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879A -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879A
KR20060090879A KR1020050011577A KR20050011577A KR20060090879A KR 20060090879 A KR20060090879 A KR 20060090879A KR 1020050011577 A KR1020050011577 A KR 1020050011577A KR 20050011577 A KR20050011577 A KR 20050011577A KR 20060090879 A KR20060090879 A KR 2006009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t
power
unit
controll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0879A/ko
Publication of KR2006009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2Floating swimming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컨트롤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리셋을 위해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와; 상기 전원의 공급시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출력신호를 기초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셋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리셋부를 제어하는 리셋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라 컨트롤러가 리셋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전자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압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12 : 전원입력부
14 : 정류부 20 : 전원감지부
30 : 리셋제어부 32 : 제1리셋제어부
34 : 제2리셋제어부 40 : 리셋부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라 컨트롤러가 리셋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전자장치의 컨트롤러를 리셋시킨다. 이에 의해, 전자장치는 정전 등을 이유로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작업 중인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주변기기에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 중인 데이터를 저장시키거나 주변기기의 에러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장치는 컨트롤러(500)와, 외부 AC전원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0)와; 전원공급부(100)에서 출력된 전원을 평활하여 전원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감지부(200)와; 리셋신호를 출력하여 컨트롤러(500)를 리셋시키는 리셋부(400)와; 전원감지부(200)에서 출력된 전원감지신호에 따라 리셋부(400)을 제어하는 리셋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감지부(200)는 전원의 노이즈를 감소키키는 커패시터(C11)와, 기준전압과 입력된 전원의 전압을 비교하고, 전원을 평활시키는 비교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의 전자장치는 비교기를 사용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전압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0V이상의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리셋부(400)가 구동되어 전자장치가 구동되고, 90V이하로 외부전원이 낮아지면 리셋부(400)가 전자장치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장치는 용량이 큰 커패시터를 사용하므로, τ=RC 공식에 의해 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시간이 지연된다. 그리고, 비교기를 사용하므로, 전자장치의 가격이 상승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라 컨트롤러가 리셋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컨트롤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리셋을 위해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를 갖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공급시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출력신호를 기초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셋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리셋부를 제어하는 리셋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리셋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셋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리셋제어부와, 상기 제1리셋제어부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제1리셋제어부와 교호적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리셋부를 제어하는 제2리셋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출력신호의 전압을 평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컨트롤러(50)와, 외부 AC전원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와, 전원공급부(10)에서 출력된 전원을 평활하여 전원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감지부(20)와, 리셋신호를 출력하여 컨트롤러(50)를 리셋시키는 리셋부(40)와, 전원감지부(20)에서 출력된 전원감지신호에 의해 리셋부(40)가 리셋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리셋제어부(3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0)는 외부 AC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12)와 입력된 AC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14)를 포함한다. 외부 AC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입력부(12)의 A1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A2입력단자보다 큰 경우, A1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은 정류부(14)의 다이오드(D1), DC 출력부, 다이오드(D3)를 지나서 전원감지부(20)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원입력부(12)의 A2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A1입력단자보다 큰 경우, A2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은 정류부(14)의 다이오드(D2), DC 출력부, 다이오드(D4)를 지나서 전원감지부(20)에 출력될 수 있다.
전원감지부(20)에 입력된 전원은 저항(R1)에서 전압이 분배된 후 B단자에 인가된다. B단자에 인가된 전원은 제너다이오드(D7)의 입력단에 인가된다. 제너다이오드(D7)의 특성상 제너다이오드(D7)에 역방향으로 입력된 전원의 전압이 소정전압보다 작으면 전원은 제너다이오드(D7)에 인가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입력된 전원의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커지면 전원이 제너다이오드(D7)에 인가된다. 제너다이오드(D7)는 전원의 인가여부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커패시터(C1)에 인가한다. 커패시터(C1)는 제너다이오드(D7)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평활하여 리셋출력부(30)에 전원감지신호를 인가한다.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은 방전된다. 이 때, 커패시터(C1)로부터 제너다이오드(D7)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제너다이오드(D7)의 순방향이므로 전압이 0V가 된다.
리셋제어부(30)는 감지신호의 인가여부에 따라 스위칭되어 스위칭된 신호를 리셋부(40)에 인가한다. 이 때, 리셋제어부(30)는 트랜지스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 1개는 물론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셋제어부(30)는 제1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1리셋제어부(32)와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2리셋제어부(34)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겠다.
리셋제어부(30)는 전원감지부(20)로부터 인가된 전원감지신호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된다. 리셋제어부(30)에 마련된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소정 전압의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1트랜지스터가 구동된다. 제1트랜지스터가 구동되면,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가 접지되므로 제2트랜지스터가 구동되지 않는다.
리셋제어부(30)의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소정 전압의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1트랜지스터는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면,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Vcc전압이 인가되므로, 제2트랜지스터가 구동하게 된다.
리셋부(40)는 리셋제어부(30)에 마련된 제2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용에 따라 리셋신호를 출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부(40)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셋제어부(30)에 마련된 제2트랜지스터가 구동되지 않으면, 포토커플러의 다이오드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서 리셋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리셋제어부(30)에 마련된 제2트랜지스터가 구동되면, 포토커플러의 다이오드에 전압이 인가되어 리셋부(40)에 리셋신호가 출력되어 컨트롤러(50)가 리셋된다. 포토커플러를 사용하면, 포토커플러의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서 노이즈에 강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압파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 단자(A1과 A2)에는 교류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시간 t1부터 t2까지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전원이 공급되면, A 단 자에 걸리는 전압은 정류부(14)를 거쳐 B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이 정류된다. B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커패시터(C1)에 의해 C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이 평활된다. 그리고, D단자와 E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도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게 되므로, C단자에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D단자에 리셋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인가되며, E단자에 이에 따른 리셋신호가 인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작은 용량은 커패시터를 사용하므로, 리셋부(50)가 전원공급부(10)에서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빨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장치가 비교기를 사용하여 히스테리시스 작용과 전압을 평활화 하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너다이오드 및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사용하므로 비용 및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셋부가 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컨트롤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리셋을 위해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를 갖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공급시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출력신호를 기초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셋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리셋부를 제어하는 리셋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리셋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리셋제어부와, 상기 제1리셋제어부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제1리셋제어부와 교호적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리셋부를 제어하는 제2리셋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출력신호의 전압을 평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050011577A 2005-02-11 2005-02-11 전자장치 KR20060090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577A KR20060090879A (ko) 2005-02-11 2005-02-11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577A KR20060090879A (ko) 2005-02-11 2005-02-11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879A true KR20060090879A (ko) 2006-08-17

Family

ID=3759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577A KR20060090879A (ko) 2005-02-11 2005-02-11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08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9621B2 (en) Power supply system
US10536089B2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and direct-current power source apparatus
US9998015B2 (en) Insulated synchronous rectification DC/DC converter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to judge occurrence of a switching-incapable state
US9293983B2 (en) Switching power-supply apparatus
JP6578111B2 (ja) 絶縁型の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フィードバック回路、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US11496055B2 (en) Power converter, switch control circuit and short circuit detection method for current sensing resistor of the power converter
JP6410554B2 (ja) 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ac/dcコンバータ、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US10461624B2 (en) Power switch control circuit and open detection method thereof
WO2016132930A1 (ja) 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JP201016672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394675B2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US9525353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for performing control of output voltage switching operation
EP2779400A1 (en) Topology detection
US10938298B1 (en) Power controller of load power detection
JP6842252B2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その保護方法、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JP2014073070A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モータ駆動方法
US9343972B2 (en) Power supply switching rec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input alternating volt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60090879A (ko) 전자장치
JP2013021756A (ja) 電源装置
KR10135826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및 그 오류 검출방법
KR100703211B1 (ko) 교류 전압 검출 회로
JPH06113553A (ja) Acアダプタ
US9826608B2 (en) Standby current supplier
KR102219639B1 (ko) 클램핑 회로,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공급 장치의 구동 방법
JP7279879B2 (ja) 信号変換装置、及びモータ駆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