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996B1 -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996B1
KR100643996B1 KR1020040046072A KR20040046072A KR100643996B1 KR 100643996 B1 KR100643996 B1 KR 100643996B1 KR 1020040046072 A KR1020040046072 A KR 1020040046072A KR 20040046072 A KR20040046072 A KR 20040046072A KR 100643996 B1 KR100643996 B1 KR 10064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control shaft
rod
shift
manu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949A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996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6/00Shifting
    • F16H2306/40Shift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샤프트의 셀렉팅동작에 따라 핑거들이 서로 벌어지거나 좁아지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핑거와 쉬프트러그 사이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원활한 변속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shifting apparatus of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와 비교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컨트롤샤프트 3; 핑거로드
5; 포펫볼 7; 요철부
9; 컨트롤하우징 11; 핑거
13; 스프링룸 15; 코일스프링
17; 쉬프트러그 19; 상측링크
21; 하측링크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핑거와 컨트롤러그가 관련된 부분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트롤샤프트(500)가 그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셀렉팅작동 을 하면, 쉬프트러그(502)들 사이를 이동하여 서로 다른 두 가지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쉬프트러그(502)를 선택하여 정렬되도록 하고, 컨트롤샤프트(500)가 회동되어 쉬프팅작동을 하면, 선택된 쉬프트러그(502)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해당 변속단의 쉬프트포크(506)를 통해 변속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샤프트(500)에 일체로 형성된 컨트롤핑거(504)는 컨트롤샤프트(500)의 셀렉팅작동 및 쉬프팅작동에 따라 상기 쉬프트러그(502)들 사이에서 이동하거나 쉬프트러그(502)를 밀게 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핑거(504)가 2단과 3단 사이를 이동하거나 4단과 5단 사이를 이동할 때, 컨트롤핑거(504)와 쉬프트러그(502) 사이에 걸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변속감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트롤핑거가 쉬프트러그들 사이에서 이동하거나 쉬프트러그를 미는 동안에 쉬프트러그와 컨트롤핑거 사이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원활한 변속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는
컨트롤샤프트와;
상기 컨트롤샤프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핑거로드와;
상기 핑거로드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바이어싱수단과;
상기 핑거로드의 상측단에 구비된 포펫볼과;
상기 포펫볼이 접촉하며 컨트롤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진 요철부를 구비한 컨트롤하우징과;
상기 핑거로드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핑거로드의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두 핑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변속기구는 컨트롤샤프트(1)와; 상기 컨트롤샤프트(1)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핑거로드(3)와; 상기 핑거로드(3)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바이어싱수단과; 상기 핑거로드(3)의 상측단에 구비된 포펫볼(5)과; 상기 포펫볼(5)이 접촉하며 컨트롤샤프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진 요철부(7)를 구비한 컨트롤하우징(9)과; 상기 핑거로드(3)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핑거로드(3)의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두 핑거(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이어싱수단은 상기 컨트롤샤프트(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프링룸(13)과, 상기 스프링룸(13)내에서 상기 핑거(11)로드(3)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15)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컨트롤하우징(9)에 형성된 요철부(7)의 굴곡은 도 2의 상태와 같이 상기 포펫볼(5)이 골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핑거(11)들이 인접한 두 쉬프트러그(17) 의 사이에 위치할 때이고, 상기 포펫볼(5)이 도 3의 상태와 같이 산에 위치할 때에는 하나의 쉬프트러그(17)를 선택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핑거(11)가 핑거(11)로드(3)의 수직방향 직선운동에 따라 수평방향 운동을 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핑거(11)와 핑거(11)로드(3)의 하측단 사이에 설치된 상측링크(19)와, 상기 핑거(11)와 스프링룸(13) 사이에 설치된 하측링크(21)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 상기 핑거(11)로드(3)가 도 2의 상태로부터 도 3의 상태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측링크(19)와 하측링크(21)가 서로 좁아지면서 그에 따라 핑거(11)를 양측으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변속기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핑거(11)가 어느 한 쉬프트러그(17)를 선택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컨트롤샤프트(1)가 어느 쪽으로 회동되는가에 따라서, 선택된 쉬프트러그(17)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쉬프트러그(17)에 연결된 쉬프트포크를 이동시켜서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인접한 다른 쉬프트러그(17)에 속한 변속단으로 변속을 하려고 하면, 운전자는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컨트롤샤프트(1)를 그 축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셀렉팅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셀렉팅동작 중에는 상기 컨트롤샤프트(1)가 축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핑거(11)로드(3)의 상단에 구비된 포펫볼(5)이 도 3과 같이 요철부(7)의 산에 있다가 골로 이동하게 되어 도 2와 같은 상태로 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핑거(11)로드(3)가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상측링크(19)와 하측링크(21)가 벌어지면서, 상기 핑거(11)들을 서로 잡아당김에 의해 두 핑거(11)들 사이의 거리가 좁아진다.
상기와 같이 두 핑거(11)들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 셀렉팅동작중에 상기 핑거(11)들이 인접한 쉬프트러그(17)의 모서리에 걸리는 것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게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셀렉팅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핑거(11)는 다시 도 3의 상태로 전환되므로, 셀렉팅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쉬프팅동작에 의해 선택된 쉬프트러그(17)를 어느 일측으로 직선이동시킴에 의해 원하는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완료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핑거(11)는 쉬프트러그(17)를 향하여 거의 근접하거나 접촉되는 위치로 서로 벌어지게 되므로, 컨트롤샤프트(1)의 회동조작력을 쉬프트러그(17)로 충실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샤프트의 셀렉팅동작에 따라 핑거들이 서로 벌어지거나 좁아지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핑거와 쉬프트러그 사이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원활한 변속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1. 컨트롤샤프트(1)와;
    상기 컨트롤샤프트(1)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핑거로드(3)와;
    상기 핑거로드(3)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바이어싱수단과;
    상기 핑거로드(3)의 상측단에 구비된 포펫볼(5)과;
    상기 포펫볼(5)이 접촉하며 컨트롤샤프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진 요철부를 구비한 컨트롤하우징(9)과;
    상기 핑거로드(3)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핑거로드의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두 핑거(11);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수단은
    상기 컨트롤샤프트(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프링룸(13)과;
    상기 스프링룸(13) 내에서 상기 핑거로드(3)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15);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1)와 핑거로드(3)의 하측단 사이에 설치된 상측링크(19)와;
    상기 핑거(11)와 스프링룸(13) 사이에 설치된 하측링크(21);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KR1020040046072A 2004-06-21 2004-06-21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KR100643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072A KR100643996B1 (ko) 2004-06-21 2004-06-21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072A KR100643996B1 (ko) 2004-06-21 2004-06-21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49A KR20050120949A (ko) 2005-12-26
KR100643996B1 true KR100643996B1 (ko) 2006-11-10

Family

ID=3729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072A KR100643996B1 (ko) 2004-06-21 2004-06-21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362A (ko) * 2017-09-12 201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9487A1 (fr) 1997-08-29 1999-03-03 Automobiles Peugeot Commande interne de boite de vitesses avec dispositif de maintien d'éléments en plusieurs positions
KR20020034590A (ko) * 2000-11-02 2002-05-09 이계안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KR20030047601A (ko) * 2001-12-11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9487A1 (fr) 1997-08-29 1999-03-03 Automobiles Peugeot Commande interne de boite de vitesses avec dispositif de maintien d'éléments en plusieurs positions
KR20020034590A (ko) * 2000-11-02 2002-05-09 이계안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KR20030047601A (ko) * 2001-12-11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362A (ko) * 2017-09-12 201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2389133B1 (ko) 2017-09-12 2022-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949A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0917B1 (e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CN101523087B (zh) 用于自动化的或自动的变速器的换档装置
US5321993A (en) Transmission shift control apparatus
US20080098844A1 (en) Shift lever device
US20120048050A1 (en) Shift lever device
CN103836090A (zh) 用于车辆的离合器致动器
KR100643996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KR100574166B1 (ko) 토크컨버터용시프트전환장치
EP3453925B1 (en) Shift by wire shifter device
KR100402077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JP4431352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KR102238079B1 (ko) 하이브리드 변속 레버
KR100348568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의 위치 결정기구
KR20100007298U (ko) 수동변속기의 셀렉팅 조작감 개선 장치
KR102250669B1 (ko) 수동변속기 변속조작기구
KR20070049430A (ko) 수동 변속기의 콘트롤 샤프트 디텐트 구조
JP2010162972A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113570B1 (ko)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KR100893990B1 (ko) 동력 전달장치의 영구자석 내장형 디텐트 핀
KR100494783B1 (ko) 수동변속기의 셀렉트 조작시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
JP6685610B2 (ja) Atシフトレバー装置
KR20110109583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 위치 결정 장치
KR100412900B1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러그 구조
KR100427661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970004794Y1 (ko) 변속레버의 중립위치 단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