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972B1 -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972B1
KR100647972B1 KR1020050105506A KR20050105506A KR100647972B1 KR 100647972 B1 KR100647972 B1 KR 100647972B1 KR 1020050105506 A KR1020050105506 A KR 1020050105506A KR 20050105506 A KR20050105506 A KR 20050105506A KR 100647972 B1 KR100647972 B1 KR 100647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unit
power
load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478A (ko
Inventor
고지 미기타
료타 소케이
진 다케하나
게이타로 다카사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5/00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detecting deviations in the electric input to the system and thereby controlling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obtain a regulated out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atch Board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의 과제는 사양에 맞춰 전원출력의 도출구를 바꿀 수 있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 케이스 본체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인 유닛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인보드 및 플러그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을 갖고, 복수개의 플러그인 유닛을 수납한다. 케이스 본체에 수납되는 플러그인 유닛은, 케이스 본체의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와, 전원 커넥터로부터 입력한 전원을 브레이커를 통하여 입력하여 제어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조정부와,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앞면부로부터 빼내고 부하로의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출력 단자대와, 브레이커의 배치위치에 대면하는 앞면부에 설치된 통풍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원장치{POWER SUPPL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내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좌측의 출력 단자대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각의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측의 출력 단자에 부하선을 접속한 경우의 전원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하선을 접속한 출력 단자대의 앞면측을 앞면커버로 덮은 전원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내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출력 커넥터와 케이스 본체의 커넥터의 접속 부분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케이스 본체의 메인보드로에서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은 종래의 전원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을 빼낸 상태에서의 케이스 본체의 내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원장치 12 : 케이스 본체
13 : 플러그인 유닛 14 : 전원라인
15 : 단자대 16 : 메인보드
17 : 전원 커넥터 18 : 브레이커
19 : 전력 조정부 20 : 출력 커넥터
21 : 출력 단자대 22 : 배선
23 : 통풍구 24 : 파지부
25 : 가이드 기구부 26 : 배선
27 : 커넥터 28 : 어드레스 신호선
29 : 전원동기 신호선 30 : 컨트롤 유닛
31 : 중성선 32 : 출력단자
33 : 부하선
[특허문헌 1]
미국특허 제5352958호 명세서
본 발명은, 조명장치나 통신장치 등의 부하(負荷)에 조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극장이나 무대 등의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조명장치에는, 조광장치로부터의 조광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장치에 의해 전원이 조정되어, 그 조정된 전력이 부하인 조명장치에 공급되어 조명장치가 점등된다.
그러한 전원장치는, 통상, 유닛구조의 플러그인 유닛을 준비하여, 복수개의 플러그인 유닛을 랙 형상의 케이스 본체에 수납하여 형성된다(예를 들면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의 특허문헌 1 참조). 도 11 및 도 12는 종래의 전원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11은 사시도, 도 12는 플러그인 유닛을 빼낸 상태에서의 케이스 본체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전원장치(11)의 케이스 본체(12)에 복수개의 플러그인 유닛(13)이 삽입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2)의 하부에는 컨트롤 유닛(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12개의 플러그인 유닛(13)이 삽입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전원장치(11)의 케이스 본체(12)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라인 (14a, 14b, 14c)이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인 유닛(13)의 배면측에 설치된 도시 생략의 전원 커넥터가 이 전원라인(14a, 14b, 14c)에 접속되어 플러그인 유닛(13)에 전원이 공급된다. 예를 들면, 전원라인(14a)은 R상과 중성선(31), 전원라인(14b)은 S상과 중성선, 전원라인(14c)은 T상과 중성선(31)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인 유닛(13)의 배면측에는 도시 생략의 출력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인 유닛(13)을 케이스 본체(12)에 삽입했을 때에, 출력 커넥터가 케이스 본체(12)에 설치된 단자대(15)와 접속되어, 부하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2)에는 게이트 웨이 유닛(컨트롤 유닛)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인보드(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사양에 따라서는 플러그인 유닛(13)의 배면부의 출력 커넥터에 의해 케이스 본체(12)에 설치된 단자대(15)와 접속하여, 공구 없이 플러그인 유닛(13)을 빼내고 꽂아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 단자대로부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의 요청이 있다. 이것들을 별도의 사양으로서 전용으로 제작하면 고비용이 된다.
또한, 플러그인 유닛(13)의 배면부의 출력 커넥터에 의해 접속한 경우, 배면측의 부하선의 절연저항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플러그인 유닛(13)의 모든 것을 분해하여 케이스 본체(12)의 단자대(15)에서 시험할 필요가 있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예를 들면 3상 4선 전원의 동기신호의 선 택을 각 플러그인 유닛(13)측에서 실시하고 있으므로, 플러그인 유닛(13)이 고장났을 경우의 교환할 때 등에 예비의 플러그인 유닛(13)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동기신호의 선택을 플러그인 유닛(13)측에서 설정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 설정의 차이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양에 맞춰 전원출력의 도출구를 바꿀 수 있어, 플러그인 유닛을 분해하는 일 없이 케이스 본체의 단자대에서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할 수 있고, 게다가 데이터 설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인 유닛과;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인보드 및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플러그인 유닛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입력한 전원을 브레이커를 통하여 입력하고 제어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조정부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빼내고 상기 부하로의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출력 단자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및 이하의 발명에 있어서, 특히 지정하지 않는 한 용어의 정의 및 기술적 의미는 다음에 따른다. 플러그인 유닛은 케이스 본체에 끼우고 분리하기 가능한 유닛이며, 케이스 본체에 삽입하는 것으로 플러그인 유닛의 전원 커넥터가 케이스 본체의 전원라인에 접속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부하는 예를 들면 조명장치이다. 부하가 조명장치인 경우, 플러그인 유닛의 전력 조정부는 조광기이고, 전원 커넥터로부터 입력한 전원을 브레이커를 통하여 입력하여, 조명장치로의 조광제어된 전력을 출력한다.
출력 단자대는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에 설치되어,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빼내고 부하로의 배선을 접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하로의 접속은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에 설치된 출력 단자대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의 출력 단자대에 시험장치를 접속하여 부하선의 시험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인 유닛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일 없이,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의 출력 단자대를 이용하여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인 유닛과;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인보드 및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플러그인 유닛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입력한 전원을 브레이커를 통하여 입력하고 제어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조정부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빼내고 상기 부하로의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출력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 커넥터와 배선된 출력 단자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대하여,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빼내고 부하로의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출력 커넥터를 플러그인 유닛의 배면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출력 커넥터와 출력 단자대를 배선으로 접속한 것이다. 통상의 사용시에는 출력 커넥터로부터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빼내고 부하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의 출력 단자대에 시험장치를 접속하여 부하선의 시험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인 유닛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일 없이,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의 출력 단자대를 이용하여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대는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출력 단자대 사이에는 단차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출력 단자대는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의 끝단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끝단부에 설치한 서로 이웃하는 출력 단자대 사이에는 단차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것은, 출력 단자대에 접속되는 부하선의 배선을 가지런하게 실시하기 위함이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삽입되었을 때,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전원동기용의 동기신호 등을 상기 메인보드측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인보드측에서 각 플러그인 유닛에 대한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전원동기 신호를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즉, 플러그인 유닛이 고장난 경우의 예비의 플러그인 유닛으로의 교환의 때에는, 각 플러그인 유닛에 대한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전원동기 신호는 메인보드측에서 설정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내부 평면도, 도 2는 사시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부하는 조명장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인 유닛(13)에는, 전원장치의 케이스 본체의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커넥터(17a)는 3상 전원의 1상과 접속되고 전원 커넥터(17b)는 중성선(접지선)에 접속되어 단상의 교류전원이 플러그인 유닛(13)에 입력된다.
전원 커넥터(17a, 17b)로부터 입력한 전원은 브레이커(18a, 18b, 18c)를 통하여 전력 조정부(조광기)(19a, 19b, 19c)에 입력되고, 전력 조정부(19a, 19b, 19c)에서 각각 조광제어를 위해 위상 제어된 전력이 생성된다. 3개의 전력 조정부(19a, 19b, 19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1개의 플러그인 유닛(13)에 3개의 조명장치를 접속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플러그인 유닛(13)의 배면부에는 출력 커넥터(20)가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인 유닛(13)의 앞면부에는 출력 단자대(21a, 21b, 21c)가 설치되고 있다. 도 1에서는 전력 조정부(19a, 19b, 19c)가 출력 단자대(21a, 21b, 21c)에 배선(22a, 22b, 22c)에 의해 각각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력 조정부 (19a, 19b, 19c)에서 각각 조광제어를 위해 위상 제어된 전력은, 출력 단자대(21a, 21b, 21c)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출력 단자대(21a, 21b, 21c)는,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출력 단자대(21a, 21b)는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의 좌측 끝단부에 설치되고, 출력 단자대(21c)는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의 우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의 좌측 끝단부에 설치된 서로 이웃하는 출력 단자대(21a, 21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부(h)를 유지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출력 단자대(21a, 21b, 21c)를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의 양 끝단부에 설치하거나, 서로 이웃하는 출력 단자대(21a, 21b)에 단차부(h)를 갖게 하는 것은, 출력 단자대(21a, 21b, 21c)로의 부하선의 배선을 가지런하게 실시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좌측의 출력 단자대(21a, 21b)의 부분 사시도이다. 서로 이웃하는 출력 단자대(21a, 21b)는 단차부(h)를 갖고서 설치되고, 출력 단자대(21a, 21b)의 각각의 출력단자(32a1, 32a2, 32b1, 32b2)에는, 좌측 방향으로부터 부하선(33a1, 33a2, 33b1, 33b2)이 꽂아 넣어져서 접속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대(21a)의 부하선(33a)과 출력 단자대(21b)의 부하선(33b)이 인출되는 위치는, 단차부(h)만큼 어긋나므로 서로 얽히는 일 없이 가지런하게 배선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h)의 옆쪽으로부터 부하선이 접속하도록 단차부 내에 수납 오목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양측의 가장 끝단부에 접속되는 부하선은,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로부터 옆쪽으로 배선되기 때문에, 부하선의 발열의 영향을 플러그인 유닛이 받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각각의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측의 출력단자(32)에 부하선 (33)을 접속한 경우의 전원장치(11)의 사시도이다. 출력 단자대(21a)의 출력단자(32a, 32b)의 부하선(33a)은,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측으로 빼내고, 또한, 출력 단자대(21b)의 출력단자(32b)의 부하선(33b)도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측으로 빼내게 된다.
도 7은 부하선(33)을 접속한 출력 단자대(21a, 21b)의 앞면측을 앞면커버(34a, 34b)로 덮은 전원장치(11)의 사시도이다. 각각의 플러그인 유닛(13)의 출력단자(32)에 부하선(33)을 접속한 후, 좌측은 앞면커버 34a로 덮어 부하선(33a)이 얽히는 것을 방지하고, 우측은 앞면커버 34b로 덮어 부하선(33b)이 얽히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플러그인 유닛(13)의 전체가 아니라, 부하선 33a의 일부분(좌측부분) 및 부하선 33b의 일부분(우측부분)만을 덮는 것은, 플러그인 유닛(13)의 중앙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3…통풍구(23a, 23b)가 설치되어 있어, 냉각풍을 통풍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전력 조정부(19a, 19b, 19c)를 출력 커넥터(20)의 배선에 의해 각각 접속한 경우에는, 전력 조정부(19a, 19b, 19c)에서 각각 조광제어하기 위해 위상 제어된 전력은, 출력 커넥터(20)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느 쪽으로부 터도 전원출력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출력단자대(21a, 21b, 21c)로부터 출력하는 경우에는 플러그인 유닛(13)의 배면부의 출력 커넥터(20)를 제외하도록 해도 좋다.
브레이커(18a∼18c)의 배치 위치에 대면하는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에는 냉각풍을 집어넣기 위한 통풍구(23a, 23b)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에는 파지부(24)가 설치되고, 옆면부에는 가이드 기구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에 플러그인 유닛(13)을 삽입할 때에는, 그 가이드 기구(25)가 케이스 본체의 레일에 걸어맞춤하여 삽입되고, 케이스 본체로부터 플러그인 유닛(13)을 빼내는 경우에는 파지부 (24)를 손으로 빼내는 것이 된다.
파지부(24)는 앞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돌출량은 출력 단자대(21a, 21b, 21c)에 접속된 부하선이 앞면측으로 돌출하는 양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파지부(24)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플러그인 유닛(13)을 빼내는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출력 단자대(21a, 21b, 21c)에 접속된 부하선을 보호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인 유닛(13)의 배면부의 출력 커넥터에 의해 케이스 본체(12)에 설치된 단자대(15)와 접속하여 공구 없이 플러그인 유닛(13)을 빼고 꽂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 단자대로부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의 쌍방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이것들을 별도 사양으로서 전용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내부 평면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전력 조정부(19a, 19b, 19c)를 출력 단자대(21a, 21b, 21c)에 접속하는 것을 대신하여, 출력 커넥터(20)에 접속하여,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에 설치된 출력 단자대(21a, 21b, 21c)와 출력 커넥터(20)를 배선(26a, 26b, 26c)으로 접속한 것이다. 도 1과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력 조정부(19a, 19b, 19c)는 출력 커넥터(2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사용시에는, 전력 조정부(19a, 19b, 19c)에서 조정된 전력은 출력 커넥터(20)로부터 빼내고 부하인 조명장치에 공급된다.
한편, 케이스 본체 내부의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의 출력 단자대(21a, 21b, 21c)에 시험 장치를 접속하여 부하선의 시험을 실시한다. 즉,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에 설치된 출력 단자대(21a, 21b, 21c)는 배선(26a, 26b, 26c)으로 출력 커넥터(20)와 접속되어 있으므로, 출력 단자대(21a, 21b, 21c)로부터 시험전원을 공급하여 출력 커넥터(20)를 경유하여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인 유닛(13)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일 없이, 플러그인 유닛(13)의 앞면부의 출력 단자대(21a, 21b, 21c)를 이용하여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하므로,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시험을 단축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장치의 플러그인 유닛의 출력 커넥터와 케이스 본체의 커넥터의 접속 부분의 구성도이다. 이 제 3 실시형태는, 플러그인 유닛(13)이 케이스 본체에 삽입되었을 때,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전원 동기용의 동기신호 등을 메인보드(16)측에서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케이스 본체에는 메인보드(16)가 설치되어 있고, 신호선을 통하여 커넥터(27a, 27b, 27c)가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은, 예를 들면 어드레스 신호선(28a, 28b, 28c)이나 3상의 전원동기 신호선(29a, 29b, 29c)이다. 이 경우, 전원동기 신호선 29a는 예를 들면 3상의 R상의 전원동기 신호선, 전원동기 신호선 29b는 예를 들면 3상의 S상의 전원동기 신호선, 전원동기 신호선 29a는 예를 들면 3상의 T상의 전원동기 신호선이다. 또한, 메인보드(16)에는 어드레스 신호선(34) 및 전원동기 신호선(35)을 통하여 커넥터(33)가 접속되고, 이 커넥터(33)에는, 커넥터(32)를 통하여 컨트롤 유닛(게이트 웨이 유닛)(30)이 접속되어 있다.
지금, 플러그인 유닛(13a)의 출력 커넥터(20a)를 케이스 본체측의 커넥터(27a)에 접속했다고 하면, 메인보드(16)는, 그 플러그인 유닛(13a)에 대한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전원동기 신호를 메인보드(16)측에서 설정한다.
도 10은 메인보드(16)에서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새롭게 삽입된 플러그인 유닛(13)이 있는지를 판정하고(S1), 새롭게 삽입된 플러그인 유닛(13)이 있는 경우에는, 새롭게 플러그인 유닛(13)이 삽입된 커넥터를 판별한다(S2). 그리고 판별한 커넥터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전원동기용의 동기신호를 설정한다(S3). 각각의 커넥터에는 미리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므 로, 그 식별신호를 토대로 어드레스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그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3상의 R상, S상, T상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전원동기용의 동기신호에 대해서도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3상 각 상을 식별하게 된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메인보드(16)측에서 각 플러그인 유닛(13)에 대한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전원동기용의 동기신호를 설정하므로, 플러그인 유닛(13)을 케이스 본체의 어느 커넥터(27)에 삽입해도 플러그인 유닛(13)을 적절하게 탑재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사양에 맞춰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에 출력 단자대를 설치하고,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출력 단자대에 빼내고 부하로의 배선을 접속하므로, 사양에 맞춰 전원출력의 도출구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인 유닛을 분리하는 일 없이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의 출력 단자대에서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할 수 있어, 시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을 낮출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부하로의 전력공급은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출력 커넥터로부터 공급하고, 부하선의 절연시험은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에 설치된 출력 단자대를 이용하여 실시하므로, 플러그인 유닛을 분리하는 일 없이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의 출력 단자대에서 부하선의 절연시험을 실시할 수 있어, 시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을 낮출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출력 단자대에 접속되는 부하선을 가지런하게 배 선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인 유닛측에서의 데이터 설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플러그인 유닛이 고장난 경우, 예비의 플러그인 유닛으로의 교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인 유닛을 탑재하는 슬롯도 한정되지 않게 된다.

Claims (4)

  1.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인 유닛과;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인보드 및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플러그인 유닛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입력한 전원을 브레이커를 통하여 입력하여 제어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조정부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빼내고 상기 부하로의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출력 단자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2.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인 유닛과;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인보드 및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플러그인 유닛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전원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커넥터로부터 입력한 전원을 브레이커를 통하여 입력하여 제어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조정부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배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조정부에서 조정된 전력을 빼내고 상기 부하로의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출력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와 배선된 출력 단자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대는 상기 플러그인 유닛의 앞면부 끝단부에 설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출력 단자대간에는 끝단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유닛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삽입되었을 때, 전송 신호용의 어드레스나 전원 동기용의 동기신호 등을 상기 메인보드측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KR1020050105506A 2004-11-05 2005-11-04 전원장치 KR100647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1560 2004-11-05
JPJP-P-2004-00321560 2004-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478A KR20060052478A (ko) 2006-05-19
KR100647972B1 true KR100647972B1 (ko) 2006-11-23

Family

ID=3675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506A KR100647972B1 (ko) 2004-11-05 2005-11-04 전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23509B2 (ko)
KR (1) KR100647972B1 (ko)
CN (1) CN17700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8244B2 (ja) * 2007-03-08 2012-01-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分電盤
JP7404965B2 (ja) 2020-03-24 2023-12-26 Toto株式会社 浴室用電源装置、および浴室機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795A (ja) * 1984-10-03 1986-05-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光ユニツト
JPS6188709A (ja) * 1984-10-03 1986-05-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光制御盤
US5352958A (en) * 1992-11-19 1994-10-04 Cunningham David W Lighting control system dimmer module with plug-in electrical contacts
JPH11154044A (ja) * 1997-11-21 1999-06-08 Fujitsu Ltd カード接続アダプタ
JPH11162245A (ja) * 1997-11-25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調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0050A (zh) 2006-05-10
JP4923509B2 (ja) 2012-04-25
JP2006158184A (ja) 2006-06-15
KR20060052478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40740A1 (en) Wiring circuit board
US200201352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N101507357B (zh) 具有分离式外壳的负载控制装置
CA1151315A (en) Electrical equipment
US6556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power in a media converter system
CN105356304B (zh) 输出配电模块及配电柜
KR100647972B1 (ko) 전원장치
US20080316005A1 (en) Communication by carrier current for centralized control centers
US20020013087A1 (en) Wiring interface
US63170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power in a media converter system
FI92448B (fi) Järjestelmä jännitteen järjestämiseksi useaan sähköisen yksikön yhteiseen jännitelinjaan
CN206195248U (zh) 带电更换同杆多回路杆塔上设备的旁路设备
CN216353975U (zh) 拼接式扩展继电器开关设备
CN212114222U (zh) 一种机柜内数据的输出装置
CN213184662U (zh) Led显示屏的供电电路及电子设备
CN107431336B (zh) 控制盘以及控制盘的更新方法
CN106300029A (zh) 一种实现配电的方法及装置
WO2024026837A1 (zh) 一种基于模块化的电源配电单元及电源配电系统
KR102625538B1 (ko) 릴레이보드 탈부착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US11575221B2 (en) Junction box
US20220077663A1 (en) Modular and scalable power distribution
US119966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put power to a power distribution unit
CN216545775U (zh) 一种基于直流母线布置的抽屉式充电桩
CN212991510U (zh) 实现列头柜末端调相的快速插拔端子及列头柜配电回路
US20220341574A1 (en) Support rails for luminaires or electrcial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