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161B1 - 피드백 단자 회로 - Google Patents

피드백 단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161B1
KR100721161B1 KR1020050083477A KR20050083477A KR100721161B1 KR 100721161 B1 KR100721161 B1 KR 100721161B1 KR 1020050083477 A KR1020050083477 A KR 1020050083477A KR 20050083477 A KR20050083477 A KR 20050083477A KR 100721161 B1 KR100721161 B1 KR 100721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voltage
voltage
feedback
surge current
secondary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817A (ko
Inventor
장찬규
박태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16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드백 단자 회로에 관한 것으로, 피드백 전압의 상승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출력단에 부하를 인가할 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서지 전류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출력 전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하는 SMPS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1차측으로 피드백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상승시키는 피드백 전압 제어부;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흘러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에서 출력된 피드백 전압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피드백 전압이 상승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 및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를 통해 상승된 피드백 전압과 IC의 구동 전압을 비교하여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IC;를 포함한다.
피드백 전압, 서지 전류,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

Description

피드백 단자 회로{FEEDBACK TERMINAL CIRCUI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의 회로도
도 2는 종래 기술을 이용할 경우, 부하 인가시 발생되는 출력 전류와 출력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부하 인가시 발생되는 출력 전류와 출력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300 : 피드백 단자 회로 310 : 피드백 전압 제어부
311 : 포토 커플러 312 : 피드백 전압 상승부
312a: 제 1 저항 312b: 제 1 캐패시터
320 :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 321 : 스위치
322 : 제 2 캐패시터 323 : 제 2 저항
330 : IC Vfb : 피드백 전압
Isur: 서지 전류
본 발명은 피드백 단자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시간 지연회로 없이 적은 수의 소자만으로 피드백 전압의 상승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낮은 제작 단가로도 회로를 설계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전압의 상승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출력단에 부하를 인가할 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서지 전류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출력 전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피드백 단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방식의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전원회로는 원하는 전압을 쉽게 얻을 수 있고 전원제어가 용이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외부적 원인에 의해 2차측 전원이 단락되거나 또는 서지 전류가 흘러 회로가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상기 전원회로를 보호해주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가장 기본적인 회로 보호 방법으로써, 2차측 전원이 단락되거나 비정상적인 서지 전류(Surge Current)가 흐르는 경우 퓨즈(Fuse) 또는 전자퓨즈를 오픈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해주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은 2차측의 단락 원인이나 서지 전류 흐름 요인을 제거했을 경우 퓨즈를 교체해주거나 처음부터 전원을 투입 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다른 회로 보호 방법으로써, 퓨즈를 오픈시키지 않고도 2차측 전원 단락이나 서지 전류 흐름을 검출하여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고 고장원인이 제거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2차측 전원이 다시 공급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은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출력단에 부하가 인가되어 순간적인 서지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출력 전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100)의 회로도로써,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미도시)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트랜스포머(미도시)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하는 SMPS 전원회로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100)는, 피드백 전압 제어부(110), IC(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110)는, 포토 커플러(111), 상기 포토 커플러(111)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112a)과 상기 저항(112a)과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112b)로 이루어진 피드백 전압 상승부(112)로 구성되며,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110)는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1차측으로 피드백되는 전압(Vfb)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하여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Vfb)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IC(120)는 PWM과 MOSFET을 하나의 칩으로 구성한 IC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피드백 단자 회로(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차측에 서지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출력 전압은 일정 범위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출력 전압이 5V 인 경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출력 전압은 4.75V 내지 5.25V 범위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2차측의 포토 커플러(미도시)는, 상기 떨어진 출력 전압을 1차측에 피드백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단자 회로(100)의 피드백 전압 제어부(110)는 2차측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전압(Vfb)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상승된 피드백 전압(Vfb)이 상기 IC(120)의 구동 전압보다 커질 때, 상기 IC(120)는 2차측에 비정상적인 서지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인식하고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 시켜 트랜스포머의 2차측을 차단시키며, 이에 따라 출력 전압은 다시 상승하지 못하고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는, 출력단에 부하를 인가할 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서지 전류를 비정상적인 서지 전류로 잘못 인식하여 2차측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는 종래 기술을 이용할 경우, 부하 인가시 발생되는 출력 전류 (Iout)와 출력 전압(Vout)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인가시 발생되는 서지 전류(Isur)는 빠른 시간(통상적으로 10 ㎲ 이내; T) 내에 소멸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순간적인 서지 전류(Isur)를 비정상적인 서지 전류로 잘못 인식하여 2차측 전원의 공급을 차단함에 따라, 상기 서지 전류(Isur)가 소멸된 이후에도 출력 전압(Vout)은 다시 상승하지 못하고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의 시간 지연회로 없이 적은 수의 소자만으로 피드백 전압의 상승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낮은 제작 단가로도 회로를 설계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전압의 상승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출력단에 부하를 인가할 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서지 전류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출력 전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피드백 단자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하는 SMPS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1차측으로 피드백되는 전압을 검출하 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상승시키는 피드백 전압 제어부;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흘러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에서 출력된 피드백 전압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피드백 전압이 상승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 및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를 통해 상승된 피드백 전압과 IC의 구동 전압을 비교하여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I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검출하는 포토 커플러; 및 상기 포토 커플러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제 1 캐패시터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상승시키는 피드백 전압 상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는, 소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승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이 소정의 시간이 되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 중 일정 크기의 전압을 충전하는 제 2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캐패시터에 충전된 피드백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정 크기의 전압은 상기 IC의 구동 전압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제너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 전압 중 일정 크기의 전압은, 상기 IC의 구동 전압에서 상기 소정 크기의 전압을 차감한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은 1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캐패시터는, 5 ㎌ 이상의 용량을 가진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IC는,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 이후에도 서지 전류가 흘러 상승된 피드백 전압이 상기 IC의 구동 전압보다 커질 때에는, 상기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 시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C는,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 이내에 서지 전류가 소멸되어 피드백 전압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를 턴 온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300)의 회로도로써,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미도시)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트랜스포머(미도시)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하는 SMPS 전원회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피드백 단자 회로(300)는, 피드백 전압 제어부(310),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320), IC(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310)는, 포토 커플러(311) 및 상기 포토 커플러(311)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저항(312a)과 상기 제 1 저항(312a)과 병렬로 연결된 제 1 캐패시터(312b)로 이루어진 피드백 전압 상승부(312)로 구성되며,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310)의 포토 커플러(311)에서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1차측으로 피드백되는 전압을(Vfb)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Vfb)을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부(312)에서 제어하여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Vfb)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320)는, 스위치(321), 상기 스위치(321)와 연결된 제 2 캐패시터(322), 상기 제 2 캐패시터(322)와 병렬로 연결된 제 2 저항(323)으로 구성되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흘러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310)에서 출력된 피드백 전압(Vfb)이 상승되는 경우, 상기 출력된 피드백 전압(Vfb)이 상승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스위치(321)는, 소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를 흐르게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크기의 전압은 상기 IC(330)의 구동 전압보다 작은 값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스위치(321)로는 통상적으로 제너 다이오드를 가장 많이 사용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위치로서 제너 다이오드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가 제너 다이오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 캐패시터(322)는 상기 피드백 전압(Vfb)이 상승되는 시간을 지연 시켜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이 소정의 시간이 되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Vfb) 중 일정 크기의 전압을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피드백 전압(Vfb) 중 일정 크기의 전압은, 상기 IC(330)의 구동 전압에서 상기 소정 크기의 전압을 차감한 전압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캐패시터(322)는, 상기 IC(330)의 구동 전압에서 상기 소정 크기의 전압을 차감한 전압을 충전하여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을 지연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을 10 ㎲ 이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이 10 ㎲ 이상이 되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을 지연시키는 이유는, 부하 인가시 발생되는 서지 전류가 통상적으로 10 ㎲ 안에 소멸되므로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을 10 ㎲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부하 인가시 발생되는 순간적인 서지 전류를 비정상적인 서지 전류로 잘못 인식하여 2차측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을 10 ㎲ 이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캐패시터(322)의 용량을 조정해야 하는데, 적어도 5 ㎌ 이상의 용량을 가진 캐패시터를 사용해야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을 10 ㎲ 이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저항(323)은 상기 제 2 캐패시터(322)에 충전된 피드백 전압을 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음에도 발생할 수 있는 순간적인 서지 전류를 대비하기 위해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저항(323)은 상기 제 2 캐패시터(322)에 병렬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IC(330)는,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310) 및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320)를 통해 상승된 피드백 전압(Vfb)과 IC(330)의 구동 전압을 비교하여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IC(330)는,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 이후에도 서지 전류가 흘러 상승된 피드백 전압(Vfb)이 상기 IC(330)의 구동 전압보다 커질 때에는,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 시켜 트랜스포머의 2차측을 차단하며,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 이내에 서지 전류가 소멸되어 피드백 전압(Vfb)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를 턴 온 상태로 유지하여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피드백 단자 회로(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차측에 서지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출력 전압은 일정 범위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2차측의 포토 커플러(미도시)는, 상기 떨어진 출력 전압을 1차측에 피드백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단자 회로(300)의 피드백 전압 제어부(310)는 2차측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전압(Vfb)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Vfb)을 제어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상승시킨다.
그 다음,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320)의 제너 다이오드(321)는 상기 IC(330)의 구동 전압보다 그 크기가 작은 전압을 제너 전압으로 선정하여 상기 제너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를 흐르게 하고, 상기 IC(330) 구동 전압에서 상기 제너 전압을 차감한 전압은 상기 제 2 캐패시터(322)에 충전된다. 이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의 상승시간이 지연되어 상기 피드백 전압(Vfb)의 상승시간은 10 ㎲ 이상이 된다.
즉, 예를 들어, IC(330)의 구동 전압이 7V, 제너 전압이 5V라고 한다면, 상기 제너 다이오드(321)에 5V가 인가될 때, 상기 제너 다이오드(321)는 전류를 흐르게 하고, 상기 IC(330)의 구동 전압에서 상기 제너 전압을 차감한 전압(2V)은 상기 제 2 캐패시터(322)에 충전됨으로써 피드백 전압(Vfb)의 상승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인 10 ㎲가 지난 이후에도 서지 전류가 흘러 상승된 피드백 전압(Vfb)이 상기 IC(330)의 구동 전압보다 커질 때에는, 상기 IC(330)는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 시켜 트랜스포머의 2차측을 차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10 ㎲ 이내에 서지 전류가 소멸되는 경우에는 피드백 전압(Vfb)이 하강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가 턴 온 상태로 유지되어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 2 캐패시터(322)에 충전된 전압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 2 저항(323)에 의해 방전되어 다음에도 발생될 수 있는 순간적인 서지 전류에 대비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부하 인가시 발생되는 출력 전류(Iout)와 출력 전압(Vout)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단자 회로를 이용할 경우, 부하 인가시 발생되는 순간적인(통상적으로 10 ㎲ 이내; T) 서지 전류(Isur)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상기 서지 전류(Isur)가 소멸된 이후에는 출력 전압(Vout)이 다시 상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단자 회로에 의하면, 별도의 시간 지연회로 없이 적은 수의 소자만으로 피드백 전압의 상승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낮은 제작 단가로도 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드백 전압의 상승시간을 지연시켜 출력단에 부하를 인가할 때 발생 되는 순간적인 서지 전류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출력 전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하는 SMPS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1차측으로 피드백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상승시키는 피드백 전압 제어부;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흘러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에서 출력된 피드백 전압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피드백 전압이 상승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 및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 및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를 통해 상승된 피드백 전압과 IC의 구동 전압을 비교하여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IC;를 포함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검출하는 포토 커플러; 및
    상기 포토 커플러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제 1 캐패시터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된 피드백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2차측에 서지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상승시키는 피드백 전압 상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 지연부는,
    소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승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이 소정의 시간이 되도록 상기 피드백 전압 중 일정 크기의 전압을 충전하는 제 2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캐패시터에 충전된 피드백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의 전압은 상기 IC의 구동 전압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제너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중 일정 크기의 전압은, 상기 IC의 구동 전압에서 상기 소정 크기의 전압을 차감한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은 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패시터는, 5 ㎌ 의 용량을 가진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IC는,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 이후에도 서지 전류가 흘러 상승된 피드백 전압이 상기 IC의 구동 전압보다 커질 때에는,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 시켜 트랜스포머 의 2차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IC는,
    상기 피드백 전압 상승시간 이내에 서지 전류가 소멸되어 피드백 전압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를 턴 온 상태로 유지하여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2차측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단자 회로.
KR1020050083477A 2005-09-08 2005-09-08 피드백 단자 회로 KR10072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477A KR100721161B1 (ko) 2005-09-08 2005-09-08 피드백 단자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477A KR100721161B1 (ko) 2005-09-08 2005-09-08 피드백 단자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817A KR20070028817A (ko) 2007-03-13
KR100721161B1 true KR100721161B1 (ko) 2007-05-23

Family

ID=3810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477A KR100721161B1 (ko) 2005-09-08 2005-09-08 피드백 단자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835B1 (ko) 2007-08-09 201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7970A (ja) * 1988-09-22 1990-03-28 Fujitsu Ltd 自励式スイッチィング電源における過電圧保護回路
KR20000039009A (ko) * 1998-12-10 2000-07-05 윤종용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000073132A (ko) * 1999-05-06 2000-12-05 구자홍 스위칭 전원장치
JP2003339160A (ja) 2002-05-20 2003-11-28 Sanken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7970A (ja) * 1988-09-22 1990-03-28 Fujitsu Ltd 自励式スイッチィング電源における過電圧保護回路
KR20000039009A (ko) * 1998-12-10 2000-07-05 윤종용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000073132A (ko) * 1999-05-06 2000-12-05 구자홍 스위칭 전원장치
JP2003339160A (ja) 2002-05-20 2003-11-28 Sanken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835B1 (ko) 2007-08-09 201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US8836312B2 (en) 2007-08-09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817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4231B2 (en)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for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unit
JP498737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における障害条件に対する条件付き応答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149098B1 (en) Over-power protection apparatus with programmable over-current threshold
US7242596B2 (en)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US8159846B2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and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US20140146581A1 (en) Power Controller with Over Power Protection
JP486750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161783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US7440295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active load detection function,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6816392B2 (en) Overcurrent output protecting circuit and constant-voltage switching power supply incorporating the same
US20030128556A1 (en) Voltage sense method and circuit for start-up of parallel switching converters with output current bi-directional switches
KR20060012955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와 그 스위칭 제어 장치
US6804126B2 (en) Power supply start up circuit
US7439719B2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with off period adjustment
JP200929679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721161B1 (ko) 피드백 단자 회로
JPH0622544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429066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2077608B1 (en) Drive circuit for a switch in a switching converter
US20210044199A1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900783B (zh) 过功率保护电路、充电器及过功率保护方法
KR100905835B1 (ko) Pdp 전원장치
KR0138560Y1 (ko) 전원 단락 보호회로
JP200312557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100624087B1 (ko) 단락 방지 회로를 구비한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