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947B1 -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947B1
KR100643947B1 KR1020040050274A KR20040050274A KR100643947B1 KR 100643947 B1 KR100643947 B1 KR 100643947B1 KR 1020040050274 A KR1020040050274 A KR 1020040050274A KR 20040050274 A KR20040050274 A KR 20040050274A KR 100643947 B1 KR100643947 B1 KR 100643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ocking cam
locking
lat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211A (ko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9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후드 개폐시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라 후드 스위치의 작동이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후드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로부터 용인되지 않은 행위에 의해 후드가 개방될 경우에 있어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체 조립공정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품수가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HOOD LATCH ASSEMBLY FOR A C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후드가 닫혀 있을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후드를 개방시킬 때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종래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래치 본체 120 : 록킹 고리
210 : 제1록킹캠 220 : 제2록킹캠
300 : 후드 스위치 310 : 감지 센서부
312 : 스위치 레버 315 : 센서 본체
320 : 커넥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래치 어셈블리(hood latch assembly)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후드래치에 도난방지용 후드 스위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품수 절감을 통해 조립시간 절감 및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 도록 한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후드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후드는 엔진룸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용 뚜껑을 지칭하는 것으로, 통상 보닛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개폐방식에 따른 분류로 프론트 힌지 방식과 리어 힌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중 프론트 힌지 방식은 엔진 후드의 뒷부분이 열리는 방식으로서, 고속 주행중 바람에 의해 엔진 후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용한 기능을 갖고 있으나, 개방시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정비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리어 힌지 방식은 엔진 후드의 앞부분이 열리는 방식으로서, 정비가 용이한 반면에 록(LOCK)부가 마모되면 고속 주행시 엔진 후드가 개방될 우려가 있어 최근에는 앞의 두 방식의 결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해 리어 힌지 방식에 2단계 방식의 걸림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있다.
통상의 리어 힌지 방식의 엔진 후드의 걸림장치는 프론트 엔드 패널에 장착되는 래치와, 그 래치에 선택적으로 록킹 결합되도록 엔진 후드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로 대별된다.
한편, 후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후드 스위치가 엔진룸 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그 종래의 후드 스위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샤프트(32)와, 그 샤프트(3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같이 연동되며 상기 브라켓(10)에 밀착가능한 접점부(33)와, 그 접점부(33)와 브라켓(10)과의 접촉 여부에 따른 후드의 개폐 여부를 제어부(미도시)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34)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엔진 후드의 개방에 따라 후드의 인너 판넬에 부착된 패드(미도시)가 샤프트(32)를 눌리게 되면, 샤프트(32)가 이동되고 접점부(33)가 연동되면서 브라켓(10)으로부터 이격되어 후드의 개폐신호를 커넥터(34)를 통해 제어부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후드 스위치는 차체와 접지를 형성하는 브라켓의 안착 정도 및 샤프트의 눌려짐에 따라 오동작을 일으켜 후드의 개폐를 정밀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구조는 도난방지용 후드 스위치가 후드 래치와는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에서 도난방지용 후드 스위치와 후드 래치가 별도로 조립하는 관계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부품수 증가로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후드 래치의 작동에 따라 후드 스위치가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후드의 개폐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 래치 어셈블리는, 프론트 엔드 패널에 고정 결합되면서 후드 밀폐시 후드에 결합된 록킹 고리가 삽입되는 래치 본체와, 상기 록킹 고리와의 접촉으로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래치 본체에 결합되면서 상기 래치 본체로 삽입된 록킹 고리를 구속하는 제1록킹캠과, 상기 제1록킹캠에 연동하여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래치 본체에 결합되면서 상기 록킹 고리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록킹캠과, 상기 제1록킹캠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래치 본체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제1록킹캠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감지 센서부와,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후드의 개폐신호를 제어부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제1록킹캠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래치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센서 본체와, 상기 센서 본체에서 제1록킹캠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캠의 회전동작시 제1록킹캠과 간섭되면서 상기 센서 본체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스위치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기존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메인 스프링은 다른 부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미도시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래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후드가 닫혀있을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후드가 개방될 때의 스위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는, 기존의 후드 래치 어셈블리에 연동되어 후드의 개폐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후드 스위치(30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엔드 패널(도시않됨)에 고정 결합되면서 후드 밀폐시 후드에 결합된 록킹 고리(120)가 삽입되는 래치 본체(110)와, 상기 록킹 고리(120)와의 접촉으로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래치 본체(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래치 본체(110)로 삽입된 록킹 고리(120)를 구속하는 제1록킹캠(210)과, 상기 제1록킹캠(210)에 연동하여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래치 본체(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록킹 고리(12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록킹캠(220)과, 상기 제1록킹캠(2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래치 본체(110)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제1록킹캠(21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감지 센서부(310)와, 상기 감지 센서부(310)로부터 감지된 후드의 개폐신호를 제어부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3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 센서부(310) 및 상기 커넥터(320)가 후드 스위치(300)의 구성요소이다.
삭제
한편, 상기 감지 센서부(310)는 상기 제1록킹캠(2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래치 본체(110)에 고정 결합되는 센서 본체(315)와, 상기 센서 본체(315)에서 제1록킹캠(210)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캠(210)의 회전동작시 제1록킹캠(210)과 간섭되면서 상기 센서 본체(315)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스위치 레버(312)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레버(312)는 자체적으로 탄성을 구비한 판스프링의 형태로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록킹캠(210)과 간섭될 때에는 압축되면서 센서 본체(315)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1록킹캠(210)과의 간섭이 해제될 때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면서 센서 본체(315)를 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 본체(315)는 스위치 레버(312)의 동작에 따라 작동하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센서 본체(315)에서 온 동작 신호가 출력되면 이때의 출력신호는 커넥터(320)를 통해 제어부측으로 인가된다.
미 설명 부호 "250"은 제2록킹캠(22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룸을 밀폐시킨 상태의 후드가 개방되면 후드에 결합된 록킹 고리(120)가 상승하면서 래치 본체(110)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록킹 고리(120)의 이탈시 제1,2록킹캠(210,220)이 록킹 고리(12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회전을 하게 된다.(도 3의 상태로서 제1록킹캠(2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고 제2록킹캠(2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이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록킹캠(210)은 그 선단이 스위치 레버(312)와 간섭되면서 스위치 레버(312)를 눌러주게 되며, 상기 스위치 레버(312)는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센서 본체(315)의 내부 접점 상태를 닫힘상태(온동작상태)로 만들어 후드의 개방신호를 커넥터(320)를 통해 제어부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삭제
삭제
이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후드의 개폐상태를 인식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후드 오픈 동작인지, 혹은 도난사고등의 비정상적인 후드 오픈 상태를 판단하여 경보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방된 상태의 후드가 닫혀질 경우에는 후드와 함께 록킹 고리(120)가 하강하여 래치 본체(110)로 삽입되고, 상기 록킹 고리(120)의 삽입시 제1,2록킹캠(210,220)이 록킹 고리(12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회전을 하게 된다.(도 2의 상태로서 제1록킹캠(2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고 제2록킹캠(22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이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제1록킹캠(210)은 래치 본체(110)로 삽입된 록킹 고리(120)를 구속하게 되고, 상기 제1록킹캠(210)은 제2록킹캠(220)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됨으로써, 후드는 밀페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래치 본체(110)로 삽입된 록킹 고리(120)의 구속을 위해 제1록킹캠(2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위치 레버(312)는 상기 제1록킹캠(210)에 의한 간섭이 해제됨으로써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센서 본체(315)는 내부 접점 상태가 열린상태(오프동작상태)가 되어 후드의 닫힘신호를 커넥터(320)를 통해 제어부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후드 개폐시 후드 래치 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라 후드 스위치의 작동이 연동함으로써, 후드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로부터 용인되지 않은 행위에 의해 후드가 개방될 경우에 있어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체 조립공정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품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프론트 엔드 패널에 고정 결합되면서 후드 밀폐시 후드에 결합된 록킹 고리(120)가 삽입되는 래치 본체(110)와, 상기 록킹 고리(120)와의 접촉으로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래치 본체(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래치 본체(110)로 삽입된 록킹 고리(120)를 구속하는 제1록킹캠(210)과, 상기 제1록킹캠(210)에 연동하여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래치 본체(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록킹 고리(12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록킹캠(220)과, 상기 제1록킹캠(2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래치 본체(110)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제1록킹캠(21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감지 센서부(310)와, 상기 감지 센서부(310)로부터 감지된 후드의 개폐신호를 제어부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3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감지 센서부(310)는, 상기 제1록킹캠(2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래치 본체(110)에 고정 결합되는 센서 본체(315)와, 상기 센서 본체(315)에서 제1록킹캠(210)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캠(210)의 회전동작시 제1록킹캠(210)과 간섭되면서 상기 센서 본체(315)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스위치 레버(3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2. 삭제
KR1020040050274A 2004-06-30 2004-06-30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10064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74A KR100643947B1 (ko) 2004-06-30 2004-06-30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74A KR100643947B1 (ko) 2004-06-30 2004-06-30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211A KR20060001211A (ko) 2006-01-06
KR100643947B1 true KR100643947B1 (ko) 2006-11-10

Family

ID=3710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274A KR100643947B1 (ko) 2004-06-30 2004-06-30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70B1 (ko) * 2006-12-05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핸들의 작동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211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29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시스템
US8919828B2 (en) Lock unit comprising two pawls and position detection means
US6422617B1 (en) Door lock device for motor vehicles
US7434853B2 (en) Door latch apparatus
US20010005079A1 (en) Automotive loc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5718465A (en) Child-proof for vehicle sliding door latch device
CN101151433A (zh) 用于门锁的装置
JPS63271835A (ja) ドアロツクにおける回動部材の位置検知スイツチ装置
CN101994440A (zh) 门、盖或类似物上的开和/或关机构,尤其用在汽车上
JP4163490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0643947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GB2284635A (en) Vehicle door locking device with an antitheft mechanism
JP2008285940A (ja) ドアロック装置
CA2936778C (en)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and door system provided with door latch device
JP2008162372A (ja) テールゲートドア用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7309146B2 (ja) 燃料タンクキャップのロック装置
JP4498703B2 (ja) 開閉体のラッチ装置
JP6361050B2 (ja) バックドアロック装置
JP4145774B2 (ja) ドア開閉装置
US11891842B2 (en) Actuation transmission mechanism, detection device equipped with concerned mechanism, and motor-vehicle door locking device equipped with concerned detection device
JP4109610B2 (ja) ドア開閉装置
JP2008062896A (ja) スライドドア付車両
JP3384077B2 (ja) ドアロツクシステム
JP415681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キーレスロック装置
JP2004137785A (ja) 電気式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