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785B1 - 방음 장치 및 방음벽 - Google Patents

방음 장치 및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785B1
KR100637785B1 KR1020040098523A KR20040098523A KR100637785B1 KR 100637785 B1 KR100637785 B1 KR 100637785B1 KR 1020040098523 A KR1020040098523 A KR 1020040098523A KR 20040098523 A KR20040098523 A KR 20040098523A KR 100637785 B1 KR100637785 B1 KR 10063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ace
sound insulation
soundproof
sound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002A (ko
Inventor
마사키 하세베
이시하라야스시
코즈다히로아키
쿠니에다스미오
카미사카마사오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초다이
마사키 하세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초다이, 마사키 하세베 filed Critical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94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constructions for generation of phase shif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소형화한 장치로 보다 높은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음원측으로 개방하고 반대측 종단이 폐쇄된 다수의 공간부(51)를 상하 좌우로 배열 설치하며, 또한 상단열에 배열되는 공간부(51a)의 안 길이를 하단열의 공간부(51b)보다도 짧게 구성된 개구 공간 구조체(5)가 다음 흡음 구조체(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흡음 구조체(2)는 상면을 덮는 상면부(21), 하면을 덮는 하면부(22), 음원측을 향한 전면부(23)로 이루어지고, 이 전면부(23)로부터 반대측의 후단부(24)를 향한 거의 삼각형을 이룬다. 그리고, 이 상면부(21)는 흡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한 복수의 칸막이 판(31)(도면에서는 2장)에 의해 전면부(23)로부터 후단부(24)를 향해 깊이가 순차적으로 얕아지는 복수의 내부 공간(3, 3; 도 1에서는 3개)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음 장치 및 방음벽{SOUNDPROOF DEVICE AND SOUNDPROOF WALL}
도 1은 본 발명의 방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결 주요부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음벽의 개요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원, 방음벽, 측정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음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와 그 부착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음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음판(遮音板)
1 : H형 지주
2 : 흡음 구조체
21 : 상면부
22 : 하면부
23 : 전면부
24 : 후단부
26 : 측면부
3 : 내부 공간
31 : 칸막이 판
5 : 개구 공간 구조체
51, 51a, 51b : 공간부
본 발명은 도로, 철도, 공장 등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설치하는 방음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방음벽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로, 철도, 공장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 대책으로서, 소음 발생원에서 전파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서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의 방음벽은 H형 지주 사이에 차음판이나 흡음재가 부착된 차음판(혹은 흡음재 내장의 차음판)을 쑥 들어가게 세워 설치한 것이 일반적이고, 그 소음 저감 효과는 방음벽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벽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방음벽의 높이를 높게 하면, 비용 상승이 되는 데다가, 일조, 경관, 통풍 혹은 전파 장해 등 부적합한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방음벽의 상단부에 원통형의 흡음재 등을 벽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거나(특허문헌 1 참조), V자형의 벽을 덧붙이거나(특허문헌 2 참조)하여, 방음벽의 높이를 그만큼 높게 하지 않고 소음 저감 효과(방음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음벽 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V자형 등의 상부 개구를 흡음재로 덮는 구조(특허문헌 3 참조)의 장치를 설치한 방음벽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원통형 흡음재의 경우, 소음 저감 효과를 늘리기 위해서 대형화하는 것이 비용이나 강도, 구조면에서 곤란하며, 또한 V자형의 벽의 경우는 소음 저감 효과를 늘리기 위해서는 그 치수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비용 상승이 되는 것이나, 설치후의 풍압 강도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통형의 흡음재나 V형 벽 등을 설치한 방음벽은 비교적 높은 위치(고소)에 있어서의 소음 저감 효과가 작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180119호 공보: 도 6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64009호 공보: 도 2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61516호 공보: 도 6
본 발명은 상기한 방음 장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소형화한 장치로 보다 높은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음 장치 및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는 방음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음 장치로서 상면에 흡음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내부 공간을 갖는 흡음재 구조체의 음원측 전면에, 음원측으로 개방하고 반대측 종단이 폐쇄된 공간부를 다수 배열하며, 또한 상단열에 배열되는 공 간부의 안 길이를 하단열의 공간부보다도 짧은 것으로 한 개구 공간 구조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방음 장치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흡음 구조체의 단면 형상이 음원측에서 후방으로 향해 폭을 축소한 끝이 가는 형상의 거의 삼각형인 형태, 혹은 상기 개구 공간 구조체의 상단열에 배열되는 공간부의 안 길이가 하단열의 공간부의 1/2∼1/4인 형태가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문제는 상기한 방음 장치를 상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방음벽에 의해서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방음 장치와 그 방음벽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음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그것을 예시하는 도 1에 있어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흡음 구조체(2)의 전면에 개구 공간 구조체(5)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음 구조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음 구조체(2)는 상면을 덮는 상면부(21), 하면을 덮는 하면부(22), 음원측을 향한 전면부(23)로 이루어지고, 이 전면부(23)로부터 반대측의 후단부(24)를 향한 거의 삼각형을 이루며, 측면에는 측면부(2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면부(21)는 흡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한 복수의 칸막이 판(31; 도면에서는 2장)에 의해 전면부(23)로부터 후단부(24)을 향해 깊이가 순차적으로 얕아지는 복수의 내부 공간(3, 3; 도 1에서는 3개)이 마련되어 있다. 또, 양측에는 차음판(10)을 끼워 넣어 세워 설치하기 위한 H형 지주(11; 도 4 참조)에 부착되는 부착부(25)가 부착용 단차부(27) 내에 설치되어 있지만, 도 1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또, 도 4는 H형 지주(11)의 전방은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원측에서 바라보면 H형 지주가 보이는 구조이지만, 적절한 H형 지주 덮개를 설치하여 지주를 보이지 않게 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흡음 구조체(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흡음 구조체(2)는 칸막이 판(31)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3)을 갖는 상자 형상의 구조체로서, 그 상면부(21)를 형성하는 흡음재로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무기질, 유기질의 다공질 흡음재, 천공재(천공재, 슬릿재, 망상재)로 이루어진 흡음재, 투명이나 불투명의 필름형 흡음재 등을 단독 혹은 이들을 조합한 흡음재가 이용된다.
금속제의 흡음재에는 알루미늄 섬유를 단독 또는 망이나 천공판 조합하여 압착시킨 다공질 흡음재나, 알루미늄 분말을 소결한 다공질 흡음재, 알루미늄 발포체 등을 두께 1∼5 ㎜로서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흡음재를 이용함으로써, 흡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 외에, 낙엽의 퇴적이나, 적설에 의해 소기의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이들과 습기에 의해 금속이나 수지 등의 구성 부재의 부식이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음 구조체(2)의 상면부(21)에는 흡음재를 평탄하게 부착하여도 좋지 만, 중앙부가 높아지도록 반원호형으로 하여 부착하여도 좋다. 중앙부를 높게 하면, 쓰레기, 먼지, 낙엽, 눈 등이 쉽게 퇴적되지 않게 되고, 또한, 강우에 의해 제거 세정하기 쉽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흡음재로 이루어진 상면부(21)는 흡음 구조체(2)의 상면 전면에 배치되는 것 외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허용된다. 또, 이 상면부(21)를 형성하는 흡음재는 전면에 설치되는 개구 공간 구조체(5)의 상면까지 연장하여 배치되는 것이 좋다(도 2 참조).
다음에, 흡음 구조체(2) 내에 마련되는 내부 공간(3)에 대해서 설명하면, 내부에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한 복수의 칸막이 판(31)으로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복수열의 공간(3, 3)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구획 간격(내부 공간(3)의 폭, 길이)은 등간격이어도 좋고 등간격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단면 형상을 삼각형으로 한 경우, 내부 공간(3)의 깊이(상하 방향의 폭)는 전면부(도로측)의 부근을 0.4∼0.7 m로 하고, 그 깊이를 후단부(24)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변화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련한 공간의 깊이(상면 흡음재에서 바닥면 차음재까지의 거리)는 각부에 있어서 도로나 철도 소음의 주파수 영역 125 Hz∼4000 Hz에 있어서의 파장의 1/4(125 Hz에서 약 O.68 m, 4000 Hz에서 약 O.02 m)의 값이 되기 때문에, 하기의 개구 공간 구조체 부근에서 감쇠된 소음을 상기 흡음 구조체(2)에 의해서 더욱 흡음한다고 하는 흡음 효과에 의해 크게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전면측 공간의 깊이(방음 장치의 부착부 부근의 높이)를 종래의 차음판(도 4의 차음판(10))의 높이 치수(예컨대 500 ㎜)에 일치시키면, 최상단의 종래의 차음판을 떼어 본 발명의 방음 장치로 대체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내부 공간(3)을 구획하는 칸막이 판(31)은 차음벽의 수직 축선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지만, 칸막이 판은 전면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복수열, 배치하기 때문에, 각각의 선단은 소음의 회절 엣지가 되어 방음 장치의 상부를 타고 넘어 가는 소음의 저감에 기여한다.
상기 칸막이 판(31)이나, 하면부(22), 전면부(23), 측면부(26) 등의 용재에는 철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 재료나 합성수지 등의 유기 재료가 이용되지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명(투광성)의 재료를 사용하면, 방음벽에 투시성이나 투광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경관이나 일조, 채광성이 향상된다. 투명한 박막형 흡음재와 조합하고, 추가로 개구 공간 구조체(5)도 투명(투광성)하게 하면, 전체가 투명(투광성)한 방음 장치(2)를 얻을 수 있다.
(개구 공간 구조체)
이하, 전술한 흡음 구조체(2)의 전면에 설치되는 개구 공간 구조체(5)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구 공간 구조체(5)는 흡음원측으로 개방하고 반대측 종단이 폐쇄된 다수의 공간부(51)를 상하 좌우로 배열 설치하며, 또한 상단열에 배열되는 공간부(51a)의 안 길이를 하단열의 공간부(51b)보다도 짧은 것으로 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음 구조체(2)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구 공간 구조체(5)는 외부 프레임부(52)를 칸막이 판(53a, 53b)으로 구획하여 얻어지는 공간부(51a, 51b)로 구성되고, 그 음원측은 개방하고 있으며, 반대측은 폐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개구부 부근을 통과하는 소음은 위상 반전이나 공명, 간섭에 의해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개구 단면의 형상은 도시된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각종 형상을 조합하여도 좋지만, 장치의 제작이나 비용면에서 사각형이 바람직하다.
개구(사각형의 경우)의 크기는 정면에서 바라 볼 때의 횡방향 폭은 0.05∼2 m, 높이는 0.025∼0.2 m가 좋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로 0.1 m, 가로 0.1 m 정도이다.
모든 개구를 동일한 크기로 가지런히 할 필요는 없고, 다른 크기의 개구를 혼재시켜도 좋다. 음향적으로는 소음 경로의 경계가 되는 상단부의 개구가 중요하며, 이 상단부 개구를 이상적인 세로 0.1 m, 가로 0.1 m 정도의 개구로 하고, 하단열에 대해서는 세로 0.1 m, 가로 0.5 m∼1.8 m 정도의 가로 방향으로 넓은 개구로 하여도 개구 전체를 세로 0.1 m, 가로 0.1 m로 한 방음 장치와 거의 동등한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하단열의 세로 방향의 구획 수가 적게 들기 때문에, 장치의 제작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깊이(안 길이)는 0.05∼0.2 m로서, 대상 소음의 파장의 1/4(λ/4)에 해당하는 길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500 Hz: 약 0.17 m, 1000 Hz: 약 0.085 m, 2000 Hz: 약 0.043 m이다.
또한, 다른 깊이의 개구부(5)를 혼재시키면 주파수 범위가 확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단열 개구부의 깊이를 하단열의 약 1/2∼1/4로 하면 하단 열 개구의 깊이에 의한 대응 주파수의 약 2∼4배의 주파수까지 대응 가능해지고, 전체를 동일 깊이로 구성하는 것보다 소음 저감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개구 공간 구조체(5)를 구성하는 재료는 금속 재료, 유기 재료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면, 방음벽에 투시성이나 투광성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경관이나 일조, 채광성이 향상된다.
개구부(51)의 개구단 칸막이 판(53a, 53b)의 선단은 각각이 소음의 회절 엣지가 되어 방음 장치의 전면을 타고 넘어 가는 소음의 저감에 기여하는 것이지만, 빗물이나 먼지의 진입 방지를 위해, 이 개구단에 음파를 투과하는 박막재를 부착하여도 좋다.
(방음 장치 전체의 구조)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방음 장치에서는, 그 단면 형상은 거의 삼각형인 것이 성능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사다리꼴, 사각형이라도 채용될 수 있다.
방음 장치의 크기는 길이(안 길이)가 0.5 m∼2 m로서, 길게 할수록 효과는 향상되지만, 실용상의 한계가 있어 0.5∼0.8 m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주파 성분일수록 감쇠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대상으로 하는 소음의 주파수 성분이나 소음 저감 목표치 등으로부터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그 횡폭은 차음벽 H형 지주(도 4의 H형 지주(11))의 간격 정도의 1 m∼4 m, 높이는 0.5 m∼0.6 m로서 종래형의 차음판의 높이 치수에 맞추는 것이 좋다.
또한, 전체 길이(안 길이) 중, 개구 공간 구조체(5) 부분은 0.05∼0.2 m로 하지만, 이것은 대상으로 하는 소음의 주파수 성분(파장)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방음 장치를 차음벽 H형 지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방음 장치의 양단부에 설치한다. 혹은 장치의 하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차음벽 H형 지주의 상단에 금구를 통해 볼트 너트로 부착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방음 장치에 낙하 방지의 와이어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도록 안전상 배려하는 것이 좋다.
(차음벽에의 부착)
이상 설명한 방음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차음판 등으로 이루어진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방음벽의 상부에, 개구 공간 구조체(5)를 대상 음원측에(예컨대 도로의 내측에) 흡음 구조체(2)를 방음벽의 외측을(예컨대 도로의 외측=민유지측을) 향해 돌출(연장)하여, 부착되어 본 발명의 방음벽이 구성된다.
부착에 있어서는, 방음 장치를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리고, 양단부에 부착부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H형 지주의 홈에 슬라이드시키면서 쑥 들어가게 하고, 간극에 고정 금구를 박아서 고정한다.
이 경우, 사고 파손시의 낙하 방지를 위해, 부착부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낙하 방지 와이어 로프를 통과시켜 두어도 좋다. 또한, 장치의 상단부 등에 가로 방향으로 와이어 로프를 부착하여 H형 지주에 고정하여도 좋다. 또, 방음 장치를 H 형 지주의 상부에 부착하여 금구를 통해 혹은 직접 볼트 등으로 고정하여 부착하여도 좋다.
방음 장치의 부착 각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 장치의 상면을 차음벽의 수직 축선에 대한 경사각 θ를 60°∼90°의 각도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 부착 경사각 θ를 각도 90°보다도 작게 하면, 방음벽의 외측에서 소음원의 높이보다도 10 m 정도 높은 위치에 있어서의 소음 저감 효과가 향상되는 것이 인정되었다. 예컨대, 부착 경사각 θ를 60∼80°로 하면 경사각 90°에 비하여 소음 저감 효과가 1∼2 dB 향상된다. 그러나, 경사각을 너무 작게 하면, 방음벽 자체의 높이가 높아져서 일조나 경관이 저해되게 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선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음 장치를 이용한 방음벽은 음원으로부터의 전면, 상부를 돌아 들어가는 소음을 방음벽 상부에 설치한 방음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개구 공간 구조체(5)의 다수의 공간부에 있어서 위상 반전, 공명, 간섭에 의해 음을 없애고, 계속해서 흡음 구조체(2)에 있어서 주로 흡음에 의해 음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방음 장치·예 1)
방음 장치 전체의 크기가 폭 2 m, 높이 0.6 m, 길이 0.6 m이고, 개구 공간 구조체의 개구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며, 높이 방향으로 4열(공간 열수 5), 폭 방향으로 3열(공간 열수 4)로 구획되고, 아래쪽의 4열의 공간은 깊이를 약 0.15 m로 하며, 최상단열의 공간은 하단열의 개구단보다 0.1 m 가까운 위치를 개구단으로 하는 깊이가 약 0.05 m인 것으로 한 공간부를 배열시키고, 흡음 구조체는 단면이 거의 삼각형으로 후단부 선단을 향해 공간의 깊이가 작아지도록 하여, 길이 방향으로 2 장의 칸막이 판으로 구획되며, 상면부에는 두께가 약 2 mm의 알루미늄 제조 다공질 흡음재를 부착하였다.
이 방음 장치는 차음벽에 대한 부착 각도(경사각)가 70도가 되도록 하였다.
(방음 장치·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로서, 부착 각도(경사각)가 90도가 되도록 하였다.
평탄한 장소에, 약 2 m 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된 높이가 약 3 m의 H형 지주 사이에 글래스울 흡음재를 내장한 금속제의 차음판(높이 0.5 m, 두께 95 mm, 폭 2 m) 5장을 H형 지주의 플랜지에 끼워 맞춘 높이를 약 2.5 m로 한 차음벽의 상부에, 본 발명의 방음 장치(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를 부착하여 높이가 약 3 m의 방음벽(b)을 구성하였다(도 3).
이 방음벽의 총 연장은 약 20 m로 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 부근에 설치한 소음원(a)으로부터 소음을 발생시켜, 방음벽(b)의 반대측 측정 위치(c1)에서 소음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높이 3 m분 모두를 글래스울 흡음재를 내장한 금속제의 차음판으로 구성한 방음벽에 비하여 본 발명의 방음벽은 5∼7 dB 소음이 저감하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 지상 높이 H가 약 10 m 부근의 측정 위치 c2에서는, 실시예 1은 실시예 2(경사각: 90도의 예)에 비하여 1∼2 dB 소음이 크게 저감하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실시예 3]
다음에, 방음 장치로서, 흡음 구조체만으로 구성한 경우, 개구 공간 구조 이 외만으로 구성한 경우와, 본 발명의 방음 장치와의 흡음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단면 형상이 삼각형이고, 높이 0.6 m, 길이 0.6 m로 한 본 발명의 방음 장치의 경우, 그 소음 저감 효과(방음 장치 미설치의 동일한 높이의 종래형의 방음벽과의 차)는 평균 6 dB인 것에 반하여, 흡음 구조체만으로 구성한 경우의 소음 저감 효과 3 dB, 개구를 갖는 개구 공간 구조체만으로 구성한 경우의 소음 저감 효과 2 dB로서, 본 발명에 있어 큰 저감 효과가 인정되었다. 이 결과를 방음 장치의 길이로 환산하면, 흡음 구조체만의 경우에 약 1 m 대형화한 것에 해당한다. 또한 개구 공간 구조체만의 경우에는 약 1.2 m 대형화한 것에 해당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음 장치는 길이를 종래형에 비하여 50∼60%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 흡음 구조체의 경우 개구 공간 구조체의 경우
평균소음저감효과 6 dB 3dB 2dB
* 방음 장치…단면 삼각형, 높이 0.6 m, 길이 0.6 m
본 발명의 방음 장치 및 방음벽은 이와 같이 흡음 구조체의 전면에 개구 공간 구조체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소음 저감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한 방음 장치 및 방음벽으로서 실용적 가치는 매우 크다.
(1) 본 발명의 방음 장치를 설치한 방음벽은 음원으로부터 발생하여 방음 장 치 위를 타고 넘어 가는 소음을 방음 장치의 전면부에서의 개구를 갖는 개구 공간 구조체에 의한 소음과, 흡음 구조체에 의한 소음이 연속하여, 또는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상승 효과에 의해 큰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동일한 크기의 종래의 방음 장치보다도 소음 저감 효과가 크다. 또한, 동일한 소음 저감 효과라면, 방음 장치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방음 장치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방음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음 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흡음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내부 공간을 갖는 흡음재 구조체의 음원측 전면에 음원측으로 개방하고 반대측 종단이 폐쇄된 공간부를 다수 배열하며, 또한 상단열에 배열되는 공간부의 안 길이를 하단열의 공간부 보다 짧은 것으로 한 개구 공간 구조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장치의 단면 형상이 음원측에서 후방으로 향해 폭을 축소한 끝이 가는 형상의 거의 삼각형인 방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조체의 상단열에 배열되는 공간부의 안 길이가 하단열 공간부의 1/2∼1/4인 방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조체의 하단열 공간부의 횡폭을 상단열 공간부보다도 크게 한 방음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방음 장치를 상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20040098523A 2003-12-01 2004-11-29 방음 장치 및 방음벽 KR100637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1902 2003-12-01
JP2003401902A JP4251969B2 (ja) 2003-12-01 2003-12-01 防音装置および防音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002A KR20050053002A (ko) 2005-06-07
KR100637785B1 true KR100637785B1 (ko) 2006-10-24

Family

ID=3472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523A KR100637785B1 (ko) 2003-12-01 2004-11-29 방음 장치 및 방음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51969B2 (ko)
KR (1) KR100637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4767B2 (ja) * 2015-12-22 2019-02-27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防音壁用防音装置
CN105755973B (zh) * 2016-04-28 2018-06-29 中国铁道科学研究院 一种铁路站台用干涉消声构件
CN109643536B (zh) * 2016-08-26 2023-05-02 富士胶片株式会社 防音结构体
JP6321744B2 (ja) * 2016-09-16 2018-05-09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防音壁用防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51969B2 (ja) 2009-04-08
KR20050053002A (ko) 2005-06-07
JP2005163334A (ja)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233B2 (en) Road with sound diffractors
EP0695831B1 (en) Soundproof wall
KR100637785B1 (ko) 방음 장치 및 방음벽
KR101708856B1 (ko) 봉형상의 흡음재를 이용한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이를 구비한 회전식 방음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US4015682A (en) Protecting system for roadway adjacent areas
KR100729345B1 (ko) 원통형 방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DE19628090A1 (de) Lärmschutz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Straßenränder und Untertunnelungen
KR101038276B1 (ko) 방음벽용 패널
KR101542547B1 (ko) 회절소음 감소를 위한 방음판넬 조립체
JP3914395B2 (ja) 騒音低減装置とそれを取り付けた遮音壁及びその取付方法
KR102276820B1 (ko) 방음벽 패널
JP3655856B2 (ja) 防音装置および防音装置を備えた防音壁
JP2005030116A (ja) 移動音源用可視型防音壁及び防音ユニット
JP3914382B2 (ja) 遮音壁
JP4673504B2 (ja) 吸遮音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音壁
KR20210000947U (ko) 연필을 보관할수있는 자석
KR200434105Y1 (ko)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KR102635232B1 (ko) 흡음률을 향상시킨 투명방음패널
JP3080613B2 (ja) 防音壁及び防音パネル
JP6321744B2 (ja) 防音壁用防音装置
KR100378634B1 (ko) 흡음벽
KR200230651Y1 (ko) 흡음벽
KR970006190Y1 (ko) 방음벽
KR102236435B1 (ko) 흡음 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
JP3277326B2 (ja) 車両走行路天井用吸音ル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