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106B1 -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106B1
KR100639106B1 KR1020060066543A KR20060066543A KR100639106B1 KR 100639106 B1 KR100639106 B1 KR 100639106B1 KR 1020060066543 A KR1020060066543 A KR 1020060066543A KR 20060066543 A KR20060066543 A KR 20060066543A KR 100639106 B1 KR100639106 B1 KR 10063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gent
acid
de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식
신호철
박만수
강 이
Original Assignee
신호철
최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철, 최대식 filed Critical 신호철
Priority to KR102006006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에 생물분해제, 생물분해촉진제, 분해촉진제, 광민제, 광민촉진제, 자양화제, 증수제, 분해공제제 및 비닐친수제로 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자양화분해, 광분해, 미생물분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분해, 자양화분해, 광분해, 미생물분해

Description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에 생물분해제, 생물분해촉진제, 분해촉진제, 광민제, 광민촉진제, 자양화제, 증수제, 분해공제제 및 비닐친수제로 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자양화분해, 광분해, 미생물분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약 100년 전에 발명된 합성수지는 내약품성, 내구성 및 여러 물성 등이 우수하여 천연소재의 대체물로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 후 폐기시 자연으로 환원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 수요가 급속히 증가되는 일회용 포장재는 소비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회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농업용 뿌리덮기에 사용되는 필름은 완전한 회수가 불가능하여 토양에 묻혀 농작물 성장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종래 상기 합성수지를 폐기시키는 방법으로는 폐기물을 연소시키거나, 토양 에 매립하는 방법,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합성수지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방법은 대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2차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립방법 역시 분해되지 않고 토지에 그대로 남아있어 2차 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방법 역시, 그 회수율이 약 20%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고, 회수하여 중복사용할지라도 무제한으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최종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폐기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해성 수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이러한 분해성수지의 종류에는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는 생분해성수지와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하여 분해되는 광분해성수지로 대별된다.
상기 생분해성수지에는 미생물의 생체내에서 생합성되어 생분해성이 있는 폴리하이드록시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카프로락톤 등 합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에 천연고분자물질을 혼합한 수지 등이 있고, 광분해성수지에는 에틸렌과 일산화탄소를 공중합하여 주쇄에 카르보닐기를 도입한 수지, 에틸렌과 비닐케톤을 공중합하여 측쇄에 카르보닐기를 도입한 수지 및 전이금속 등 산화제를 첨가한 수지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분해성수지중 미생물이 생합성한 수지, 합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은 분해성은 우수하나 제조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고, 천연고분자를 첨가한 수지는 가격은 저렴하나 물성저하 및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분해성수지는 태양광에 노출시에는 분해성이 우수하나 토양에 매립시에는 분해가 안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열가소성수지에 천연고분자를 첨가한 분해성 수지는 물성저하 등을 우려하여 분해물질인 전분 등 천연고분자를 10% 이상 첨가할 수 없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원료물질 등을 입자상태로 첨가하므로 분해물질이 불연속상으로 분포하게 되어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된 미국특허 4121025호는 0.05∼0.5%의 세륨 스테아레이트(cerium stearate)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을 광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세륨 스테아레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생산원가가 높아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교적 많은 량의 폐기물이 여전히 잔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른 선출원인 중국 특허 1115771A호는 옥시알킬렌과 강염촉매제를 사용하여 변성전분을 만들고, 상기 변성전분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분해비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선출원인 국내 특허등록 137385호는 석신산, 석신산무수화물, 석신산에스테르 또는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 화합물, 디올성분으로서 1,4-부탄디올 그리고, 3관능기 이상의 다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에스테르화 반응 및 중축합 반응시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얻고, 무기충진제로 찰흙과 가는 모래를 조합하여 제조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블랜딩(Blending)하여 분 해속도를 저하하지 않으면서도 고강도, 미관의 색조, 형태안정성, 경제성을 만족시켜 사출품으로 다양한 용도전개를 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상기한 방법 역시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분해성 수지가 갖는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상용화될 수 없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에 생물분해제, 생물분해촉진제, 분해촉진제, 광민제, 광민촉진제, 자양화제, 증수제, 분해공제제 및 비닐친수제로 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자양화분해, 광분해, 미생물분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상용화가 가능하며, 합성수지 제품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40∼75중량%, 생물분해제 1.5∼4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4∼1.0중량%, 분해촉진제 15∼20중량%, 광민제 0.005∼0.3중량%, 광민촉진제 0.015∼1.2중량%, 자양화제 0.02∼0.4중량%, 증수제 0.08∼1.5중량%, 분해공제제 0.03∼0.5중량% 및 비닐친수제 3∼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피브이씨, 에이비에스,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테레프탈산 폴리에스테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물분해제는 옥수수전분, 목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두류전분, 옥수수개성전분, 목수개성전분, 감자개성전분, 고가무개성전분, 밀개성전분 및 두류개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물분해촉진제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의 유도체, 폴리카프로락톤, 하이드로락톤, 하이드로포빈, 폴리락티드, 알긴산, 펙틴, 한천, 소디움 트리폴리포시페이트, 디메틸아민, 젤라틴 및 애드히시브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해촉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및 엽락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민제는 코발트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2,4- 펜탄디온의 금속화합 물, 2,4- 펜탄디온의 금속복합물, 디티오카바메이트의 복합물, N-터트-부틸벤조시아졸-2-술펀아미드의 복합물, 벤조페논, 벤조페논의 유도체, 할로겐 요소화합물 및 과도금속양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민촉진제는 스테아린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양화제는 유기산으로서, 라우린산, 올레인산, 시트르산, 팔미트산, 베헨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 말레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수제는 글리세린, 알킬올아미드, 실물유, 디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솔비톨 및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해공제제는 살리실산,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트리아진유도체, 유기니켈 복합물, 하이드록시벤젠, 암모니아류, 티오산 및 아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친수제는 폴리에틸렌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 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배합비에 따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광민제, 분해촉진제, 광민촉진제를 고속혼합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되, 상기 광민촉진제는 준비된 량의 일부만을 투입하는 단계와,
비닐친수제와 증수제를 스크류에 투입하여 크립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광민제, 분해촉진제, 광민촉진제의 혼합물과 준비된 크립과 함께 자양화제, 나머지의 광민촉진제, 생물분해제, 분해공제제, 합성수지를 혼합하되, 상기 합성수지는 준비된 량의 일부만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크립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크립형태의 혼합물을 나머지의 합성수지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피브이씨(Polyvinyl Chloride, PVC), 에이비에스(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테레프탈산 폴리에스테르(polyester Terephthal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EVA)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EAA)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합성수지의 조성비는 20∼80중량%로 하 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0∼75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합성수지가 소량이 되면 합성수지로서의 물성이 미미하게 되고 과량이 되면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분해시간이 길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생물분해제는 옥수수전분, 목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두류전분, 옥수수개성전분, 목수개성전분, 감자개성전분, 고가무개성전분, 밀개성전분 및 두류개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전분들은 합성수지와 양호한 상융성을 발휘하거나 열수가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증수제로 개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생물분해제의 조성비는 1∼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4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생물분해제가 소량이 되면 생물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과량이 되면 광분해제와 자양화분해제가 부족하게 되어 완전분해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생물분해촉진제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olyhydroxybutyrate),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의 유도체(polyhydroxybutyrate Derivative), 폴리카프로락톤(poly carolactone), 하이드로랙톤(hdrolactone), 하이드로포빈(hydrophobin), 폴리락티드(polylactide), 알긴산(Alginic Acid), 펙틴(Pectine), 한천(Agar), 소디움 트리폴리포시페이트(Sodium Tripolyphosphate), 디메틸아민(dimethylamine), 젤라틴(Gelatin), 애드히시 브(Geyun adhisive)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물분해촉진제는 생물분해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조성비는 0.008∼1.2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4∼1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생물분해촉진제가 소량이 되면 생물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과량이 되면 생물분해제와 같이 광분해 및 자양화분해가 부족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분해촉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및 엽락석(pyrophyllite)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분해촉진제는 합성섬유의 흡양성, 산소투과율을 대폭 증가시켜 자양화분해, 광분해, 생물분해 시 충분한 분해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복합분해의 진행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분해촉진제는 10∼7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50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분해촉진제가 소량이 되면 복합분해의 상호작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과량이 되면 합성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해촉진제는 2가지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탄산칼슘과 탈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광민제는 코발트 아세틸 아세토네이트(cobalt acetyle acetonate), 2,4-펜탄디온의 금속화합물(2,4-pentanedione), 2,4- 펜탄디온의 금속복합물, 디티 오카바메이트의 복합물(Dithiocarbamater의 Complex), N-터트-부틸벤조시아졸-2-술펀아미드의 복합물(N-tert-butylbenzothiazole-2-sulfenamide의 Complex), 벤조페논(benzophenone), 벤조페논의 유도체(benzophenone Derivative), 할로겐 요소화합물 및 과도금속양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광분해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광민제의 조성비는 0.001∼0.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0.3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광민제가 소량이 되면 광분해작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과량이 되면 자양화분해와의 상호작용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광민촉진제로는 스테아린산염을 사용하는 바, 예를 들면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징크스테아리에트, 칼슘스테아레이트, 바륨스테아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민촉진제는 광민제의 역할을 돕는 것으로서, 그 조성비는 0.001∼0.3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5∼1.2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광민촉진제가 소량이 되면 광분해작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사의 증진된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자양화제는 유기산으로서, 라우린산(laur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사과산(malic acid), 주석산(이tartaric acid), 말레 산(maleic acid) 및 푸마르산(fum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이용하는 바, 상기 자양화제는 자연환경속에서 자양화하여 과양화물을 생산하고, 그 자양화물은 태양광의 작용으로 자유기를 발생시켜 합성수지의 고분자체인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자양화제의 조성비는 0.01∼1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0.4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자양화제가 소량이 되면 고분자체인을 절단할 수 없어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과량이 되면 합성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증수제는 글리세린(glycerine), 알킬올아미드(alkylolamide), 실물유,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헥실렌글리콜(hex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솔비톨(sorbitol) 및 에스테르(ester)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증수제는 생물분해제의 작용을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증수제의 조성비는 0.03∼2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8∼1.5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증수제가 소량이 되면 생물분해가 진행되지 못하고 조성비 이상으로 과량이 된다 하더라도 더 이상 진행이 촉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해공제제는 살리실산(salicylate), 살리실산 유도체(salicylate Derivative), 벤조페논(Benzophenone), 벤조페논 유도체(Benzophenone Derivative),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벤조트리아졸 유도체(Benzotriazole Derivative), 트리아진(Triazine), 트리아진 유도체(Triazine Derivative), 유기니켈 복합물, 하이드록시벤젠(hydroxybenzene), 암모니아류, 티오산(Thio Acid) 및 아인산염(Phosphite)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분해공제제는 합성수지에 대한 파괴작용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합성수지의 분해시간을 연착시켜 제품이 자연환경속에서 상대적으로 한정된 시간내에 분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분해시간이 긴 합성수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량을 늘리고 짧은 합성수지의 경우 상대적인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 분해공제제의 조성비는 0.001∼1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3∼0.05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분해공제제가 소량이 되면 분해시간이 연장되고 자연에 방치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조성비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분해가 빨리 이루어져 사용시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비닐친수제는 폴리에틸렌알콜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해시 외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합성수지의 표면이 팽창습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표면이 팽창습윤된 합성수지에 미생물이 쉽게 표면에 부착될 수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비닐친수제의 조성비는 1∼18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10중량%로 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비닐친수제가 소량이 되면 미생물분해작용이 늦어지게 되어 분해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조성비 이상의 과량으로 사용하더라도 분해시간이 더 이상 단축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한 조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자양화분해, 광분해, 생물분해의 협동작용에 의해 분해성능이 대폭 증강되었고, 동시에 대량의 분해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산소투과율을 증가시켜 우수한 분해환경을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해 수지 조성물은 자연환경 속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일차적으로 신속히 자양화분해 및 광분해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고분자 체인이 끊어져 대량의 저분자 친수화합물로 되며 내부구조 역시 느슨하게 되는 것이고, 이차적으로 외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폐기물의 표면이 팽창습윤상태가 되어 미생물의 활동을 최대로 할 수 있게 되어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조서비에 따라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준비한다.
상기 원료가 준비되면, 상기 준비된 광민제, 분해촉진제, 광민촉진제를 고속혼합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상기 혼합이 완료되면, 비닐친수제와 증수제를 스크류에 투입하여 크립형태로 만든다. 상기 비닐친수제와 증수제를 별도의 크립형태로 만들어 혼합하는 이유는 분산성과 융합효과를 높이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준비된 광민제, 분해촉진제, 광민촉진제의 혼합물과 준비된 크립과 함께 자양화제, 나머지의 광민촉진제, 생물분해제, 분해공제제, 합성수지를 혼합하되, 상기 합성수지는 준비된 량의 일부만을 투입하여 혼합한다. 상기 합성수지 중 일부를 포함시켜 혼합하는 것은 기타의 조성물과 합성수지의 혼합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단계에서 투입되는 합성수지의 양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이 완료되면 혼합된 혼합물을 크립형태로 만들고, 상기 크립형태의 혼합물을 나머지의 합성수지와 혼합함으로써,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하기 표 1과 같은 배합비로 본 발명의 농업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조성비.
구분 구분 사용량(kg)
HDPE HDPE 195
복합 분해성 조성물 염화철 0.2
telluriumdiethyldithiocarbamate 0.1
탄산칼슘 36
탈크 20
폴리에틸렌알콜 30.4
diethylene glycol 1.1
oleic acid 0.1
barium stearate 0.5
sodium alginate 0.5
benzophenone 0.06
salicylic acid 0.04
HDPE 6
EVA+EAA(1:1) 1
공업전분 5
먼저 염화철 0.2kg, elluriumdiethyldithiocarbamate 0.1kg, 탄산칼슘 36kg, 탈크 20kg, barium stearate 0.3kg을 고속혼합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알콜 30.4kg, diethylene glycol 1.1kg을 스크류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크립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혼합물에 크립을 투입하고, 이에 다시 oleic acid 0.1kg, barium stearate 0.2kg, sodium alginate 0.5kg, 공업전분 5kg, benzophenone 0.06kg, salicylic acid 0.04kg, HDPE 6kg, EVA+EAA(1:1중량비) 1kg을 고속교반기에 넣어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다시 스크류에 투입하여 크립으로 제조하고 이를 195kg의 HDPE와 균일하게 혼합한 후, 0.008mm와 0.012mm 두께의 농업용 필름으로 압출성형하였다.
상기 농업용 필름의 물리성능을 검측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실시예에 따른 물리성능 검측 결과.
구분 0.008mm 0.012mm
인장강도(종/횡, N) 3.1/2.9 3.8/2.6
단렬신장율(종/횡, %) 500/885 520/800
직각파렬도(종/횡, N) 1.0/1.4 1.2/1.4
(기술검측표준은 GB13735-921V류임)
상기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압출한 필름은 양호한 물리적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두 가지 농업용 필름을 경작지에 응용하여 농업 필름의 분해변화를 관찰해 보았다. 관찰결과 80일 후에는 두 가지 농업 필름은 선명하게 분해하기 시작하였고 크고 작은 편형으로 파렬되었으며, 160일 후에는 작은 편형으로 변화하였으며 손으로 약간 당기는 것으로 부스러졌고 270일 후에는 박막이 완전 분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농업용 필름과 보통 폴리에틸렌 필름의 매립 전 후의 토양의 수분 손실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에 따른 물리성능 검측 결과.
구분 실시예 (0.008mm) 실시예 (0.012mm) 비교예 (폴리에틸렌필름)
수분보존치(g/㎡.day) 732.16 756.32 760.05
매립후 토양수분손실량 (g/㎡.day) 20.89 19.26 18.57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분보존치나 수분손실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의해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합성수지에 생물분해제, 생물분해촉진제, 분해촉진제, 광민제, 광민촉진제, 자양화제, 증수제, 분해공제제 및 비닐친수제로 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합성수지 제품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자양화분해, 광분해, 미생물분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3)

  1.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40∼75중량%, 생물분해제 1.5∼4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4∼1.0중량%, 분해촉진제 15∼20중량%, 광민제 0.005∼0.3중량%, 광민촉진제 0.015∼1.2중량%, 자양화제 0.02∼0.4중량%, 증수제 0.08∼1.5중량%, 분해공제제 0.03∼0.5중량% 및 비닐친수제 3∼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피브이씨, 에이비에스,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테레프탈산 폴리에스테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분해제는 옥수수전분, 목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밀전분, 두류전분, 옥수수개성전분, 목수개성전분, 감자개성전분, 고가무개성전분, 밀개성전분 및 두류개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분해촉진제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의 유도체, 폴리카프로락톤, 하이드로락톤, 하이드로포빈, 폴리락티드, 알긴산, 펙틴, 한천, 소디움 트리폴리포시페이트, 디메틸아민, 젤라틴 및 애드히시브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분해촉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및 엽락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민제는 코발트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2,4-펜탄디온의 금속화합물, 2,4- 펜탄디온의 금속복합물, 디티오카바메이트의 복합물, N-터트-부틸벤조시아졸-2-술펀아미드의 복합물, 벤조페논, 벤조페논의 유도체, 할로겐 요소화합물 및 과도금속양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민촉진제는 스테아린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양화제는 유기산으로서, 라우린산, 올레인산, 시트르산, 팔미트산, 베헨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 말레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수제는 글리세린, 알킬올아미드, 실물유, 디에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솔비톨 및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공제제는 살리실산,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트리아진유도체, 유기니켈 복합물, 하이드록시벤젠, 암모니아류, 티오산 및 아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친수제는 폴리에틸렌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13. 합성수지 20∼80중량%, 생물분해제 1∼10중량%, 생물분해촉진제 0.008∼1.2중량%, 분해촉진제 10∼75중량%, 광민제 0.001∼0.5중량%, 광민촉진제 0.01∼3중량%, 자양화제 0.01∼1중량%, 증수제 0.03∼2중량%, 분해공제제 0.001∼1중량% 및 비닐친수제 1∼18중량%를 배합비에 따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광민제, 분해촉진제, 광민촉진제를 고속혼합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되, 상기 광민촉진제는 준비된 량의 일부만을 투입하는 단계와,
    비닐친수제와 증수제를 스크류에 투입하여 크립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광민제, 분해촉진제, 광민촉진제의 혼합물과 준비된 크립과 함께 자양화제, 나머지의 광민촉진제, 생물분해제, 분해공제제, 합성수지를 혼합하되, 상기 합성수지는 준비된 량의 일부만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크립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크립형태의 혼합물을 나머지의 합성수지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60066543A 2006-07-14 2006-07-14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3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543A KR100639106B1 (ko) 2006-07-14 2006-07-14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543A KR100639106B1 (ko) 2006-07-14 2006-07-14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106B1 true KR100639106B1 (ko) 2006-10-31

Family

ID=3762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543A KR100639106B1 (ko) 2006-07-14 2006-07-14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1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69B1 (ko) * 2009-12-30 2012-01-20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친환경 이어폰 코드
KR101365509B1 (ko) 2012-06-14 2014-02-20 김종목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642110A (zh) * 2013-11-18 2014-03-19 西南科技大学 一种光热协同可控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CN103642109A (zh) * 2013-11-18 2014-03-19 西南科技大学 光热协同可控降解高分子复合母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4353A (en) 1994-05-27 1997-08-05 Beijing Xingchen Modern Control Engineering Institute Biodegradable compositio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 use thereof
JPH11130907A (ja) 1997-10-31 1999-05-18 Yamaguchi Seisakusho:Kk 生物分解樹脂製品,その材料,その製造方法
KR100288054B1 (ko) 1993-05-10 2001-09-17 유현식 열화성폴리올레핀수지조성물과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054B1 (ko) 1993-05-10 2001-09-17 유현식 열화성폴리올레핀수지조성물과그의제조방법
US5654353A (en) 1994-05-27 1997-08-05 Beijing Xingchen Modern Control Engineering Institute Biodegradable compositio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 use thereof
JPH11130907A (ja) 1997-10-31 1999-05-18 Yamaguchi Seisakusho:Kk 生物分解樹脂製品,その材料,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69B1 (ko) * 2009-12-30 2012-01-20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친환경 이어폰 코드
KR101365509B1 (ko) 2012-06-14 2014-02-20 김종목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642110A (zh) * 2013-11-18 2014-03-19 西南科技大学 一种光热协同可控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CN103642109A (zh) * 2013-11-18 2014-03-19 西南科技大学 光热协同可控降解高分子复合母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7033B1 (en) Chemical additives to make polymeric materials biodegradable
US5744516A (en) Biodegradable resin molded article
CN111548610B (zh) 一种可调控降解速率的生物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与应用
CN102875853A (zh) 一种可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JP2010508425A5 (ko)
EP4071212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0639106B1 (ko)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678475B2 (ja) プラスチックの生分解性制御方法
CN101717537A (zh) 一种聚烯烃薄膜及其制造方法
JP2021523957A (ja) プラスチック材料に生分解性を付与する添加剤の添加
US5376708A (en) Biodegradable plastic materials, method of producing them, and their use
JPH09255880A (ja)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
KR20050007872A (ko) 복합분해성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복합분해성 열가소성 중합체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65509B1 (ko)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237225A (ja) 農業用分解マルチフィルム
KR100748134B1 (ko) 광,칼슘,생물에 의한 환경 분해성 식품포장재료 및 그제조방법
JP3415060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H1148436A (ja) 農業用生分解性シート
KR101543567B1 (ko) 산화생분해성 수지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JPH0716966A (ja) 光分解性・生分解性・ガスバリヤ性気泡シート
KR100888087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JPH07126455A (ja) 複合樹脂組成物、シート成形用複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H05117415A (ja) 分解性気泡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28074A (ja) 分解性樹脂成形物
JPH06320654A (ja) 光分解性・生分解性・ガスバリヤ性気泡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