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394B1 -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 Google Patents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394B1
KR100644394B1 KR1020060009792A KR20060009792A KR100644394B1 KR 100644394 B1 KR100644394 B1 KR 100644394B1 KR 1020060009792 A KR1020060009792 A KR 1020060009792A KR 20060009792 A KR20060009792 A KR 20060009792A KR 100644394 B1 KR100644394 B1 KR 10064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ain body
beer
compressed gas
hand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식
정문기
Original Assignee
김유식
정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식, 정문기 filed Critical 김유식
Priority to KR102006000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2Gas pressure control means, e.g. for maintaining proper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주용 디스펜서의 헤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생맥주저장통과 압축가스통을 연결하는 디스펜서의 조작레버를 3단으로 형성하여 조작레버가 디스펜서를 생맥주저장통에 부착 또는 이탈함과 동시에 부착시에도 압축가스의 공급 및 차단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맥주용 디스펜서의 헤드구조는, 생맥주저장통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압축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압축가스와 생맥주를 혼합토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헤드 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생맥주저장통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압축가스내입관이 결합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경과 동일 유사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에 삽설되며, 내부의 유로를 통해 생맥주를 토출시키고, 중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유입홈이 형성되어 압출가스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홈의 상하부에는 밀폐링을 개재하여 압축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고, 하단에서 일정길이 상부로부터 유입홈이 형성된 중단까지 배출홈이 형성되어 하부로 이동시 배출홈으로 압축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외주면 양측에는 걸림턱을 갖는 평탄홈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고, 내측에 상기 내관의 평탄홈에 안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하회동에 의해 내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핸들레버로 구성되되; 상기 핸들레버에는 본체와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유격을 갖는 스탑핀을 형성하고, 상기 스탑핀과 접하는 본체의 면에는 핸들레버의 회동경로인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조절홈을 형성하여 핸들레버의 조작에 의해 분리모드, 약한가스공급모드, 강한가스공급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맥주, 디스펜서헤드, 스탑핀, 조절홈, 핸들레버

Description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Head structure of dispenser for beer}
도 1은 종래의 생맥주보관통에 보관된 생맥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맥주용 디스펜서헤드를 단면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핸들레버를 부분단면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레버를 부분단면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레버를 부분단면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스탑핀의 평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회동판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회동판의 평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구동판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구동판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펜서 헤드 20 : 본체
21 : 장착부 22 : 유입부
23 : 조절홈 24 : 밀폐링
30 : 내관 31 : 평탄홈
32 : 유입홈 33 : 배출홈
40 : 핸들레버 41 : 레버
42 : 스탑핀 43 : 커버
44 : 회동판 45 : 행거
43 : 구동판 410 : 가이드바
411 : 걸림돌기 412 : 제2걸림돌기
441 : 제1회동공 442 : 제2회동공
443 : 걸림턱 461 : 제3걸림돌기
본 발명은 맥주용 디스펜서의 헤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생맥주저장통과 압축가스통을 연결하는 디스펜서의 조작레버를 3단으로 형성하여 조작레버가 디스펜서를 생맥주저장통에 부착 또는 이탈함과 동시에 부착시에도 압축가 스의 공급 및 차단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맥주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및 살균등과 같은 열처리를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남아 있는 효모등의 작용에 의해 신선하고 독특한 맛을 제공하고 있지만 쉽게 변질되는 단점이 있어 밀폐된 저장통에 담아 보관하고 있다.
상기 생맥주보관통에 보관된 생맥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보관통(1)과, 압축가스가 충진된 압축가스통(2)과, 생맥주보관통의 토출구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펜서헤드(3)와, 상기 디스펜스헤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토출된 생맥주를 냉각시키도록 생맥주의 이동관 경로에 설치된 냉각기(4)와, 상기 냉각된 생맥주를 인출하는 인출밸브(5)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조에서 상기 디스펜서헤드는 2단의 구조로 되어 있어 디스펜서헤드의 핸들커버가 하부로 위치할 때 디스펜서헤드는 생맥주보관통의 토출구에 압착됨과 동시에 압축가스관을 연통시키고, 핸들커버가 상부로 위치할때 디스펜서헤드는 생맥주보관통의 토출구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압축가스관을 차단시키게 하는 것이다.
즉, 디스펜서헤드는 생맥주보관통과의 이탈과 압착 두 가지만 조절가능하고, 압축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압축가스통의 교체한 직후에 과량의 압축가스가 공급되어 최종 인축콕에서 배출되는 생맥주가 분출되고, 거 품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스펜서헤드의 핸들레버 작동을 3단으로 구성하여 디스펜서헤드와 생맥주보관통의 분리모드와 약한가스공급모드, 강한가스공급모드등이 이루어지게하여 최종적으로 생맥주를 인출하는 인출콕에서의 배출되는 생맥주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맥주용 디스펜서의 헤드구조는,
생맥주저장통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압축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압축가스와 생맥주를 혼합토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헤드 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생맥주저장통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압축가스내입관이 결합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경과 동일 유사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에 삽설되며, 내부의 유로를 통해 생맥주를 토출시키고, 중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유입홈이 형성되어 압출가스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홈의 상하부에는 밀폐링을 개재하여 압축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고, 하단에서 일정길이 상부로부터 유입홈이 형성된 중단까지 배출홈이 형성되어 하부로 이동시 배출홈으로 압축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외주면 양측에는 걸림턱을 갖는 평탄홈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고, 내측에 상기 내관의 평탄홈에 안치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하회동에 의해 내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핸들레버로 구성되되; 상기 핸들레버에는 본체와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유격을 갖는 스탑핀을 형성하고, 상기 스탑핀과 접하는 본체의 면에는 핸들레버의 회동경로인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조절홈을 형성하여 핸들레버의 조작에 의해 분리모드, 약한가스공급모드, 강한가스공급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레버는, “ㄷ”자 형태의 개구된 단부가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내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개구된 타측단부에는 내부에 통공이 갖는 가이드바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양측면에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가이드바의 내부인 통공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탑핀과; 상기 레버의 상측에 결합되어 파지력을 향상시킨 커버와; “ㄷ”자 형태로 개구된 단부에 제1회동공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제2걸림돌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단에 제2회동공이 더 형성된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스인 행거와; “ㄷ”자 형태로 개구된 단부의 외측에 제3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회동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개구된 타측은 상기 스탑핀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구동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판에는 제1회동공이 형성된 저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이 레버에 접하여 회동판의 회동각도를 한정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맥주용 디스펜서의 헤드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맥주용 디스펜서헤드를 단면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핸들레버를 부분단면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레버를 부분단면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레버를 부분단면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스탑핀의 평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회동판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회동판의 평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구동판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구동판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맥주용 디스펜서헤드(10)의 구조는 생맥주저장통의 토출구에 장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에 내입되는 내관(30)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는 핸들레버(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내부에 내관(30)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일측면에 압축가스통과 연통된 압축가스내입관이 장착되는 유입부(2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생맥주저장통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장착부(2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일자홈이 형성되되 일자홈에 의해 돌출된 양측 중 일측 돌출부에는 상기 핸들레버(40)가 힌지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관(30)은 생맥주가 토출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중단의 외주 면을 따라 유입홈(32)이 형성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압축가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내관(30)의 상측에는 평탄홈(31)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핸들레버(40)의 걸림돌기(411)가 평탄홈에 안치되어 걸림돌기가 평탄홈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게 됨으로 핸들레버(40)의 회동에 의해 내관(30)이 상하 이동되며, 이때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입홈(32)이 본체의 유입부(22)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압축가스를 공급받고, 내관(30)이 하부로 이동되면, 일차적으로 내관의 하단부에서 일정길이 상부로부터 유입홈 사이에 형성된 배출홈(33)이 개방되어 배출홈을 따라 압축가스가 생맥주저장통에 공급되고, 내관(30)이 더 하부로 이동되면, 유입홈(32)이 개방되어 더 많은 압축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생맥주의 인출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유입부(22)가 형성된 상측과 하측에는 밀폐링(24)을 개재하여 상기 배출홈(33)과 유입홈(32)의 개방이외에 압축가스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내관(30)을 상하 이동시키는 핸들레버(40)는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41)와, 상기 레버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치된 스탑핀(42)과, 상기 레버에 힌지결합된 회동판(44)과, 상기 회동판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탑핀에 힌지결합된 구동판(46)과, 상기 레버와 회동판에 각각 고정되어 파지력을 향상시키는 커버(43) 및 행거(45)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41)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한 바와같이 일단이 “ㄷ”자 형태로 되어 있어 두 갈래로 갈라진 각각의 단부가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즉, 개구된 부분의 내측에 내관이 위치하고록 안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며, 힌지결합부분을 중심으로 레버가 상하 회동되고, 두 갈래로 갈라진 내측면에는 양쪽에 각각 걸림돌기(411)가 형성되어 내관의 평탄홈(31)에 안치되도록 하여 레버의 회동시 내관도 연계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구된 부분의 타측부분에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바(41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양측면에는 제2걸림돌기(412)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스탑핀(4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탑핀(42)과 접하는 본체의 외주면에는 3개의 조절홈(2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레버(41)가 3단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41)의 상부에는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커버(4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탑핀(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본체의 조절홈(23)에 걸리는 일단은 라운드되게 형성하여 이동이 상하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고, 타단은 관통공(421)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구동판(46)과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판(44)은 도 6a와 도 6b를 참조한 바와같이 판재를 다단절철한 “ㄷ”자 형태로 개구된 부분의 양 측 단부에는 제1회동공(441)이 형성되고, 중단에는 제2회동공(4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공(441)은 상기 레버의 제2 걸림돌기(412)와 결합되어 회동판(44)이 상기 제2걸림돌기(412)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회동판의 하부에는 걸림턱(443)을 형성하여 회동시 상기 걸림턱이 레버 또는 커버에 접하여 회동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443)은 레버와 접하여 걸리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회동공(442)에 힌지결합되는 구동판(46)은 도 7a와 도 7b를 참조한 바와같이 “ㄷ”자 형태로 개구된 부분의 양측 바깥면에 제3걸림돌기(461)가 형성되고, 상기 제3걸림돌기가 제2회동공(442)에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개구된 부분의 타측은 스탑핀(42)과 힌지결합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발명의 디스펜서헤드(10)는 사용자가 핸들레버(40)의 커버(43)와 행거(45)부분을 파지하면, 행거(45)는 커버(43)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즉, 행거가 고정 장착된 회동판(44)이 레버(41)와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판(44)에는 구동판(46)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판은 회동판으로부터 상부로 가압된다. 상기 가압력에 의해 구동판(46)은 상부로 이동되려고 하나, 구동판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스탑핀(42)이 레버(41)의 내측에 안치되어 상하 이동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상기 가압력은 스탑핀(42)의 축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스탑핀(42)이 커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탑핀(42)은 본체의 조절홈(23)에서 이격되어 핸들레버(40)가 상하회동가능하게되며, 상기 핸들레버(40)의 파지력을 제거하면 회동판(44)은 커버 에서 회동이탈되고 스탑핀(42)이 전진하여 본체의 조절홈에 삽입됨에 의해 핸들레버(40)의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 핸들레버(4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내관(30)은 본체(20)내부에 상하 이동된다. 즉, 핸들레버(40)가 최상부에 위치할 때 내관(30)도 제일 높은 위치에 있으며, 핸들레버가 최하부에 위치할 때 내관도 제일 낮은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내관의 위치에 따라 압축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체에 형성된 조절홈 중 상측에 형성된 조절홈에 핸들레버(40)가 위치할 때 내관의 유입홈(32)과 배출홈(33)은 상하 밀폐링(24)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압축가스의 공급이 차단됨으로 디스펜서헤드를 생맥주보관통과 분리가능한 분리모드가 된다.
다음으로, 중간의 조절홈에 핸들레버(40)가 위치하면, 내관의 배출홈(33)은 본체의 하부로 표출되어 개방됨으로 소량의 압축가스가 공급되어 생맥주를 서서히 인출하는 약한가스공급모드가 된다.
마지막으로 하측의 조절홈에 핸들레버(40)가 위치하면,내관의 유입홈(32)은 본체이 하부로 표출되어 완전개방됨으로, 유입부(22)로부터 다량의 압출가스가 공급되어 빠르게 생맥주를 인출할 수 있는 강한가스공급모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맥주용 디스펜서헤드구조는 디스펜서헤드의 핸들레버 작동을 3단으로 구성하여 디스펜서헤드와 생맥주보관통의 분리모드와 약한가스공급모드, 강한가스공급모드등이 이루어지게하여 최종적으로 생맥주를 인출하는 인출콕에서의 배출되는 생맥주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3)

  1. 생맥주저장통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압축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압축가스와 생맥주를 혼합토출되도록 하는 디스펜서헤드 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생맥주저장통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2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압축가스내입관이 결합되는 유입부(22)가 형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내경과 동일 유사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에 삽설되며, 내부의 유로를 통해 생맥주를 토출시키고, 중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유입홈(32)이 형성되어 압출가스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홈의 상하부에는 밀폐링(24)을 개재하여 압축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고, 하단에서 일정길이의 상부로부터 유입홈이 형성된 중단까지 배출홈(33)이 형성되어 하부로 이동시 배출홈(33)으로 압축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외주면 양측에는 걸림턱을 갖는 평탄홈(31)이 형성된 내관(30)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고, 내측에 상기 내관의 평탄홈에 안치되는 걸림돌기(411)가 형성되어 상하회동에 의해 내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핸들레버(40)로 구성되되;
    상기 핸들레버(40)에는 본체와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유격을 갖는 스탑핀(42)을 형성하고, 상기 스탑핀과 접하는 본체의 면에는 핸들레버의 회동경로인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조절홈(23)을 형성하여 핸들레버의 조작에 의해 분리모드, 약한가스 공급모드, 강한가스공급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40)는,
    “ㄷ”자 형태의 개구된 단부가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내면에 걸림돌기(411)가 형성되며, 개구된 타측단부에는 내부에 통공이 갖는 가이드바(41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양측면에는 제2걸림돌기(412)가 형성된 레버(41)와;
    상기 가이드바의 내부인 통공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탑핀(42)과;
    상기 레버의 상측에 결합되어 파지력을 향상시킨 커버(43)와;
    “ㄷ”자 형태로 개구된 단부에 제1회동공(441)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제2걸림돌기(4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단에는 제2회동공(442)이 형성된 회동판(44)과;
    상기 회동판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스인 행거(45)와;
    “ㄷ”자 형태로 개구된 단부의 외측에 제3걸림돌기(46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회동공(4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개구된 타측은 상기 스탑핀(42)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구동판(4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44)에는 제1회동공(441)이 형성된 저면에 걸림턱(443)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이 레버에 접하여 회동판의 회동각도를 한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구조.
KR1020060009792A 2006-02-01 2006-02-01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KR10064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92A KR100644394B1 (ko) 2006-02-01 2006-02-01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92A KR100644394B1 (ko) 2006-02-01 2006-02-01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394B1 true KR100644394B1 (ko) 2006-11-13

Family

ID=3765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792A KR100644394B1 (ko) 2006-02-01 2006-02-01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3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3116A1 (zh) * 2016-08-19 2018-02-22 罗邦才 一种一体式酒水饮料保鲜桶系统
KR20180059125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캠프런 거품 터짐 방지 및 세척 기능이 통합된 커플러
KR101917612B1 (ko) * 2017-11-29 2019-01-29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KR20210109128A (ko) 2020-02-27 2021-09-06 노대일 스마트 맥주 디스펜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1461A2 (de) 1991-07-02 1993-01-07 HIWI SCHANKANLAGEN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die Entnahme von Flüssigkeiten unter Druck aus einem Behälter
KR20050062130A (ko) * 2003-12-19 2005-06-23 최형선 맥주 공급시스템의 디스펜서 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1461A2 (de) 1991-07-02 1993-01-07 HIWI SCHANKANLAGEN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die Entnahme von Flüssigkeiten unter Druck aus einem Behälter
KR20050062130A (ko) * 2003-12-19 2005-06-23 최형선 맥주 공급시스템의 디스펜서 헤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3116A1 (zh) * 2016-08-19 2018-02-22 罗邦才 一种一体式酒水饮料保鲜桶系统
KR20180059125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캠프런 거품 터짐 방지 및 세척 기능이 통합된 커플러
KR101908999B1 (ko) * 2016-11-25 2018-10-17 주식회사 캠프런 거품 터짐 방지 및 세척 기능이 통합된 커플러
KR101917612B1 (ko) * 2017-11-29 2019-01-29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KR20210109128A (ko) 2020-02-27 2021-09-06 노대일 스마트 맥주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394B1 (ko)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UA73180C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 dispenser device, container for drink and drink dispensing line
EP3034285B1 (en) Sealant dispenser
MX2013009581A (es) Sistema de dispensador de cerveza de espuma cremosa.
PT1786722E (pt) Torneira para fornecimento de bebidas com bicos para o líquido e a espuma
US5832958A (en) Faucet
US6814267B2 (en) Flow control device for large capacity container
JP4650863B2 (ja) 注出コック
WO2007075405A3 (en) Apparatus for controlled initiation of fluid-flow from an inverted container
JPH08226735A (ja) 冷蔵庫用水分配器
JP5964551B2 (ja) 吐出器及び飲料吐出装置用洗浄システム
KR20220160414A (ko)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
CN108692040B (zh) 一种高安全性铝制阀门
CN208348527U (zh) 高安全性铝制阀门
JP2012217984A (ja) 炭酸水製造装置
KR200437185Y1 (ko) 생맥주 인출밸브
KR200362218Y1 (ko)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의 역류 방지구조
KR102566986B1 (ko)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US9145288B2 (en) Tipless can filling valve
KR100557425B1 (ko) 맥주 공급시스템의 디스펜서 헤드
CN219756032U (zh) 一种取液装置
JPH0257597A (ja) 供給バルブユニット
GB2429704A (en) Spear valve fitting for a keg
KR200343211Y1 (ko) 생맥주 인출용 콕크밸브의 유량조절구조
KR100537060B1 (ko)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밸브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