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847B1 -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847B1
KR100638847B1 KR1020050078397A KR20050078397A KR100638847B1 KR 100638847 B1 KR100638847 B1 KR 100638847B1 KR 1020050078397 A KR1020050078397 A KR 1020050078397A KR 20050078397 A KR20050078397 A KR 20050078397A KR 100638847 B1 KR100638847 B1 KR 10063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line
monorail
traffic safet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금강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오토텍 filed Critical (주)금강오토텍
Priority to KR102005007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4Traffic procedures, e.g. traffic reg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운전교육실습장 바닥에 출발선, 정지선, 횡단보도, 굴곡코스, 방향전환코스, 직선코스, 신호등 및 철길이 구비된 주행선로부(20); 상기 주행선로부(20)에 일정한 코스로 구비되며,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단선 또는 복선의 모노레일(21); 상기 모노레일상에 위치하며, 구동부의 구동과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출발 및 정지 등의 작동을 수행하는 모의자동차(30); 및 상기 주행선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컴퓨터가 제어부와 무선의 신호를 주고 받으며 모의자동차를 통제하는 중앙통제소(1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어린이를 비롯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통안전 교육을 조기에 실시하여 교통안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을 통해 실제와 같은 상황으로 체험하면서 교통 안전법규와 규칙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인식시켜 교통질서의 확립과 교통문화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중앙통제소, 주행선로부, 모의자동차, 제어부, 구동부.

Description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 장치{THE EQUIPMENT AND EDUCATION SYSTEM TRAFFIC SAFETY OF DRIVING PLAY AUTOMOBIE}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앙통제소 11: 중앙컴퓨터
20: 주행선로부 21: 모노레일
30: 모의자동차 31: 프레임
40: 구동부 41: 모터
본 발명은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를 비롯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통안전 교육을 조기에 실시하여 교통안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을 통해 실제와 같은 상황으로 체험하면서 교통 안전법규와 규칙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인식시켜 교통질서의 확립과 교통문화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의 어린이 교통 사고 사망자 수가 경제개발협력기구 회원국 가운데 최고를 기록한 것은 누구나 아는 일인데, 아직도 제도적인 장치가 미비하고, 교통문화에 있어서 보행자 우선의 문화도 정착되어 있지 않다. 실제로 작년부터 시행된 어린이 안전 교육의 법적 의무화 작업 이후 달라진 양상은 거의 없다.
한편, 어린이들에게 교통안전 교육을 꾸준히 반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통안전 교육을 실제로 체험하는 교통 안전 교육이 효과가 높다고 시민 단체들은 입을 모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유치원부터 교통 안전 교육은 거의 형식적인 선에서 그치고 있다는데 그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상기한 문제점을 치유하기 위해 종래에 특허출원 제2001-14883호(명칭: 자동차 운전놀이 시설을 통한 교통안전 교육 시스템)가 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교통안전 교육 시스템을 이용하여 어린이를 비롯하여 청소년의 교통안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켜 주는 목적은 제시되었으 나,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과 작용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바닥에 모노레일이 깔린 주행선로부와 중앙컴퓨터가 구비된 중앙통제소 그리고 제어부와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모의자동차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교육자가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을 통해 실제와 같은 출발선, 정지선, 횡단보도, 굴곡코스, 방향전환코스, 신호등, 철길 등의 상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이는 결과적으로 어린이를 비롯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통안전 교육을 조기에 실시하여 교통안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을 통해 실제와 같은 상황으로 체험하면서 교통 안전법규와 규칙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인식시켜 교통질서의 확립과 교통문화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교육실습장 바닥에 출발선, 정지선, 횡단보도, 굴곡코스, 방향전환코스, 직선코스, 신호등 및 철길이 구비된 주행선로부; 상기 주행선로부에 일정한 코스로 구비되며,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단선 또는 복선의 모노레일; 상기 모노레일상에 위치하며, 구동부의 구동과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출발 및 정지 등의 작동을 수행하는 모의자동차; 및 상기 주행선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컴퓨터가 제어부와 무선의 신호를 주고 받으며 모의자동차를 통제하는 중앙통제소;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교육실습장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대가 돌출 구비되고, 이 지지대의 상단에 연이어서 연결 설치되는 모노레일; 상기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프레임과 함께 연결 설치된 구동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며, 내부의 핸들, 변속기어, 클러치, 브래이크, 악셀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가 신호를 받고, 이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콘트롤하는 모의자동차;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 장치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 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에 모노레일(21)이 깔린 주행선로부(20)와 중앙컴퓨터(11)가 구비된 중앙통제소(10) 그리고 제어부(33)와 구동부(40)로 이루어지는 모의자동차(30)가 구비된 것으로, 특히 교육자가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을 통해 실제와 같은 출발선, 정지선, 횡단보도, 굴곡코스, 방향전환코스, 신호등, 철길 등의 상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은 운전교육실습장 바닥에 출발선(22), 정지선(23), 횡단보도(24), 굴곡코스(25), 방향전환코스(26), 직선코스(27), 신호등(28)(예: 녹색, 황색, 적색, 방향지시 등이 설정됨) 및 철길(29)이 구비된 주행선로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주행선로부(20)는 일예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실제 운전면허 시험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주행선로부(20)에 일정한 코스로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단선 또는 복선의 모노레일(2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21)상에는 구동부(40)의 구동과 제어부(33)의 신호에 의해 출발 및 정지 등의 작동을 수행하는 적어도 한대 이상의 모의자동차(30)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주행선로부(20)의 일측에 중앙컴퓨터(11)가 제어부 (33)와 무선의 신호를 주고 받으며 모의자동차(30)를 통제하는 중앙통제소(1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 교통안전 교육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운전교육실습장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대(21a)가 돌출 구비되고, 이 지지대(21a)의 상단에 연이어서 연결 설치되는 모노레일(21)이 구비된다.
또한 부호 40은 상기 모노레일(21)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프레임(31)과 함께 연결 설치된 구동부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40)는, 모노레일(21)의 양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사이드로울러(45)(45a)가 구비된 한쌍의 브라켓트(43)(43a)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브라켓트(43)(43a)의 상단에 구비되어 모노레일(21)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로울러(44)(44a)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상부로울러중 일측의 상부로울러(44)가 모터(41)와 감속기(4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레임(31)의 상단에 구비되며, 내부의 핸들(34), 변속기어(35)(예: 버튼식 변환기로 가중압력 구분에 의해 저, 중, 고로 설정됨), 클러치(36), 브래이크(37), 악셀레이터(38)(예: 3단계로 구분하여 전 주행코스 운전자가 속도조절하여 사용함)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33)가 신호를 받고, 이 제어부(33)는 상기 구동부(40)를 콘트롤하는 모의자동차(30)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 상기 모의자동차(30)의 전,후방에는 제어부(33)와 연결된 전,후방감지부(32)(32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통제소(10)에서 교육학습 이수자를 대상으로 도로주행응시접수를 받고 이후 도로주행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이후 중앙통제소(10) 밖으로 이동한 후 통제관의 지시에 따라 운전자가 출발 대기선에서 준비 완료하고, 운전자 정보 및 모의자동차(30)를 확인한다.
이어서 운전자가 모의자동차(30)에 탑승한 후 안전장비(예: 헬멧, 안전벨트 등)를 착용하고, 출발선(22)에서 대기 모의자동차(3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게 되면 체점에서 감점받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운전자는 중앙통제소(10)의 지시에 따라 출발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출발 신호에 따른 개인별 주행운전 채점이 실시된다.
상기 모의자동차(30)의 구동은 다음과 같다.
즉, 운전자가 악셀레이터(38)를 밟게 되면 제어부(33)가 모터(41)에 신호를 보내 구동시킴과 아울러 이 모터(41)의 구동에 의해서는 감속기(42)에 연결된 상부로울러(44)가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모의자동차(3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37)를 밟게 되면 제어부(33)를 통해 구동부(40)가 정지하게 되고, 클러치(36)를 밟고 변속기어(35)를 조작하게 되면 이 역시 제어부(33)가 이를 감지하여 속도를 가감시켜 주게 된다. 물론 이때 운전자가 핸들(34)를 정역 회전시키게 되면 이 역시 제어부(33)가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3)의 신호는 무선으로 중앙통제소(10)의 중앙컴퓨터(11)에 입력되어 주행완료 각 코스별 채점 결과를 점수로 확인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모의자동차(30)는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모노레일(21)의 상하 양측면에는 사이드로울러(45)가 구동하게 되어 모의자동차(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모의자동차(30)의 하단을 받치고 있는 프레임(31)은 모의자동차(30)가 좌우로 흔들림 없이 모노레일(21)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서포트 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진행되는 모의자동차(30)는 전,후방 방감지부(32)(32a)와 연결된 제어부(33)가 중앙컴퓨터(11)에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게 되어 항시 채점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전방감지부(32)가 주행선로부(20)의 출발선(22), 정지선(23), 횡단보도(24), 굴곡코스(25), 방향전환코스(26), 직선코스(27), 신호등(28), 철길(29) 등을 감지한 후 제어부(33)에 신호를 보내 모의자동차(30)가 정확이 출발, 정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주행방향에 따라 올바르게 주 행하는지를 추적하고, 운전자가 조향 및 속도변환을 올바르게 조작하는지 여부, 운전자가 정지신호에 따라 올바르게 정지선 이탈 유무를 확인하고, 운전자가 횡단보도 신호에 올바르게 정지선 이탈 유,무 확인 시간초과 유,무 확인 그리고 운전자가 굴곡코스를 인식하여 안전한 속도변환 여부확인,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위한 차량간 안전거리 여부 확인, 운전자가 신호체제에 따른 올바른 수행능력 판단, 운전자가 철길 체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등을 판단한 후 체점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선로부(20)에 하나 이상의 모의자동차(30)가 주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전,후방감지부(32)(32a)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모의자동차(30)가 전방의 모의자동차(30)에 추돌하게 됨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즉, 후방의 모의자동차(30)가 전방의 모의자동차(30)에 근접하게 되면 전,후방감지부(32)(32a)가 이를 감지한 후 제어부(33)에 신호를 보내고, 이 제어부(33)는 구동부(40)의 구동을 정지시켜 모의자동차(30)의 추돌을 방지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한 일련의 모든 작동 과정은 제어부(33)가 중앙컴퓨터(11)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중앙컴퓨터(11)는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에 모노레일이 깔린 주행선로부와 중앙컴퓨터가 구비된 중앙통제소 그리고 제어부와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모의자동차가 구비되어 교육자가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을 통해 실제와 같은 출발선, 정지선, 횡단보도, 굴곡코스, 방향전환코스, 신호등, 철길 등의 상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어린이를 비롯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제와 같은 상황으로 체험하도록 하는 교통안전 교육을 조기에 실시하여 교통안전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물론 교통 안전법규와 규칙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인식시켜 교통질서의 확립과 교통문화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교통안전 교육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운전교육실습장 바닥에 출발선, 정지선, 횡단보도, 굴곡코스, 방향전환코스, 직선코스, 신호등 및 철길이 구비된 주행선로부(20);
    상기 주행선로부(20)에 일정한 코스로 구비되며,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단선 또는 복선의 모노레일(21);
    상기 모노레일상에 위치하며, 구동부의 구동과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출발 및 정지 등의 작동을 수행하는 모의자동차(30); 및
    상기 주행선로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컴퓨터가 제어부와 무선의 신호를 주고 받으며 모의자동차를 통제하는 중앙통제소(1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2. 운전교육실습장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대가 돌출 구비되고, 이 지지대의 상단에 연이어서 연결 설치되는 모노레일(21);
    상기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프레임과 함께 연결 설치된 구동부(40);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며, 내부의 핸들, 변속기어, 클러치, 브래이크, 악셀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가 신호를 받고, 이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콘트롤하는 모의자동차(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장치.
  3.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모노레일의 양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사이드로울러(45)(45a)가 구비된 한쌍의 브라켓트(43)(43a);
    상기 브라켓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모노레일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로울러(44)(44a);
    상기 상부로울러중 일측의 상부로울러(44)가 모터(41)와 감속기(4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장치.
  4. 제 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자동차(30)의 전,후방에는 제어부(33)와 연결된 전,후방감지부(32)(32a)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장치.
KR1020050078397A 2005-08-25 2005-08-25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장치 KR10063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397A KR100638847B1 (ko) 2005-08-25 2005-08-25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397A KR100638847B1 (ko) 2005-08-25 2005-08-25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847B1 true KR100638847B1 (ko) 2006-10-25

Family

ID=3762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397A KR100638847B1 (ko) 2005-08-25 2005-08-25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916B1 (ko) 2010-12-22 2012-07-19 이광수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1445750A (zh) * 2020-04-17 2020-07-24 江苏桅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后车灯电控模拟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916B1 (ko) 2010-12-22 2012-07-19 이광수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1445750A (zh) * 2020-04-17 2020-07-24 江苏桅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后车灯电控模拟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4726B2 (en) Behaviorally-based crash avoidance system
CN201965803U (zh) 汽车场内道路驾驶辅助教练装置
KR20130053574A (ko)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
CN108538139A (zh) 一种半实物仿真学车系统及方法
WO2019014807A1 (zh) 远程临场驾驶无人车作业系统及自动驾驶汽车测试场系统
KR100638847B1 (ko) 모의자동차 운전놀이를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및 그장치
RU2308094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вожд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204066499U (zh) 一种模拟驾驶实景的儿童电瓶车场地系统
US3119190A (en) Apparatus simulating the travel of a vehicle on a road
RU2240600C1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и контроля вождения без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на учебно-тренировочном автодроме, учебное без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Long et al. Modern roundabouts: Access by pedestrians who are blind
JP2003288002A (ja) 鉄道車両用運転教習シミュレータ
US3849908A (en) Method and means for training drivers to operate automobiles
CN205268176U (zh) 用于对轨道交通列车驾驶人员进行驾驶适应性测试的装置
CN203882470U (zh) 机动车驾驶模拟装置
JP2932172B2 (ja) 自動車教習用側方感覚練習設備
CN205268179U (zh) 用于对轨道交通列车驾驶人员进行驾驶适应性培训的装置
CN110910688A (zh) 一种骑行交通规则教育装置及教育系统
KR20020074834A (ko) 자동차 운전놀이 시설을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CN111105659A (zh) 交通标示标线强化认知器
KR200218718Y1 (ko) 초보 및 조기 운전교육을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RU7536U1 (ru) Комплекс &#34;автоград&#34; для обучения правилам безопасного поведения на улицах и вождению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167378B1 (ko)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교통 안전 교육 시스템
KR200173140Y1 (ko) 자동차 운전놀이를 겸한 교통교육장치
Davis et al. A Simulation Study of Path and Speed Through Double-Lane Roundabo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