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134B1 -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134B1
KR100638134B1 KR1020050075542A KR20050075542A KR100638134B1 KR 100638134 B1 KR100638134 B1 KR 100638134B1 KR 1020050075542 A KR1020050075542 A KR 1020050075542A KR 20050075542 A KR20050075542 A KR 20050075542A KR 100638134 B1 KR100638134 B1 KR 10063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image display
color
coloring material
color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088A (ko
Inventor
사토시 스즈키
가즈오 기노세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22Multi-step exposure, e.g. hybrid; backside exposure; blanket exposure, e.g. for image reversal; edge exposure, e.g. for edge bead removal; corrective expos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3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banks or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10K71/221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lift-off techniq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컬러 필터나 유기 EL층 등의 착색층을 투명 기판상의 유효 영역내에만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투명 기판 표면의 유효 영역에 차광성 재료에 의해서 소정 패턴 형상의 미세 격벽을 형성하여 비유효 영역에 차광성 재료를 피착시키는 공정과, 착색제와 감광성 수지를 함유하는 복수색의 착색 재료를, 착색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을 투명 기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주사하여, 미세 격벽으로 칸막이된 미세 오목부 내에 도포하는 공정과, 투명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노광하여, 미세 오목부 내에 도포된 복수색의 착색 재료를 경화시키는 공정과, 투명 기판의 표면측을 현상하여, 비유효 영역에 도포된 미경화의 착색 재료를 용해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COLORED LAYERS OF COLOR IMAGE DISPLAY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고,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에 있어서의 각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소정 패턴 형상의 미세 격벽이 형성된 글래스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a)는 도 1의 A부분을 화살표 a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B부분을 화살표 b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연속 토출식에 의해 글래스 기판의 표면에 착색 재료를 도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글래스 기판의 표면에 착색 재료를 도포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도 1의 A부분을 화살표 a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B부분을 화살표 b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글래스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노광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a)는 도 1의 A부분을 화살표 a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B부분을 화살표 b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글래스 기판의 표면측을 현상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도 1의 A부분을 화살표 a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B부분을 화살표 b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잉크젯식에 의해 컬러 필터를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연속 토출식에 의해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글래스 기판 12, 32 : 유효 영역
14, 34 : 비유효 영역 16, 36 : 차광 격벽
18 : 긴 홈 20, 40 : 차광층
22, 24, 26 : 노즐 28 : 노즐 헤드
30, 30R, 30G, 30B, 42 : 착색 재료 38 : 미세 오목부
본 발명은,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의 컬러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컬러 필터와 같이 투과광을 착색하거나, 유기 EL층과 같이 전압의 인가에 의해서 그 자체가 착색광을 발하기도 하는 착색층을 투명 기판상에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는, 종래, 감광성을 가지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컬러 레지스트를 사용하여, 글래스 기판 상에의 레지스트 도포→프리베이크→노광→현상의 각 공정을 3회 반복함으로써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일련의 단위 공정을 3회 반복할 필요가 있어, 수율도 나쁘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비용이 높아지는 요인의 하나가 된다. 그래서, 최근, 점점 고도화되고 있는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잉크젯식, 연속 토출식 등에 의해 착색 재료를 글래스 기판상에 직접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유기 EL층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2-7564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인쇄 방식(연속 토출식)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하여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글래스 기판의 표면에 투명한 전극 재료, 예를 들면 ITO(인듐 주석 산화물)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다수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극을 형성하고, 그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극을 각각 둘러싸도록, 전기 절연 재료, 예를 들면 크롬(Cr)이나 드라이 필름 등에 의해 글래스 기판 상에 돌출된 전기 절연성의 격벽을 형성한 후에,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유기 EL 재료를 토출하는 3개의 노즐을 구비한 노즐 헤드를, 격벽에 의해서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홈에 따라 직선 이동시키면서, 각 노즐로부터 각 색의 유기 EL 재료를 서로 인접한 각 홈에 각각 토출하고, 홈 내에 유기 EL 재료를 흘려넣어 도포하고, 이 동작을, 노즐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글래스 기판을 홈의 3열분씩 피치 이송하면서 반복함으로써, 다수개의 홈에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유기 EL 재료가 순서대로 도포된 스트라이프 배열의 유기 EL층이 형성된다.
잉크젯식이나 연속 토출식 등의 인쇄 방식에 의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유기 EL층을 글래스 기판상에 형성하는 방법에서, 특히 연속 토출 방식에서는, 도 8에 평면도를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판(1)의 표면상의, 화소가 형성되는 화상 표시면에 상당하는 유효 영역(2) 외의 비유효 영역(3)에도 착색 재료(4)가 도포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노즐로부터의 착색 재료의 토출을 개시하는 위치와 종료하는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여, 노즐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이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경우에는 제어가 매우 어려워지고, 또한 스루 풋이 저하하며, 또한 소요의 막 두께를 가지는 착색층을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오히려 실용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컬러화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컬러 필터나 유기 EL층 등의 착색층을 투명 기판상의 유효 영역내에만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투명 기판상에 복수색의 착색 재료를 각각 소정의 패턴으로 피착시켜 착색층을 형성하는,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에 있어서, 투명 기판 표면의, 화상 표시면에 상당하는 유효 영역에 차광성 재료에 의해서 소정 패턴 형상의 미세 격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투명 기판 표면의, 상기 유 효 영역 이외의 비유효 영역에 차광성 재료를 피착시키는 공정과, 각각 착색제와 감광성 수지를 함유하는 복수색의 착색 재료를, 착색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을 상기 투명 기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주사하여, 상기 미세 격벽에 의해서 칸막이된 미세 오목부 내에 착색 재료끼리 혼합하지 않도록 각각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노광하여, 상기 미세 오목부 내에 도포된 복수색의 착색 재료를 각각 경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측을 현상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에 도포된 미경화의 착색 재료를 용해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기재의 방법에 있어서, 연속 토출식에 의해 상기 착색 재료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기재의 방법에 있어서, 잉크젯식에 의해 상기 착색 재료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고,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에 있어서의 각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는, 연속 토출식에 의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를 글래스 기판상에 형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투명한 글래스 기판상에 소정 패턴 형상의 미세 격벽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A부분을 화살표 a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B부분을 화살표 b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1매의 글래스 기판(10)에, 화소가 형성되는 화상 표시면에 상당하는 유효 영역(12)이 4개 형성되어 있다.
유효 영역(12)에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차광성 재료에 의해서 소정의 패턴으로 다수개의 미세한 차광 격벽(16)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차광 격벽(16)끼리의 사이에 긴 홈(18)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효 영역(12) 이외의 비유효 영역(14)에는, 차광성 재료가 전체에 칠해져, 차광층(20)이 피착 형성되어 있다. 차광성 재료로는, 예를 들면 흑색의 안료나 카본 블랙 등이 배합된 감광성 수지 재료가 사용되고, 스트라이프 형상의 차광 격벽(16)은,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인쇄 기술 등을 이용해 글래스 기판(10)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다음에, 연속 토출식에 의해 글래스 기판(10)의 표면에 복수색,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착색 재료(잉크)를 도포한다. 연속 토출식 도포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도 3에 부분 확대 평면도를 도시하는 바와같이,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착색 재료를 토출하는 3개의 노즐(22, 24, 26)을 가지는 노즐 헤드(28)를 구비하고, 그 노즐 헤드(28)를, 글래스 기판(10) 상에 형성된 긴 홈(18)에 따른 방향(도 1중에 화살표로 표시하는 주사 방향 S)으로 직선 이동시키면서, 각 노즐(22, 24, 26)로부터 착색 재료를 각각 연속하여 토출할 수 있고, 글래스 기판(10)을 얹어 고정하는 스테이지(도시하지 않음) 또는 노즐 헤드(28)를 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홈(18)의 3열분씩 피치 이송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도포 장치가 사용된다. 노즐 헤드(28)에 설치되는 3개의 노즐(22, 24, 26)은, 인접하는 긴 홈(18)끼리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착색 재료는, 유기 안료, 무기 안료, 염료 등의 각 색의 착색제와 네거티브형의 감광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혼색을 피하기 위해서, 1개의 노즐 헤드에 단일 노즐을 설치하고, 노즐 헤드를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에 대해서 별개로 구비한 구성으로서, 각 노즐 헤드를 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홈(18)의 3열분씩 각각 피치 이송함으로써, 각 색의 착색 재료의 도포를 행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긴 홈(18)의 2열분에 상당하는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의 노즐을 갖는 노즐 헤드를,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에 대해 별개로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 각 노즐 헤드를 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홈(18)의 9열분씩 각각 피치 이송함으로써, 각 색의 착색 재료의 도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연속 토출식 도포 장치를 사용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헤드(28)를 긴 홈(18)에 따라 직선 이동시키면서, 각 노즐(22, 24, 26)로부터 각 색의 착색 재료(30)를, 서로 인접한 각 긴 홈(18) 내로 착색 재료끼리 혼합하지 않도록 각각 토출하고, 긴 홈(18) 내에 착색 재료(30)를 흘려넣어 도포하고, 이 동작을, 노즐(22, 24, 26)의 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글래스 기판(10)을 긴 홈(18)의 3열분씩 상대적으로 피치 이송하면서 반복한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긴 홈(18)에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착색 재료가 순서대로 도포되어 간다. 도 4의 (a)는, 도 1의 A부분을 화살표 a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글래스 기판(10)의 표면 상에, 차광 격벽(16)에 의해서 형성된 각 긴 홈(18) 내에 적색의 착색 재료(30R), 녹색의 착색 재료(30G), 청색의 착색 재료(30B)가 순서대로 도포된 스트라이프 배열의 착색층이 형성된다. 한편, 도 4의 (b)는, 도 1의 B부분을 화살표 b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인데,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글래스 기판(10)의 비유효 영역(14)에도, 차광층(20)의 표면에 착색 재료(30)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도포된다.
착색 재료의 도포 공정이 종료하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글래스 기판(10)의 이면측으로 자외선 등의 광(U)을 조사하고, 글래스 기판(10)을 통해서 긴 홈(18) 내에 도포된 착색 재료(30R, 30G, 30B)를 노광한다. 이에 따라, 착색 재료(30R, 30G, 30B)는, 네거티브형의 감광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광 경화한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글래스 기판(10)의 비유효 영역(14)에도 광(U)이 조사되는데, 비유효 영역(14)에는 글래스 기판(10) 상에 차광층(20)이 피착되어 있으므로, 차광층(20)에 의해서 차광되고, 비유효 영역(14)에 있어서의 착색 재료(30)는, 노광되지 않고 경화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노광 후에 글래스 기판(10)의 표면측을 현상하면,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글래스 기판(10)의 유효 영역(12)에 있어서는, 착색 재료(30R, 30G, 30B)가 경화하고 있으므로, 아무것도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글래스 기판(10)의 비유효 영역(14)에 있어서는, 미경화의 착색 재료(30)가 용해하여 제거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해, 글래스 기판(10)의 유효 영역(12)에만 착색 재료(30R, 30G, 30B)가 도포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컬러 필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유효 영역(12)이 설치된 글래스 기판(10)에 착색 재료를 도포하도록 했는데, 1개의 유효 영역만을 가지고 그 주위에 비유효 영역이 설치된 글래스 기판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방법은 동일하게 적용되고,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속 토출식에 의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를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는데, 잉크젯식에 의해 컬러 필터를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하는 경우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7에 글래스 기판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를 도시하는 바와같이, 2점 쇄선 C의 위치에서 구획되는 유효 영역(32)에 있어서의 글래스 기판상에, 차광성 재료에 의해서 차광 격벽(36)(「블랙 매트릭스」라고 불린다)을 형성하고, 차광 격벽(36)으로 구획된 다수의 미세 오목부(38)를 형성하는 동시에, 유효 영역(32) 이외의 비유효 영역(34)에 있어서의 글래스 기판상에, 차광성 재료에 의해서 차광층(40)을 피착 형성한 후에, 잉크젯식 도포 장치를 사용하여, 노즐을 화살표 S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주사하면서 착색 재료(42)(잉크)를 미세 오목부(38) 내로 토출하여 착색층을 형성할 때에, 비유효 영역(34)에 착색 재료(42)가 토출되어 부착하는 일이 있어도, 본 발명에 관한 방법을 실행하여 노광·현상 공정을 거침으로써, 비유효 영역(34)에 부착한 착색 재료(42)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이외에, 유기 EL 표시 장치의 유기 EL 층을 형성하는 경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 경우에는, 유기 EL 재료에 감광성 수지를 첨가한 것을 착색 재료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에 의하면, 착색제와 감광성 수지를 함유하는 착색 재료를 투명 기판상에 도포 한후, 투명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노광하였을 때에, 투명 기판상의 유효 영역에서의 미세 오목부 내에 도포된 착색 재료는, 투명 기판을 통과해 노광되어 광 경화하고, 한편, 투명 기판상의 비유효 영역에 도포된 착색 재료는, 비유효 영역에 피착된 차광성 재료에 의해 차광되어 노광되지 않으므로 경화하지 않고, 이 때문에, 투명 기판의 표면측을 현상하였을 때에, 비유효 영역에 도포된 미경화의 착색 재료만이 용해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방법에 의하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컬러화상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컬러 필터나 유기 EL층 등의 착색층을 투명 기판상의 유효 영역 내에만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방법에서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가 투명 기판 상의 유효 영역내에만 용이하게 형성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방법에서는, 연속 토출식에 의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유기 EL층 등의 착색층이 투명 기판상의 유효 영역내에만 용이하게 형성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방법에서는, 잉크젯식에 의해, 컬러 액정 디스플레 이의 컬러 필터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유기 EL층 등의 착색층이 투명 기판상의 유효 영역내에만 용이하게 형성된다.

Claims (4)

  1. 투명 기판상에 복수색의 착색 재료를 각각 소정의 패턴으로 피착시켜 착색층을 형성하는,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에 있어서,
    투명 기판 표면의, 화상 표시면에 상당하는 유효 영역에 차광성 재료에 의해서 소정 패턴 형상의 미세 격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투명 기판 표면의, 상기 유효 영역 이외의 비유효 영역에 차광성 재료를 피착시키는 공정과,
    각각 착색제와 감광성 수지를 함유하는 복수색의 착색 재료를, 착색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을 상기 투명 기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주사하여, 상기 미세 격벽에 의해서 칸막이된 미세 오목부 내에 착색 재료끼리 혼합하지 않도록 각각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노광하여, 상기 미세 오목부 내에 도포된 복수색의 착색 재료를 각각 경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투명 기판의 표면측을 현상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에 도포된 미경화의 착색 재료를 용해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인,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속 토출식에 의해 상기 착색 재료가 도포되는,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잉크젯식에 의해 상기 착색 재료가 도포되는,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KR1020050075542A 2004-08-24 2005-08-18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KR100638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4010A JP2006064760A (ja) 2004-08-24 2004-08-24 カラー画像表示装置の着色層の形成方法
JPJP-P-2004-00244010 2004-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088A KR20060053088A (ko) 2006-05-19
KR100638134B1 true KR100638134B1 (ko) 2006-10-24

Family

ID=3587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542A KR100638134B1 (ko) 2004-08-24 2005-08-18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45966A1 (ko)
JP (1) JP2006064760A (ko)
KR (1) KR100638134B1 (ko)
CN (1) CN100354662C (ko)
CA (1) CA2513363A1 (ko)
TW (1) TWI2660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5146A (ja) * 2005-02-24 2006-09-0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20070287080A1 (en) * 2006-06-08 2007-12-13 Orbotech Ltd Enhancement of inkjet-printed elements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JP4175397B2 (ja) * 2006-06-28 2008-1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GB2458096A (en) * 2007-10-20 2009-09-09 Polymertronics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JP2009175556A (ja) * 2008-01-25 2009-08-06 Fujifilm Corp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CN101551545B (zh) * 2008-04-03 2012-07-1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彩膜基板的制造方法
KR101621636B1 (ko) * 2011-12-20 2016-05-1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격납된 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물질,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소자
GB201408947D0 (en) 2014-05-20 2014-07-02 Oxford Photovoltaics Ltd Increased - transparency optoelectronic device
CN109755257A (zh) * 2017-11-03 2019-05-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919547B (zh) * 2018-07-10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的制作方法
CN109367161A (zh) * 2018-12-18 2019-02-22 上海亮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层状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911A (ja) * 1994-11-14 1996-05-3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302296B2 (ja) * 1997-05-30 2002-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GB9808806D0 (en) * 1998-04-24 1998-06-24 Cambridge Display Tech Ltd Selective deposition of polymer films
JP2000012217A (ja) * 1998-06-19 2000-01-14 Idemitsu Kosan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用色変換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2000035511A (ja) * 1998-07-16 2000-02-02 Asahi Glass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
JP2000089022A (ja) * 1998-09-14 2000-03-31 Canon Inc 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JP2001194521A (ja) * 2000-01-12 2001-07-19 Hitachi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2075640A (ja) * 2000-08-30 2002-03-1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04055159A (ja) * 2002-07-16 2004-02-19 Dainippon Screen Mfg Co Ltd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088A (ko) 2006-05-19
TWI266082B (en) 2006-11-11
CN1740828A (zh) 2006-03-01
JP2006064760A (ja) 2006-03-09
CA2513363A1 (en) 2006-02-24
CN100354662C (zh) 2007-12-12
TW200630650A (en) 2006-09-01
US20060045966A1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134B1 (ko) 컬러화상 표시장치의 착색층 형성 방법
CN100394221C (zh) 彩色滤光片制造方法
JP2003177233A (ja) 液晶表示装置の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008733A (zh) 彩色滤光片及其制作方法
KR101124502B1 (ko)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6235146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0672645B1 (ko) 컬러필터 기판의 제조방법
JPS62106407A (ja) 液晶表示用カラ−フイルタの製造方法
US200702871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flat panel displays employing partially transparent borders
JPH10186123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7188086A (ja) カラーフィルター隔壁、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H0439603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H10282321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0298209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7094312A (ja) 印刷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4240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06627A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22723A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9296B2 (ja) 印刷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2071929A (ja)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の製造方法
JP5835651B2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1669930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 기판의 제조방법
KR20050121303A (ko) 컬러 필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6214105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1249683B1 (ko) 컬러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