을 설정 기준값(Vref)과 비교한 결과값에 따라, 하이(High) 또는 로우(Low) 레벨의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고압 제어부; 및
    상기 부하 검출부로부터 인가된 비교 전압 신호와, 상기 고압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로 인가하는 부하 제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하이(High)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Chip Enable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전원 처리부는,
    정상적인 동작 상태일 경우에 상기 고압 제어부로부터 로우(Low) 레벨의 칩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 선택부는,
    상기 부하 검출부로부터 인가된 상기 비교 전압과 상기 설정 기준값(Vref)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
    비교한 상기 결과값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
    증폭한 상기 결과값과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둘 중에 하나라도 로우 레벨이면 하이 레벨의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NAND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KR1020050091285A 2005-09-29 2005-09-29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KR10064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85A KR100648931B1 (ko) 2005-09-29 2005-09-29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US11/371,103 US7505702B2 (en) 2005-09-29 2006-03-09 High power supply to control an abnormal load
CN2006101317372A CN1941582B (zh) 2005-09-29 2006-09-29 控制异常负载的高压电源
CN201110199332.3A CN102279536B (zh) 2005-09-29 2006-09-29 控制异常负载的高压电源
US12/365,336 US7715738B2 (en) 2005-09-29 2009-02-04 High power supply to control an abnormal l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85A KR100648931B1 (ko) 2005-09-29 2005-09-29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931B1 true KR100648931B1 (ko) 2006-11-27

Family

ID=3771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285A KR100648931B1 (ko) 2005-09-29 2005-09-29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505702B2 (ko)
KR (1) KR100648931B1 (ko)
CN (2) CN19415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775A (ko) * 2014-05-28 2015-12-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발광 소자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2762B2 (ja) * 2006-08-30 2012-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断線検査方法
JP5181777B2 (ja) * 2008-03-31 2013-04-10 富士通株式会社 電源状態通知方法及び電源状態通知回路
JP5488230B2 (ja) * 2010-06-11 2014-05-14 Smk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US8749217B2 (en) * 2011-06-29 2014-06-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imary voltage sensing and control for converter
JP5799622B2 (ja) * 2011-07-12 2015-10-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WO2013089454A1 (en) * 2011-12-13 201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uction heating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624422B1 (en) * 2012-01-31 2019-08-28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ource, power failure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576945B (zh) * 2014-10-11 2018-11-1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隔离电源控制装置、电源变换装置及其隔离电源控制方法
CN104436269B (zh) * 2014-12-26 2017-12-1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除菌装置及冰箱
CN105915099A (zh) * 2016-04-16 2016-08-31 合肥博雷电气有限公司 一种长脉冲大功率高压电源
CN106656067B (zh) * 2016-12-30 2022-04-15 陕西海泰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用普通运算放大器设计的高电压大功率放大电路
JP2019115185A (ja) * 2017-12-25 2019-07-11 株式会社リコー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00029865A (ko) * 2018-09-11 2020-03-1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고전압 전원 공급 장치에서 결함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8719U (ko) * 1991-03-29 1992-10-19 삼성전기 주식회사 이상 전압에 의한 계기 보호회로
JPH06262364A (ja) * 1993-03-10 1994-09-20 Sansha Electric Mfg Co Ltd プラズマ切断用電源装置
KR19990036716U (ko) * 1998-02-27 1999-09-27 윤종용 헤드카트리지 구동회로 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402Y1 (ko) 1986-12-30 1989-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 듀티 사이클(Half Duty Cycle)을 갖는 카운터 회로
CN1028274C (zh) 1992-09-25 1995-04-19 松下电工株式会社 电源
JPH06308805A (ja) 1993-04-21 1994-11-04 Canon Inc 高電圧電源装置
JPH0915944A (ja) 1995-06-30 1997-01-17 Canon Inc 高圧発生回路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218567A (ja) 1996-02-09 1997-08-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高圧電源装置
JP3506913B2 (ja) 1997-09-22 2004-03-15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00333458A (ja) 1999-05-19 2000-11-30 Canon Inc 高圧電源装置
JP4355058B2 (ja) * 1999-07-27 2009-10-28 日本信号株式会社 電源装置
JP4418734B2 (ja) * 2004-11-08 2010-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ステイプル装置
KR100636222B1 (ko) * 2005-02-02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고압전원장치(hvps)의 asic화된아날로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8719U (ko) * 1991-03-29 1992-10-19 삼성전기 주식회사 이상 전압에 의한 계기 보호회로
JPH06262364A (ja) * 1993-03-10 1994-09-20 Sansha Electric Mfg Co Ltd プラズマ切断用電源装置
KR19990036716U (ko) * 1998-02-27 1999-09-27 윤종용 헤드카트리지 구동회로 보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775A (ko) * 2014-05-28 2015-12-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발광 소자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9468059B2 (en) 2014-05-28 2016-10-11 Dongbu Hi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driving apparatus and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693674B1 (ko) * 2014-05-28 2017-01-0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발광 소자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15738B2 (en) 2010-05-11
US20070071478A1 (en) 2007-03-29
CN102279536A (zh) 2011-12-14
CN1941582A (zh) 2007-04-04
CN1941582B (zh) 2011-10-12
CN102279536B (zh) 2015-06-10
US7505702B2 (en) 2009-03-17
US20090142081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931B1 (ko) 이상 부하 제어 고압 전원 장치
JP531411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における障害条件に対する条件付き応答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084893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US7339804B2 (en) DC-DC converter
JP6111705B2 (ja) 電源システム
US7826239B2 (en) Overload protection delay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KR20140114521A (ko) 스위치 제어 회로,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US808556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KR20070090529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EP1819032A1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comprising a discharging circuit
US20210313794A1 (en) Power supplies with limited power protection and relevant control methods
JP200929679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525353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for performing control of output voltage switching operation
KR101265267B1 (ko) 고압 전원장치
JP2002027740A (ja) 遠隔装置の電源回路
KR100574057B1 (ko) 고압전원장치 및 고압전원 제어방법
JP2021090234A (ja)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電源回路
KR101213696B1 (ko) 과전압 보호 장치
KR200412051Y1 (ko) 전원공급장치
KR100721161B1 (ko) 피드백 단자 회로
KR20070045005A (ko) 이상 전원전압 차단 장치
JP523432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20150040489A (ko)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제어 방법
JP2006129677A (ja) 電源装置
KR20060090879A (ko)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