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612B1 -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612B1
KR101917612B1 KR1020170161322A KR20170161322A KR101917612B1 KR 101917612 B1 KR101917612 B1 KR 101917612B1 KR 1020170161322 A KR1020170161322 A KR 1020170161322A KR 20170161322 A KR20170161322 A KR 20170161322A KR 101917612 B1 KR101917612 B1 KR 101917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upler
component
stopper
clean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프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to KR102017016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투입된 가스 개폐 스틱을 상하로 이동시켜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결합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1500); 상기 손잡이(1500)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 1 부품(1100); 상기 제 1 부품(1100)의 일 측면에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에 홈을 포함하는 제 2 부품(1200); 상기 제 1 부품(110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 1 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부품(1200)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스토퍼(1300); 및 상기 스토퍼(130)를 수용하도록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는 가스켓(1400);을 포함하되, 상기 홈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부품(110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고, 상기 제 2 부품(1200)은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변화된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Gas switchgear for cleaning module of beverage distribution head}
본 발명은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투입된 가스 개폐 스틱을 상하로 이동시켜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맥주 영업점 등에서는 생맥주 냉각기를 이용해 탄산가스가 혼합된 생맥주를 냉각시킨 상태로 취출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생맥주 냉각기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냉각탱크, 냉각탱크의 내부에 코일 형태로 배치되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 코일, 냉각탱크의 냉각수를 교반시켜 냉각수와 냉각 코일의 열교환을 향상시키는 교반기, 냉각 코일에서 냉각된 맥주를 인출할 수 있는 생맥주 인출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 코일은 냉각탱크를 관통하여 냉각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 코일의 내부에는 케그(맥주통, Keg)와 같은 저장용기와 연결되어 생맥주 저장용기에서 토출된 생맥주가 생맥주 추출 장치인 커플러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커플러는 전술한 생맥주와 같은 주류 및 식음료의 인출을 위한 장비로 이용되는데, 상기 커플러의 세척을 위해서는 커플러에 세척장치를 연결하거나 별도의 세척 장치를 운영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이용하는 커플러의 외관을 변형시키기 않고 세척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커플러 내의 이격된 공간 내에 맥주 등의 액체가 삽입됨으로써, 내부 부재의 부식을 유도하여 위생 상의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케그로 유입되는 CO2 가스의 압력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맥주를 외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고, 압력이 큰 경우에는 과압에 의해 과탄산, 즉 거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입되는 CO2 가스의 양에 따라 맥주의 맛도 변경될 수 있어 더더욱 케그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은 중요하다.
단, 음료 분배 시스템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온도에 따라 유입되어야 할 CO2 가스의 양도 변화되어야 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일정한 CO2 압력을 인가할 경우에는 과압에 의한 과탄산, 즉 거품이 발생하거나 맥주의 맛이 변경되는 큰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2003-00194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투입된 가스 개폐 스틱을 상하로 이동시켜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결합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1500); 상기 손잡이(1500)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 1 부품(1100); 상기 제 1 부품(1100)의 일 측면에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에 홈을 포함하는 제 2 부품(1200); 상기 제 1 부품(110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 1 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부품(1200)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스토퍼(1300); 및 상기 스토퍼(130)를 수용하도록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는 가스켓(1400);을 포함하되, 상기 홈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부품(110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고, 상기 제 2 부품(1200)은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변화된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이고,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상기 스토퍼의 내부 공간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부가 비어있는 C형 구조 또는 O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품(1200)에 형성된 홈은 좌측, 우측 및 상측 중 적어도 하나 방향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상기 상측으로 형성된 홈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품(1200)은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되기 위해 이동되는 관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로를 막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가 상기 관로를 막고, 상기 제 2 부품(1200)이 삽입된 상기 제 1 부품(1100)의 일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가 상기 관로를 오픈(open)하고, 상기 제 2 부품(1200)이 삽입된 상기 제 1 부품(1100)의 일 측면과 이격되어 공간이 발생되며, 상기 오픈된 관로 및 발생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품(1100) 및 제 2 부품(1200)은 배관과 연결되어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액체는 세정수이며, 상기 유입된 세정수는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된 가스와 혼합되어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품(1100) 및 제 2 부품(1200)은,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공급된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료를 이송하는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가스의 적정 압력은 온도에 따라 변화되며, 상기 온도와 관련하여 미리 할당된 적정 압력에 따라 상기 가스가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커플러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레귤레이터(2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2000)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발광하고, 발광하는 온도에서의 적정 압력이 미리 할당되며, 일정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체; 및 상기 복수의 발광체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와 인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발광체 중 제 1 발광체가 발광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발광체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발광체의 발광하는 온도와 관련하여 미리 할당된 적정 압력에 따라 상기 가스가 상기 저장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와 상기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는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투입된 가스 개폐 스틱을 상하로 이동시켜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세척통을 이용하여 손쉽게 커플러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는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부품 형태로 장착되거나 커플러와 일체화되어 제작될 수 있으므로, 커플러의 세척을 위해서는 커플러에 세척장치를 연결하거나 별도의 세척 장치를 운영해야 한다는 기존의 문제점과 커플러의 외관을 변형시키기 않고 세척을 수행할 수 없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플러 내의 이격된 공간 내에 맥주 등의 액체가 삽입됨으로써, 내부 부재의 부식을 유도하여 위생 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음료 분배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에 결합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가스 개폐 스틱이 상승한 경우,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따른 가스 개폐 스틱이 하강한 경우,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그와 분리되어 맥주 유입이 되지 않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그와 연결되어 맥주가 인출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음료 분배 헤드가 케그와 분리된 후 세척통과 연결된 상태에서, 세정수가 유입되면서 가스와 혼합되어 배관을 세척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에 결합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의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스토퍼를 이용하여 부품 1과 부품 2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경사진 라인을 갖는 부품 2가 스토퍼를 이용하여 부품 1과 결합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결합된 상태에서 부품 1과 스토퍼가 부품 2의 경사진 라인을 따라 90도 회전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3 및 도 14의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켓이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통해 세척을 위한 가스가 유입되지 못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통해 세척을 위한 가스가 유입되고, 세정수와 혼합되어 배관을 세척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와 결합되고, 동작하는 과정을 도면을 통해 도시한 것이다.
도 20는 주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가스 압력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가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결합된 모습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음료 분배 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음료 분배 장치는 다른 종류의 음료, 예를 들어, 맥주 및 탄산음료(carbonated beverage) 용의 분배용 수도꼭지 A1, A2, A3를 포함할 수 있다.
맥주 및 청량 음료(cold drinks) 시럽(syrup)의 냉장기 또는 탄산수 혼합기(B)로의 공급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음료 분배 장치는 맥주를 보유하는 용기(C), 시럽(syrup)을 보유하는 1개 이상의 용기(D)를 포함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기(C)에 접속된다.
또한, 맥주를 보유하는 용기(C), 시럽(syrup)을 보유하는 1개 이상의 용기(D)는 가압 탄산 가스(carbon dioxide)의 공급원, 즉, 원통 용기(E)에 접속된다.
이때, 탄산 가스(carbon dioxide)는 용기(C) 및 용기(D) 내에서 액체의 액면보다 위쪽에 도입된다.
또한, 액체는 용기 내에 연재하고 있는 출수 모듈 구조(사이펀관, F)를 다니며 유출하도록 압력이 더해진다.
용기(C)의 내부에는 액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출수 모듈 구조(F)가 설치되고, 가압 탄산 가스 공급원 (E)에 의해 용기(C)의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가 액체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액체는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20)의 세척을 위한 경우에는 용기(C)는 세정수 보관통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세정수를 보관하는 용기(C)의 내부에는 액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출수 모듈 구조(F)가 설치되고, 가압 탄산 가스 공급원 (E)에 의해 용기(C)의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가 세정수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를 통해 용기(C)의 외부로 공급됨으로써, 커플러(20)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커플러(20)는 전술한 생맥주와 같은 주류 및 식음료의 인출을 위한 장비로 이용되는데, 상기 커플러(2)의 세척을 위해서는 커플러에 세척장치를 연결하거나 별도의 세척 장치를 운영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이용하는 커플러(20)의 외관을 변형시키기 않고 세척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2015년 11월 25일에 출원한 출원번호 10-2015-0165410 발명에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투입된 가스 개폐 스틱을 상하로 이동시켜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을 통해 제안한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대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전 출원 명세서에서 제안한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도 2는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는 커플러(20)에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커플러(20)와 일체화 시켜서 제작될 수 있다.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가 커플러(20)와 일체화되어 제작되는 경우에도 커플러 내부에 투입된 가스 개폐 스틱을 상하로 이동시켜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는 조절레버(100), 직선 운동 가이드(200), 가스 개폐 스틱(300), 원형 하우징(400), 가스 유입부(500) 및 맥주 방출 방지 부품 수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의 구성들은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먼저, 조절레버(10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조작부이고, 사용자는 조절레버(100)를 좌우 또는 수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스 개폐 스틱(300)의 직선 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직선 운동 가이드(200)는 조절레버(1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주기 위해 구비된다.
즉, 조절레버(100)에 구비된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여 직선 운동 가이드(200)의 표면 등이 형성됨으로써, 조절레버(100)가 회전하면 이를 직선 운동으로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가스 개폐 스틱(300)이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직선 운동 가이드(200)가 구비되지 않아 조절레버(100)의 회전에 대응하여 다이렉트로 가스 개폐 스틱(300)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중간의 액체를 유입하기 위한 호스가 꼬이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직선 운동 가이드(200)를 적용한다.
또한, 가스 개폐 스틱(300)은 조절레버(1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직선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가스 개폐 스틱(300)은 일정한 돌기 또는 홈을 추가적으로 표면에 구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홈에는 패킹을 위한 링 구조(예를 들어, 오링(O-ring))가 투입될 수 있다.
링 구조의 결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가스 개폐 스틱(300)은 원형 하우징(400)의 출수 배관과 연결하는 나사 구조를 대신하여 맥주 배관과 다이렉트로 연력하는 커넥터 구조를 갖는다.
또한, 원형 하우징(400)은 가스 개폐 스틱(300)의 외관을 덮는 구조물로, 원형 하우징(400)과 가스 개폐 스틱(30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이 형성되어 가스가 유입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유입부(500)는 가압 탄산 가스 공급원(E)으로부터 유입된 가스가 유입되는 공간으로 도 2에서는 가스 유입부(500)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가스 유입부(500) 중 하단에 위치하는 가스 유입부(500)를 제 1 가스 유입부라고 호칭하고, 상단에 위치하는 가스 유입부(500)를 제 2 가스 유입부라고 호칭한다.
단, 가스 유입부(500)가 2개인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1개 또는 3개 이상의 가스 유입부(50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더 나아가 가스 유입부(500)는 360도 노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가스 유입부(500)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 또는 내부로 출력되는 가스는 가스 유입부(500)의 전면을 통해 이동 될 수 있으므로, 가스의 유입을 손쉽게 하고,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가스 유입부(500)는 가스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회전 유도 관로 구조로 형성되거나 회전 유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맥동 현상에 있어, 회전하며 공급되는 기체는 세정수의 맥동 주기를 더욱 단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기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세정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맥동 주기를 추가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 유입부(500)는 1개 이상의 관통 구조로 형성되어 전술한 기체의 유입 및 기체의 회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입부(500)의 가스 유입 관로의 형태에 따라 상기 맥동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 주기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가스 유입 관로의 형태에 대응하여 유입된 가스의 각도가 커지는 것에 따라 펄스가 짧은 주기로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맥주 방출 방지 부품 수용부(600)는 맥주가 역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맥주 케그에서 커플러를 분리시켰을 때, 배관에 남아있는 맥주가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물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에 결합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커플러(20)에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가 착탈식으로 결합된 구체적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단, 전술한 것과 같이,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는 커플러(20)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 이외에도 커플러(20)와 일체형의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의 구조를 기초로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투입된 가스 개폐 스틱(300)을 상하로 이동시켜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조절레버(100)의 회전에 의해 가스 개폐 스틱(300)이 상승되는 경우에는 가스 유입부(500)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된다.
이에 반해, 조절레버(100)의 회전에 의해 가스 개폐 스틱(30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가스 유입부(500)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와 세정수가 혼합됨으로써, 커플러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개폐 스틱이 상승한 경우,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는 조절레버(100)를 회전시키고, 조절레버(100)의 회전에 따라 가스 개폐 스틱(300)이 상승할 수 있다.
가스 개폐 스틱(300)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데, 복수의 홈에는 패킹을 위한 링 구조(예를 들어, 오링(O-ring))가 투입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3단의 홈이 가스 개폐 스틱(300)에 형성되고, 3단의 홈 각각에 복수의 링 구조(710, 720, 730)가 삽입된다.
또한, 커플러와 결합된 하단에는 다른 링구조(740)이 구비된다.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하단의 링구조(740)는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의 결합을 지원하고,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 사이의 빈 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다.
용기(C)의 내부에는 액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출수 모듈 구조(F)가 설치되고,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 가스가 액체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용기(C) 내부의 액체는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는 것은 가스 개폐 스틱(30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는 것에 반하여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는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링구조(710)와 제 2 링구조(730)가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단과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더 나아가 제 2 링구조(720)는 가스 개폐 스틱(300)의 홈 상단을 완전히 패킹함으로써,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가스 개폐 스틱이 하강한 경우,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절레버(100)를 회전시키고, 조절레버(100)의 회전에 따라 가스 개폐 스틱(300)이 하강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3단의 홈이 가스 개폐 스틱(300)에 형성되고, 3단의 홈 각각에 복수의 링 구조(710, 720, 730)가 삽입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커플러와 결합된 하단에는 다른 링구조(740)이 구비된다.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하단의 링구조(740)는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의 결합을 지원하고,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 사이의 빈 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다.
도 5에서의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는 기체는 주류 및 식음료가 아닌 세정수를 용기(C)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커플러(20)의 세척을 위한 경우에는 용기(C)는 세정수 보관통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 가스가 세정수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를 통해 용기(C)의 외부로 공급됨으로써, 커플러(20)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는 것은 가스 개폐 스틱(30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가스 개폐 스틱(300)이 상승한 경우에 기체가 가압하는 대상은 주류 및 식음료가 될 것이고, 가스 개폐 스틱(300)이 하강한 경우에 기체가 가압하는 대상은 세정수가 될 것이다.
도 4와 달리 도 5에서는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됨과 동시에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스 개폐 스틱(300)의 하강에 의해 제 1 링구조(710)와 제 2 링구조(730)는 가스 투입 공간(800)을 막지 못한다.
더 나아가 제 2 링구조(720)도 하강하여 원형 하우징(400)에 구비된 홈에 결함됨으로써, 빈 공간이 형성되어 가스 투입 공간(800)으로 흘러들어가는 기체를 막지 못한다.
따라서 가스 개폐 스틱(300)이 하강한 경우에는 커플러의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게 되고 이를 통해 커플러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가스 개폐 스틱(300)이 하강한 상황을 가정하여 커플러의 내부로 유입된 기체와 세정수를 통해 커플러(20) 내부를 세척하는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상승하는 세정수와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혼합하여 발생되는 맥동 현상을 이용하여 세척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직으로 상승하는 세정수,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되면서 세척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맥동 현상이란 배관 내에서의 자유 수면이 없는 액체의 흐름에 있어서, 액체의 압력과 토출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배관에서의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맥동 현상의 발생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배관의 토출 관로가 길고, 배관의 내부에 에어 포켓 등의 공기가 괴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동 현상은 관내 유체의 원할한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배관 내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관의 단면적, 유속, 유량을 조절하는 등과 같은 맥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맥동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관내 진동과 관내 벽면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통해 관내부를 세척 및 세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이산화 탄소 등의 기체의 압력은 유입된 세정수의 외부로의 배출에 대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세정수의 외부 배출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게 되는데, 용기(C)로부터의 세정수의 지속적인 공급에 따른 압력이 기체의 압력을 상회하게 되면 세정수는 기체의 압력을 극복하고 배관을 통해 펌핑되며, 이와 같은 세정수의 일시적인 펌핑으로 인해 혼합 공간 내에서의 세정수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다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세정수의 배출이 지연되는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용기(C)로부터의 세정수의 공급에 따른 압력이 기체의 압력을 상회하게 되면 세정수는 기체의 압력을 극복하고 배관을 통해 다시 펌핑되며, 이와 같은 반복적 작용에 의해 세정수는 펄스파와 같은 일정 주기의 맥동 현상을 나타내며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자는 배관을 통해 물 등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가스 유입부(500)를 이용한 기체의 가압 이송 경로를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주입하는 경우,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동 현상을 이용하여 가스 개폐 스틱(300)이 하강한 상황을 가정하여 커플러의 내부로 유입된 기체와 세정수를 통해 커플러(20) 내부를 세척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가스 개폐 스틱(300)이 상승한 경우에는 기체가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고, 용기(C)에 있는 맥주 등의 음료만이 출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 및 동작을 기초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스 개폐 스틱(300)의 직선 운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가스를 커플러(20) 내부로 유입함으로써, 사용자가 맥주 등의 액체 또는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내용을 최종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그와 분리되어 맥주 유입이 되지 않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그와 연결되어 맥주가 인출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자가 이전 출원에서 제안했던 음료 분배 헤드가 케그와 분리된 후 세척통과 연결된 상태에서, 세척수가 유입되면서 가스와 혼합되어 배관을 세척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가 커플러(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그와 분리되어 맥주 유입이 되지 않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은 음료 분배 헤드를 용기(C)에 결합시켜 맥주 등의 음료를 외부로 인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7에서는 조절레버(100)의 회전을 통해, 가스 개폐 스틱(300)이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다.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하단의 링구조(740)는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의 결합을 지원하고,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 사이의 빈 공간이 존재하며,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고, 이를 통해 맥주 등의 음료는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결국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는 것에 반하여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는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링구조(710)와 제 2 링구조(730)가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단과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제 2 링구조(720)는 가스 개폐 스틱(300)의 홈 상단을 완전히 패킹함으로써,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다.
따라서 커플러(20) 내부로의 가스 유입없이 맥주 등의 음료만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하단의 맥주 등의 음료를 담은 용기(C)를 세정수로 채우거나 세정수로 채워진 용기(C)로 교체한 후, 배관을 청소하는 구체적인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절레버(100)를 회전시키고, 조절레버(100)의 회전에 따라 가스 개폐 스틱(300)이 하강할 수 있다.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하단의 링구조(740)는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의 결합을 지원하고,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 사이의 빈 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다.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 가스가 세정수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를 통해 용기(C)의 외부로 공급됨으로써, 커플러(20)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달리 도 8에서는 하단의 링구조(74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됨과 동시에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가스 개폐 스틱(300)의 하강에 의해 제 1 링구조(710)와 제 2 링구조(730)는 가스 투입 공간(800)을 막지 못하고, 제 2 링구조(720)도 하강하여 원형 하우징(400)에 구비된 홈에 결함됨으로써, 빈 공간이 형성되어 가스 투입 공간(800)으로 흘러들어가는 기체를 막지 못한다.
따라서 가스 개폐 스틱(300)이 하강한 경우에는 커플러의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게 된다.
결국, 배관을 통해 물 등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가스 투입 공간(800)을 통해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를 주입하는 경우,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되며, 결국 커플러(20) 내부를 세척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출원을 통해 본 발명자가 제안된 상기 구조는 커플러 내의 이격된 공간 내에 맥주 등의 액체가 삽입됨으로써, 내부 부재의 부식을 유도하여 위생 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커플러 내부의 복수의 링구조(710, 720, 730, 740) 및 그 사이에 닫혔다가 열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공간에 맥주 등의 액체가 삽입되고, 유착됨으로써, 내부 부재의 부식을 유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 부재의 부식으로 인해 맥주가 외부로 새어나가거나 다른 부재의 부식을 연쇄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결국 또 다른 위생상의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커플러 내의 이격된 공간 내에 맥주 등의 액체가 삽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내부 부재의 부식을 유도하여 위생 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출원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에 결합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와 커플러(20)가 결합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와 커플러(20)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결합 레버(950)도 도시되어 있다.
결합 레버(95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와 커플러(20)의 결합이 해제되고, 수직 방향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와 커플러(20)가 상호 결합되게 된다.
새롭게 제안하는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와 커플러(20)에서 커플러(20) 단이 하는 기능은 전술한 종래의 장치가 동일하다.
즉,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음료 분배 헤드를 용기(C)에 결합시켜 맥주 등의 음료를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와 커플러(20)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고, 이를 통해 맥주 등의 음료는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하단의 맥주 등의 음료를 담은 용기(C)를 세정수로 채우거나 세정수로 채워진 용기(C)로 교체한 후, 배관을 청소하는 과정에서는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와 커플러(20) 사이의 빈 공간이 존재하고, 공간을 통해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다.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 가스가 세정수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를 통해 용기(C)의 외부로 공급됨으로써, 커플러(20)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됨과 동시에 제 2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커플러 내의 이격된 공간 내에 맥주 등의 액체가 삽입됨으로써 내부 부재의 부식을 유도하여 위생 상의 문제점은 종래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의 구조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와 다른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를 제안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는 부품 1(1100), 부품 2(1200), 스토퍼(1300), 가스켓(1400), 손잡이(1500), 링 구조(1600) 및 가스 유입로(1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부품 1(1100)은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의 최외곽의 하우징으로서, 하단의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맥주 등의 음료 또는 세척을 위한 액체가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부품 2(1200)는 부품 1(1100)의 하단에 삽입되어 부품 1(1100)과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부품 2(1200)는 부품 1(1100)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부품 1(1100)을 관통하여 부품 2(1200)의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1300)를 이용함으로써, 부품 1(1100)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한편, 부품 1(1100)를 관통하여 부품 2(1200)의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1300)에 있어서, 부품 2(1200)의 홈은 90도만큼 패이고,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부품 1(1100)과 부품 2(1200)는 스토퍼(1300)를 이용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부품 1(1100)과 연관된 손잡이(150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경우, 부품 1(1100)는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이때, 스토퍼(1300)도 상기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나 이러한 스토퍼(1300)의 회전 동작은 부품 2(1200)의 비스듬히 경사진 홈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결국 부품 2(12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부품 2(12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스듬한 홈을 따라 스토퍼(1300)가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부품 1(1100)은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가스 유입로(1220)는 부품 2(1200)의 비스듬한 홈의 상단에 구현된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가스켓(1400)의 홀(1410)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입력되는 공간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한, 가스켓(1400)은 부품 1(1100), 부품 2(1200) 및 스토퍼(1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끼워지는 부품으로서, 일부 영역에 홀(1410)을 더 구비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가스켓(1400)의 일부에 존재하는 홀(1410)을 통해 외부의 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부품 1(1100), 부품 2(1200) 및 스토퍼(1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켓(1400)이 그 상단에 끼워지게 되므로, 부품 1(1100), 부품 2(1200), 스토퍼(1300) 및 가스켓(1400)이 모두 결합된 경우에는 가스켓(1400) 하단에 배치된 부품 2(1200)의 적어도 일부 및 스토퍼(1300)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링 구조(1600)는 가스 유입로(1220)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링 구조(16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공간이 발생하면 가스 유입로(1220)로 유입된 가스는 발생된 공간을 따라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부품 1(1100), 부품 2(1200), 스토퍼(1300), 가스켓(1400), 손잡이(1500), 링 구조(1600) 및 가스 유입로(1220) 등의 결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의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1300)는 C형이될 수도 있고,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O형이 될 수도 있따.
이때, 스토퍼(1300)는 내부에 가스켓(1400)의 홀(1410)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가스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1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공간(1310)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전술한 가스 유입로(1220)로 이동 될 수 있는데, 가스 유입로(1220)는 부품 2(1200)의 비스듬한 홈의 상단에 구현된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가스켓(1400)의 홀(1410)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입력되는 공간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한 스토퍼를 이용하여 부품 1과 부품 2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부품 2(1200)는 부품 1(1100)의 하단에 삽입되어 부품 1(1100)과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데, 부품 2(1200)는 부품 1(1100)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부품 1(1100)을 관통하여 부품 2(1200)의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1300)를 이용함으로써, 부품 1(1100)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한편, 부품 1(1100)를 관통하여 부품 2(1200)의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1300)에 있어서, 부품 2(1200)의 홈은 90도만큼 패이고,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경사진 라인(1210)을 갖는 부품 2가 스토퍼를 이용하여 부품 1과 결합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결합된 상태에서 부품 1과 스토퍼가 부품 2의 경사진 라인(1210)을 따라 90도 회전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부품 1(1100)과 부품 2(1200)는 스토퍼(1300)를 이용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부품 1(1100)과 연관된 손잡이(150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경우, 부품 1(1100)는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이때, 스토퍼(1300)도 상기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나 이러한 스토퍼(1300)의 회전 동작은 부품 2(1200)의 비스듬히 경사진 홈(1210)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결국 부품 2(12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부품 2(12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스듬한 홈(1210)을 따라 스토퍼(1300)가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부품 1(1100)은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부품 2(1200)의 비스듬한 홈의 상단에 구현된 공간인 가스 유입로(1220)가 도시된다.
결국, 가스켓(1400)의 홀(1410)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스토퍼(1300)는 내부의 공간(1310)을 통해 이동하고, 가스 유입로(1220)를 따라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6은 도 13 및 도 14의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켓이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스켓(1400)은 부품 1(1100), 부품 2(1200) 및 스토퍼(1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끼워지는 부품으로서, 부품 1(1100), 부품 2(1200) 및 스토퍼(1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켓(1400)이 그 상단에 끼워지게 되므로, 부품 1(1100), 부품 2(1200), 스토퍼(1300) 및 가스켓(1400)이 모두 결합된 경우에는 가스켓(1400) 하단에 배치된 부품 2(1200)의 적어도 일부 및 스토퍼(1300)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가스켓(1400)은 일부 영역에 홀(1410)을 더 구비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가스켓(1400)의 일부에 존재하는 홀(1410)을 통해 외부의 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의 구조를 기초로 가스 유입이 차단되는 구조 및 가스 유입이 허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통해 세척을 위한 가스가 유입되지 못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7은 음료 분배 헤드를 용기(C)에 결합시켜 맥주 등의 음료를 외부로 인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경사진 라인(1210)을 갖는 부품 2가 스토퍼를 이용하여 부품 1과 결합된 후, 스토퍼(1300)를 이용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부품 1(1100)과 연관된 손잡이(150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경우, 부품 1(1100)는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고, 스토퍼(1300)도 상기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나 이러한 스토퍼(1300)의 회전 동작은 부품 2(1200)의 비스듬히 경사진 홈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결국 부품 2(12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특히, 이 때, 부품 2(12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스듬한 홈을 따라 스토퍼(1300)가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도 17에서 부품 1(1100)은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높아진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링 구조(1600)는 360도로 내부 구조와 밀착되고, 부품 1(1100)과 부품 2(1200)는 완전히 밀착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도 17의 경우에는 가스켓(1400)의 일부에 존재하는 홀(1410)로 유입된 가스가 내부로 전혀 유입될 수 없다.
즉, 도 9에서 설명한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하단의 공간을 통해 하단의 용기(C)로만 투입되고, 이를 통해 맥주 등의 음료는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결국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를 통해 입력된 가스는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커플러(20) 내부로의 가스 유입 없이 맥주 등의 음료만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통해 세척을 위한 가스가 유입되고, 세정수와 혼합되어 배관을 세척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8은 하단의 맥주 등의 음료를 담은 용기(C)를 세정수로 채우거나 세정수로 채워진 용기(C)로 교체한 후, 배관을 청소하는 구체적인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1500)를 도 17과 다르게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우, 부품 1(1100)는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고, 스토퍼(1300)도 상기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나 이러한 스토퍼(1300)의 회전 동작은 부품 2(1200)의 비스듬히 경사진 홈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결국 부품 2(12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특히, 이 때, 부품 2(12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스듬한 홈을 따라 스토퍼(1300)가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도 18에서 부품 1(1100)은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낮아진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링 구조(1600)는 360도로 내부 구조와 이격되어 일정 공간(1900)이 발생되고, 부품 1(1100)과 부품 2(1200) 간에도 일정 공간(1900)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18의 경우에는 가스켓(1400)의 일부에 존재하는 홀(1410)로 유입된 가스는 스토퍼(1300)는 내부의 공간(1310)을 통해 이동하고, 가스 유입로(1220)를 따라 다시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는 상기 도 18을 통해 발생된 일정 공간(1900)을 따라 커플러(20) 내부로 공급된다.
즉, 도 17과 달리 도 18에서는 하단의 링구조(160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1900)을 통해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와 동시에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고,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 가스가 세정수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를 통해 용기(C)의 외부로 공급됨으로써, 커플러(20)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결국, 배관을 통해 물 등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 1 가스유입부 및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를 통해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를 주입하는 경우,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맥동 현상(SURGING)을 수반하며, 세척 대상 관의 내부로 배출되며, 결국 커플러(20) 내부를 세척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플러 내의 이격된 공간 내에 맥주 등의 액체가 삽입됨으로써, 내부 부재의 부식을 유도하여 위생 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가 커플러와 결합되고, 동작하는 과정을 도면을 통해 도시한 것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20)와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0)는 상호 결합되어 있으나 결합 레버(950)가 올라가 있어, 저장부 즉, 케그와 커플러(20)와 결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다.
또한, 도 19b를 참조하면, 결합 레버(950)가 내려감에 따라 커플러(20)와 케그가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맥주 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케그, 커플러(20) 및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도 19b에서는 음료 분배 헤드를 용기(C)에 결합시켜 맥주 등의 음료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즉, 도 17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부품 2(12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스듬한 홈을 따라 스토퍼(1300)가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도 17에서 부품 1(1100)은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높아진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링 구조(1600)는 360도로 내부 구조와 밀착되고, 부품 1(1100)과 부품 2(1200)는 완전히 밀착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도 17의 경우에는 가스켓(1400)의 일부에 존재하는 홀(1410)로 유입된 가스가 내부로 전혀 유입될 수 없으나 도 9에서 설명한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하단의 공간을 통해 하단의 용기(C)로만 투입되고, 이를 통해 맥주 등의 음료는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결국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1000)를 통해 입력된 가스는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커플러(20) 내부로의 가스 유입 없이 맥주 등의 음료만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9c에서는 도 19b와 달리 하단의 용기(C)에 맥주가 아닌 세정수가 채워진다.
도 19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1500)를 도 19b과 다르게 사용자가 90도 회전시킬 수 있고, 부품 1(1100)는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고, 스토퍼(1300)도 상기 손잡이(15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나 이러한 스토퍼(1300)의 회전 동작은 부품 2(1200)의 비스듬히 경사진 홈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결국 부품 2(12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특히, 이 때, 부품 2(12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스듬한 홈을 따라 스토퍼(1300)가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도 19c에서 부품 1(1100)은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낮아진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링 구조(1600)는 360도로 내부 구조와 이격되어 일정 공간(1900)이 발생되고, 부품 1(1100)과 부품 2(1200) 간에도 일정 공간(1900)이 발생된다.
따라서 가스켓(1400)의 일부에 존재하는 홀(1410)로 유입된 가스는 스토퍼(1300)는 내부의 공간(1310)을 통해 이동하고, 가스 유입로(1220)를 따라 다시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는 상기 도 18을 통해 발생된 일정 공간(1900)을 따라 커플러(20) 내부로 공급된다.
즉, 도 19b와 달리 도 18에서는 하단의 링구조(1600) 측면에 존재하는 공간(1900)을 통해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가스와 동시에 커플러(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스유입부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가스는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되고, 하단의 용기(C)로 투입된 가스가 세정수의 수면을 가압함에 따라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의 하단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는 출수 모듈 구조(F)를 통해 용기(C)의 외부로 공급됨으로써, 커플러(20)의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서는 부품 2(120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스듬한 홈을 따라 스토퍼(1300)가 회전하는 경우, 부품 1(1100)이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면 기체가 차단되는 상태가 되고, 부품 1(1100)이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면 기체가 공급되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고, 반대로 부품 1(1100)이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면 기체가 공급되는 상태가 되고, 부품 1(1100)이 스토퍼(1300)의 회전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면 기체가 차단되는 상태가 되도록 구조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가스 압력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한편, 케그로 유입되는 CO2 가스의 압력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맥주를 외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고, 압력이 큰 경우에는 과압에 의해 과탄산, 즉 거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입되는 CO2 가스의 양에 따라 맥주의 맛도 변경될 수 있어 더더욱 케그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은 중요하다.
단, 음료 분배 시스템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온도에 따라 유입되어야 할 CO2 가스의 양도 변화되어야 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일정한 CO2 압력을 인가할 경우에는 과압에 의한 과탄산, 즉 거품이 발생하거나 맥주의 맛이 변경되는 큰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발광하는 발광체를 배치하고, 각각의 온도에서 가압되어야 할 CO2 압력을 발광체에 함께 표시하며, 밸브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발광 중인 발광체와 함께 표시된 압력으로 조절되는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안한다.
도 20는 주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가스 압력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가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결합된 모습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2000)는 커플러(20)의 일 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2000)는 조절 레버(2100), 가스 게이지 표시부(2200), 가스 유입부(2300) 및 가스 배출부(2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외부의 가스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가스는 가스 유입루(2300)를 통해 유입되고, 가스 배출부(2400)를 통해 배출되어 커플러(20)로 공급된다.
또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은 가스 게이지 표시부(22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발광하는 발광체를 배치하고, 각각의 온도에서 가압되어야 할 CO2 압력을 발광체에 함께 표시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발광 중인 발광체와 함께 표시된 압력으로 조절되는 조절 레버(2100)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레버(2100)에는 복수의 발광체가 배치되고, 각각의 발광체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발광한다.
예를 들어, 제 1 발광체는 5도 온도에서 발광하고, 제 2 발광체는 10도 온도에서 발광하며, 제 3 발광체는 15도 온도에서 발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발광체가 발광하는 온도에서 CO2 가스에 가해져야 할 압력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발광체는 5도 온도에서 발광하므로, 5도에서의 적정한 압력인 1atm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발광체는 10도 온도에서 발광하므로, 10도에서의 적정한 압력인 2atm이 표시될 수 있고, 제 3 발광체는 15도 온도에서 발광하므로, 15도에서의 적정한 압력인 3atm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수동으로 조절 레버(2100)를 발광하는 발광체로 이동시켜 현재의 온도 및 압력 등에 대해 별도로 센싱하지 않고 손쉽게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절 레버(2100)를 온도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는 형상기억합금 등으로 제작하는 경우,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조절 레버(2100)가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CO2 가스 압력이 조절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음료 분배 시스템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온도에 따라 유입되어야 할 CO2 가스의 양도 변화되어야 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일정한 CO2 압력을 인가할 경우에는 과압에 의한 과탄산, 즉 거품이 발생하거나 맥주의 맛이 변경되는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투입된 가스 개폐 스틱을 상하로 이동시켜 세척시에만 가스가 커플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세척통을 이용하여 손쉽게 커플러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는 주류 및 식음료 커플러 내부에 부품 형태로 장착되거나 커플러와 일체화되어 제작될 수 있으므로, 커플러의 세척을 위해서는 커플러에 세척장치를 연결하거나 별도의 세척 장치를 운영해야 한다는 기존의 문제점과 커플러의 외관을 변형시키기 않고 세척을 수행할 수 없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플러 내의 이격된 공간 내에 맥주 등의 액체가 삽입됨으로써, 내부 부재의 부식을 유도하여 위생 상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음료 분배 시스템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온도에 따라 유입되어야 할 CO2 가스의 양도 변화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손쉽게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9)

  1. 커플러와 결합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1500);
    상기 손잡이(1500)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 1 부품(1100);
    상기 제 1 부품(1100)의 일 측면에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에 홈을 포함하는 제 2 부품(1200);
    상기 제 1 부품(110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 1 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부품(1200)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스토퍼(1300); 및
    상기 스토퍼(1300)를 수용하도록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제 2 홀을 포함하는 가스켓(1400);을 포함하되,
    상기 홈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부품(110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고, 상기 제 2 부품(1200)은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변화된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될지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이고,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상기 스토퍼의 내부 공간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 가능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부가 비어있는 C형 구조 또는 O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품(1200)에 형성된 홈은 좌측, 우측 및 상측 중 적어도 하나 방향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상기 상측으로 형성된 홈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 가능하며,
    상기 제 2 부품(1200)은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되기 위해 이동되는 관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로를 막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가 상기 관로를 막고, 상기 제 2 부품(1200)이 삽입된 상기 제 1 부품(1100)의 일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품(1100)의 위치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재가 상기 관로를 오픈(open)하고, 상기 제 2 부품(1200)이 삽입된 상기 제 1 부품(1100)의 일 측면과 이격되어 공간이 발생되며, 상기 오픈된 관로 및 발생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 2 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1100) 및 제 2 부품(1200)은 배관과 연결되어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액체는 세정수이며,
    상기 유입된 세정수는 상기 커플러 내부로 투입된 가스와 혼합되어 맥동 현상을 수반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1100) 및 제 2 부품(1200)은,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공급된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료를 이송하는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가스의 적정 압력은 온도에 따라 변화되며,
    상기 온도와 관련하여 미리 할당된 적정 압력에 따라 상기 가스가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커플러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레귤레이터(2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2000)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발광하고, 발광하는 온도에서의 적정 압력이 미리 할당되며, 일정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체; 및
    상기 복수의 발광체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와 인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발광체 중 제 1 발광체가 발광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발광체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발광체의 발광하는 온도와 관련하여 미리 할당된 적정 압력에 따라 상기 가스가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와 상기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는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KR1020170161322A 2017-11-29 2017-11-29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KR101917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22A KR101917612B1 (ko) 2017-11-29 2017-11-29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22A KR101917612B1 (ko) 2017-11-29 2017-11-29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612B1 true KR101917612B1 (ko) 2019-01-29

Family

ID=6532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322A KR101917612B1 (ko) 2017-11-29 2017-11-29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940A (ja) * 1995-03-29 1996-12-10 Selector Ltd 自己閉止バルブ
KR20030019458A (ko) 2000-07-07 2003-03-06 아크조 노벨 엔.브이. 이송관 및 이송관의 세정방법
KR20030031417A (ko) * 2001-10-15 2003-04-21 소시오 코오포레이션 세정 노즐
KR100644394B1 (ko) * 2006-02-01 2006-11-13 김유식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JP2007015766A (ja) * 2005-06-08 2007-01-2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ディスペンス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泡性飲料供給装置
KR20170022616A (ko) * 2015-08-21 2017-03-02 조정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940A (ja) * 1995-03-29 1996-12-10 Selector Ltd 自己閉止バルブ
KR20030019458A (ko) 2000-07-07 2003-03-06 아크조 노벨 엔.브이. 이송관 및 이송관의 세정방법
KR20030031417A (ko) * 2001-10-15 2003-04-21 소시오 코오포레이션 세정 노즐
JP2007015766A (ja) * 2005-06-08 2007-01-2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ディスペンス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泡性飲料供給装置
KR100644394B1 (ko) * 2006-02-01 2006-11-13 김유식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 구조
KR20170022616A (ko) * 2015-08-21 2017-03-02 조정호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141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RU27074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а напитков, содержащее охладите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AU20123045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rippings from a beverage dispenser via an expansion valve
US6669053B1 (en) Beverage dispenser
JP2023535208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TW200934719A (en) Device for dosed dispensing of a liquid from a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such a container with liquid
US20040232173A1 (en) Rapid comestible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PT2370342E (pt) Método de limpeza e lavagem de um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bebidas
RU2586824C1 (ru) Модульный автомат для розлива сезонных напитков
CN106715323A (zh) 具有混合腔室和冷却功能的饮料分配设备
JP6493732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RU23811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ES2965892T3 (es) Dispositivo de extracción,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un contenedor de bebidas y dispositivo de enfriamiento para tal dispositivo de conexión
WO2008060588A2 (en) Rapid comestible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BR112013002967B1 (pt) sistema para dispensar um aditivo em uma corrente de líquido, porta de geladeira, e, método para dispensar um aditivo em uma corrente de líquido
US3945536A (en) Sanitizing and cleaning device for pressurized soft drink systems and the like
US101606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one or more liquids from a liquid storage container
KR101917612B1 (ko)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BR112014004678B1 (pt) Aparelho
ES2966965T3 (es)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para contenedores de provisiones con alimentos líquidos
KR101910497B1 (ko)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CN109689565A (zh) 发泡性饮料供给装置及发泡性饮料供给方法
KR101908999B1 (ko) 거품 터짐 방지 및 세척 기능이 통합된 커플러
JP5513845B2 (ja) 炭酸水生成装置
ES2606341B1 (es) Válvula para un sistema y método de distribución de bebida con cambio automáti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