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801B1 - 복숭아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복숭아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801B1
KR100647801B1 KR1020060041212A KR20060041212A KR100647801B1 KR 100647801 B1 KR100647801 B1 KR 100647801B1 KR 1020060041212 A KR1020060041212 A KR 1020060041212A KR 20060041212 A KR20060041212 A KR 20060041212A KR 100647801 B1 KR100647801 B1 KR 100647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ch
bar
actuator
compressed water
was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현
김종훈
김병삼
최춘영
장관옥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음성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음성군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4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을 통해 강하게 분출되는 압축수를 통해 복숭아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복숭아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복숭아의 상측에서 일정한 싸이클로 각운동하며 압축수를 분사하는 상측분사부와, 상기 복숭아의 이송방향의 좌우측에서 일정한 싸이클로 각운동하며 압축수를 분사하는 측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숭아, 세척, 침지, 노즐, 압축수

Description

복숭아 세척장치{Washing device for a peach}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숭아의 표면세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 세척장치를 장착한 복숭아 표면세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 세척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복숭아 세척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 세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복숭아 세척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 세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복숭아 100: 복숭아 탈모장치
200: 복숭아 세척장치 201: 메인바디
210: 상측고정바 211: 상측작동바
212: 상측액츄에이터 213: 고정프레임
215: 상측링크 216: 조인트
217: 상측샤프트 218: 상측분사노즐
219: 상측보정링크 220: 측면고정부재
221: 측면작동바 222: 측면액츄에이터
225: 측면링크 226: 조인트
227: 측면샤프트 228: 측면분사노즐
229: 측면보정링크 230: 마찰바
300: 복숭아 탈수장치 400: 복숭아 건조장치
500: 이송컨베이어 501: 이송컨베이어프레임
502: 절곡부 503,504: 직선부
510: 이송롤러 520: 체인
본 발명은 복숭아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을 통해 강하게 분출되는 압축수를 통해 복숭아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복숭아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복숭아를 세척하기 위하여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세척방식은 침지식으로 수조 등에 많은 양의 복숭아를 침지시키고, 진동 등을 통해 복숭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형식이다.
이는 침지된 복숭아 상호간에 충돌로 인하여 복숭아의 외관상 제품가치를 손상시킬 뿐 아니라, 복숭아에 스트레스를 줘서 당도를 떨어뜨려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침지방식의 병폐인 물과 긴 접촉시간에 의한 호흡율 증가 및 부패의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을 통해 강하게 분출되는 압축수를 통해 복숭아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압축수분출방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며, 복숭아를 회전시켜 압축수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복숭아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숭아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은, 복숭아를 세척하기 위한 복숭아 세척장치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복숭아의 상측에서 일정한 싸이클로 각운동하며 압축수를 분사하는 상측분사부와, 상기 복숭아의 이송방향의 좌우측에서 일정한 싸이클로 각운동하며 압축수를 분사하는 측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세척장치이다.
상기 압축수는 상기 복숭아에 대해 경사져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복숭아가 놓여지는 이송롤러가 전동수단에 의 해 움직이고, 상기 복숭아 세척장치에 상기 이송롤러가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바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측분사부는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상측고정바와, 상기 상측고정바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상측샤프트와, 상기 상측샤프트와 일체인 상측분사노즐과, 상기 다수의 상측샤프트와 일단이 연결되는 상측링크와, 상기 다수의 상측링크의 타단이 조인트로 연결되는 상측작동바와, 상기 상측작동바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상측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분사부는 메인바디에 고정설치되는 측면고정부재와, 상기 측면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측면샤프트와, 상기 측면샤프트와 일체인 측면분사노즐과, 상기 다수의 측면샤프트와 일단이 연결되는 측면링크와, 상기 다수의 측면링크의 타단이 조인트로 연결되는 측면작동바와, 상기 측면작동바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측면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측작동바와 상기 상측액츄에이터 사이에는 상측보정링크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작동바와 상기 측면액츄에이터 사이에는 측면보정링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복숭아의 표면세척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상기 복숭아의 표면세척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복숭아의 세모를 제거하는 탈모공정(S10)과, 상기 탈모된 복숭아를 물에 의해 세척하는 세척공정(S20)과, 상기 세척된 복숭아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공정(S30)과, 상기 물기가 제거된 복숭아를 살균 및 건조하는 건조공정(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개개의 복숭아를 포장하는 포장공정(S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500)는 직선부(503,504)와 굴곡부(502)를 가진다.
도 2는 이러한 복숭아의 표면세척 방법을 구현하는 복숭아 표면세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연속되는 이송컨베이어(500) 상에, 복숭아 탈모장치(100), 복숭아 세척장치(200), 복숭아 탈수장치(300) 및 복숭아 건조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 중 복숭아 세척장치(200)에 관한 것이며, 다른 탈모장치(100), 탈수장치(300) 및 건조장치(400)에 대한 언급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 세척장치(200)의 정단면도로써, 복숭아(10)의 상측에서 압축수를 분무하는 상측분사부의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의 복숭아 세척장치(200)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에 의해 복숭아(10)가 이송되면서, 세척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분사부는 메인바디(201)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13)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상측고정바(210)와, 상기 상측고정바(2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상측샤프트(217)와, 상기 상측샤프트(217)와 일체인 상측분사노즐(218)과, 상기 다수의 상측샤프트(217)와 일단이 연결되는 상측링크(215)와, 상기 다수의 상측링크(215)의 타단이 조인트(216)로 연결되는 상측작동바(211)와, 상기 상측작동바(211)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상측액츄에이터(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측고정바(210)에 대해 상기 상측액츄에이터(212)의 전후진 운동에 따라 상기 상측작동바(211)가 운동하면서 상기 상측링크(215)를 회전시키면, 상기 상측링크(215)와 일체인 상측샤프트(217)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측샤프트(217)에 설치된 상측분사노즐(218)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링크(215)의 길이와 상기 상측액츄에이터(212)의 전후진의 마진폭을 조절하면, 상기 상측분사노즐(218)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측작동바(211)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상측고정바(210)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므로, 상측작동바(211)와 상측고정바(210)가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액츄에이터(212)와 상측작동바(211) 사이에 상측보정링크(21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측분사노즐(218)의 하측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롤러(510)가 움직이면서 복숭아(10)를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롤러(510)는 전동부재에 의해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전동부재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체인(52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벨트, V벨트, 타이밍 벨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510)는 중심부가 오목한 원통형상으로써, 상기 복숭아(10)가 안정적으로 상기 이송롤러(5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복숭아의 잦은 회전으로 인한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이송컨베이어(500)의 전동시 상기 복숭아 세척장치(200)에서만 복숭아(1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숭아 세척장치(200)의 내부에 들어온 경우에만 상기 이송롤러(5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510)와 접하여 상기 이송롤러(5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마찰바(230)를 상기 복숭아 세척장치(200)의 메인바디(201)에 설치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복숭아 세척장치의 상측분사부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 세척장치(200)의 평면도로써, 복숭아(10)의 좌우측에서 압축수를 분무하는 측면분사부의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측면분사부는 메인바디(201)에 고정설치되는 측면고정부재(220)와, 상기 측면고정부재(2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측면샤프트(227)와, 상기 측면샤프트(227)와 일체인 측면분사노즐(228)과, 상기 다수의 측면샤프트(227)와 일단이 연결되는 측면링크(225)와, 상기 다수의 측면링크(225)의 타단이 조인트(226)로 연결되는 측면작동바(221)와, 상기 측면작동바(221)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측면액츄에이터(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측면고정부재(220)에 대해 상기 측면액츄에이터(222)의 전후진 운동에 따라 상기 측면작동바(221)가 운동하면서 상기 측면링크(225)를 회전시키면, 상기 측면링크(225)와 일체인 측면샤프트(227)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측면샤프트(227)에 설치된 측면분사노즐(228)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링크(225)의 길이와 상기 측면액츄에이터(222)의 전후진의 마진폭을 조절하면, 상기 측면분사노즐(228)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면작동바(221)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측면고정바(220)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므로, 측면작동바(221)와 측면고정부재(220)가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액츄에이터(222)와 측면작동바(221) 사이에 측면보정링크(229)가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복숭아 세척장치(200)의 측면분사부의 작동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 세척장치(200)의 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동모습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 세척장치(200)는 복숭아(10)를 기준으로 상측분사부와 좌우측의 측면분사부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분사노즐(118)과 상기 측면분사노즐(128)에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수 공급원과 연결되어 압축수가 공급된다.
상기 압축수 공급원에는 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에 의해 상기 복숭아 세척장치(200) 내로 복숭아(10)가 장입되면,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롤러(510)는 상기 복숭아 세척장치(200)의 마찰바(230)에 의해 회전을 시작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복숭아(10)도 회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액츄에이터(212)와 상기 측면액츄에이터(222)가 작동되기 시작하면서, 상기 복숭아(10)를 향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상측분사노즐(218)과 상기 측면분사노즐(228)을 통해 압축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상측액츄에이터(212)와 상기 측면액츄에이터(222)의 작동속도에 따라 상기 복숭아(10)에 대한 압축수 분사의 시간당 각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송롤러(510)에 의해 상기 복숭아(10)가 180˚ 회전하는 동안 상기 상측분사노즐(218)과 상기 측면분사노즐(228)이 1번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숭아 세척장치(200)의 에너지 효율 대비 복숭아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측 및 좌우 노즐을 왕복 운동으로 설계하여 소량의 물량을 가지고 세척을 할 수 있으며, 각 노즐의 왕복 운동시 각각의 동작이 지그재그로 설계하여 세척부위가 피세척물 전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분사노즐(218)과 상기 측면분사노즐(228)의 각운동 범위는 30~60°로 하는 것이, 상기 상측액츄에이터(212)와 상기 측면액츄에이터(222)에 하중부담을 적절히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숭아(10)에 대해 압축수의 분사방향이 수직이면, 상기 복숭 아(10)에 직접적인 수압이 전해져서 상기 복숭아(10)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수는 상기 복숭아(10)에 대해 경사지게 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복숭아(10)와, 상기 상측분사노즐(218)과 상기 측면분사노즐(228)로부터 분사되는 압축수의 상대각도가 5~50˚를 유지하면, 상기 압축수가 에어나이프(Air-knife)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더욱 세척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를 요구하는 복숭아(10) 원물의 특징에 따라 공정 조건을 달리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도, 크기, 세척정도 등에 따라 노즐의 높이, 분사압력, 노즐 형태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센서를 통한 높이 조절, 밸브를 통한 압력제어, 분사노즐 교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노즐을 통해 강하게 분출되는 에어를 통해 복숭아를 세착하기 전에 복숭아의 세척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에어분출방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며, 복숭아를 회전시켜 에어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세척의 제거효 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숭아 세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숭아를 세척하기 위한 복숭아 세척장치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복숭아의 상측에서 일정한 싸이클로 각운동하며 압축수를 분사하는 상측분사부와,
    상기 복숭아의 이송방향의 좌우측에서 일정한 싸이클로 각운동하며 압축수를 분사하는 측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는 상기 복숭아에 대해 경사져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복숭아가 놓여지는 이송롤러가 전동수단에 의해 움직이고, 상기 복숭아 세척장치에 상기 이송롤러가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바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분사부는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상 측고정바와, 상기 상측고정바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상측샤프트와, 상기 상측샤프트와 일체인 상측분사노즐과, 상기 다수의 상측샤프트와 일단이 연결되는 상측링크와, 상기 다수의 상측링크의 타단이 조인트로 연결되는 상측작동바와, 상기 상측작동바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상측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분사부는 메인바디에 고정설치되는 측면고정부재와, 상기 측면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측면샤프트와, 상기 측면샤프트와 일체인 측면분사노즐과, 상기 다수의 측면샤프트와 일단이 연결되는 측면링크와, 상기 다수의 측면링크의 타단이 조인트로 연결되는 측면작동바와, 상기 측면작동바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측면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작동바와 상기 상측액츄에이터 사이에는 상측보정링크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작동바와 상기 측면액츄에이터 사이에는 측면보정링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숭아 세척장치.
KR1020060041212A 2006-05-08 2006-05-08 복숭아 세척장치 KR100647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12A KR100647801B1 (ko) 2006-05-08 2006-05-08 복숭아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12A KR100647801B1 (ko) 2006-05-08 2006-05-08 복숭아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801B1 true KR100647801B1 (ko) 2006-11-23

Family

ID=3771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212A KR100647801B1 (ko) 2006-05-08 2006-05-08 복숭아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8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28B1 (ko) 2006-06-21 2007-09-17 김연하 배추세척장치
KR20150115548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조은환경 왕복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가변형 여과장치
KR102225690B1 (ko) * 2020-10-12 2021-03-08 황상현 Abs 코어 외부 크리닝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28B1 (ko) 2006-06-21 2007-09-17 김연하 배추세척장치
KR20150115548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조은환경 왕복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가변형 여과장치
KR101596940B1 (ko) * 2014-04-04 2016-02-23 주식회사 조은환경 왕복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가변형 여과장치
KR102225690B1 (ko) * 2020-10-12 2021-03-08 황상현 Abs 코어 외부 크리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782B2 (ja) 果実類及び果菜類の表皮洗浄システム
US74190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washing conveyor belts
KR100647801B1 (ko) 복숭아 세척장치
KR100892738B1 (ko) 어업용 그물 세척장치
KR101557047B1 (ko)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CN104519757B (zh) 用于剥皮待剥皮细长材料的装置和方法
KR20110029615A (ko) 계란세척기
JP2001212530A (ja) 農産物の清浄装置
KR100647800B1 (ko) 복숭아 탈모장치
US4400849A (en) Shrimp peeling unit
KR200223158Y1 (ko) 요동 분사식 농산물세척장치
KR100647802B1 (ko) 복숭아 탈수장치
JP6069291B2 (ja) 野菜類の皮剥ぎ処理機
JPH10151425A (ja) 容器洗浄装置
KR100684048B1 (ko) 유체분사장치
JP2006061040A (ja) メフン除去機魚類洗浄装置魚類洗浄方法
JP2001161336A (ja) 根菜用洗浄装置
JP7441571B1 (ja) ニラ処理装置
JP7353693B1 (ja) ニラ処理装置
KR10178801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H09210554A (ja) 食品乾燥装置
WO200202199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leaning footwear
KR200160593Y1 (ko) 농산물 세척기의 살수장치
KR100768312B1 (ko) 분사방향 가변형 분사노즐장치
JPH01251651A (ja) ワーク洗浄・バリ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