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000B1 - 온수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000B1
KR100646000B1 KR1020050106325A KR20050106325A KR100646000B1 KR 100646000 B1 KR100646000 B1 KR 100646000B1 KR 1020050106325 A KR1020050106325 A KR 1020050106325A KR 20050106325 A KR20050106325 A KR 20050106325A KR 100646000 B1 KR100646000 B1 KR 10064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hot water
boil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조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호 filed Critical 조준호
Priority to KR102005010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는, 입수 되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키는 보일러; 상수전의 물을 상기 보일러에 입수시키는 입수관; 상기 보일러로부터 입수되는 온수와 상기 상수전으로부터 입수되는 냉수를 배합하여 배수시키는 급수조절기; 상기 보일러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급수조절기에 입수시키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의 일 지점과 상기 입수관의 일 지점을 연결시키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의 일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온수관의 물을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입수관에 입수시키는 펌프; 상기 온수관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입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온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상태를 통제하며,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온수관의 물이 상기 순환관 및 입수관을 순환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오랫동안 온수 사용을 하지 않다가 사용할 경우, 온수가 나올 때까지 보일러로부터 급수조절기 사이의 온수관에 남아 있던 냉수를 모두 버려야 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온수, 순간온수, 온수배수장치, 보일러, 온수급탕

Description

온수 배수 장치{APPARATUS FOR DRAINING WARM WATER}
도1은, 종래의 온수 배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온수 배수 장치
110,210,310:보일러 120,220,320:입수관
130,230,330:급수조절기 131,231,331:조절손잡이
140,240,340:온수관 345:배수관
146,246,346:샤워기 250,350:순환관
260,360:펌프 270:온도센서
370:유압센서 280a,380a:제1밸브
280b,380b:제2밸브 290,390:마이컴
본 발명은 온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랫동안 온수를 사용하지 않다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급수조절기를 조절하였을 시, 온수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불편함 없이, 즉각 온수가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온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온수 배수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온수 배수 장치(100)는 보일러(110), 입수관(120), 급수조절기(130), 온수관(140)을 포함한다.
보일러(110)는 입수관(120)을 통해 상수전으로부터 입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관(140)을 통해 배수시킨다.
급수조절기(130)는 온수관(140)을 통해 입수되는 온수와 상수전으로부터 직접 입수되는 냉수를 배합하여, 적절한 양의 물을 샤워기(146) 등을 통해 배수시킨다. 일반적으로 물을 배수시키고 잠그는 작동과, 온수와 냉수의 배합비율을 조절하는 작동 및 압력을 조절하는 작동은 급수조절기(130)의 조절손잡이(131)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 배수 장치(100)는 오랫동안 온수를 쓰지 않을 경우, 보일러(110)와 급수조절기(130) 사이의 물, 즉 온수관(140) 내의 물이 식게 되는데, 이때 급수조절기(130)를 조작하여 물을 배수시키면, 보일러(110)에서 가열 된 온수가 도달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보일러(110)와 급수조절기(130) 사이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더욱 심각하며, 버려지게 되는 냉수의 양이 적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수자원 낭비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온수관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 온도 밑으로 내려가게 되면, 온수관의 물을 다시 보일러를 통과시켜 가열시키도록 순환관을 설치함으로써, 온수관 내의 물을 항상 따뜻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하여, 급수조절기를 작동시키면, 즉각 온수가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는, 입수 되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키는 보일러; 상수전의 물을 상기 보일러에 입수시키는 입수관; 상기 보일러로부터 입수되는 온수와 상기 상수전으로부터 입수되는 냉수를 배합하여 배수시키는 급수조절기; 상기 보일러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급수조절기에 입수시키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의 일 지점과 상기 입수관의 일 지점을 연결시키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의 일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온수관의 물을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입수관에 입수시키는 펌프; 상기 온수관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입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온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상태를 통제하며,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온수관의 물이 상기 순환관 및 입수관을 순환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는, 입수 되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키는 보일러; 상수전의 물을 상기 보일러에 입수시키는 입수관; 상기 보일러로부터 입수되는 온수와 상기 상수전으로부터 입수되는 냉수를 배합하여 배수시키는 급수조절기; 상기 보일러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급수조절기에 입수시키는 온수관; 상기 급수조절기에서 배수되는 물을 배수 시키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일 지점과 상기 입수관의 일 지점을 연결시키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의 일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온수관의 물을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입수관에 입수시키는 펌프; 상기 급수조절기에 상기 온수관 내의 물이 유입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유압센서; 상기 입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배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상기 온수관 물의 유입여부를 감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온수관 물의 유입을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상태를 통제하며,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소정시간 동안 상기 배수관의 물이 상기 순환관, 입수관 및 상기 온수관을 순환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보일러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200)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200)는, 보일러(210), 입수관(220), 급수조절기(230), 온수관(240), 순환관(250), 펌프(260), 온도센서(270), 제1밸브(280a), 제2밸브(280b) 및 마이컴(290)을 포함한다.
보일러(210)는 입수관(220)을 통해 상수전에서 입수 되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킨다.
급수조절기(230)는 온수관(240)을 통해 보일러(210)에서 가열된 온수와, 상수전에서 직접 도달되는 냉수를 배합하여 샤워기(246) 또는 수도꼭지(미도시)를 통해 배수시킨다. 급수조절기(230)의 조절은 조절손잡이(231)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배수, 잠금 및 온수와 냉수의 배합량 등을 모두 조절할 수 있다.
온수관(240)은 보일러(210)에서 배수되는 물을 급수조절기(230)에 입수시킨다.
순환관(250)은 온수관(240)의 일 지점과 입수관(220)의 일 지점을 연결시켜 순환유로를 만들어준다. 이때 순환관(250)과 온수관(240)이 연결되는 지점은 급수조절기(230)에 가능하면 가까운 지점이도록 한다. 이는 온수관(240) 내의 물을 모두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순환관(250)과 입수관(220)이 연결되는 지점은 보일러(210)에 가능하면 가까운 지점이도록 한다. 이는 온수관(240), 순환관(250) 및 입수관(220)을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순환유로의 길이를 최대한 짧도록, 즉 항상 온수 상태의 물을 만들기 위한 대기상태의 물의 양을 최대한 적게 하 기 위함이다.
펌프(260)는 순환관(250)의 일 지점에 설치되며, 온수관(240)의 물을 순환관(250)을 통해 입수관(220)에 입수시킨다. 즉 온수관(240), 순환관(250) 및 입수관(220)을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순환유로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장치이다.
온도센서(270)는 온수관(240)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1밸브(280a)는 입수관(220)과 순환관(250)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한다. 제1밸브(280a)의 상태는 이후 설명되는 마이컴(29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제2밸브(280b)는 온수관(240) 순환관(250)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 한다. 또한, 제1밸브(280a)와 마찬가지로 마이컴(29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마이컴(290)은 온도센서(270)에서 측정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기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온도센서(270)에서 전송받은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1밸브(280a) 및 제2밸브(280b)의 상태를 통제하며, 또한 펌프(260)를 가동시켜 온수관(240)의 물이 순환관(250) 및 입수관(220)을 순환하도록 한다.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온수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온수관(240) 내의 물이 식게 된다. 온도센서(270)는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온수관(240)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마이컴(290)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마이컴(290)은 온수관(24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내려갔음을 인지하고, 제1밸브(280a) 및 제2밸브(280b)의 상태를 바꾸어 온수관(240), 순환관(250) 및 입수관(220)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 하는 순환유로를 만들어준다. 한편, 마이컴(290)은 펌프(260)를 가동시켜 순환유로를 따라 물이 흐르게 한다. 따라서 보일러(210)는 물의 유동을 인지하고 입수관(220)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킨다. 온수관(240) 내의 물이 다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였으므로, 마이컴(290)은 온도센서(270)에서 측정하여 전송된 온수관(240) 내의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다는 것을 인지하고, 순환유로를 형성시켰던 제1밸브(280a) 및 제2밸브(280b)의 상태를 원상복구 시킨다. 즉, 제1밸브(280a)는, 상수전의 물이 입수관(220)을 통해 보일러(210)로 입수될 수 있도록 상태를 바꾸며, 제2밸브(280b)는, 보일러(210)에서 배수된 물이 온수관(240)을 통해 급수조절기(230)에 입수될 수 있도록 상태를 바꾼다. 또한, 펌프(260)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서, 온수관(240) 내의 물은 항상 가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급수조절기(230)의 조절손잡이(231)를 조절하여 샤워기(246)를 통해 물을 배수시키면, 즉시 온수가 나오게 된다.
한편 마이컴(29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210) 또는 급수조절기(230) 등과 분리되어 설치 될 수도 있지만, 보일러(210)에 포함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300)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온수 배수 장치(300)는, 보일러(310), 입수관(320), 급수조절기(330), 온수관(340), 배수관(345), 순환관(350), 펌프(360), 유압센서(370), 제1밸브(380a), 제2밸브(380b) 및 마이컴(390)을 포함한다.
보일러(310)는 입수관(320)을 통해 상수전에서 입수 되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킨다.
급수조절기(330)는 온수관(340)을 통해 보일러(310)에서 가열된 온수와, 상수전에서 직접 도달되는 냉수를 배합하여 배수관(345)을 통해 샤워기(346) 또는 수도꼭지(미도시)를 통해 배수시킨다. 급수조절기(330)의 조절은 조절손잡이(331)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배수, 잠금 및 온수와 냉수의 배합량 등을 모두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도꼭지는 급수조절기(330)를 통해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345)일 수도 있다.
온수관(340)은 보일러(310)에서 배수되는 물을 급수조절기(330)에 입수시킨다.
배수관(345)은 급수조절기(330)에서 배수되는 물을 배수시킨다.
순환관(350)은 배수관(345)의 일 지점과 입수관(320)의 일 지점을 연결시켜 순환유로를 만들어준다. 이때 순환관(350)과 배수관(345)이 연결되는 지점은 급수조절기(330)에 가능하면 가까운 지점이도록 하며, 순환관(350)과 입수관(320)이 연결되는 지점은 보일러(310)에 가능하면 가까운 지점이도록 한다. 이는 온수관(340) 내의 물을 모두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되, 온수관(340), 배수관(345), 순환관(350) 및 입수관(320)을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순환유로의 길이를 최대한 짧도록, 즉 항상 온수 상태의 물을 만들기 위한 대기상태의 물의 양을 최대한 적게 하기 위함이다.
펌프(360)는 순환관(350)의 일 지점에 설치되며, 배수관(345)의 물을 순환관(350)을 통해 입수관(320)에 입수시킨다. 즉 온수관(340), 배수관(345), 순환관(350) 및 입수관(320)을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순환유로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장치이다.
유압센서(370)는 급수조절기(330)에 온수관(340) 내의 물이 유입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한편, 도3에는 유압센서(370)가 급수조절기(330)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유압센서(370)의 위치가 급수조절기(330)에 국한 된 것은 아니다.
제1밸브(380a)는 입수관(320)과 순환관(350)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한다. 제1밸브(380a)의 상태는 이후 설명되는 마이컴(39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제2밸브(380b)는 배수관(345) 순환관(350)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 한다. 또한, 제1밸브(380a)와 마찬가지로 마이컴(39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마이컴(390)은 유압센서(370)로부터 온수관(340) 물의 유입여부를 감지한 정보를 전송받아, 온수관(340) 물의 유입을 감지하였을 경우, 제1밸브(380a) 및 제2밸브(380b)의 상태를 통제하며, 또한 펌프(360)를 가동시켜 소정시간 동안 배수관(345)의 물이 순환관(350), 입수관(320) 및 온수관(340)을 순환하도록 한다.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온수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온수관(340) 내의 물이 식게 된다. 이때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급수조절기(330)를 조절하여 온수관(340)의 물을 급수조절기(330)에 유입시키면, 유압센서(370)는 물이 유입한다는 정보를 마이컴(390)에 전송하고, 마이컴(390)은 제1밸브(380a) 및 제2밸브(380b)의 상태를 바꾸어 배수관(345), 순환관(350), 입수관(320) 및 온수관(340)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 하는 순환유로를 만들어준다. 한편, 마이컴(390)은 펌프(360)를 가동시켜 순환유로를 따라 물이 흐르게 한다. 따라서 보일러(310)는 물의 유동을 인지하고 입수관(320)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킨다. 마이컴(390)은 소정시간 동안 펌프(360)를 가동시켜 순환유로를 따라 물이 가열되도록 하며, 소정시간이 되면, 순환유로를 형성시켰던 제1밸브(380a) 및 제2밸브(380b)의 상태를 원상복구 시킨다. 즉, 제1밸브(380a)는, 상수전의 물이 입수관(320)을 통해 보일러(310)로 입수될 수 있도록 상태를 바꾸며, 제2밸브(380b)는, 급수조절기(330)에서 배수된 물이 샤워기(346)를 통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상태를 바꾼다. 또한, 펌프(360)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급수조절기(330)를 조절하면, 소정시간동안 식었던 온수관(340) 내의 물을 가열시키고, 소정시간 이후에 온수를 배수시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온수가 나올때까지 온수관(340) 내의 차가운 물을 버려야 하는 손실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마이컴(39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310) 또는 급수조절기(330) 등과 분리되어 설치 될 수도 있지만, 보일러(310)에 포함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보일러로부터 급수조절기까지 고여 있던 차가운 물이 모두 빠져나갈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불편함 없이, 바로 온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온수관에 고인 차가운 물을 버림으로써 생기는 수자원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입수 되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키는 보일러;
    상수전의 물을 상기 보일러에 입수시키는 입수관;
    상기 보일러로부터 입수되는 온수와 상기 상수전으로부터 입수되는 냉수를 배합하여 배수시키는 급수조절기;
    상기 보일러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급수조절기에 입수시키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의 일 지점과 상기 입수관의 일 지점을 연결시키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의 일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온수관의 물을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입수관에 입수시키는 펌프;
    상기 온수관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입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온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상태를 통제하며,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온수관의 물이 상기 순환관 및 입수관을 순환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배수 장치.
  2. 입수 되는 물을 가열하여 배수시키는 보일러;
    상수전의 물을 상기 보일러에 입수시키는 입수관;
    상기 보일러로부터 입수되는 온수와 상기 상수전으로부터 입수되는 냉수를 배합하여 배수시키는 급수조절기;
    상기 보일러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급수조절기에 입수시키는 온수관;
    상기 급수조절기에서 배수되는 물을 배수 시키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일 지점과 상기 입수관의 일 지점을 연결시키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의 일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온수관의 물을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입수관에 입수시키는 펌프;
    상기 급수조절기에 상기 온수관 내의 물이 유입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유압센서;
    상기 입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배수관과 순환관이 연결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상기 온수관 물의 유입여부를 감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온수관 물의 유입을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상태를 통제하며,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소정시간 동안 상기 배수관의 물이 상기 순환관, 입수관 및 상기 온수관을 순환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온수 배수 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보일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배수 장치.
KR1020050106325A 2005-11-08 2005-11-08 온수 배수 장치 KR100646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325A KR100646000B1 (ko) 2005-11-08 2005-11-08 온수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325A KR100646000B1 (ko) 2005-11-08 2005-11-08 온수 배수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612U Division KR200406508Y1 (ko) 2005-11-08 2005-11-08 온수 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000B1 true KR100646000B1 (ko) 2006-11-23

Family

ID=3771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325A KR100646000B1 (ko) 2005-11-08 2005-11-08 온수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0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4985A (zh) * 2012-12-10 2013-05-15 张晶 热水器
KR20190067504A (ko) * 2017-12-07 2019-06-17 손정우 수전 및 건물의 절수형 수전 시스템
KR20200128928A (ko) * 2019-05-07 2020-11-17 손정우 온도차단 제어가 가능한 수전의 드레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833A (ja) * 1989-08-04 1991-03-26 Robert Bosch Gmbh ディーゼル式内燃機関の燃料供給量信号形成方法及び装置
JPH11211123A (ja) 1998-01-27 1999-08-06 Inax Corp 給湯装置
JP2001116278A (ja) 1999-10-22 2001-04-27 Leben Co Ltd 冷水循環式給湯システム
KR20040067525A (ko) * 2003-01-23 2004-07-30 민경옥 가정용 보일러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KR200406508Y1 (ko) 2005-11-08 2006-01-23 조준호 온수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833A (ja) * 1989-08-04 1991-03-26 Robert Bosch Gmbh ディーゼル式内燃機関の燃料供給量信号形成方法及び装置
JPH11211123A (ja) 1998-01-27 1999-08-06 Inax Corp 給湯装置
JP2001116278A (ja) 1999-10-22 2001-04-27 Leben Co Ltd 冷水循環式給湯システム
KR20040067525A (ko) * 2003-01-23 2004-07-30 민경옥 가정용 보일러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KR200406508Y1 (ko) 2005-11-08 2006-01-23 조준호 온수 배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4985A (zh) * 2012-12-10 2013-05-15 张晶 热水器
KR20190067504A (ko) * 2017-12-07 2019-06-17 손정우 수전 및 건물의 절수형 수전 시스템
KR102016583B1 (ko) * 2017-12-07 2019-10-21 손정우 수전 및 건물의 절수형 수전 시스템
KR20200128928A (ko) * 2019-05-07 2020-11-17 손정우 온도차단 제어가 가능한 수전의 드레인 시스템
KR102225457B1 (ko) 2019-05-07 2021-03-09 손정우 온도차단 제어가 가능한 수전의 드레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4763B2 (en) Wat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hot water available in a domestic hot water installation
KR100646000B1 (ko) 온수 배수 장치
KR200406508Y1 (ko) 온수 배수 장치
JP2830789B2 (ja) 浴槽水の廃熱回収装置
JP4472539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JP6146360B2 (ja) 給湯装置
JP2010091210A (ja) 給湯機
JP5058193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311352B1 (ko) 물 낭비 방지용 온수공급장치
JP3970209B2 (ja) 給湯暖房熱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26015B1 (ko) 저탕식 보일러
JP5790735B2 (ja) 給湯装置
JP2009030903A (ja) 貯湯式給湯機
JP4472567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JP4141294B2 (ja) 給湯機
JP6625813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1525097B1 (ko) 냉온수 공급시스템
JP7260917B2 (ja) 循環式の給湯システム
JP2009250542A (ja) 給湯機
JP2012042091A (ja) 給湯機
JP4141293B2 (ja) 給湯機
JP2006288815A (ja) ミストサウナ装置
JPH1163655A (ja) 電気温水器
JP2022190945A (ja) 貯湯式給湯装置
JP2022185380A (ja) 貯湯式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