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635B1 -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전기강 - Google Patents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전기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635B1
KR100643635B1 KR1020007014428A KR20007014428A KR100643635B1 KR 100643635 B1 KR100643635 B1 KR 100643635B1 KR 1020007014428 A KR1020007014428 A KR 1020007014428A KR 20007014428 A KR20007014428 A KR 20007014428A KR 100643635 B1 KR100643635 B1 KR 10064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direction
strip
rolling
weight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019A (ko
Inventor
제프리 피. 앤더슨
배리 에이. 라우어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이에스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5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21D8/126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between cold roll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21D8/1233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21D8/126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21D8/1272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압연 방향에 대한 적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의 특징을 이루는 전기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은 전기 강 조성물의 슬래브를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스트립의 압연 방향에 대한 자성의 개선에 충분한 결정립을 조입되게 형성시키도록 효과적인 온도 범위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하는 단계, 냉간 압연 단계, 40㎛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의 배치 어닐링된 입도를 형성하도록 효과적인 온도 범위에서 배치 어닐링하는 단계, 및 49 μin 미만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조질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기 강 제조물은 최종 어닐링시에 강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된다. 전기 강 제조물은 {110}<001> 방향을 포함하는 결정조직 및 압연 방향에 대한 개선된 투자율을 갖는다.

Description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전기강{ELECTRICAL STEEL WITH IMPROVED MAGNETIC PROPERTIES IN THE ROLLING DIREC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강(electrical steel), 좀더 자세하게는, 양호한 기계적 성질뿐만 아니라, 압연 방향에 대하여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모터 적층판용 강(motor lamination steel)에 관한 것이다.
모터 및 변압기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steel)의 바람직한 자성은 적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이다. 펀칭(punching)후에 응력 제거 어닐링된 상기 강은 적층판 스택(stack)의 어닐링중에 비틀림, 휨 및 엽렬(delamination)을 최소화하는 기계적 성질을 가져야 한다.
연속 어닐링된 실리콘 강은 모터, 변압기, 발전기 및 유사한 전기적 생산물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연속 어닐링된 실리콘 강은 적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을 얻도록 당 업자에게 공지된 기술로 가공될 수 있다. 강이 실질적으로 변형하지 않으므로, 그 강은 펀칭된 상태(통상적으로 완전 가공된 강을 나타냄)로 사용될 수 있거나 엽렬, 휨, 또는 비틀림에 관해 적은 위험성을 가지는 바람직한 자성을 형성하도록 적층판(통상적으로 반가공 강을 나타냄)의 펀칭후에 전기 장치 제조업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어닐링될 수 있다. 연속 어닐링 가공은 전기 강판 제조업자가 연속 어닐링 설비를 구비하도록 요구한다. 연속 어닐링 설비를 위한 장치는 수백만 달러의 자본 지출을 요구한다.
연속 어닐링 작업을 회피하도록, 작업은 조질 압연(temper rolling)이 뒤따르는 배치 어닐링(batch annealing)을 포함하는 표준 냉간 압연 시트 가공에 의해 냉간 압연된 모터 적층판용 강을 제조하도록 개선되어 왔다. 연속 어닐링 가공은 표준 냉간 압연 시트 가공과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예를들면, 연속 어닐링은 코일을 균일한 어닐링 상태에 위치시키는 반면에, 배치 어닐링은 그렇지 않다.
추가로, 연속 어닐링된 제조물은, 강이 연속 어닐링되는 경우 그것이 어닐링 가공으로부터 그것에 부여되는 적은 변형을 가지기 때문에, 플래트닝(flattening)을 위한 조질 압연을 요구하지 않는다. 배치 어닐링 설비가 연속 어닐링 설비보다 훨씬 더 적은 비용의 장치를 사용하지만, 배치 어닐링 설비는 조질 압연없이 충분히 균일한 제조물을 제조할 수 없다. 조질 압연에 의해 부여되는 변형은 모터 적층판용 강의 엽렬 및 휨 문제를 발생시킨다. 현재, 이러한 변형으로부터 발생하는 엽렬 및 휨은 사용자들에게 중대한 관심사이다.
강은 "방향성" , 또는 "무방향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방향성 실리콘 강은 압연 방향으로 매우 높은 투자율과 낮은 코어 손실의 특징을 이룬다. 예를 들면, 1.5 테슬라(Tesla, "T")와 60 헤르쯔(Hertz, "Hz")에서, 0.012 인치 두께의 스트립(strip)은 28,000 가우스/에르스텟(Gauss/Oersted, "G/Oe")의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과 0.58 와트/파운드(Watts/pound, "W/lb")의 압연 방향에 대한 코어 손실을 가질 수 있다.
방향성 실리콘 강은 소위 고스 조직(Goss texture), 즉, 밀러 결정학 지표 체계(Miller crystallographic indexing system)에 의해 정의되는 {110}<001> 방향의 결과로서 압연 방향으로 우수한 자성을 갖는다. 고스 조직을 가지는 강은 자기적으로 이방성이다, 즉, 그것은 압연 방향(0°)으로부터 수직 방향(90°)까지 투자율과 코어 손실의 시트-평면 변화를 갖는다. 방향성 강에서, 압연 방향은 용이하게 자화될 수 있는 <001> 결정축과 일치하고 강 내 결정립(grain)은 매우 거친 {110}<001> 조직을 점유한다. 방향성 강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고스 조직을 갖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인지된다. 이 때문에, {110}<001> 방향으로부터 개별 결정립의 평균 변위각은 가능한 한 작은, 예를 들면, 3°이내이다.
방향성 실리콘 강을 제조하기 위한 통상적인 가공은 일반적으로, 실리콘의 약 3 중량 % 이상을 포함하는, 고합금강을 열간 압연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후 강은 제 2 상의 입자들을 용해시키도록 용체화 어닐링(solution annealing)되고 미세한 제 2 상의 침전물을 형성하도록 면밀히 제어 냉각된다. 다음으로, 중간 어닐링 작업을 가지는, 2 단계 냉각 수축이 있다. 그 후 냉간 압연된 시트는 결정립 성장(grain growth)을 방해하는 입자들을 제거하도록 탈탄 분위기에서 우선적으로 재결정된다. 그 후 제 2 재결정이 고스 조직을 지니는 매우 큰(> 5 밀리미터) 결정립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채용된다(예를 들어, 하야카와(Hayakawa)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 5,342,454 호 참조).
방향성 실리콘 강의 한가지 단점은 그것이 제조하기에 고가인 것이다. 방향성 강 가공은 통상적으로 고스 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몇가지 고비용의 압연과 어닐링 단계를 요구한다. 더욱이, 방향성 강 가공은 통상적으로 연속 어닐링 설비의 사용을 요구한다.
방향성 강의 다른 단점은 그것이 스트립의 평면에서 압연 방향으로부터 약한 자성의 오프-각(off-angle)을 갖는다는 것이다. 방향성 강에서, 투자율은 압연 방향(0°)으로 약 28,000 G/Oe이고 수직 방향(90°)으로는 단지 약 500 G/Oe이다(압연 방향에 대한 방향성 강과 압연 방향으로부터의 오프-각에 대한 통상적인 투자율과 코어 손실에 대해, 본문에서 참조로 도입되는, 소책자, Armco Oriented Electrical Steels, 판권 1974년, Armco Steel Corporation, 14 및 36 페이지 참조). 방향성 강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근소한 오프-각일지라도 투자율의 매우 급격한 하락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통상적인 방향성 강은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과 압연 방향으로부터 10°에서의 투자율 사이에서 투자율의 50 % 이상의 감소를 갖는다.
방향성 강을 사용하는 것의 불리함은 투자율이 너무 높아서 그것이 몇가지 장치들에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변압기 광 밸러스트(ballast) 제조업자는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 방향성 재료가 허밍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향성 재료는 형광성 광 밸러스트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통상적인 무방향성 냉간 압연 시트 가공은 열간 압연, 코일링(coiling), 산세척, 선택적인 고온 밴드 어닐링(hot band annealing), 냉간 압연, 배치 어닐링과 조질 압연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방향성 가공을 위한 장치는 연속 어닐링 설비를 위한 장치보다 훨씬 적은 비용이 소요된다. 무방향성 강 가공은 바람직하게도 방향성 강 조성물보다 더 적은 실리콘을 가지는 조성물을 종종 채용한다. 그러나, 무방향성 강은 방향의 거의 임의적인 분포를 갖는다. 즉, 자기적으로 "연성의" <001> 방향들은, 시트 평면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자화 가공시에 단지 최소한으로 관여하는 시트의 내외측을 가리키는, 공간에서 매우 균일하게 분포한다. 결과적으로, 무방향성 강은 압연 방향 자성의 현저한 개선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고가의 고합금 방향성 재료에서 발견되는 고스 조직을 가지는 새로운 종류의 강을 제조하도록 냉간 압연된 전기 강의 통상적인 무방향성 가공의 저비용 특성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강은 스트립의 평면의 압연 방향으로부터 광범위한 각을 가로지르는 양호한 자성뿐만 아니라, 압연 방향에서 예외적인 자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전기 강 조성물의 슬래브(slab)를 사용한다. 상기 조성물은 2.25 중량 % 까지의 실리콘 그리고, 자세하게는, 0.20-2.25 중량 %의 실리콘을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0.04 중량 % 까지의 탄소,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 까지의 탄소를 갖는다. 상기 슬래브는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되는데, 이것은 스트립의 압연 방향에 대한 자성을 개선하는데 충분한 결정립을 조입화 하는 데 효과적인 온도 범위의 고온 밴드 어닐링, 냉간 압연, (1040°-1140°F의 바람직한 범위를 갖는 온도에 상응하여) 약 40 ㎛ 이하 크기의, 좀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 이하 크기의 배치 어닐링된 결정립을 형성시키는데 효과적인 온도 범위의 배치 어닐링, 및 매끄러운 조질 압연 롤(roll)을 가지는 조질 압연을 포함하는 단계를 통과한다. 상기 조질 압연 롤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5,000 G/Oe의 최종 어닐링후에 압연 방향에 대한 증가된 투자율뿐만 아니라 49 μin(여기서 "μ"는 1×10-6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기호 "마이크로(micro)"이다) 미만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스트립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인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조질 압연 롤은 15 μin 이하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스트립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인 매끄러운 표면을 바람직하게 갖는다.
좀더 자세하게, 전기 강 제조물은 스트립으로부터 적층판으로 모터 또는 변압기 형태를 펀칭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에 의해 강 스트립으로 제조되고, 이것은 그 후 적층되고 조립된다. 상기 적층판은 본 발명의 전기 강 제조물을 제조하도록 최종 어닐링을 거친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강 제조물은 (단일 스트립 쿠폰(coupon)과 같은) 형태 및 적층형으로 펀칭함 없이 조질 압연후에 최종 어닐링되는 전기 강 스트립도 포함한다.
조질 압연은 10 % 까지의 양만큼, 좀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의 범위의 양만큼 스트립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바람직하게 실행된다. 조질 압연은 더 작은 두께의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경우 두께가 더 작게 감소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두께의 조질 압연 감소는 스트립의 최종 두께에서 감소의 각 0.001 인치에 대하여 약 0.7 %만큼 감소할 수 있다.
압연 방향에 대한 낮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의 특징을 이루는 전기 강 제조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전기 강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방법은,
스트립으로 전기 강 조성물의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스트립의 압연 방향으로 자성을 개선하는데 충분한 결정립을 조입화 하는데 효과적인 온도 범위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하는 단계,
냉간 압연하는 단계,
1040-1140 ℉의 범위의 온도에서 배치 어닐링하는 단계, 및
15 μin 이하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조질 압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최종 어닐링시에 강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전기 강 제조물은, {110}<001> 방향을 포함하는 결정 조직(grain texture)과, 49 μin 미만의, 바람직하게는 15 μin 이하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갖는다. 신규 전기 강 제조물은 적어도 5,000 G/Oe의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 좀더 자세하게는, 5,000-6,500 G/Oe의 범위의 압연 방향 투자율을 바람직하게 갖는다. 코어 손실은 바람직하게도 압연 방향으로 1.5 W/lb 이하이다.
본문에서 문구 "전사면 거칠기"의 사용은 조질 압연 롤과 강 스트립 사이의 접촉에 의해 얻어지는 강 스트립의 표면 거칠기를 의미한다. 본문에서 "매끄러운" 조질 압연 롤을 가리키는 것은 49 μin 미만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 μin 이하의 전사면 거칠기(Ra)뿐만 아니라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투자율(예를들어, 바람직 하게는 적어도 5,000 G/Oe)을 강에 부여하는 롤을 의미한다. 본문에 언급되는 모든 각들은 0°인, 압연 방향, 및, 압연 방향으로부터 90°인, 수직 방향에 관하여 강 제조물의 평면에서 얻어진다.
좀더 자세하게, 강 제조물은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과 압연 방향으로부터 10°에서의 투자율 사이에 약 5 %의 투자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투자율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압연 방향에서 18°까지의 범위의 각에 걸쳐서 적어도 5,000 G/Oe이다. 상기 코어 손실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압연 방향에서 25°까지의 범위의 각에 걸쳐서 1.5 W/lb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강은 통상적인 방향성 강에서 인지되는 것과 유사한 자성을 가지고, 엽렬 및 휨 문제로 손상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은 무방향성 냉간 압연된 시트 조성물의 특징과 방향성 생산물의 특성을 가지는 생산물을 제조하는 가공법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본 방법은 그것이 연속 어닐링 설비, 추가적인 압연 단계 및 고합금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향성 강 가공보다 훨씬 더 경제적이다. 추가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강 제조물은 압연 방향으로 높은 투자율과 낮은 코어 손실의 바람직한 성질을 갖는다.
본 방법이 방향성 강 가공과 다른 한가지 현저한 방식은 최종 어닐링 단계에 있다. 본 방법과 방향성 강 가공 모두에서, 어닐링은 펀칭 작업으로부터 적층 에지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행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반가공된 형태로 통상적인 방향성 생산물을 수령하는 경우, 재료는 이미, 밀(mill)에서 발달된, 고스 조직을 가진다. 미세 조직, 그러므로, 통상적인 방향성 강의, 압연 방향에 대한 자성은 사용자에 의해 응력 제거 어닐링되는 동안 현저하게 변하지 않는다. 사실, 방향성 제조물의 많은 사용자들은 응력 제거 어닐링을 실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최종 또는 응력 제거 어닐링은 조질 압연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을 제거하도록 우선적으로 채용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어떠한 조질 압연도 상기 변형을 부여하는 방향성 강 가공중에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방향성 재료의 응력 제거 어닐링의 목적이 아니다. 더욱이, 고스 조직은, 사용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실행되는, 이 최종 어닐링까지 본 발명의 강에서 발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방향성 강과 같이 본질적으로 모든 고스 조직으로 구성되지 않는 새로운 종류의 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강은 주로 고스 조직을 포함하지만, 통상적인 방향성 강보다 고스 조직의 더 광범위한 분포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강 제조물은 통상적인 방향성 재료보다 압연 방향으로부터 더 광범위한 각에 걸쳐서 더 높은 투자율을 나타낸다. 이것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압연 방향에서 18°까지의 범위의 각에 걸쳐서 5,000 G/Oe 이상의 투자율을 갖도록 본 발명에 따른 강 제조물을 제작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과 압연 방향으로부터 오프-각의 투자율 사이의 투자율의 감소는 방향성 강에서보다 훨씬 적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서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과 압연 방향으로부터 10°에서의 투자율 사이의 투자율의 감소는, 방향성 재료에서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약 5 %이다.
본 발명의 강 제조물은, 변압기와 밸러스트에서와 같이, 압연 방향에 대한 양호한 투자율이 바람직한 소정 생산물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강 제조물은 통상적인 방향성 재료의 압연 방향에 대한 극도로 높은 투자율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선행 기술의 허밍 문제없이 형광 밸러스트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 제조물은 본 방법의 현저한 비용 장점의 관점에서 모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평균 배치 어닐링된 결정립 직경의 함수로서,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G/Oe, 천) 및 코어 손실(W/lb)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강의 표면보다 10% 미만으로 대표적인 "매끄러운-롤" 조질에서 응력 제거 어닐링된 고스 조직을 도시하는 방향 밀도 맵(map);
도 2B는 대표적인 "거친-롤" 조질의 표면보다 2% 미만으로 응력 제거 어닐링된 조직을 도시하는 방향 밀도 맵;
도 3A 및 도 3B는, 압연 방향으로부터의 각의 함수로서, 각각, 투자율(G/Oe, 천) 및 코어 손실(W/lb)을 도시하는 그래프; 및
도 4A 및 도 4B는 유리한 자성이 발생하는 조질 압연 수축과, 최종 스트립 두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들과 장점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다음의 설명과 청구항에 더 상세하게 게시된다.
압연 방향에 대한 낮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에 의해 특징되는 전기 강 제조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은, 전기 강 조성물의 슬래브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2.25 중량 % 까지의 실리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0.20-2.25 중량 %의 실리콘의 특징을 이룬다. 상기 조성물은 0.04 % 까지의 탄소 및, 바람직하게는, 0.01 % 까지의 탄소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초-저 탄소를 사용한다. 상기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중량 %): 0.04 까지의 탄소(C), 0.20-2.25의 실리콘(Si), 0.10-0.60의 알루미늄(Al), 0.10-1.25의 망간(Mn), 0.02 까지의 황(S), 약 0.01 까지의 질소(N), 0.07 까지의 안티몬(Sb), 0.12 까지의 주석(Sn), 0.1 까지의 인(P), 및 잔량인 철. 좀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중량 %): 0.01 까지의 C, 0.20-2.25의 Si, 0.10-0.45의 Al, 0.10-1.0의 Mn, 0.015 까지의 S, 0.006 까지의 N, 0.07 까지의 Sb, 0.12 까지의 Sn, 0.005-0.1의 P, 좀더 바람직하게는 0.005-0.05의 P, 및 잔량인 철.
슬래브는 페라이트(ferrite) 또는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최종 온도에서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되고 나서, 900-1500 ℉ 범위의 온도에서, 좀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0 ℉에서 코일링된다. 그 후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도 스케일 파쇄 압연(scale break rolling)되고 나서 산 세척된다.
스트립은 1500-1600 ℉ 범위의 온도에서 고온 밴드 또는 "산 세척 밴드" 어닐링되고, 65-85 %의 신장까지 냉간 압연되며, 1040-1140 ℉ 범위의 온도에서 배치 어닐링되고, 3-10 % 범위의 그리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8 %의 스트립의 두께로 감소될 때까지 조질 압연된다. 조질 압연은 15 in 이하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스트립을 제공하는 매끄러운 롤로 실행된다. 그 후 스트립은 인접하는 적층판들이 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바람직하게 코팅된다. 그 후 모터 또는 변압기 형태는 스트립에서 펀칭되고, 적층판으로 배열되며 적층된다. 그 후 적층판들은 최종 어닐링을 거친다.
강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되는 전기 강 제조물은 {110}<001> 방향을 포함하는 결정 조직(grain texture), 15 μin 이하의 전사면 거칠기(Ra), 및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투자율(예를들어, 적어도 5,000 G/Oe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6,500 G/Oe 범위의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을 갖는다.
본 방법의 특정 특징을 참조하면, 강 스트립은 산 세척 라인에서 스트립으로부터 스케일을 파쇄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밀을 통과할 수 있다. 고온 밴드 어닐링 온도 범위는 본 발명의 필수 부분이다. 고온 밴드 어닐링 온도 범위는 스트립의 압연 방향에 대한 자성을 개선시키는데 충분한 결정립을 조입화 하는데 효과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범위의 고온 밴드 어닐링 온도는 고온 밴드 입자들을 조입화 하기 위해 중요한 것이 인지된다. 가공시에 이 지점에서 결정립을 조입화 하는 것은 최종 생산물에서 본 발명의 자성을 얻는데 중요하다. 적절하게도 거친 결정립은 1,500-1,600 ℉의 온도 범위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들면, 550-600 ㎛의 입도는 1500 ℉의 고온 밴드 어닐링 온도에서 발생한다. 고온 밴드 어닐링에서의 입도는 가능한한 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0 ㎛, 예를들면, 200-600 ㎛이다.
고온 밴드 어닐링 단계와 이용되는 특정 온도 범위의 중요성은 다음의 표 1에 나타난다. 표 1은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자성을 나타낸다 (중량 %): 0.008 C, 0.48 Mn, 0.013 P, 0.005 S, 1.15 Si, 0.31 Al, 0.045 Sb, 0.002 N, 및 잔량인 철. 바람직한 조성물의 슬래브는 1,600 ℉의 최종 온도로 열간 압연된다. 그 후 스트립은 지시된 온도에서 코일링되고, 2 %의 신장을 부여하도록 스케일 파쇄 밀에서 압연되며, 산 세척되고, 고온 밴드 어닐링되지 않거나 15 시간동안 지시된 온도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되며(산 세척후의 어닐링은 산 세척 밴드 어닐링 "PBA"로서 호칭됨), 냉간 압연되고, 대략 20 ㎛의 재결정된 입도를 형성하도록 배치 어닐링되며, 매끄러운 롤로 두께의 7.0 % 감소까지 조질 압연된다. 다음으로, 스트립은 단일 스트립 자성 시험 쿠폰으로 절단되고 본 발명에 따라 응력 제거 어닐링된다. 표에 나타난 자성은, 0.018 인치의 미소 두께에서, 1.5 T 및 60 Hz에서 선택된, 압연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의 평균 자성이다.
실시예 코일링 온도 (℉) PBA 온도 (℉) 조질 (% 신장) 투자율 (G/Oe) B50(T) 코어 손실 (W/lb)
A 950 no PBA 7.0 2617 1.65 1.78
B 950 1400 7.0 3558 1.68 1.63
C 950 1500 7.0 3678 1.68 1.59
D 950 1600 7.0 3604 1.68 1.58
E 1275 no PBA 7.0 2377 1.65 1.84
F 1275 1400 7.0 3437 1.68 1.73
G 1275 1500 7.0 3982 1.68 1.55
H 1275 1600 7.0 3527 1.68 1.6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존재하는 고온 밴드 어닐링 단계는 투자율과 B50 값(즉, 자력이 5,000 암페어-권수/미터인 경우 실행되는 자기 유도)을 크게 증가시켰고 코어 손실을 감소시켰다. 예를들면, 산 세척 밴드 어닐링된, 실시예 B의 강은, 산 세척 밴드 어닐링을 제외한 동일 조건을 거친, 실시예 A의 강에 대한 2,617 G/Oe의 투자율과 1.78 W/lb의 코어 손실과 비교하여 3,558 G/Oe의 투자율과 1.63 W/lb의 코어 손실을 가졌다. 산 세척 밴드 어닐링되지 않은, 실시예 A와 E의 강은 강이 산 세척 밴드 어닐링을 거친 실시예들보다 더 적은 투자율과 더 큰 코어 손실을 가졌다.
본 발명에서 배치 어닐링의 그리고 그것이 실행되는 특정 온도 범위의 중요성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다. 도 1A와 도 1B에 의해 게시된 가공은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지는 강을 채용하였다 (중량 %): 0.004 % C, 0.5 % Mn, 1.15 % Si, 그리고 0.30 % Al, 및 잔량인 철. 슬래브는 페라이트 범위(1530 ℉)에서 최종 온도를 가지는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되었다. 스트립은 1,500 ℉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되고, 탠덤(tandem) 압연되며, 광범위한 재결정 입도를 형성하도록 변화하는 균열 온도에서 10 시간동안 배치 어닐링되고, 매끄러운 조질 압연 롤을 사용하여 7 %의 신장까지 조질 압연되었다. 단일 스트립 자성 시험 쿠폰은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었고 본 발명에 따라 응력 제거 어닐링되었다. 강은 1.5 T 및 60 Hz에서 자성의 단일 스트립 시험을 거쳤다.
더 작은 배치 어닐링된 입도는, 본 발명의 자성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낮은 배치 어닐링 균열 온도로부터 기인하였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은 평균 배치 어닐링된 입도가 약 40 ㎛만큼 큰 경우 개선된 자성을 나타내었다. 평균 배치 어닐링된 입도가 직경으로 약 20 ㎛ 까지인 경우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의 현저한 상승(도 1A) 및 압연 방향에 대한 코어 손실의 현저한 감소(도 1B)가 존재하였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직경으로 20 ㎛ 이하의 배치 어닐링된 입도는 1,125 ℉의 균열 온도의 결과였다. 배치 어닐링은, 본 발명의 자성을 형성하도록, 1,040-1,140 ℉의 온도 범위에서 그리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1,100-1,125 ℉의 온도 범위에서 실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배치 어닐링 온도 범위의 특징을 이룰 수 있는 다른 방식은 배치 어닐링된 입도에 관한 것이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즉, 배치 어닐링 온도 범위는 약 40 ㎛ 이하의 그리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 이하의 배치 어닐링된 입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것이다 (예를들어, 도 1A 및 도 1B 참조).
도 1A 및 도 1B는 곡선이 매우작은 배치 어닐링된 입도의 결과를 나타내도록 외삽법이 실행된다면, 매우 큰 투자율과 매우 적은 코어 손실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20 ㎛ 미만의 배치 어닐링된 입도를 사용하는 것은 이 설명의 관점으로 당 업자들의 영역내에서 충분하다. 배치 어닐링후에, 강은 냉간 가공된 미세조직의 실질적으로 완전한 재결정을 갖는다. 이 점에 있어서, 압연 방향에 대한 자성의 개선은, 예를들어, 결정립의 10 % 까지가 냉간 가공된 미세조직을 유지한 경우에도, 달성되었다.
조질 압연 롤의 매끄러운 표면 조건을 구비하는 것은, 표 2로 나타난 바와 같이, 압연 방향에 대한 자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중요하다. 표 2로 게시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지는 재료를 채용하였다 (중량 %): 0.004 C, 0.5 Mn, 1.15 Si, 0.30 Al, 0.011 P, 0.004 S, 0.002 O, 0.002 N, 0.022 Sb, 및 잔량인 철. 이 조성물을 가지는 슬래브는 1,530 ℉의 최종 온도를 가지는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되었다. 스트립은 1,000 ℉에서 코일링되고, 15 시간동안 1,500 ℉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되며, 탠덤 압연되고, 10 시간동안 1,230 ℉에서 대략 20 ㎛의 재결정된 입도를 형성하도록 배치 어닐링되며, 그리고 나서 7.0 %의 두께 감소로 조질 압연되었다. 그 후 단일 스트립 자성 시험 쿠폰은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고 본 발명에 따라 응력 제거 어닐링을 거쳤다.
실시예 I-L은 약 5 μin 의 스트립의 전사면 거칠기(Ra)를 형성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매끄러운 또는 "광택" 조질 압연 롤을 사용하였다. 상대적인 실시예 M-P는 약 49 μin의 스트립의 전사면 거칠기(Ra)를 형성하도록 통상적인 거친 조질 압연 롤을 사용하였다. 압연 방향 자성은, 0.018 인치 미소 두께의, 1.5 T와 60 Hz에서 단일 스트립 시험에 의해 선정되었다.
실시예 투자율 (G/Oe), 코어 손실(W/lb)
I 4917, 1.49
J 5734, 1.44
K 5577, 1.40
L 5393, 1.50
상대적인 실시예 투자율 (G/Oe), 코어 손실(W/lb)
M 1812, 1.84
N 2128, 1.68
O 1250, 1.93
P 1623, 1.88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거친 조질 압연 롤보다 오히려 매끄러운 조질 압연 롤이 사용되는 경우 압연 방향으로 투자율의 실질적인 증가와 코어 손실의 감소가 존재한다. 실시예 I에서 매끄러운 롤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최저 투자율(4,917 G/Oe)은 상대적인 실시예 N에서 거친 롤을 사용하는 것의 최고 투자율(2,128 G/Oe)보다 100 % 이상이었다.
도 2A는 매끄러운 표면 다듬질된 조질 압연 롤이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조 직을 도시하고, 도 2B는 거친 표면 다듬질된 조질 압연 롤이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조직을 도시한다. 도 2A는 매끄러운 조질 압연 롤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강에서 고스 조직의 존재를 확증한다. 도 2B는 고스 조직이 거친 조질 압연 롤을 사용하여 얻어지지 않음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1,230 ℉에서 배치 어닐링되고 (+'S에 의해 표시된 데이타 지점을 가지는 곡선에 의해 도시된) 50 μin의 거친 전사면 거칠기(Ra)를 갖도록 조질 압연된 상대적인 강 제조물과 비교하여 (ㆍ's에 의해 표시된 데이타 지점을 가지는 곡선에 의해 도시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강 제조물의 자기 이방성을 도시한다. 상대적인 강 제조물은 통상적인 모터 적층판 강 가공에서 인지되는 높은 배치 어닐링 온도와 거친 조질 압연 롤 단계가 이용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도 3A 및 도 3B의 이방성 제조물(ㆍ)은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구비하였다 (중량 %): 0.003 C, 약 0.5 Mn, 1.17 Si, 약 0.31 Al, 약 0.006 S, 0.011 P, 0.002 N, 약 0.035 Sb, 및 잔량인 철. 강은 1,630 또는 1,525 ℉의 목표 페라이트 최종 온도의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되었다 (실제 최종 온도는 약 30-50 ℉ 더 낮음). 스트립은 1,000 ℉에서 코일링되고, 약 3 %만큼 스케일 파쇄 밀에서 감소되는 그것의 두께를 가지며, 산 세척되고, 15 내지 20 시간동안 1,500 ℉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되었다. 스트립은 탠덤 밀에서 두께의 78 % 감소까지 냉간 압연되었다. 그 후 스트립은 1,125 ℉에서 배치 어닐링되었다. 그 후 조질 압연은 압연 방향으로 6 μin와 수직 방향으로 17 μin의 스트립의 전사면 거칠기(Ra)가 형성되는 매끄러운 롤로 실행되었다. 다음으로, 단일 스트립 자성 시험 쿠폰은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고 본 발명에 따른 강 제조물을 형성하도록 응력 제거 어닐링을 거쳤다.
도 3A는 상대적인 강 제조물에 대한 압연 방향에 대한 3,000 G/Oe 미만의 투자율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강 제조물에 대한 압연 방향에 대해 6,000 G/Oe를 초과하는 높은 투자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강 제조물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광범위한 각에 걸쳐서 높은 투자율을 갖는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강 제조물의 투자율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압연 방향에서 18°까지 범위의 각에 걸쳐서 5,000-6,200 G/Oe이다. 반대로, 상대적인 강 제조물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압연 방향에서 18°까지 범위의 각에 걸쳐서 2,500-2,900 G/Oe의 투자율을 갖는다.
도 3B는 상대적인 강 제조물에 대한 압연 방향에 대한 약 1.7 W/lb의 높은 코어 손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강 제조물에 대한 압연 방향에 대한 1.4 W/lb 이하의 적은 코어 손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강 제조물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광범위한 각에 걸쳐서 적은 코어 손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코어 손실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압연 방향에서 25°까지 범위의 각에 걸쳐서 1.5 W/lb 이하이다. 반대로, 상대적인 강 제조물은 압연 방향으로부터 압연 방향에서 25°까지 범위의 각에 걸쳐서 1.65 W/lb 이상의 코어 손실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강 스트립은 조질 압연중에 거친 롤에 의해 제조되는 재료보다 더 매끄럽다. 결과적으로, 코팅물은 인접 적층판이 최종 어닐링중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코팅물은, Morton Inc. 및 Ferrotech Corp.와 같은 제조자에 의해 제조된, ASTM A345에서 구현된 것들 중 바람직한 하나이다. 코일링된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코일링되지 않고 코팅물에 의해 덮힌다. 코팅물은 건조되고 그 후 스트립은 재코일링된다. 코일링된 스트립은 펀치(punch)로 위치되고 모터 또는 변압기 형태가 적층판으로 펀칭된다. 그 후 적층판들은 적층되고 최종 어닐링전에 또는 그 후에 조립된다.
최종 또는 응력 제거 어닐링은 비-산화 분위기에서 대략 45분 내지 3시간 범위의 지속 시간동안 1,350-1,650 ℉의 온도 범위에서 적층판 또는 자성 시험 쿠폰을 가열함으로써 실행되었다. 바람직한 최종 어닐링 조건은 50-55 ℉에서의 이슬점을 가지는 HNX 분위기에서 1,450 ℉의 90분동안의 소킹(soaking)을 포함한다. 최종 어닐링은 가능한한 큰, 예를들면, 300-500 ㎛의 입도를 형성하도록 의도되고, 강에서 바람직한 {110}<001> 결정조직(grain texture)을 형성하도록 요구되므로, 압연 방향에 대한 자성이 개선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강 스트립은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지는 강의 슬래브를 획득함으로써 형성되었다 (중량 %): 0.005 C, 0.54 Mn, 0.016 P, 0.006 S, 1.29 Si, 0.338 Al, 0.002 N, 0.003 Sb, 및 잔량인 철. 상기 슬래브는 1,440 ℉의 최종 온도에서 열간 압연되었다. 상기 스트립은 적어도 1,450 ℉의 온도의 0.086 인치의 스트립 두께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되었다. 상기 스트립은 0.0147 인치의 두께로 83 % 감소되도록 냉간 압연되었다. 상기 스트립은 약 13.6 ㎛의 배치 어닐링 입도로 (즉, 약 1,100 ℉에서) 배치 어닐링되었다. 상기 스트립은 0.014 인치의 최종 두께를 가지는 스트립을 제조하도록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두께에서 감소로 조질 압연되었다. 매끄러운 조질 압연 롤은 10 μin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스트립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게시된 조건하에서 응력 제거 어닐링후에, 상기 스트립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자성을 가졌다.
도 4A 및 도 4B는 양호한 자성이 발생하는 스트립 두께로의 조질 압연 수축과, 최종 스트립 두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조질 압연은 더 작은 두께의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경우 두께가 더 작게 감소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L 방향은 압연 방향이고 T 방향은 이 수직 방향으로부터 압연 방향까지 90°이다. L 방향 자성은 L-T 평균 자성보다 훨씬 더 양호하였다. 0.018 인치 두께 제조물은 특히 압연 방향으로 투자율을 최대화하고 코어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약 8 %의 두께로 최적 조질 감소시켰다. 반대로, 도 4A 및 도 4B는 0.014 인치 두께의 강 스트립과 관련한 두께의 가장 양호한 감소는 특히 압연 방향으로 약 5 %였다는 것을 도시한다. 5 % 조질 감소는 얇은 0.014 인치 생산물에 대한 8 % 조질 감소까지 양호하였다. 이 점에 있어서, 두께의 조질 압연 감소는 (예를들면, 0.014 인치 생산물의 5 % 조질 감소를 0.018 인치 생산물의 8 % 조질 감소와 비교하고 선형 관계를 가정하여) 스트립의 최종 두께 감소의 각각의 0.001 인치에 대해 약 0.7 %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적으로 이방성 전기 강을 제조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조질 감소는 최종 스트립 두께에 크게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정도의 상세함을 가지고 그것의 바람직한 형태로 게시되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의 본 설명은 단지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다양한 변화가 하기에 청구되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재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Claims (44)

  1. 압연 방향에 대한 낮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에 의해 특징 되는 전기 강 제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슬래브를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슬래브는 0.04중량%까지의 탄소(C), 0.20-2.25중량%의 실리콘(Si), 0.10-0.60중량%의 알루미늄(Al), 0.10-1.25중량%의 망간(Mn), 0.02중량%까지의 황(S), 0.01중량%까지의 질소(N), 0.07중량%까지의 안티몬(Sb), 0.12중량%까지의 주석(Sn), 0.1중량%까지의 인(P), 그리고 잔량인 철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함;
    1500°F 내지 1600°F 온도 범위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하는 단계;
    냉간 압연하는 단계;
    40 ㎛ 이하의 배치 어닐링된 입도를 형성하는 1040-1140°F 온도 범위에서 배치 어닐링하는 단계;
    49 μin 미만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상기 스트립을 제공하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롤로 조질 압연하는 단계; 및
    전기 강 제조물을 제조하도록 최종 어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어닐링은 {110}<001>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제조물의 결정조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펀칭된 인접 적층판들이 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상기 조질 압연된 스트립을 코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배치 어닐링은 20 ㎛ 이하의 평균 배치 어닐링된 입도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밴드 어닐링은 200 내지 600 ㎛ 범위의 입도로 결정립을 조입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1 중량 % 까지의 탄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형태를 적층판으로 펀칭하고 상기 적층판의 상기 응력 제거 어닐링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 압연은 3 내지 10 % 범위의 양만큼 상기 스트립의 두께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 압연은 15 μin 이하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상기 스트립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강 제조물은 적어도 5,000 Gauss/Oersted의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압연 방향에 대한 낮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에 의해 특징 되는 전기 강 제조물에 있어서,
    0.04중량%까지의 탄소(C), 0.20-2.25중량%의 실리콘(Si), 0.10-0.60중량%의 알루미늄(Al), 0.10-1.25중량%의 망간(Mn), 0.02중량%까지의 황(S), 0.01중량%까지의 질소(N), 0.07중량%까지의 안티몬(Sb), 0.12중량%까지의 주석(Sn), 0.1중량%까지의 인(P), 그리고 잔량인 철을 포함하는 조성물,
    {110}<001> 방향을 포함하는 결정조직,
    49 μin 미만의 전사면 거칠기(Ra)
    를 포함하는 전기 강 제조물.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1중량%까지의 탄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손실은 상기 압연 방향으로 1.5 W/l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물의 평면에서 상기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과 상기 압연 방향으로부터 10o 에서의 투자율 사이에서 5% 이하의 투자율 감소를 포함하는 전기 강 제조물.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율은 상기 압연 방향으로 적어도 5,000 G/O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율은 상기 압연 방향으로 적어도 5,000 G/O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면 거칠기(Ra)는 15 μi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36.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율은 상기 제조물의 평면에서 상기 압연 방향으로부터 상기 압연 방향에서 18°까지의 범위의 각에 걸쳐서 적어도 5,000 G/O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37.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물의 평면에서 상기 코어 손실은 상기 압연 방향으로부터 상기 압연 방향에서 25°까지의 범위의 각에 걸쳐서 1.5 W/l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38.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면 거칠기(Ra)는 15 μi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39. 어닐링후에 {110}<001> 방향을 포함하는 결정조직과 상기 압연 방향에 대한 낮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을 가지는 강 제조물로 제조될 수있는 전기 강 스트립으로서, 0.04중량%까지의 탄소(C), 0.20-2.25중량%의 실리콘(Si), 0.10-0.60중량%의 알루미늄(Al), 0.10-1.25중량%의 망간(Mn), 0.02중량%까지의 황(S), 0.01중량%까지의 질소(N), 0.7중량%까지의 안티몬(Sb), 0.12중량%까지의 주석(Sn), 0.1중량%까지의 인(P), 그리고 잔량인 철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49 μin 미만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스트립.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면 거칠기(Ra)는 15 μi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스트립.
  41. 압연 방향에 대한 낮은 코어 손실과 높은 투자율에 의해 특징 되며,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기 강 제조물.
    스트립으로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슬래브는 0.04중량%까지의 탄소(C), 0.20-2.25중량%의 실리콘(Si), 0.10-0.60중량%의 알루미늄(Al), 0.10-1.25중량%의 망간(Mn), 0.02중량%까지의 황(S), 0.01중량%까지의 질소(N), 0.7중량%까지의 안티몬(Sb), 0.12중량%까지의 주석(Sn), 0.1중량%까지의 인(P), 그리고 잔량인 철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함;
    1500°F 내지 1600°F 온도 범위에서 고온 밴드 어닐링하는 단계;
    냉간 압연하는 단계;
    40 ㎛ 이하의 배치 어닐링된 입도를 형성하는 1040°F 내지 1140°F 온도 범위에서 배치 어닐링하는 단계;
    49 μin 미만의 전사면 거칠기(Ra)를 가지는 상기 스트립을 제공하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롤로 조질 압연하는 단계, 여기서 8%-0.7%X 의 양만큼 상기 스트립의 두께가 감소 되어 상기 스트립의 최종 두께는 0.018인치 미만이 되고, X는 0.001인치 증가분임;
    상기 압연 방향으로 적어도 5,000 G/Oe의 투자율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 강 제조물을 제조하도록 최종 어닐링하는 단계.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면 거칠기(Ra)는 15 μi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물의 평면에서 상기 압연 방향에 대한 투자율과 상기 압연 방향에서 10o 의 투자율 사이에서 5% 이하의 투자율 감소를 나타내는 전기 강 제조물.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율은 상기 제조물의 평면에서 상기 압연 방향으로부터 상기 압연 방향에서 18°까지의 범위의 각에 걸쳐서 적어도 5,000 G/O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강 제조물.
KR1020007014428A 1998-06-19 1999-06-03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전기강 KR100643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05,802 US6231685B1 (en) 1995-12-28 1998-06-19 Electrical steel with improved magnetic properties in the rolling direction
US09/105,802 1998-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019A KR20010053019A (ko) 2001-06-25
KR100643635B1 true KR100643635B1 (ko) 2006-11-10

Family

ID=2230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428A KR100643635B1 (ko) 1998-06-19 1999-06-03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전기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231685B1 (ko)
EP (1) EP1099230A4 (ko)
JP (1) JP2003503592A (ko)
KR (1) KR100643635B1 (ko)
AU (1) AU4230399A (ko)
BR (1) BR9911233A (ko)
CA (1) CA2334899A1 (ko)
WO (1) WO1999066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16420A1 (en) * 2002-05-08 2003-11-11 Ak Properties, Inc. Method of continuous casting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trip
JP2004315949A (ja) * 2003-04-21 2004-11-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物理状態制御用情報計算装置、物理状態制御用情報計算方法、物理状態制御用情報計算用プログラム及び物理状態制御装置
US20050000596A1 (en) * 2003-05-14 2005-01-06 Ak Properties Inc. Method for production of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trip
JP4528865B2 (ja) * 2008-04-25 2010-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電機
US8306253B2 (en) * 2008-10-31 2012-11-06 Ume Voice, Inc. Modular input/output headset and method of use
JP5974671B2 (ja) * 2011-11-09 2016-08-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極薄電磁鋼板
US20150318093A1 (en) 2012-01-12 2015-11-05 Nucor Corporation Electrical steel processing without a post cold-rolling intermediate anneal
BR112014017264B1 (pt) * 2012-01-12 2020-12-08 Nucor Corporation partes estampadas formadas de um aço elétrico e métodos de fabricação das mesmas
WO2013125223A1 (ja) * 2012-02-23 2013-08-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693442B1 (ko) 2015-11-20 2017-01-05 이승철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KR101796234B1 (ko) * 2015-12-22 2017-11-09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용 절연피막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절연피막 형성방법, 및 방향성 전기강판
WO2017201418A1 (en) 2016-05-20 2017-11-23 Arcanum Alloy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ating a steel substrate
WO2021155280A1 (en) * 2020-01-31 2021-08-05 Arcanum Alloys, Inc. Modified steel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2022137473A (ja) * 2021-03-09 2022-09-22 ビルシュタイン・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金属から成る軟磁性の前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625A (ko) * 1993-10-19 1995-05-15 다나까 미노루 자성이 우수한 일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5696A (en) 1965-08-16 1968-12-10 Jones & Laughlin Steel Corp Process of producing silicon steel laminations having a very large grain size after final anneal
US3990924A (en) 1972-08-01 1976-11-09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high magnetic flux density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strips hav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JPS5224499B2 (ko) * 1973-01-22 1977-07-01
JPS53109815A (en) * 1977-03-09 1978-09-26 Nippon Steel Corp Manufacture of no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with high permeability
JPS53129116A (en) 1977-04-18 1978-11-10 Nippon Steel Corp 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with excellent magnetic characteristic s
JPS585970B2 (ja) 1979-05-16 1983-02-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線状細粒のない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S5643294A (en) 1979-09-19 1981-04-21 Meiji Seika Kaisha Ltd Novel antibiotic sf-1130x substance, its preparation, and use
JPS57126112A (en) 1981-01-29 1982-08-05 Nippon Steel Corp Laminated iron core for transformer
JPS5948935B2 (ja) 1981-08-05 1984-11-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低鉄損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4421574C1 (en) * 1981-09-08 2002-06-18 Inland Steel Co Method for suppressing internal oxidation in steel with antimony addition
US4466842A (en) 1982-04-03 1984-08-21 Nippon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eel having ultra-fine grain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S61117218A (ja) 1984-11-10 1986-06-04 Nippon Steel Corp 低鉄損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EP0193324B1 (en) * 1985-02-22 1989-10-11 Kawasaki Steel Corporation Extra-low iron loss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heets
DE3689703T2 (de) * 1985-12-06 1994-06-23 Nippon Steel Corp Kornorientiertes Elektrostahlblech mit Glasfilmeigenschaften und niedrigem Wattverlust sowie dessen Herstellung.
JPS6196080A (ja) 1986-04-03 1986-05-14 Nippon Steel Corp 一方向性電磁鋼板用焼鈍分離剤
JPS6347332A (ja) * 1986-08-14 1988-02-29 Nippon Steel Corp 鋼板形状、打抜き性および磁性の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法
JP2814437B2 (ja) 1987-07-21 1998-10-22 川崎製鉄 株式会社 表面性状に優れた方向性けい素鋼板の製造方法
DE3889600T2 (de) * 1987-08-01 1994-09-01 Kawasaki Steel Co Kornorientierte Elektrobleche mit sehr geringen Eisenverlust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Bleche.
EP0307163B1 (en) * 1987-09-10 1993-12-08 Kawasaki Steel Corporation Silicon steel sheets having low iron los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E3853871T2 (de) 1987-11-27 1995-09-21 Nippon Steel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doppeltorientierter Elektrobleche mit hoher Flussdichte.
JPH0230740A (ja) 1988-04-23 1990-02-01 Nippon Steel Corp 鉄損の著しく優れた高磁束密度一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223048A (en) * 1988-10-26 1993-06-29 Kawasaki Steel Corporation Low iron loss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heet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A2006292C (en) 1988-12-22 1997-09-09 Yoshiyuki Ushigami Very thin electrical steel strip having low core loss and high magnetic flux density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930007313B1 (ko) 1990-08-01 1993-08-05 가와사끼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저 철손 방향성 전자강판의 제조방법
JP2599867B2 (ja) 1991-08-20 1997-04-16 川崎製鉄株式会社 低鉄損方向性けい素鋼板の製造方法
EP0684320B1 (en) * 1994-04-26 2000-06-21 LTV STEEL COMPANY, Inc. Process of making electrical steels
US5798001A (en) 1995-12-28 1998-08-25 Ltv Steel Company, Inc. Electrical steel with improved magnetic properties in the rolling di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625A (ko) * 1993-10-19 1995-05-15 다나까 미노루 자성이 우수한 일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3592A (ja) 2003-01-28
AU4230399A (en) 2000-01-05
KR20010053019A (ko) 2001-06-25
WO1999066516A1 (en) 1999-12-23
CA2334899A1 (en) 1999-12-23
US6231685B1 (en) 2001-05-15
EP1099230A1 (en) 2001-05-16
BR9911233A (pt) 2001-03-06
EP1099230A4 (en) 2004-11-24
US6569265B1 (en)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635B1 (ko)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전기강
US5609696A (en) Process of making electrical steels
US5798001A (en) Electrical steel with improved magnetic properties in the rolling direction
JP2003503592A5 (ko)
JP2970423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0449575B1 (ko) 자기특성이 우수한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0528419B1 (en) Method of producing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heet having low iron loss
JP2001303261A (ja) 張力付与異方性被膜を有する低鉄損一方向性電磁鋼板
JP2639227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6217673B1 (en) Process of making electrical steels
JPH0623411B2 (ja) 異方性の小さい電磁鋼板の製造方法
EP0585956B1 (en) Thick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xhibiting excellent magnetic properties
KR930011406B1 (ko) 자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7193041B1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MXPA00012857A (en) Electrical steel with improved magnetic properties in the rolling direction
JPS62274047A (ja) 加工成形性に優れた高珪素鉄板
US4938806A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magnetic steel sheet
JPS63186823A (ja) 磁気特性の優れた電磁鋼板の製造方法
WO2022186299A1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用熱延鋼板
JP2023089089A (ja)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04923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1112702A (ja) 磁気異方性が小さく打抜き後の寸法精度に優れた電磁鋼板
KR900005379B1 (ko) 냉간압연성이 우수한 고규소강판의 제조방법
JPH03229821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20010042576A1 (en) Thick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xhibiting excellent magnetic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