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446B1 -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446B1
KR100647446B1 KR1019980057464A KR19980057464A KR100647446B1 KR 100647446 B1 KR100647446 B1 KR 100647446B1 KR 1019980057464 A KR1019980057464 A KR 1019980057464A KR 19980057464 A KR19980057464 A KR 19980057464A KR 100647446 B1 KR100647446 B1 KR 100647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circuit
data stream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351A (ko
Inventor
윌리엄 이. 살저
메리 이. 갈라그허
패트릭 제이. 오말리
Original Assignee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filed Critical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Publication of KR1999006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992Circuits for stereophonic or quadraphonic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4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g. by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인터리빙될 데이터가 데이터 스트림의 분리 부분에 포함되는 데이터 스트림(DATA)을 인터리빙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버퍼 저장 회로(28)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부분(T1-T2)은 제 1 메모리 회로(62)에 전송되고, 데이터 스트림의 제 2 부분(T3-T5)은 제 2 메모리 회로(64)에 전송된다. 멀티플렉서 회로(68)는 제 1 및 제 2 메모리 회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터리빙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에서 선택을 행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및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 포함된 데이터를 인터리빙하는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DVD(Digital Versatile Disk) 및 기타 다른 장치들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즉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멀티미디어 음향 및 영상들은 통상적으로 동시에 생성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들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순차 데이터 스트림의 서로 다른 부분에 포함된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그 서로 다른 부분들을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종종 있다. 예를 들면, MPEG-1(Motion Picture Expert's Group 1) 표준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포맷 표준에 있어서, 오디오부는 인입 데이터 스트림의 각 프레임에 인터리빙되어 용이하게 함께 처리될 수 있는 2 오디오 채널용, 즉 스테레오용 데이터를 포함한다. MPEG-2 표준으로 칭하여지는 MPEG-1의 확장은 이 개념을, 8채널의 오디오 데이터까지 제공할 수 있는 서라운드 음향 능력의 부가적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확장시킨다. 초기 MPEG-1 표준과의 백워드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보장하기 위하여, MPEG-2는 데이터 스트림의 한 부분 내에는 스테레오 데이터를, 그리고 나중에 수신되는 상이한 부분 내에는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를 제공한다.
종래의 오디오 처리 회로들은 스테레오 부분으로부터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까지 및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를 포함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26,000개까지의 메모리 셀들을 갖는 대용량 메모리 회로를 사용한다.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로 인한 출력 신호의 인터럽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 회로는 기록 판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듀얼 포트 메모리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듀얼 포트 메모리는 집적 회로 상에서 차지하는 다이의 면적이 넓게 되므로 처리 회로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순차 데이터 스트림에서 나중에 수신되는 또다른 부분으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신호의 한 부분으로부터 데이터를 유지하는 개선된 회로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스테레오 채널(T1, T2)에 대한 스테레오 데이터와 함께 헤더(1)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부분을 포함하는 MPEG-2 데이터 스트림의 통상적인 오디오부의 단순화된 프레임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테레오 부분 뒤에는 채널(T3, T4, T5)에 대한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와 함께 헤더(2)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라운드 음향 부분이 이어진다. 스테레오 및 서라운드 음향 출력 신호는 동시에 청취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가 스테레오 데이터보다 늦게 수신될지라도 이들은 함께 처리되어야 한다. 또한, 스피커나 다른 출력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고품질의 오디오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처리가 연속적으로 그리고 중단(pause)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2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DATA)을 모니터(22) 또는 다른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는 비디오 신호, 및 스피커(24) 또는 다른 오디오 장치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키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회로(10)의 블록도이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데이터 처리 회로(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마다 하나의 스피커가 있지만 상기 데이터 처리 회로(10)는 하나의 스피커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DATA)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MPEG-2 표준에 따라서 압축 및 포맷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회로(10)는 DVD 또는 다른 입력 장치로부터 32비트 입력 버스(30)를 통해 순차 형식으로 데이터(DATA)를 수신하는 데이터 흐름 회로(26)를 포함한다. 데이터(DATA)는 수 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는 대용량 DRAM을 포함하는 버퍼 저장 회로(28)의 분리 영역들에 순차 형식으로 저장되는 비디오부 및 오디오부로 분류된다. 데이터 흐름 회로(26)는 제어 버스(40)를 통해 전송된 비디오 처리기(34) 및 오디오 처리기(36)로부터의 메모리 요청에 응답하여 32비트 데이터 버스(38)를 통한 데이터(DATA)의 전송을 제어 및 모니터하도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영역의 위치를 추적한다.
비디오 처리기(34)는 압축 해제 및 기타 다른 비디오 처리, 이를테면 색보정, 화소 보간 등을 위해 32비트 버스(38)를 통해 버퍼 저장 회로(28)로부터 데이터(DATA)의 비디오부를 수신한다. 모니터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비디오 처리기(34)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를 포함한다.
비디오 데이터가 처리되고 비디오 영상이 모니터(22)에 표시될 때,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버스(40)를 통해 데이터 흐름 회로(26)에 전송된다. 그러나, 데이터 흐름 회로(26), 버퍼 저장 회로(28), 버스(38)는 비디오 처리기(34)에 비디오 데이터를 연속적이면서 인터럽트 없는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요청에 즉각적으로 응답하는데 항상 이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흐름 회로(26) 및/또는 버스(38)는, 새로운 데이터(DATA)를 수신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기(36)에 전송하거나, 버스(38)에 연결된 다른 시스템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통신하는 등의 다른 시스템 태스크(task)를 행하느라 분주하다. 모니터(22)를 구동하는 비디오 출력 신호에서의 인터럽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디오 처리기(34)는 소정의 시간 동안 비디오 처리가 계속될 수 있게 하는데 데이터가 즉시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그러한 기간을 흡수하도록 로컬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오디오 처리기(36)는 버스(38)를 통해 데이터 흐름 회로(2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DATA)의 오디오부를 압축해제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서라운드 음향 오디오 채널들을 포함하도록 포맷되며, 따라서 오디오 처리기(36)는 서라운드 음향 채널(T3-T5)을 스테레오 채널(T1-T2)에 인터리빙하여 스피커(24)를 구동시킨다. 오디오 처리기(36)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행하고 요구에 따라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될 때, 오디오 처리기(36)는 제어 버스(40)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데이터 흐름 회로(26)에 발행한다. 비디오 데이터를 갖는 경우일 때, 데이터 흐름 회로(26) 및/또는 버스(38)가 다른 시스템 태스크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는 요구에 따라 즉각 전송되지 않는다. 비인터럽트된 오디오 신호로 스피커(24)가 확실히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오디오 처리기(36)는 데이터 흐름 회로(26) 및 버스(38)가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 가능하지 않은 기간 동안 연속 처리를 확실히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를 포함한다.
하나의 회로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어 데이터 흐름 회로(26)나 버퍼 저장 회로(28)나 버스(38)가 분주한 동안 다른 회로들은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 그러므로, 비디오 처리기(34) 및 오디오 처리기(36)의 로컬 메모리의 크기는 다른 회로에 전송된 데이터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대기 상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로컬 메모리는 통상적으로 듀얼 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듀얼 포트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집적 회로 다이에서의 차지 면적이 크며 따라서 시스템 비용을 증가시키므로, 대기 상태들(wait states)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로컬 메모리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데이터 전송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스피커(24)를 구동하기 위해 연속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버스(38)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기(34)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오디오 처리기(34)는, 메모리 회로(62, 64)와, 메모리 제어 회로(66)와, 멀티플렉서(68)와, 압축 해제 회로(70)와, 오디오 회로(72)를 포함한다.
메모리 회로(62, 64)는 버스(38)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동안 그들의 각각의 출력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듀얼 포트 메모리로서 구성된다. 메모리 회로(62, 64)는, 최악의 경우의 대기 상태를 흡수하도록, 즉 수신될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를 대기하는 동안 연속적인 오디오 처리를 보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알맞은 저장 용량을 갖는다. 버퍼 저장 회로(28)로부터 스테레오 데이터(T1-T2)가 메모리 회로(62)를 거쳐 라우팅되고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T3-T5)는 메모리 회로(64)를 통해 라우팅된다. 이 데이터는 버퍼 저장 회로(28)에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한 프레임으로서 보다는 오히려 상기 데이터가 처리될 때 작은 패킷으로 전송될 수 있다. 두 메모리 회로(62, 64)를 이용함으로써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을 저장할 필요성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은 종래 기술보다 더 작은 메모리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회로(62, 64)는 약 1,000비트의 저장 용량을 포함한다. 이는 종래 기술이 필요로 하는 26,000비트에서 현저히 감소된 것이다. 보다 작은 메모리 크기는 다이 면적 및 회로 제조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켜준다.
메모리 제어 회로(66)는 판독/기록 라인(80, 82)을 통해 메모리 회로(62, 64)로의 데이터 전송 및 메모리 회로(62, 64)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메모리 제어 회로(66)는 메모리 회로(62)에 현재 저장된 스테레오 데이터의 양을 모니터하는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는 새로운 스테레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증분되고 데이터가 메모리 회로(62)의 출력에서 제공되어 멀티플렉서(68)를 통해 선택되는 경우 감소된다. 유사한 서라운드 음향 포인터는 메모리 회로(64)에 현재 저장되는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의 양을 추적한다. 서라운드 음향 포인터는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가 메모리 회로(64)로 또는 메모리 회로(64)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경우에 증분 및 감소한다. 메모리 회로(62 또는 64)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레벨 아래로 떨어지면, 메모리 제어 회로(66)는 새로운 스테레오 또는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를 위해 데이터 흐름 회로(26)로 버스(40)를 통해 요청을 전송한다.
멀티플렉서(68)는 그것의 출력에서 인터리빙된 신호를 생성하도록 압축 해제 회로(70)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회로(62) 및 메모리 회로(64) 사이에서 선택을 행한다. 예로서, 압축 해제 회로(70)가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압축 해제하도록 T3-T5 데이터의 패킷에 의해 뒤이어지는 T1-T2 데이터의 패킷을 필요로 한다고 가정한다. 압축 해제 회로(70)는 메모리(62)에 저장된 T1-T2 패킷을 멀티플렉서(68)의 출력에 라우팅하도록 멀티플렉서(68)의 제어 입력에서 제 1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압축 해제 회로(70)는 시퀀스 T1-T2, T3-T5 등에서 메모리(62)에 저장된 T3-T5 패킷을 멀티플렉서(68)의 출력에 라우팅하도록 제 2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T1-T2 패킷에는 T3-T5 패킷이 인터리빙된다.
스테레오 및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개개의 교번하는 비트(alternating bit)로서라기 보다는 오히려 압축 해제 회로(70)에 이용된 알고리즘에 따라 패킷들로 선택되어 압축 해제된다. 그러므로, 메모리 회로(62)에 저장된 데이터는 메모리 회로(64)에 저장된 데이터와는 상이한 속도로 처리된다. 스테레오 또는 서라운드 음향 데이터가 멀티플렉서(68)를 통해 선택될 때, 압축 해제 회로(70)는 제어 신호를 메모리 제어 회로(66)에 전송하여 메모리 회로(62, 64)에 현재 저장된 데이터의 양을 갱신하도록 적합한 포인터를 감소시킨다.
이런 형태로, 압축 해제 회로(70)는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여 출력(84)에서 압축 해제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한다. 압축 해제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은, 두 개의 스테레오 및 세 개의 서라운드 음향 채널로의 디코딩,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의 변환, 증폭, 필터링 등과 같은 추가 처리를 위해 오디오 회로(72)에 인가된다. 오디오 회로(72)의 5 도체 출력(five-conductor output)은 스피커(24) 및/또는 다른 오디오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인터리빙될 데이터가 데이터 스트림의 분리 부분에 포함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을 이해해야 한다. 버퍼 저장 회로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부분은 제 1 메모리 회로에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제 2 부분은 제 2 메모리 회로에 전송된다. 제 1 및 제 2 메모리 회로들의 출력들에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입력들을 가진 멀티플렉서 회로가, 인터리빙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에서 선택을 행한다.
도 1은 MPEG-2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오디오 처리기를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6 : 데이터 흐름 회로 34 : 비디오 처리기
36 : 오디오 처리기 38 : 버스
62, 64 : 메모리 회로 66 : 메모리 제어 회로
68 : 멀티플렉서 70 : 압축 해제 회로
72 : 오디오 회로

Claims (10)

  1. 데이터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연결된 입력을 갖는 버퍼 저장 회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버퍼 저장 회로의 출력에 연결된 입력을 갖는 제 1 메모리 회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버퍼 저장 회로의 출력에 연결된 입력을 갖는 제 2 메모리 회로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은 오디오 신호의 상이한 채널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 1 메모리 회로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보다 적게 저장하고 상기 제 2 메모리 회로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보다 적게 저장하는, 상기 제 2 메모리 회로, 및
    인터리빙된 출력 신호를 출력에서 제공하도록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에서 선택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회로들의 출력들에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입력들을 갖는 멀티플렉서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은 MPEG-2(Motion Picture Experts Group 2) 데이터의 오디오 부분으로서 포맷되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회로는 상기 버퍼 저장 회로로부터 다른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면서,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메모리 회로의 상기 출력에서 제공하는 듀얼 포트 메모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 회로는 상기 버퍼 저장 회로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면서,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 회로의 상기 출력에서 제공하는 듀얼 포트 메모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회로는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회로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 값 아래로 떨어진 후 상기 버퍼 저장 회로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가지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 회로는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회로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 값 아래로 떨어진 후 상기 버퍼 저장 회로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가지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들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회로들의 제어 입력들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출력들을 가지는 메모리 제어 회로를 더 구비하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8. 데이터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부분의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제 2 부분의 데이터를 제 3 메모리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부분을 제 1 메모리 위치에 복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제 2 부분을 제 2 메모리 위치에 복사하는 단계,
    인터리빙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위치들 사이에서 선택하고 상기 제 1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제 2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메모리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메모리 위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제 1 포인터를 증분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선택된 때 상기 제 1 포인터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포인터가 제 1의 소정 값으로 감소한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메모리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메모리 위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제 2 포인터를 증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선택된 때 상기 제 2 포인터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포인터가 제 2 소정 값으로 감소한 후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방법.
KR1019980057464A 1997-12-23 1998-12-23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및 방법 KR100647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97,622 1997-12-23
US08/997,622 US6895596B1 (en) 1997-12-23 1997-12-23 Circuit and method for interleaving a data stream
US08/997,622 1997-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351A KR19990063351A (ko) 1999-07-26
KR100647446B1 true KR100647446B1 (ko) 2007-04-26

Family

ID=2554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464A KR100647446B1 (ko) 1997-12-23 1998-12-23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95596B1 (ko)
JP (1) JP4263290B2 (ko)
KR (1) KR100647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54B1 (ko) * 2007-09-10 2014-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타임 디인터리빙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4426A (en) * 1985-12-20 1987-09-15 Ncr Corporation Asynchronous FIFO status circuit
US4852090A (en) * 1987-02-02 1989-07-25 Motorola, Inc. TDMA communications system with adaptive equalization
US5781480A (en) * 1997-07-29 1998-07-14 Motorola, Inc. Pipelined dual port integrated circuit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17721A (ja) 1999-11-16
JP4263290B2 (ja) 2009-05-13
KR19990063351A (ko) 1999-07-26
US6895596B1 (en)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8829A (ja) データ再生装置
JP3911380B2 (ja) 転送レート制御装置
JP2006511145A (ja) ビデオ視聴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47446B1 (ko) 데이터 스트림 인터리빙 회로 및 방법
KR20030061273A (ko) 데이터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재생 방법, 및 촬상장치
JPH10143350A (ja) 先入れ先出しメモリ制御システム
US6498893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050149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US20090092376A1 (en)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US20080292278A1 (en) Video/Audio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S6028389A (ja) 静止画像再生装置
JP3038852B2 (ja) 静止画像復号装置
JP3487028B2 (ja) 再生装置
JP2874623B2 (ja) 音声デコード処理回路
JP3992804B2 (ja) 動画像復号方法及び装置並びに動画像再生装置
JPH0575974A (ja) 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970006826B1 (ko) 디지탈데이터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출력버퍼장치
KR100258589B1 (ko) 오에스디 데이터 처리장치
JPH0283579A (ja) 画像データ表示装置と画像データ表示方法
KR0134727Y1 (ko) Cd-i 보드를 이용한 cd-i dv 데이타 및 mpeg데이타 제생장치
JP3161344B2 (ja) 復号化装置
JPH10312633A (ja) ディジタルディスクレコーダ
JP2001168978A (ja) 電話装置
JPH10262215A (ja) 動画像復号装置
JPH06303574A (ja) シャッフリング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