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090B1 -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 - Google Patents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090B1
KR100640090B1 KR1020060064589A KR20060064589A KR100640090B1 KR 100640090 B1 KR100640090 B1 KR 100640090B1 KR 1020060064589 A KR1020060064589 A KR 1020060064589A KR 20060064589 A KR20060064589 A KR 20060064589A KR 100640090 B1 KR100640090 B1 KR 10064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vehicle
feed
hydraulic
comp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관
Original Assignee
김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관 filed Critical 김중관
Priority to PCT/KR2006/0039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3765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45Adaptations for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7Methods for tracing th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8Measur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level, volume,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주행에 이용되는 주행엔진과 TMR사료의 원료 혼합에 사용되는 배합엔진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소비자(축산농가)가 주문한 그대로 예컨대 TMR사료의 원료별 배합비율과 총량을 맞춰 생산할 수 있고, 이러한 맞춤형 TMR사료의 원료들을 적재함에 실어 소비지(목장)까지 운송하는 중에 원료가 고루 배합되도록 하여 차량이 소비지에 도착하는 즉시 완전혼합 상태의 TMR사료를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도록 한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은, 주문받은 TMR사료의 원료가 내부에 투입·적재되는 적재함; 적재함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배합수단; 배합수단에 인가할 동력이 발생되는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 및 적재함과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가 탑재되는 차량; 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주행시 상기 배합수단에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이 인가되면 상기 적재함 내에 투입·적재된 TMR사료의 원료가 배합수단의 배합작용에 의해 TMR사료로 배합·제조되면서 소비지까지 운송될 수 있다.
TMR사료, 배합-운송, 배합엔진, 주행엔진, 유압펌프, 유압모터, 오거, 주문생산, 변패방지, 노동절감, 비용절감

Description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TMR feed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의 평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의 측면 구성도.
도 3a는 도 1에 나타낸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의 적재함 전면측 모형도.
도 3b는 도 1에 나타낸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의 적재함 후면측 모형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감속장치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감속장치의 정면도.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장치의 기어 간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제 제작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계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계통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제 차량의 측면 구성을 촬영한 사진.
[도면 부호의 설명]
1,6,7,13,14,19,21,24,27,33… 볼트 2,15… 케이스
3… 오거 연결용 어셈블리 4,23… 고무패킹(리데나)
5,22,26… 커버 8,10,11,32,34,35… 베어링
9… 구동기어 12… 출력기어
16,25,31… 스냅링 17… 허브플레이트
18… 내치기어 20… 입력 측 플랜지
28… 와셔 29… O-링
30… 허브 핀 36… 태양기어
37… 오일게이지 100… 적재함
110… 엔진룸 120… 슬라이딩 도어
140… 배출용 도어 160… 컨베이어
180… 안내 롤 185… 피스톤
200… 오거 300… 배합엔진
320… 가버너 400… 유압펌프
430… 오일저장탱크 450… 밸브기구
500… 유압모터 600… 차량
620… 제어기 800… 로드셀
900… 지시계
본 발명은 각 축산농가로부터 우군능력이나 개체수 또는 영양상태에 따라 다 르게 주문받은 TMR사료의 원료별 배합비율과 총량을 맞출 수 있고, 이러한 맞춤형 TMR사료의 원료를 적재함에 실어 소비지(목장)까지 운송하는 중에 원료가 고루 배합되도록 함으로써 운송 차량이 소비지에 도착하는 즉시 완전혼합 상태의 TMR(Total Mixed Ration) 사료를 가축(소)에게 급여할 수 있는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주행동력원(엔진)과 TMR사료의 원료 혼합에 사용되는 배합동력원(엔진-유압구동장치)을 구분함으로써 도로 주행 및 TMR사료의 원료 배합에 아무런 지장이 없도록 한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젖소/비육우에게 급여되는 TMR사료는 건초, 볏짚, 엔시레지와 같은 조사료에 대두/옥수수 등을 배합하여 만들며, 이때 조사료의 배합량(배합비율)은 개체의 영양상태나 우군능력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축산농가마다 선호되는 조사료의 배합비율이 다르다. 또한, 가축(소)입장에서 조사료는 농후사료에 비해 기호도가 떨어지므로 이를 잘 배합(비빔)해서 주지 않으면 가축이 농후사료만 골라 먹어 사육비용이 증가하고, 조사료의 섭취량 부족으로 인해 여러 질병에 쉽게 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TMR사료의 유통과 관련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공급자 생산방식으로 TMR사료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공급자 생산방식의 주된 문제점 중 하나는 소품종 대량생산으로 인해 목장에서 요구하는 조사료의 배합비율을 일일이 맞출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공급자(공급회사)의 경영상태나 수익구조, 비축된 원료의 종류와 재고량에 따라 TMR사료의 원료 배합비율이 변동되는 경향이 있고, 공장설비(특히 배합기)의 성능에 따라 조사료의 혼입률이 30%를 넘기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축산농가에서는 마대포장된 TMR사료를 공급자로부터 구입한 후 이를 풀어 사료혼합장치에 넣고 여기에 추가로 조사료를 투입하여 골고루 잘 비빈 후 소에게 급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마대 처리문제가 남게 되고, 포장된 TMR사료를 상·하차해야 하는 수고가 뒤따르며, 별도의 혼합장치를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다.
일반적으로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배합에 이용되는 사료혼합장치(mixer)는 TMR사료의 원료가 투입되는 적재함과 이들 원료를 고루 비비기 위한 오거(auger)로 구성되며, 축사 내에서의 이동가능성 및 이동방식에 따라 견인형/궤도형/자주이동형/고정형의 4가지 타입으로 구분된다.
이중, 견인형/궤도형은 바퀴가 달린 사료혼합장치를 트레일러처럼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하여 매우 낮은 속도로 끌고 다니면서 견인차량의 주행엔진에서 인출한 동력(출력 일부)으로 오거(auger)를 회전시키는 타입이며, 자주이동형은 견인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출력 일부를 인출하여 오거를 회전시킨다는 점에서는 견인형/ 궤도형과 같으나 사료혼합장치가 견인차량의 차대(프레임; 화물칸 부위)에 얹혀져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고정형은 사료혼합장치가 축사 주변에 그대로 놓여져 이동되지 않는 타입이다.
그런데 이러한 견인형/궤도형/자주이동형은 하나의 엔진으로부터 오거의 회전력과 차량의 주행동력을 모두 얻기 때문에 속도 변화가 없다는 가정 하에 차량이 축사 내에서 초저속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이고 도로 주행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6-6115호(가축용 이동식 사료 혼합기)에 개시된 자주이동형 사료운반차량은 엔진에 장착된 P.T.O(power take off)를 통해 오거 쪽으로 동력이 전달되므로 오거의 회전력 및 속도가 차량 엔진의 출력 및 회전수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오거가 일정하지 못한 속도로 회전하거나 멈추게 되므로, TMR사료의 원료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고 엔진의 출력을 2부분으로 나누어 씀으로써 주행에 요구되는 충분한 동력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TMR사료의 생산방식 및 유통과정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주행동력원과 TMR사료의 원료 혼합에 이용되는 배합동력원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여부에 관계없이 TMR사료의 원료를 골고루 배합할 수 있는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MR사료의 원료 종류와 투입량에 따라 배합동력원의 출력이 자동으로 가감됨으로써, 최적 조건하에서 TMR사료의 원료 배합이 이루어지게 한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합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배합수단의 회전수를 예를 들면 20rpm∼25rpm 사이로 제어함으로써, 배합수단의 과도한 운전으로 인해 적재함의 내부온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TMR사료의 원료가 열에 의해 변질하거나 섬유소/영양가가 파괴되는 일이 없도록 한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소비지(消費地)에 도착하기 전 적재함에 투입된 모든 원료가 골고루 배합됨으로써, 운송 차량이 소비지에 도착하는 즉시 축사 안으로 진입하여 완전혼합 상태의 TMR사료를 가축(소)에게 급여할 수 있도록 한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에 의하면, 사료 총량의 최대 100%까지 조사료(건초)를 혼합할 수 있고, 각 축산농가로부터 우군 능력이나 개체수 또는 영양상태에 따라 매번 다르게 주문되는 TMR사료를 소비자(주문자)가 주문한 그대로 예컨대 원료별 배합 비율과 총량을 맞춰 생산 및 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조절수단(가버너)이 설치된 통상의 엔진(예컨대 화물차의 주행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을 유압에너지로 전환한 후 낮은 회전수의 큰 회전력(torque)으로 출력하는 통상의 유압펌프 및 유압모터로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배합동력원)를 구성함으로써, 상용 전원과 감속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배합 수단을 운전할 수 있는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경우, 전기 사용에 따른 합선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합수단으로 오거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오거의 블레이드 끝에 다수의 커터를 장착함으로써 TMR사료의 원료 혼합시 이들 커터의 세절작용에 의해 조사료가 세절(細切)될 수 있는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에 의하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종래 공장형 설비보다 설비비가 50% 이상 대폭 절감될 수 있고, 중간유통업자의 개입 없이 생산자와 소비자(축산농가)가 직접 연결될 뿐 아니라 종래 공장형보다 생산 인력이 60% 이상 감축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 입장에서 TMR사료의 구입비용이 50% 이상 절감될 수 있으며, 소비자 주문에 맞춰 생산한 맞춤형 TMR사료가 가축에게 직접 공급되므로 종래 TMR사료를 급여하는데 요구되던 노동력이 100% 절감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가 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은, 주문받은 TMR사료의 원료가 투입·적재되는 적재함; 적재함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합수단; 배합수단에 인가할 동력이 발생되는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 및 적재함과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가 탑재되는 차량;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차량 주행시 상기 배합수단에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이 인 가되면 적재함 내에 투입·적재된 TMR사료의 원료가 배합수단의 배합 작용에 의해 완전혼합 상태의 TMR사료로 배합되면서 소비지까지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여기서, 상기 주행용 차량은 예컨대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제작된 특장차이거나 1ton/5ton/10ton 트럭과 같은 상용차로서, 크기와 용적률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는 출력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엔진과 이 엔진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엔진출력을 유압에너지로 전환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의 유압에너지를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배합수단에 인가하는 유압모터를 포함한 구성일 수 있다. (청구항 2) 이때, 상기 엔진의 출력단과 유압펌프 사이에는 엔진의 불균일한 출력을 정규화하는 플라이휠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적재함 내에 투입되거나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TMR사료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검출수단이 적재함과 차량 사이에 설치되고 이 무게검출수단의 검출결과를 표시하는 지시계가 차량의 운전석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청구항 3)
또한, 상기 배합수단과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 사이에 감속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청구항 4)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속장치로서 유성기어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ⅰ) 상기 구성요소 중 적재함 은 외형과 용량에 어떠한 제한도 두고 있지 않다. 예컨대, 외형이 사각박스형이거나 원통형일 수 있고, 용량도 무게 기준으로는 수백 ㎏에서 십여 ton까지 체적기준으로는 1 루베∼수십 루베까지 제작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작의 용이성과 안전성 등을 고려할 때 5ton 미만의 박스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좋으며, 적재함의 하부 형상도 TMR사료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호퍼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때는 닫혀있다가 차량이 소비지에 도착한 때는 열려서 TMR사료가 가축에게 급여되도록 하는 배출용 도어가 적재함의 좌·우측 측면의 전반부나 중앙부 또는 후반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배출용 도어는 유압 실린더-피스톤 기구에 의해 개폐되거나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은 먹기 좋은 위치에 TMR사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용 도어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적재함의 하부 측에 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이 축사 안으로 진입하여 가축에게 TMR사료를 급여할 수 있고, 이때 축사에 가두어져 있는 젖소/비육우가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의 어느 편에 모여 있더라도 차량 진입방향을 바꾸는 일없이 TMR사료를 급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상면 전반부나 중앙부나 후반부 또는 측면 상단 중 한 곳 이상에 상기 배출용 도어의 개폐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TMR사료의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투입구에는 상기 배 출용 도어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유압 실린더-피스톤 기구 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 도어나 인력으로 여닫는 수동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적재함의 전면이나 후면에, 본 발명의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프레임은 통상의 금속제 빔(beam)과 강판 등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용접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적재함의 전·후면 하부 양측에 배합수단의 양단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에 베어링이나 스냅링 등의 기계요소가 장착될 수 있다.
(ⅱ) 상기 배합수단 으로는 예컨대 회전축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블레이드가 형성된 오거(auger)나, 회전축 외면에 다수의 패들(paddle)이 간격을 두고 돌출된 형태의 것(타입Ⅲ)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거는 예컨대 TMR사료의 원료들이 회전축의 한쪽 끝으로만 모이게 하는 형태(타입Ⅰ)이거나, 상기 회전축의 양끝에서 회전축 길이(방향)의 중간 지점으로 원료들이 모이게 하는 형태(타입Ⅱ)일 수 있다.
또한, 최근 등록취소결정이 내려진 실용신안 등록 제370599호에 기재된 것처럼, 블레이드의 날 끝에 근접하여 조사료(건초 등)를 세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커터가 추가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입Ⅱ의 오거는 적재함 속의 원료들이 고루 혼합될 수 있도록, 적재함 의 하부 좌·우측에 내부를 가로질러 하나씩 관통·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TMR사료의 원료가 타입Ⅱ의 오거 양단에서 중앙으로 이송되어 적재함 내부 중앙에 점점 쌓이게 되고, 이와 같이 하여 높이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적재함의 내면(상면)에 TMR사료의 원료가 닿거나 또는 닿기 전이라도 적재함 바닥 쪽으로 원료가 무너져 내리거나 흘러내려 TMR사료의 원료들이 계속해서 교반·혼합된다.
이에 반해, 타입Ⅰ의 오거가 적재함의 하부 좌·우측에 관통·설치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타입Ⅲ(패들)의 배합수단이 타입Ⅰ의 오거 상방에 설치되거나, 타입Ⅰ의 오거가 상하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적재함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된 배합수단의 배합작용(회전운동)에 의해 적재함의 내부 일측으로 몰린 TMR사료의 원료가 상대적으로 위쪽에 설치된 다른 배합수단의 배합작용에 의해 이전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므로 적재함 내에서 TMR사료의 원료가 한쪽으로 계속 압축되는 일없이 적재함의 양끝을 왔다갔다하면서 골고루 배합될 수 있다. 특히, 패들이 구비된 타입Ⅲ는 TMR사료의 원료를 전진이송하는 효과가 없으므로 적재함 내에서의 원료 반송을 위한 상단 측 배합수단의 설치가 생략될 수 있으며, 상단 측 배합수단이 설치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작동을 개시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입Ⅲ의 배합수단으로는 예컨대 등록특허 제477205호의 도 6에 도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ⅲ)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는 배합엔진과 유압펌프와 유압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합엔진으로는 전자식 또는 기계식 가버너(Governor)에 의해 엔진의 출력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화물차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압펌프로는 가변용량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압모터로는 베인 타입이나 기어 타입 또는 플런저 타입이 사용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저속-고(高) 출력 모터인 래디얼 플런저 타입의 유압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배합엔진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유압펌프에서 고압의 유압에너지로 전환된 다음 유압모터를 거치면서 저속-고 출력의 회전에너지로 전환되어 상술한 배합수단에 인가될 수 있다.
(ⅳ)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감속장치 로는 예컨대 유성기어의 공전(公轉)에 연동하여 저속으로 회전구동되는 원판(허브플레이트)과, 상기 원판 일면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직접 맞물려 회전구동되거나 또 다른 기어를 개재하여 회전구동되는 출력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기어의 중심축에 오거 일측을 연결해 두면 오거가 저속-고 출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의 평면 구성을 나타낸 모형도이고, 도 2는 도 1의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의 측면 구성을 도시한 모형도이며, 도 3a 및 3b는 도 1의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에 탑재된 적재함의 전·후면 구성을 나타낸 모형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감속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와 정면도이며,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장치의 기어 간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제 제작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 계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은 예컨대 화물수송용 차량(600)의 뒤쪽 화물칸에 탑재한 2ton 용량의 적재함(100)과 상기 적재함의 하부 좌·우측에 관통·설치된 타입Ⅱ의 오거(200)를 구동하기 위해 적재함의 전면 측 엔진룸(110)에 설치한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엔진룸(110)은 빔이나 형강 또는 강판 등의 금속성 내구재를 사용하여 박스 타입으로 만들어졌으며, 필요 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여닫이 식의 도어가 엔진룸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적재함(100)의 상면 중앙에는 TMR사료의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투입구에는 유압에 의해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도어(120)는 예컨대 운전석에 배치된 제어기(620) 상의 슬 라이딩 도어 개폐 버튼을 온-오프 하거나 개폐 레버를 개방위치나 폐쇄위치로 조작함으로써 개폐시킬 수 있다. (도 1 및 2 참조)
또한, 적재함(100)의 좌·우측 측면 중앙에는 적재함 내부의 TMR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구에는 통상의 유압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용 도어(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용 도어(140)는 도 2와 같이 위로 끌어올리는 방식에 의해 개폐되거나 도 9와 같이 밑에서 밀어올리는 방식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배출용 도어를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는 TMR사료가 가축이 먹기 좋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용 도어(140)가 설치되어 있는 적재함의 하부 측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1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재함 하면에 일단이 힌지 고정된 유압 실린더 기구의 피스톤(185) 선단이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체결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이 신축운동을 하면 상기 적재함(100)의 하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안내 롤(180)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체결된 컨베이어(160) 일측의 가이드채널이 상기 안내 롤 상에서 미끄럼운동을 하여 적재함과 차대 사이의 하부 공간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가 적재함 좌측이나 우측으로 출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용 도어를 열어 둔 상태로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와 컨베이어(160) 일측에 장착된 유압모터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적재함 속의 TMR사료가 배출용 도어 쪽으로 운반되어 바깥으로 배출되고 이런 과정을 통해 TMR사료가 가축이 먹기 좋은 위치까지 컨베이어에 실려 운반된다. (도 8 및 9 참조)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적재함의 하면과 차대 사이의 네 모퉁이에 설치된 로드셀(800)의 무게검출신호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쪽 지시계(900)를 통해 종이에 출력(프린트)되거나 지시계의 LED창을 통해 표시됨으로써, TMR사료의 원료 투입량과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재함 하부 좌·우측에 설치되는 타입Ⅱ의 오거(200)는 한쪽 끝부분이 도 4a 내지 4c에 나타낸 감속장치의 출력기어(12)에 연결되므로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한 높은 회전수의 토크가 상기 감속장치를 통해 낮은 회전수의 큰 토크로 전환되어 오거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감속장치는 예컨대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출력(유압모터의 회전축)을 회전수 20rpm∼25rpm의 큰 토크로 감속시키는 입력 측과, 상기 입력 측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적재함 하부 양측의 오거(200)를 저속회전시키는 구동 측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 측은 예컨대 도 4a와 도 5a 내지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입력 측 플랜지(20)와 하기의 평판형 케이스 사이에 고정되는 내치기어(18), 내치기어의 회전 중심에 위치되는 태양기어(36), 내치기어와 태양기어 사이에 위치되는 3개의 유성기어 및 유성기어가 허브 핀(30)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고정·설치되는 원판형의 허브플레이트(1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유압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전동축 상의 태양기어(36)가 회전되고 이러한 태양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3개의 유성기어가 내치기어(18)의 기어치를 따라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들 유성기어가 120°간격으로 허브 핀(30)에 의해 일면에 고정된 상기 허브플레이트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등록 실용 제 20-0393467호(실축형 유성기어 감속기)의 도면 3과 같은 2단 감속기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당업자에게 있어 이러한 기어를 이용한 감속기구(장치)의 설계·제작은 용이한 일이고, 당업자마다 서로 다른 기어 조합을 통해 같은 수준의 감속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많으므로 감속장치의 구성에 관한 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구동 측은 일면에 유성기어가 설치되는 허브플레이트의 다른 쪽 측면 중앙의 스플라인 홈(도 5a 참조)에 회전축 일단이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동기어(9)와, 상기 구동기어에 직접 맞물리거나 제2의 기어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맞물려 돌아가게 설치된 출력기어(12)와, 상기 출력기어의 회전중심(축심)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오거 연결용 어셈블리(3) 및 이들 기계구성요소를 보호하는 함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함체는 적재함의 전면측 하부에 볼트(1)로 고정되는 박스형 케이스(2)와 이 박스형 케이스의 전면개구부에 볼트(14)로 고정되는 평판형 케이스(15)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평판형 케이스(15)의 일측에는 오일게이지(3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박스형 케이스(2)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출력기어 사이에 뿌려지는 윤활유를 주입하거나 오래된 폐윤활유를 바깥으로 배출하기 위한 주유/드레인 소켓과 이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 유성기어의 축심 내면과 허브 핀 사이에 O-링(29)과 스냅링(25,31)과 베어링(32)이 개재되어 있고, 구성요소 간에 회전운동이 생기는 연결부위에는 베어링(8,10,11,34,35)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출력기어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끝부분이 약간 돌출된 상태로 끼워지는 상기 오거 연결용 어셈블리의 돌출된 단부에는 와셔(28)가 볼트(27)로 고정되어 커버(26)로 덮여 있다.
또한, 박스형 케이스(15)와 오거 연결용 어셈블리의 접속 부위에는 고무패킹(리데나)(4)이 끼워져 있고, 그 바깥쪽으로 커버(5)가 덮여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입력 측 플랜지의 중앙 허브와 여기를 통해 일부분(태양기어가 장착된 부분)이 내부로 삽입된 전동축 사이에도 고무패킹(리데나)(4,23)이 끼워져 있고, 그 바깥쪽으로 커버(5,22)가 덮여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7,13,19,21,24,33은 인접해 있는 구성요소를 상호 결합시키는 볼트를 나타내며, 16은 스냅링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6은 본 실시예의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에 적용된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계통도로서, 가버너(320)에 의해 엔진출력이 조절 가능한 배합엔진(300)과, 상기 배합엔진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유압펌프(400) 및 상기 유압펌프의 유압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오거에 인가하는 유압모터(5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엔진룸에 설치된 오일저장탱크(430)로부터 유압펌프(400)에 공급된 오일은 유압펌프에서 압축되어 상기 유압펌프 배출 측에 설치된 밸브기구(450)를 통해 유압모터나 유압실린더 기구에 보내지게 되고, 이러한 밸브기구의 오일 분배 및 공급작용에 의해 컨베이어나 오거의 회전구동 및 각종 도어의 개폐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차량 운전석에 마련된 제어기 상의 여러 레버를 조작한다든지 조작버튼을 누르면, 오거를 비롯한 각종 도어와 컨베이어가 구동된다.
실시예 2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계통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재함 내에 상하 2단으로 4개의 오거(타입Ⅰ)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유압펌프(400)에서 배출된 오일은 밸브기구(450)를 통해 2개의 유압모터에 공급되고 있는데, 적재함의 하단 측 오거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유압모터에는 오일이 항상 제공되고 있는 반면 상단 측 오거를 구동하는데 이용되는 유압모터에는 요구가 있을 때에만 차량 운전석 쪽에 설치된 제어기 상의 버튼이나 레버의 조작을 통해 오일이 공급되고 있다.
변형 예
경우에 따라 상기 2가지 실시예의 제어기는 엔진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가 버튼식인 경우 솔레노이드 블록으로 밸브기구를 구성하여 운전석이나 차량 밖에서 리모컨으로 원격조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합엔진과 유압펌프 사이에 플라이휠과 같은 원반형의 중량물체를 설치하여 배합엔진의 불균일한 출력을 고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한 대가 대여섯 군데의 축산가를 담당한다고 가정하면, 대부분 적재함 내에 TMR사료의 원료를 가득 채워 운행할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배합엔진의 출력조절이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엔진 출력을 최대로 세팅하여 본 발명의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을 제작하는 경우, 가버너가 없는 엔진을 배합엔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에 의하면, 종래 TMR사료 제조공장보다 생산능력 대비 설비투자비용이 50% 이상 저렴하므로 각 축산농가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맞춤형 TMR사료를 싼값에 공급할 수 있고, 충분한 양의 조사료를 젖소/비육우에게 급여할 수 있다.
또한, 도로주행에 필요한 엔진과 TMR사료의 원료배합에 필요한 엔진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고속도로나 국도를 따라 소비지(목장)까지 TMR사료를 수송하는 중에 적재함 속의 TMR사료의 원료를 골고루 비빌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소비지(목장)에 도착한 때에는 즉시 축사로 진입하여 가축에게 완전혼합 상태의 TMR사료를 급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료의 품질과 신선도가 우수하여 기호성이 높고, 사료공급에 별다른 인력이 요구되지 않으며, 조사료의 배합비율을 높이기 위한 사료혼합장치의 설비를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TMR사료의 유통과정에 마대나 비닐이 전혀 사용되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은 원료의 종류와 투입량에 따라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출력이 자동으로 가감됨으로 과도한 교반·혼합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적재함의 내부온도 상승으로 인한 TMR사료의 변질이나 섬유소/영양가의 파괴 문제가 전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합용 엔진과 오거 및 컨베이어 등의 구성요소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기가 차량의 운전석 내에 설치됨으로써 도로 주행시 차량 안에서 이들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Claims (4)

  1. 주문받은 TMR사료의 원료가 내부에 투입·적재되는 적재함 ;
    상기 적재함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합수단 ;
    상기 배합수단에 인가할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하기 차량에 장착된 주행용 엔진과는 구분하여 별도로 마련한 배합엔진과, 상기 배합엔진의 회전력이 유압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배합엔진의 출력단에 연결·설치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유압에너지가 회전력으로 전환되어 상기 배합수단에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펌프의 출력측과 상기 배합수단 사이에 연결·설치한 유압모터로 이루어진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 ;
    상기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의 유압모터의 회전력이 저속의 큰 토크로 변환되어 상기 배합수단에 인가될 수 있게 상기 유압모터와 상기 배합수단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감속장치 ; 및
    상기 적재함과 상기 엔진-유압형 동력발생장치가 탑재되는 차량 ;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용 엔진과는 별도로 구비된 상기 배합엔진의 엔진출력이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모터를 거치면서 저속의 큰 토크로 변환되어 상기 배합수단에 인가되면 상기 적재함에 투입·적재된 TMR사료의 원료가 상기 배합수단의 배합작용에 의해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도 서로 혼합되면서 완전한 TMR사료로 제조-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내에 투입되거나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TMR사료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검출수단이 상기 적재함과 차량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검출수단의 무게검출결과를 표시하는 지시계가 상기 차량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
  4. 삭제
KR1020060064589A 2005-09-30 2006-07-10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 KR10064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3940 WO2007037659A1 (en) 2005-09-30 2006-09-29 Tmr fee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412 2005-09-30
KR20050092412 2005-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090B1 true KR100640090B1 (ko) 2006-11-01

Family

ID=3762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589A KR100640090B1 (ko) 2005-09-30 2006-07-10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0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39Y1 (ko) * 2010-10-26 2013-08-30 김중관 가수 장치를 구비한 tmr 배합-운송 차량
KR20140104878A (ko) 2013-04-26 2014-08-29 김동윤 축사용 이동식 사료 배합장비
KR20160108009A (ko) 2015-03-06 2016-09-19 김중관 사료 배합기 및 배합사료 제조-운반 차량
KR102173355B1 (ko) 2020-05-21 2020-11-04 정재순 하우스 트레일러의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견인형 트랙터
CN116691336A (zh) * 2023-06-05 2023-09-05 澳欣机器(淄博)有限公司 自走式全混合日粮制备机及其底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39Y1 (ko) * 2010-10-26 2013-08-30 김중관 가수 장치를 구비한 tmr 배합-운송 차량
KR20140104878A (ko) 2013-04-26 2014-08-29 김동윤 축사용 이동식 사료 배합장비
KR20160108009A (ko) 2015-03-06 2016-09-19 김중관 사료 배합기 및 배합사료 제조-운반 차량
KR101658913B1 (ko) * 2015-03-06 2016-09-22 김중관 사료 배합기 및 배합사료 제조-운반 차량
KR102173355B1 (ko) 2020-05-21 2020-11-04 정재순 하우스 트레일러의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견인형 트랙터
CN116691336A (zh) * 2023-06-05 2023-09-05 澳欣机器(淄博)有限公司 自走式全混合日粮制备机及其底盘
CN116691336B (zh) * 2023-06-05 2024-03-19 澳欣机器(淄博)有限公司 自走式全混合日粮制备机及其底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759B2 (en) Vehicle mounted feed hopper device
US6945485B1 (en) Multiple vertical auger cutter mixer
KR100640090B1 (ko)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
CA2528293C (en) Split drive apparatus for a vertical mixer
US20100263345A1 (en) Cutter-mixer-feeder
US6199781B1 (en) Animal feed processor
US6325588B1 (en) Apparatus for remotely operating an auger
CN105216907B (zh) 一种自走式全日粮饲草搅拌车
US20080095599A1 (en) Transfer Vehicle
US6758426B2 (en) Manual shifting of transmission power ratio for mixer or shredder without power interruption
EP0907408B1 (en) Mixer vehicle
KR102034865B1 (ko)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36320Y1 (ko) 동력분기식 맞춤형 tmr사료 배합-운송 차량
CN205113498U (zh) 一种自走式全日粮饲草搅拌车
KR20210040741A (ko) 교반시설을 갖춘 적재차량
KR200436540Y1 (ko) 맞춤형 tmr사료 제조-운송 차량
EP1449426B1 (en) Equipment for cutting, loading and mixing fibrous products and its operating process
KR101907674B1 (ko) 사료 저장 및 공급 장치
KR101931615B1 (ko) 사료 배합 장치
US202200152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roughages
KR100477205B1 (ko) 배합사료 운송 급여용 차량
RU70088U1 (ru) Измельчитель-смеситель-раздатчик кормов
CN210869825U (zh) 全混合日粮饲料搅拌机
KR100470110B1 (ko) 경운기용 사료 배합기 겸용 퇴비 살포기
WO2007037659A1 (en) Tmr fe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