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590B1 -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590B1
KR100641590B1 KR1019990023089A KR19990023089A KR100641590B1 KR 100641590 B1 KR100641590 B1 KR 100641590B1 KR 1019990023089 A KR1019990023089 A KR 1019990023089A KR 19990023089 A KR19990023089 A KR 19990023089A KR 100641590 B1 KR100641590 B1 KR 10064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sensitization
receive path
receive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303A (ko
Inventor
버크마이클유진
리포스키요셉타드스
오보일레오나드에드워드
반디크룰론쥐
웬잭치-치에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0000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수신 경로 상의 신호들의 전력 레벨에 대한 잡음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잡음으로서 나타나는 감도 줄이기 신호를 수신기의 수신 경로 상으로 주입함으로써 수신기의 감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감도 줄이기 신호원은 잡음으로서 나타나는 감도 줄이기 신호를 감도 줄이기 경로 상에 제공한다. 감도 줄이기 경로 상의 조정 가능한 감쇠기는 희망하는 감도 줄이기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조정한다. 감도 줄이기 경로는 수신기의 수신 경로에 결합되며,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 경로로 주입된다.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 경로 상의 신호 전력 레벨에 대한 잡음 전력 레벨을 높임으로써 수신기의 감도를 줄인다.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 경로 상의 주 증폭기이후의 수신 경로에 주입될 수 있다. 증폭기 뒤에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함으로써,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신호의 임의의 감쇠가 증폭기에 입력하기 전에 발생된다면 발생할 전체 잡음 형태에 대한 기여를 감소시킨다. 응용분야에 따라,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기의 무선 주파수(RF), 중간 주파수(IF) 또는 기저대역 스테이지들에서 수신 경로에 주입될 수 있다. 감도 줄이기 신호는 광대역 잡음, 연속파 신호, 변조된 신호, 또는 디지털 의사 랜덤 잡음 시퀀스와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감도 줄이기 신호, 수신 경로, 연속파 신호, 변조기

Description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sensitization of a wireless receiver}
도 1은 수신기 감도 줄이기가 종래 기술에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광대역 잡음이 수신기의 수신 경로로 주입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연속파(CW) 신호가 수신기의 수신 경로로 주입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I/Q 변조 신호가 수신기의 수신 경로로 주입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믹서 변조 신호가 수신기의 수신 경로로 주입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감쇠기 변조 신호가 수신기의 수신 경로로 주입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디지털 의사 랜덤 잡음 코드 등의 감도 줄이기 경로(60)상의 디지털 감도 줄이기 신호가 수신기의 감도 줄이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디지털 도메인에서 적어도 수신 경로(20) 상의 일부에 주입되는 경우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기저대역(BB; baseband) 또는 중간 주파수(IF) 실행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수신기의 감도 줄이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수신 경로(20)의 일부에 의사 랜덤 잡음 코드 등의 감도 줄이기 경로(60)상의 감도 줄이기 신호가 주입되는 경우의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다른 기저대역(BB) 또는 중간 주파수(IF) 실행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수신 경로 22 : 저잡음 증폭기
26 : 조정 가능한 감쇠기 28 : 결합기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수신기의 감도 줄이기에 관한 것이다.
많은 셀방식 및 개인 통신 시스템들에서, 모든 이동 유닛(mobile unit)에 의해 전송된 전력 레벨들은 서빙 기지국들의 제어하에 있다. 이동 유닛의 전력 제어는 (이동 유닛으로부터 기지국까지) 역 채널 상에서 양호한 품질 링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저의 전력 레벨로 이동 유닛이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전력 제어는 이동 유닛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가입자 장치의 역 채널 신호대 잡음비(S/N)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임의의 상황에서, 그것은 이동 유닛으로부터의 적절한 레벨의 전송 전력을 성취하기 위해 기지국에서의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줄기는데 유리하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의 전송 전력이 전위 간섭을 극복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경우, 기지국이 이동 유닛이 실제보다 더 멀리 있다고 여기도록 기지국의 감도를 줄이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와 같이, 기지국은 이동 유닛의 높은 전송 전력을 유지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이동 유닛에 전송할 것이다. 감도 줄이기는 또한 이동 유닛이 2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할 때 중요할 수 있다. 작은 커버리지 영역(마이크로셀)이 더 큰 셀(마크로셀) 내에 내장되고 이동 유닛이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이동 유닛이 마이크로셀 및 마크로셀과 동시에 통신함) 중에 있는 경우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에서, 양쪽 셀의 기지국 수신기에 충돌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이동 유닛에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셀이 너무 감도가 강하면, 마이크로셀 기지국은 저전력 레벨로 전송하기 위해 이동 유닛을 향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이동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저전력 레벨로 전송하는 동안, 이동 유닛은 마이크로셀 기지국을 만족시킬 수 있지만, 저전력 레벨은 마크로셀 기지국에 대해서는 불충분할 것이다. 응답하여, 마크로셀 기지국은 만족스럽지 않은 고전력 레벨로 전송하기 위해 이동 유닛을 향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마이크로셀 기지국에 전송할 것이다. 따라서, 핸드오프 경계에서 이동 유닛의 전송된 전력 레벨이 마크로셀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셀 양쪽에 대해 충분히 높도록 마이크로셀의 감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상이한 기지국간의 적절한 감도 균형을 성취하게 한다.
도 1은 와어어리스 수신기(10)의 프런트 엔드에서 감도 줄이기가 실행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수신기(10)는 저잡음 증폭기(14)의 입력에 앞서 접속되는 손실이 있는 다른 장치나 감쇠기(12)를 포함한다. 감쇠기(12)는 가변적인 감도 줄이기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감쇠기(12)는 잡음 레벨이 동일 레벨로 남아있는 동안 신호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거나 감쇠시킴으로써 감도 줄이기를 제공한다. 원하는 레벨의 감도 줄이기에 따라, 수신 신호의 감쇠량이 적절히 설정된다. 잡음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신호 전력 레벨을 줄임으로써, 수신기에 대한 S/N비가 줄어들며, 그에 의해 수신기의 감도가 줄어든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신기의 감도를 설정하는 것의 단점은 가변가능한 감쇠기가 수신 경로(15)상에 있고 항상 삽입 손실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 손실은 약간의 데시벨(dB)만큼 일 수 있고 때때로 수신기(10)의 전체 잡음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의 시스템의 결점을 줄이는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감도 줄이기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수신 경로 상의 신호의 전력 레벨과 관련된 잡음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잡음 신호 등의 감도 줄이기 신호를 수신기의 수신 경로 상에 주입함으로써 수신기의 감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감도 줄이기 신호원은 감도 줄이기 경로 상에 잡음으로서 나타나는 감도 줄이기 신호를 제공한다. 감도 줄이기 경로 상의 조정 가능한 감쇠기는 원하는 레벨의 감도 줄이기를 제공하기 위해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조정한다. 감도 줄이기 경로는 수신기의 수신 경로에 결합되고,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 경로에 주입된다.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 경로 상의 신호 전력 레벨에 대한 잡음 전력 레벨을 높임으로써 수신기의 잡음을 줄인다.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 경로 상의 주 증폭기 이후의 수신 경로로 주입될 수 있다. 증폭기 뒤에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함으로써,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증폭기에 입력하기 전에 신호의 감쇠가 발생한다면 발생하는 전체 잡음 형태에 대한 기여를 줄이고, 감도 줄이기를 원하지않는 경우에 수신기가 감도 손실을 갖지 않도록 한다. 응응 분야에 따라, 감도 줄이기 신호는 무선 주파수(RF), 중간 주파수(IF)나 수신기의 기저대역 스테이지에서 수신 경로에 주입될 수 있다. 감도 줄이기 신호는 광대역 잡음, 연속파 신호, 변조 신호, 디지털 의사 랜덤 잡음 시퀀스 등의 각종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분명해진다.
무선 수신기에 대한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줄임으로써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 감도 줄이기 시스템으로서 이하 설명된다.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수신된 신호의 동작 대역폭 내에서 감도 줄이기 신호를 무선 수신기의 수신 경로에 주입함으로써 이를 성취한다. 수신 경로 상에 수신된 신호를 잡음 레벨로 감쇠하기 보다는,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 쪽으로 수신 경로 상의 잡음 전력 레벨을 효과적으로 올리고, 그에 따라 수신기의 감도를 줄인다. 무선 수신기는 이동 유닛이나 기지국 수신기 등 감도 줄이기를 원하는 경우의 수신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수신기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첨단 이동 전화 시스템(AMPS),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등의 다중 접속 구성을 실행할 수 있다. 다중 캐리어(및 수신기)를 갖는 시스템에서, 모든 캐리어는 충분한 대역폭의 하나의 잡음원에 의해 동시에 감도가 줄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한 무선 수신기의 프런트 엔드(16)의 도면을 도시한다. 잡음 다이오드 등의 광대역 잡음원(18)은 저잡음 증폭기(LNA)(22)의 출력 후에 수신 경로(20)에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잡음원(18)은 감도 줄이기 경로(24)상에 있고, 감도 줄이기 경로(24)상의 조정 가능한 감쇠기(26)는 감도 줄이기 경로(24) 상의 잡음을 감쇠시킨다. 수신 경로(20) 상의 결합기(28)는 감도 줄이기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잡음원(18)으로부터의 광대역 잡음을 이용하여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기 위해 이 감도 줄이기 신호를 수신 경로(20)에 주입한다. 가변가능한 감쇠기(26)는 수신 경로(20)에 주입될 잡음 전력의 양을 조정하기 위해 능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에는 상이한 감도 줄이기 레벨을 제공한다. 그러나,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은 LNA(22) 또는 결합기(28) 바로 앞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의 증폭된 잡음 전력 레벨보다 약간 작거나 더 커야만 한다.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이 증폭된 잡음 전력 레벨에 근접하거나 초과함에 따라, 감도 줄이기 신호는 전체 결합된 잡음 형태에 더 기여하고, 이렇게 하여 감도 줄이기가 실현될 수 있다.
임의의 응용분야에서, 제어 회로(29)는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당 프레임 에러율(FER) 또는 비트 에러율(BER), 또는 프레임 에러율(FER) 및 비트 에러율(BER)을 포함하는 각종 파라미터들에 따라 감도 줄이기 레벨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동적으로 조정한다는 것은 제어 회로(29)가 시스템 동작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라 조정을 시작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버랩핑 커버리지(overlapping coverage)를 갖는 기지국들에서, 기지국들 가까이에서 또는 이동을 갖는 소프트 핸드오프의 기지국들에서, 또는 오버랩핑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들에서, 기지국들 가까이에서 및 이동을 갖는 소프트 핸드오프의 기지국들에서, BER, FER 또는 대응하는 수신 신호 레벨, 또는 BER, FER 및 대응하는 수신 신호 레벨은 희망하는 감도 줄이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검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의 수신 전력 레벨에 대해, 상기 시스템은 특정 FER을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제어 회로(29)는 희망하는 감도 줄이기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감쇠기(26)를 조정한다. 감도 줄이기 레벨은 예를 들어 기지국 다음에 만들어질 빌딩, 셀 방식 구성의 변화 또는 용량의 변화 등 동작 환경의 변화로 인해 변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도 2의 광대역 신호원(18)을 사용하기 보다는, 발진기(30)가 감도 줄이기 경로(32)상의 감도 줄이기 신호로서 연속파(CW) 신호를 발생한다. 도 2의 실시예를 이용함으로써, 수신 경로(20)에 주입된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은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이 결합기(34) 앞의 잡음 전력 레벨에 근접함에 따라 잡음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킨다. 이 특정 실시예는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 등의 확산 스펙트럼 수신기에 대해 매우 적합하다. 확산 스펙트럼 수신기에서는 희망하는 확산 스펙트럼 신호를 확산시키지 않는 동안 CW 비확산 신호 등의 주파수 확산 간섭 신호가 잡음으로 나타난다. 그와 같이, 희밍하는 신호가 확산되지 않는 동안 간섭 신호가 확산될 때, 결과의 신호는 희망하는 비확산 신호에 직면하여 잡음으로 나타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수신 경로(20) 상의 결합기(34)는 희망하는 CW 감도 줄이기 신호를 수신 경로(20)에 주입하여 확산 스펙트럼 신호에 직면하여 비확산 간섭 신호와 같이 나타나게 한다. 또한 수신 경로(20)를 따라, 나머지 확산 스펙트럼 수신기(35)가 희망하는 확산 스펙트럼 신호를 확산시키지 않으면서 CW 감도 줄이기 신호를 확산시킨다. 그와 같이, 확산 감도 줄이기 신호는 희망하는 비확산 신호에 직면하여 잡음과 같이 나타난다. CW 감도 줄이기 전력을 높이면 높일수록, 확산 CW 감도 줄이기 신호의 "잡음" 전력 레벨은 높아진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CW 신호 전력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감도 줄이기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감쇠기(36)는 감도 줄이기 경로(32)상의 CW 신호의 레벨을 조정한다. 희망하는 시스템 실행에 의존하여, 감도 줄이기 레벨은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지국 응용 분야에서, 수신 신호 전력 레벨당 프레임 에러율(FER) 또는 비트 에러율(BER), 또는 FER 및 BER은 희망하는 감도 줄이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검사될 수 있다. 오버랩핑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들에서, 기지국들 가까이에서 또는 이동을 갖는 소프트 핸드오프의 기지국들에서, 또는 오버랩핑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들에서, 기지국들 가까이에서 및 이동을 갖는 소프트 핸드오프의 기지국들에서, BER, FER 또는 대응하는 수신 신호 레벨, 또는 BER, FER 및 대응하는 수신 신호 레벨은 희망하는 감도 줄이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검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어떤 응용 분야에서, 제어 회로(37)는 위의 파라미터들 중 하나, 몇몇, 또는 모두에 의존하여 감도 줄이기 레벨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 회로(37)는 또한 예를 들어 감도 줄이기 신호의 CW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CW 신호 주입원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 5, 6은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발진기 등의 CW 신호원(40)은 폭이 좁은 CW 신호와 비교할 때 더 넓은 대역폭의 감도 줄이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변조기(42)에 의해 변조되는 CW 신호를 발생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변조기(42)는 상기 수신기의 동작 대역폭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상이한 감도 줄이기 레벨들을 제공하기 위해, 변화하는 주파수, 다중 주파수들 또는 변조된 신호나 의사-랜덤 잡음 신호, 또는 변화하는 주파수, 다중 주파수들 및 변조된 신호나 의사-랜덤 잡음 신호를 갖는 다른 유형들의 감도 줄이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더 넓은 대역폭의 감도 줄이기 신호는 좁은 대역폭 신호가 전계 수신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를 측정하는 장치에 대해 문제를 주장하는 임의의 응용분야에서 필요하게 된다. 조정 가능한 감쇠기(44)는 희망하는 감도 줄이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조정하고, 결합기(46)는 수신 경로(20)에 상기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한다. 넓은 대역폭 감도 줄이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CW 신호의 변조는 진폭 변조(AM), 주파수 변조(FM), 펄스폭 변조(PWM), 위상 변조(PM), 상기한 변조 유형의 결합을 포함하는 주파수 소스의 잡음 또는 다른 형태의 변조 형태 등 각종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잡음 타입 변조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도 줄이기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의사 랜덤 잡음(PN) 코드 시퀀스를 이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만일 그와 같은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이 확산 스펙트럼 수신기에 사용된다면, 잡음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는 수신 경로(20)상에 결합되고, 감도 줄이기 신호가 수신 신호와 상관하지 않기때문에 나머지 수신기(45)에서의 비확산 처리를 마친 뒤라도 잡음으로서 나타난다. 전과 같이,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은 증폭된 잡음 전력 레벨에 근접하거나 초과하므로, 감도 줄이기 신호는 전체의 결합된 잡음 형태에 더 기여하며, 이렇게 하여 감도 줄이기가 실현될 수 있다. 전과 같이, 감도 줄이기 레벨은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이 수신 경로(20)상의 증폭 잡음 전력 레벨에 근접하거나 초과함에 따라 증가한다. 또는, 조정 가능한 감쇠기(44)는 변조기(42) 앞에 감도 줄이기 신호원(40)의 전력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 5, 6의 실시예의 변조기(42)가 각종의 상이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변조기(42)는 동위상(I) 및 직교(Q) 신호를 I/Q 변조기(50)에 제공하는 변조 신호원(48)을 포함한다. I/Q 변조기(50)는 변조 감도 줄이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감도 줄이기 신호상에 실행되는 변조 유형을 반영하는 I 및 Q 신호에 따라 감도 줄이기 신호를 변조한다. 도 5에서, 변조기(42)는 임의의 실시예에서의 의사 랜덤 코드 발생기 등의 변조 신호원(52)를 포함하며, 이는 잡음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발진기(40)로부터의 CW 감도 줄이기 신호와 함께 믹서(54)에 의해 믹스된다. 믹서-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는 믹싱 처리가 믹서(54)로부터 상이한 주파수 혼합 성분을 방사하도록 하기 때문에 필터링(도시 안됨)이 필요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변조 신호원(52)은 주파수 업변환(upconvert) 또는 다운변환(dowmconvert)된다. 만일 변조 신호의 주파수 업변환을 희망하면,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고역 필터(도시 안됨)가 사용될 수 있다. 변조 신호가 주파수 업변환되면, 저역 필터(도시 안됨)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서, 변조기(42)는 발진기(40)로부터의 CW 신호와 변조 신호원(56)으로부터의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조정 가능한 감쇠기(54)를 포함한다. 조정 가능한 감쇠기(54)는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CW 신호를 감쇠함으로써 CW 신호를 변조한다. 이 변조기(42)는 통상적으로 AM 또는 PWM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변조 구성에 따라, 조정 가능한 감쇠기(54)는 감쇠기-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변조 신호를 사용하여 CW 신호를 변조한다.
따라서,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희망하는 신호를 감쇠시키지 않고 수신기의 감도를 효과적으로 줄인다. 대신에,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수신기의 수신 경로 상의 잡음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희망하는 감도 줄이기 레벨을 제공한다. 구성 요소들을 부가하거나 생략하고 또는(그리고) 상술한 시스템의 변형들 또는 조합들, 또는 변형들 및 조합들을 실행하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대안의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의 어떤 응용 분야에서, 제어 회로(37)는 상술한 것들을 포함하는 각종 파라미터들에 의존하여 감도 줄이기 레벨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37)는 조정 가능한 감쇠기(44)를 제어함으로써 감도 줄이기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 회로(37)는 또한 예를 들어, 감도 줄이기 신호의 CW 주파수를 변경하고 감도 줄이기 신호의 변조를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감도 줄이기 신호원(40)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실시예들은 RF 스테이지에서 실행되지만,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실시예들도 또한 본 발표의 이익을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주파수(IF) 및 기저대역 스테이지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는 디지털 의사 랜덤 잡음 코드 등의 감도 줄이기 경로(60)상의 디지털 감도 줄이기 신호가 수신기의 감도 줄이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디지털 도메인에서 적어도 수신 경로(20)상의 일부에 주입되는 경우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기저대역(BB) 또는 중간 주파수(IF) 실행을 도시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서머(summer)(62)는 디지털화된 수신 신호를 디지털 의사 랜덤 시퀀스와 함께 합한다. 이 점에 있어서 수신기 경로(20)에서 , 수신된 신호는 동위상(I) 및 직교(Q) 성분으로 통상 변조되었고, 상기 실행에 따라, 수신 경로(20)의 일부는 수신된 신호의 I 성분들, Q 성분들 또는 I 및 Q 성분들 모두를 전할 수 있다. IF나 BB에서 수신 경로(20)상의 수신 신호 성분(들)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64)에 의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되고, 감도 줄이기 신호는 적어도 디지털 수신 신호 성분(들)의 일부에 합해진다. 감도 줄이기 신호는 희망하는 감도 줄이기의 양에 따라 또는 감도 줄이기가 다른 것보다는 오히려 한 유형의 구성 요소에 대해 감도 줄이기를 희망하는지 여부에 따라, 디지털 도메인에서 수신 경로(20)를 구성하는 디지털 라인들의 부분에 부가될 수 있다.
도 7b는 수신기의 감도 줄이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수신 경로(20)의 일부에 의사 랜덤 잡음 코드 등의 감도 줄이기 경로(60)상의 감도 줄이기 신호가 주입되는 경우의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다른 기저대역(BB) 또는 중간 주파수(IF) 실행을 도시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서머(66)는 의사 랜덤 시컨스에 복조된 수신 신호를 합한다. 콤바이너와 결합기 등 다른 구성 요소들이 서머(66)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수신 경로(20)에서, 수신된 신호는 동위상(I) 및 직교(Q) 성분으로 통상 복조되며, 상기 실행에 따라, 수신 경로(20)의 일부는 수신 신호의 I 성분, Q 성분 또는 I 및 Q 성분 모두를 전할 수 있다. 감도 줄이기 신호에 따라 IF 또는 BB에서 수신 경로(20) 상의 수신된 신호 성분(들)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68)에 의해 디지털 도메인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감도 줄이기 레벨은 유사 랜던 잡음 시퀀스의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대응하는 감도 줄이기 레벨을 제공하도록 기저대역에서 RF까지의 수신 경로의 일부나 브랜치(branch)상에서 또는 수신 신호 경로 상에서 또는 수신 경로를 따라 다수의 지점에서 "잡음" 레벨을 조정하는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해 포함되는 또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실시예들은 수신기 경로의 프런트 엔드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단뒤에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함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수신기의 수신 경로를 따라 어느 곳에도 감도 줄이기 신호가 주입될 수 있다. 저삽입 손실(대략 0.5dB)은 결합기를 사용하여 증폭기 이후의 수신 경로 상에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수신 경로에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하기 위해 전력 콤바이너와 서머(summer) 등의 다른 장치들이 결합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무선 수신기의 프런트 엔드에서, 그리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확산 스펙트럼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수신기 감도 줄이기가 필요한 어떤 수신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AMPS, TDMA, CDMA, 광대역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유럽 디지털 코드리스 전화(DECT)를 이용하는 시스템 또는 이동 유닛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코히어런트 또는 비코히어런트 수신기에서 또는 기지국들이나 이동국들(mobile stations)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응용 특정 집적 회로(들), 소프트웨어 구동 처리 회로, 또는 불연속 구성 요소들의 여러 가지 장치들, 또는 응용 특정 집적 회로(들), 소프트웨어 구동 처리 회로, 및 불연속 구성 요소들의 여러 가지 장치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도 줄이기 레벨 또는 감도 줄이기를 제공하는 방식, 또는 감도 줄이기 레벨 및 감도 줄이기를 제공하는 방식을 조정하는 제어 회로는 수신기에서 처리 회로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수신기, 기지국 또는 기지국에 접속된 이동 스위칭 센터(MSC), 또는 수신기, 기지국 및 기지국에 접속된 MSC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각종 파라미터들에 응답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에 직접 제어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MSC에서 발생하여 기지국을 통과하여 수신기와 구성 요소들에 도달한다. 그와 같이, 감도 줄이기 회로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하고 수신기의 적절한 감도 줄이기 레벨을 결정하고 실질적으로 조정을 행하는 기능들은 서로 다른 장소에서 행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원리를 적용한 것을 단지 설명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예의 적용을 엄격히 따르지 않고,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이들 및 다른 각종 변형예들, 장치들 및 방법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기 감도 줄이기 시스템은 수신 경로 상의 신호의 전력 레벨에 대한 잡음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잡음으로서 나타나는 감도 줄이기 신호를 수신기의 수신 경로 상으로 주입함으로써 수신기의 감도를 설정한다.

Claims (17)

  1. 이동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의 전송된 전력 레벨을 통제하는 기지국 수신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 수신기의 수신 경로 상의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기 위해 상기 수신 경로 상의 상기 수신 신호를 감쇠시키지 않고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에 대한 상기 수신 경로의 잡음 레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신 경로에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유닛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에 대한 비트 에러율 또는 프레임 에러율, 또는 비트 에러율 및 프레임 에러율의 변경들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에러율 또는 상기 프레임 에러율, 또는 상기 비트 에러율 및 상기 프레임 에러율에 기초하여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증폭기로 상기 수신 경로 상의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단계는 상기 증폭기 이후의 상기 수신 경로에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로서 잡음원(noise source)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로서 연속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로서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변조 신호원을 사용하여 연속파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단계는,
    상기 연속파 신호를 I/Q 변조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변조 신호원으로부터 I 및 Q 신호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I 및 Q 신호들을 사용하여 상기 I/Q 변조기에 의해 상기 연속파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단계는,
    상기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변조 신호원으로부터의 변조 신호와 상기 연속파 신호를 믹싱(mix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단계는,
    조정 가능한 감쇠기에 상기 연속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정 가능한 감쇠기에 변조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변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조정 가능한 감쇠기에 의해 상기 연속파 신호를 감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에 앞서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를 감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10. 이동 유닛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유닛의 전송된 전력 레벨을 통제하고,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경로를 갖는 기지국 수신기에 있어서,
    감도 줄이기 신호 경로 상에 감도 줄이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감도 줄이기 신호원,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 경로와 상기 수신 경로에 접속되고, 상기 기지국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기 위해 상기 수신 경로 상의 수신 신호를 감쇠시키지 않고 상기 수신 신호의 레벨에 대한 상기 수신 경로 상의 잡음 레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신 경로에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를 주입하는 결합기, 및
    상기 이동 유닛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에 대한 비트 에러율 또는 프레임 에러율, 또는 비트 에러율 및 프레임 에러율의 변경들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에러율 또는 상기 프레임 에러율, 또는 상기 비트 에러율 및 상기 프레임 에러율에 기초하여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의 전력 레벨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수신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원은 상기 감도 줄이기 경로 상에 잡음 신호를 생성하는 잡음원을 포함하는, 기지국 수신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원은 상기 감도 줄이기 경로 상에 연속파 신호를 생성하는 연속파 신호원을 포함하는, 기지국 수신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연속파 신호를 생성하는 연속파 신호원,
    적어도 하나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 신호원, 및
    상기 연속파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로서 변조된 감도 줄이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연속파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수신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 경로 상의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의 레벨을 수신하고 조정하는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 경로 상의 감쇠기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수신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경로 상의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 후에 상기 수신 경로 상에 위치한 상기 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수신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경로 상의 상기 수신 신호는 기저대역 주파수에서 디지털화된 I/Q 신호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원은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로서 의사-랜덤(pseudo-random) 잡음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결합기는 상기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기 위해 상기 디지털화된 I/Q 신호와 상기 의사-랜덤 잡음 시퀀스를 합하는, 기지국 수신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는 상기 감도 줄이기 신호를 상기 수신 경로 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 수신 방법.
KR1019990023089A 1998-06-19 1999-06-19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 KR100641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00,569 1998-06-19
US09/100,569 US7035346B1 (en) 1998-06-19 1998-06-19 Method and apparatus for desensitization of a wireless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303A KR20000006303A (ko) 2000-01-25
KR100641590B1 true KR100641590B1 (ko) 2006-11-02

Family

ID=2228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089A KR100641590B1 (ko) 1998-06-19 1999-06-19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35346B1 (ko)
EP (1) EP0967732B1 (ko)
JP (1) JP3577241B2 (ko)
KR (1) KR100641590B1 (ko)
AU (1) AU761004B2 (ko)
CA (1) CA2271452C (ko)
DE (1) DE6990037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24989T2 (de) * 1999-07-08 2006-02-23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Kalibrierung eines Empfängers mit N -Toren
US20120190372A1 (en) * 2011-01-24 2012-07-26 Spidercloud Wireless, Inc. Rf considerations for user equipment handoff
US9026125B2 (en) 2013-01-16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mitigating receiver desense caused by simultaneous transmission on multi-SIM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52208A1 (fr) * 1979-03-20 1980-10-17 Thomson Csf Tete h.f. a dynamique autoadaptative et recepteur comportant une telle tete h.f.
US4742561A (en) * 1985-09-10 1988-05-03 Home Box Office, Inc.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s useful for testing the sensitivity of microwave receiving equipment
US5303411A (en) * 1989-04-26 1994-04-12 Motorola, Inc. Receiver sensitivity threshold extended with the combination of an unmodulated signal with the received signal
GB9023605D0 (en) * 1990-10-30 1990-12-12 British Telecomm Digital radio
FR2716766B1 (fr) * 1994-02-25 1996-03-22 Thomson Csf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trôle automatique de gain de circuits de réception.
US5519888A (en) * 1994-06-30 1996-05-21 Motorola, Inc. Receiver incorporating an other users noise simulator (OUNS) for use in a communication system
ZA955605B (en) * 1994-07-13 1996-04-10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user interference received by subscriber units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network
US5475870A (en) * 1994-09-12 1995-12-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and removing a base station from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715526A (en) 1995-09-08 1998-02-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304561B1 (en) * 1997-12-23 2001-10-1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on of the effective noise figure in a CDMA receiver
US6191652B1 (en) * 1999-10-22 2001-02-20 Powerwave Technologies, Inc. Amplifier distortion correction using cross-mod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0378T2 (de) 2002-09-05
CA2271452A1 (en) 1999-12-19
JP2000134123A (ja) 2000-05-12
EP0967732B1 (en) 2001-10-24
EP0967732A1 (en) 1999-12-29
CA2271452C (en) 2003-03-18
AU761004B2 (en) 2003-05-29
AU3507399A (en) 2000-01-06
JP3577241B2 (ja) 2004-10-13
DE69900378D1 (de) 2001-11-29
US7035346B1 (en) 2006-04-25
KR20000006303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0811B2 (en) Multimode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unit
JP3756952B2 (ja) 多重バンド無線装置
AU673576B2 (en) Access burst power control
US6510148B1 (en) Selective discontinuous transmission for high speed data services in CDMA multi-channel configuration
KR100430458B1 (ko) 무선 주파수 증폭기에 대한 적응성 프리리미터
KR100443225B1 (ko) 수신기에 대한 자동 이득 제어장치
JP3833787B2 (ja) 基地局の送受信装置
JPH1051379A (ja) 基地局送信電力制御方式
US7283797B1 (en)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the dynamic range of a receiver in the presence of a narrowband interfering signal
JP2001285192A (ja) 移動通信端末と基地局
KR100641590B1 (ko) 무선 수신기의 감도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
KR100474055B1 (ko) 시디엠에이방식의 이동무선단말장치
AU750740B2 (en) Reception method and receiver
KR20050059206A (ko) 이동국 신호에 의해 제 2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대한평가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이동국과 제 1 기지국 간의통신 적응
JP2003158469A (ja) 無線送受信機
Madsen et al. UTRA/FDD RF Transceiver Requirements
CA2200960C (en) Multiple band radio
Ramachandran et al. Key specifications and implementation of WCDMA receiver
JP3380862B2 (ja) 基地局及びリモート局
JP2002076956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2004096517A (ja) 送受信無線装置
Ma et al.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analysis of RF receiver for PDMA terminal
Springer et al. UTRA FDD Mode
Licensed Telecommunications Systems Bulletin
MXPA00000478A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a receiver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