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615B1 -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615B1
KR100637615B1 KR1020017000193A KR20017000193A KR100637615B1 KR 100637615 B1 KR100637615 B1 KR 100637615B1 KR 1020017000193 A KR1020017000193 A KR 1020017000193A KR 20017000193 A KR20017000193 A KR 20017000193A KR 100637615 B1 KR100637615 B1 KR 10063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scriptor
area
predetermine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758A (ko
Inventor
호리구치마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1Buffering arrangements using storage descriptor, e.g. read or write po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를 설정하고,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를 소정의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하며, 소정의 정보를 디스크립터 형식 중에 설정되는 보드(910)에 기억시키고, 계층 구조의 최상위의 디스크립터(900)로, 소정의 보드(900)의 기억 위치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며, 소정의 정보에 관련하는 정보를, 최상위의 디스크립터(900)로부터 계층 구조를 더듬어가는 것으로 지시되는 인포메이션 영역(921, 922, 931, 932)에 기억시키도록 하였다.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AV/C 커맨드, IEEE1394 직렬 네트워크 버스, 리모트 제어

Description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리모트(remote) 제어를 행하는 AV 기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기기 내부의 정보를, 소위 AV/C 커맨드 등의 제어 커맨드에 의해서 기기 사이에서 공유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로 규격화된 IEEE1394 직렬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 AV 기기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소정의 커맨드(AV/C Command Transaction Set:이하 AV/C 커맨드라고 약칭한다)를 사용하고, 상술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AV 기기를 상호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IEEE1394 방식의 상세 및 AV/C 커맨드의 상세에 대해서는 1394 Trade Association에서 공개하고 있는 AV/C Digital Interface Command Set General Specification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이러한 IEEE1394 직렬 데이터 버스(51; 이하 버스(51)라고 기술한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디지털 위성 방송을 수신하여 디코드하는 디지털 위성 수신기인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 52)에서 수신된 영상을, 버스(51)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인 DVCR(Digtal Video Cassette Recorder; 53)에서 녹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IRD(52), DVCR(53)를 사용하여, 소위 예약 녹화를 하는 것도 AV/C 커맨드에 기초한 제어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장치에서 예약 녹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IRD(52)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54)에 의해서 IRD(52)와 DVCR(53)이 제어된다. 이 경우에 예약 녹화의 설정(채널, 개시 시각 등)은 IRD(52)에 대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설정된 개시 시각이 되면, 컨트롤러(54)는 IRD(52) 내의 디지털 튜너(55)에 대하여 커맨드를 출력하여 설정된 채널을 선국시켜, 안테나(56)에서 파악한 신호 중으로부터 디지털 튜너(85)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 등을 버스(81)에 출력시킨다.
또한 동시에, 컨트롤러(54)로부터 버스(51)를 통해 DVCR(53)내에 설치되는 레코더(57)에 대하여 녹화 개시의 커맨드가 송신된다. 이로써 레코더(57)에서는, 버스(51)로부터 디지털 튜너(55)에서 선국 수신된 영상 신호 등을 꺼내어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예약 녹화가 행해진다. 또한 DVCR(53)에도 컨트롤러(58)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내장된 아날로그 튜너(59)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 등을 레코더(57)에서 기록하는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를 리모트 제어하는 AV/C 커맨드로 기기 내의 정보를 다른 기기와 공유하는 경우에는, 종래는, VCR 서브유닛, 튜너 서브유닛 등의 제어대상인 서브유닛 내에 리스트를 설정하는 것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공유하는 정보의 내용은 각 서브유닛에 관련한 것에 한정된다. 또한, 금후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서,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의 내용은 서브유닛에 고유한 것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내용의 정보를 취급하는 수요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자는 먼저, 서브유닛에 의존하지 않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AV/C 뷸리틴 보드 서브유닛(AV/C Bulletin Board Subunit: 이하 BBS라고 약칭한다)을 제안하였다(1394 Trade Association Board Subunit General Specification, Rev.0.38 참조). 이것에 의하면, 임의의 정보를 BBS에 공유하여, 임의의 기기 사이에서 상호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제안된 BBS에 있어서는, 복수의 테이프의 보드가 존재하는 경우의 공존 방법이나, 동일 타입의 보드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의 리스트 구조의 존재 상태 등이 불명확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효율 좋게 기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다른 기기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록을 행할 때에도, 예를 들면 BBS의 모든 데이터를 판독한 후에 처리할 필요가 있으며, 처리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BBS를 사용하여 효율 좋게 기록이나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불가능한 BBS를 사용한 양호한 정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를 설정하고,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를 소정의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하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디스크립터 형식 중에 설정되는 보드에 기억시키고,
상기 계층 구조의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 상기 소정의 보드의 기억 위치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며,
상기 소정의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부터 상기 계층 구조를 더듬어가는 것으로 지시되는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개시하는 소정의 정보의 기억 위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며, 그 정보의 판독 등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정보에 관련한 정보의 기억 위치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인포메이션 영역에는, 디스크립터가 설정되는 기기 이외의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제한되는 영역을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다른 기기로부터의 기록의 보호를,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만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였을 때, 기록이 가능한 용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부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기록을 행할 수 있는 정보의 용량이 다른 기기에서 판단할 수 있고, 정보의 기록을 준비된 영역 내에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보드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 ID를 부가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도 공통의 ID를 부가하여, 보드의 기억 정보와 인포메이션 영역의 기억 정보의 대응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보드의 기억 정보와 인포메이션 영역의 기억 정보의 대응을, ID를 참조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알 수 있게 된다.
제 5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을 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독하거나 또는 기록시키는 제어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 1 기기에 설치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 2 기기에,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판독 또는 데이터의 기록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발행시키는 제어부를 설치하며,
상기 제 1 기기에 설치된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로의 데이터의 기억을, 소정의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디스크립터 형식 중에 설정되는 보드에 기억시키고,
상기 계층 구조의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 상기 소정의 보드의 기억 위치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며,
상기 소정의 정보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부터 상기 계층 구조를 더듬어가는 것으로 지시되는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개시하는 소정의 정보의 기억 위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제 2 기기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어, 그 정보의 제 1 기기로부터의 판독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얻어진다. 또한, 소정의 정보에 관련한 정보의 기억 위치에 대해서도 시스템 내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의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내의 인포메이션 영역에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과, 상기 제 2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제한되는 영역을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제 2 기기로부터의 기록의 보호를,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만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으로서,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였을 때, 기록이 가능한 용량에 관한 정보의 기억 영역을 디스크립터에 부가하고,
상기 제 2 기기의 제어부에서, 기록이 가능한 용량을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기록을 행할 수 있는 정보의 용량을 제 2 기기에서 판단할 수 있고, 정보의 기록을 준비된 영역 내에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얻어진다.
제 8 발명은, 제 5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의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내의 소정의 보드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 ID를 부가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도 공통의 ID를 부가하며,
상기 제 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ID에 기초하여, 상기 보드의 기억 정보와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의 기억 정보의 대응을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보드의 기억 정보와 인포메이션 영역의 기억 정보의 대응이, 제 2 기기 측에서도 ID를 참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제 9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와 정보의 전송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독하거나 또는 기록시키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로의 데이터의 기억을, 소정의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하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디스크립터 형식 중에 설정되는 보드에 기억시키고,
상기 계층 구조의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 상기 소정의 보드의 기억 위치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며,
상기 소정의 정보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부터 상기 계층 구조를 더듬어가는 것으로 지시되는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개시하는 소정의 정보의 기억 위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고, 그 정보의 판독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정보에 관련된 정보의 기억 위치에 대해서도, 상기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다른 기기 측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제 10 발명은, 제 9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내의 인포메이션 영역에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제한되는 영역을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의 기록의 보호를,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만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으로서,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였을 때, 기록이 가능한 용량에 관한 정보의 기억 영역을 디스크립터에 부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기록을 행할 수 있는 정보의 용량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기기에서 판단할 수 있고, 정보의 기록이 준비된 영역 내에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2 발명은, 제 9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내의 소정의 보드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 ID를 부가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도 공통의 ID를 부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보드의 기억 정보와 인포메이션 영역의 기억 정보의 대응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기기 측에서도 ID를 참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알 수 된다.
도 1은 종래의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디지털 위성 수신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IEEE1394 방식의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CRS 아키텍처의 어드레스 공간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주요한 CRS의 위치, 이름, 작용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oMPR, oPCR, iMPR, iPCR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플러그,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 전송 채널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디스크립터의 계층 구조에 의한 데이터 구조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디스크립터의 데이터 구조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도 12의 제네레이션 ID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도 12의 리스트 ID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AV/C 커맨드의 스택 모델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AV/C 커맨드의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AV/C 커맨드의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관계의 예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AV/C 커맨드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AV/C 커맨드의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BBS(뷸리틴 보드 서브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BBS의 일부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BBS의 다른 일부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4는 BBS로 나타난 보드를 판독하는 경우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5는 보드 리스트 엔트리를 판독하는 경우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6은 인포메이션 리스트 내의 엔트리를 판독하는 경우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7은 인포메이션 차일드 리스트를 판독하는 경우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8은 리스트 타입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9는 오픈 커맨드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0은 리드 커맨드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1은 라이트 커맨드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2는 클로즈 커맨드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예의 음성 영상 시스템의 전체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IEEE1394로 규정되는 버스 라인(1)에 대하여, 디지털 위성 방송을 수신하여 디코드하는 디지털 위성 수신기인 IRD(100)와, 디지털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인 DVCR(200)이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시하지 않는 그 밖의 기기가 버스 라인(1)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DVCR(200)에는 다른 기기에 정보를 공개하는 게시판으로서 기능하는 BBS(뷸리틴 보드 서브유닛; 4)가 설치된다. 상기 BBS(4)는, 예를 들면 DVCR(200) 내의 컨트롤러(10)에 접속된 메모리의 일부 에어리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BBS(4)의 기억 데이터는 DVCR(200) 내의 컨트롤러(10)에 의해서 판독/기록을 할 수 있다. 또한, IRD(100)측에는 DVCR(200)측의 BBS를 판독/기록하는 BBS 컨트롤러(5)가 설치된다. 또한, IRD(100)측으로부터의 판독/기록의 컨트롤러에는, 예를 들면 AV/C 커맨드로 규정되는 AV/C 디스크립터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AV/C 커맨드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예약 녹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IRD(100)의 BBS 컨트롤러(5)에 의해서 IRD(100)와 DVCR(200)가 제어된다. 그래서 예약 녹화의 설정(채널, 개시 시각, 종료 시각 등)은 IRD(100)의 컨트롤러(6)를 통해 BBS 컨트롤러(5)에 대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설정된 개시 시각이 되면, BBS 컨트롤러(5)는 디지털 튜너(7)에 대하여 커맨드를 출력하고, 설정된 채널을 선국시켜, 안테나(8)에서 파악한 신호 중으로부터 디지털 튜너(7)에서 선국 수신한 영상 신호등을 버스(1)에 출력시킨다.
또한 동시에, BBS 컨트롤러(5)로부터 버스(1)를 통해 DVCR(200)의 BBS(4)에 대하여 녹화 개시의 커맨드가 송신된다. 이로써 DVCR(200)의 BBS(4)로부터 레코더(9)에 대하여 커맨드가 출력되고, 버스(1)로부터 디지털 튜너(7)에서 선국 수신된 영상 신호 등을 꺼내어,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이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예약 녹화가 행해진다. 또한 DVCR(200)에도 컨트롤러(10)가 설치되며, 예를 들면 내장된 아날로그 튜너(11)에서 수신된 영상 신호 등을 레코더(9)에서 기록하는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도 2에서는 BBS 컨트롤러(5)와 컨트롤러(6)는 별체의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6)를 구성하는 CPU의 일부를, BBS 컨트롤러(5)로서 기능하도록 설정한다.
도 3은 IRD(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위성으로부터의 방송 전파를 안테나(8)에 의해서 수신하여 단자(100a)에 입력하고, IRD(1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선택수단으로서의 튜너(101)에 공급한다. IRD(100)는 중앙 제어 유닛(CPU; 111)의 제어에 기초하여 각 회로가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튜너(101)에 의해서 소정의 채널의 신호를 얻는다. 튜너(101)에서 얻은 수신 신호는 디스크램블 회로(102)에 공급한다.
디스크램블 회로(102)는 IRD(100) 본체에 삽입된 IC 카드(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 채널의 암호 키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데이터 중 계약된 채널(또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는 채널)의 다중화 데이터만을 꺼내어 디멀티플렉서(103)에 공급한다.
디멀티플렉서(103)는, 공급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각 채널마다 배열 전환하여, 유저에 의해서 지정된 채널만을 꺼내고, 영상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을 MPEG 비디오 디코더(104)에 송출하는 동시에, 음성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오버랩 스트림을 MPEG 오디오 디코더(109)에 송출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104)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것에 의해, 압축부호화전의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고, 이것을 가산기(105)를 통해 NTSC 인코더(106)에 송출한다. NTSC 인코더(106)는 영상 데이터를 NTSC 방식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며, 이것을 NTSC 방식의 비디오 데이터로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7)에 송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7)는 NTSC 데이터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접속된 수상기(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한다.
또한, 본 예의 IRD(100)는, CPU(111)의 제어에 기초하여, 그래피컬·유저·인터페이스(GUI)용으로 각종 표시용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GUI 데이터 생성부(108)를 구비한다. 상기 GUI 데이터 생성부(108)에서 생성된 GUI용의 영상 데이터(표시 데이터)는 가산기(105)에 공급하며, MPEG 비디오 디코더(104)가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에 중첩하여, GUI용의 영상이 수신한 방송의 영상에 중첩되도록 하고 있다.
MPEG 오디오 디코더(109)는,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것에 의해, 압축 부호화 전의 PCM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0)에 송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0)는, PCM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화하는 것에 의해, LCh 오디오 신호 및 RCh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접속된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본 예의 IRD(100)는 디멀티플렉서(103)에서 추출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IEEE1394 인터페이스부(112)에 공급하고, 인터페이스부(112)에 접속된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1)에 송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등시성 전송 모드로 송출된다. 더욱이, GUI 데이터 생성부(108)에서 GUI용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있을 때는, 그 영상 데이터를 CPU(111)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12)에 공급하고, 인터페이스부(112)로부터 버스 라인(1)에 GUI용의 영상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PU(111)에는 워크 RAM(113) 및 RAM(114)이 접속하고 있고, 이들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제어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조작 패널(115)로부터의 조작지령 및 적외선 수광부(116)로부터의 리모트 컨트롤 신호가, CPU(111)에 공급되고, 각종 조작에 기초를 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버스 라인(1)측으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에 전송되는 커맨드나 리스폰스 등을, CPU(111)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DVCR(2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기록계의 구성으로서는, DVCR(200)에 내장된 튜너(201)에서 소정의 채널을 수신하여 얻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s Group) 인코더(202)에 공급하고, 기록에 적합한 방식, 예를 들면 MPEG2 방식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한다.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MPEG2 방식의 경우에는, 인코더(202)에서의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MPEG 인코더(202)에서 인코드된 데이터는 기록 재생부(203)에 공급하고, 기록용의 처리를 행하며, 처리된 기록 데이터를 회전 헤드 드럼(204) 내의 기록 헤드에 공급하고, 테이프 카세트(205) 내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시킨다.
외부로부터 입력한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 및 음성신호에 대해서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MPEG 인코더(202)에서 예를 들면 MPEG2 방식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하고, 기록재생부(203)에 공급하고, 기록용의 처리를 행하며, 처리된 기록 데이터를 회전 헤드 드럼(204) 내의 기록헤드에 공급하여, 테이프 카세트(205) 내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시킨다.
재생계의 구성으로서는, 테이프 카세트(205) 내의 자기 테이프를 회전 헤드 드럼(204)에서 재생하여 얻은 신호를, 기록 재생부(203)에서 재생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얻는다.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MPEG 디코더(207)에 공급하여, 예를 들면 MPEG2 방식으로부터의 디코드를 행한다. 디코드된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8)에 공급하고,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 및 음성신호로 하여, 외부에 출력시킨다.
또한, DVCR(200)은, IEEE1394 방식의 버스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09)를 구비하고, IEEE1394 방식의 버스 측으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209)에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203)에 공급하며, 테이프 카세트(205) 내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205) 내의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한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203)로부터 인터페이스부(209)에 공급하고, IEEE1394 방식의 버스 측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09)를 통한 전송 시에는, 상기 DVCR(200)에서 매체(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는 방식(예를 들면 상술한 MPEG2 방식)과, IEEE1394 방식의 버스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방식이 다를 때, DVCR(200) 내의 회로에서 방식 변환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DVCR(200)에서의 기록 처리나 재생 처리, 및 인터페이스부(209)를 통한 전송처리에 대해서는, 중앙 제어 유닛(CPU; 21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CPU(210)에는 워크 RAM인 메모리(211)가 접속하고 있다. 또한, 조작 패널(212)로부터의 조작 정보 및 적외선 수광부(213)가 수광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CPU(210)에 공급되며, 그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에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IEEE1394 방식의 버스를 통해 인터페이스부(209)가 후술하는 AV/C 커맨드 등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는, 그 데이터는 CPU(210)에 공급하고, CPU(210)가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각 기기(100, 200)를 접속한 IEEE1394 방식의 버스(1)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IEEE1394로 접속된 기기의 데이터 전송의 사이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EEE1394에서는,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되고, 125㎲ 길이의 사이클을 기준으로서 시분할로 전송된다. 상기 사이클은,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가지는 노드(버스에 접속시키고자 하는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사이클 스타트 신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등시성 패킷은 모든 사이클의 선두로부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시간 단위이지만 대역이라고 불린다)을 확보한다. 이 때문에, 등시성 전송에서는 데이터의 일정 시간 내의 전송이 보증된다. 단,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경우는, 보호하는 기구가 없고, 데이터는 잃게 된다. 각 사이클의 등시성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시간에, 아비트레이션의 결과, 버스를 확보한 노드가, 비동기 패킷을 송출하는 비동기 전송에서는, 애크놀러지, 및 리트라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확실한 전송은 보증되지만, 전송의 타이밍은 일정하지는 않다.
소정의 노드가 등시성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그 노드가 등시성 기능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등시성 기능에 대응한 노드의 적어도 1개는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더욱이, IEEE1394 직렬 버스에 접속된 노드의 중 적어도 1개는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IEEE1394는 ISO/IEC13213으로 규정된 64 비트의 어드레스 공간을 가지는 CSR(Control & Status Register) 아키텍처에 준거하고 있다. 도 6은 CSR 아키텍처의 어드레스 공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위 16비트는 각 IEEE1394 상의 노드를 나타내는 노드 ID이고, 나머지의 48 비트가 각 노드에 주어진 어드레스 공간의 지정에 사용된다. 상기 상위 16 비트는 또한 버스 ID의 10 비트와 물리 ID(협의의 노드 ID)의 6 비트로 분리된다. 모든 비트가 1이 되는 값은,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1023개의 버스와 63개의 노드를 지정할 수 있다.
하위 48 비트로써 규정되는 256 테라바이트의 어드레스 공간중의 상위 20 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은, 2048 바이트의 CSR 특유의 레지스터나 IEEE1394 특유의 레지스터 등에 사용되는 초기화 레지스터 스페이스(Initial Register Space), 프라이빗 스페이스(Private Space), 및 초기화 메모리 스페이스(Initial Memory Space) 등으로 분할되고, 하위 28 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은, 그 상위 20 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이, 초기화 레지스터 스페이스인 경우, 컨피규레이션 ROM(Configuration read only memory), 노드 특유의 용도에 사용되는 초기화 유닛 스페이스(Initial Unit Space),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Plug Control Register (PCRs)) 등으로서 사용된다.
도 7은 주요한 CSR의 오프셋 어드레스, 이름, 및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오프셋이란, 초기화 레지스터 스페이스가 시작되는 FFFFF0000000h(맨 마지막에 h가 붙은 숫자는 16진 표시임을 나타낸다) 번지로부터의 오프셋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오프셋(220h)을 가지는 밴드와이즈 어베일러블 레지스터(Bandwidth Available Register)는 등시성 통신에 할당 가능한 대역을 나타내고 있고, 동기 리소스 매니저로서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값만이 유효하게 된다. 즉, 도 6의 CSR은 각 노드가 가지고 있지만, 밴드와이즈 어베일러블 레지스터에 대해서는,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인 것만이 유효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밴드와이즈 어베일러블 레지스터는, 실질적으로,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만이 가진다. 밴드와이즈 어베일러블 레지스터에는, 등시성 통신에 대역을 할당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최대치가 보존되고, 대역을 할당할 때마다 그 값이 감소하여 간다.
오프셋(224h 내지 228h)의 채널 어베일러블 레지스터(Channels Available Register)는 그 각 비트가 0 내지 63번의 채널번호의 각각에 대응하고, 비트가 0인 경우에는, 그 채널이 이미 할당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로서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채널 어베일러블 레지스터만이 유효하다.
도 6으로 되돌아가, 초기화 레지스터 스페이스 내의 어드레스(200h 내지 400h)에, 제너럴 ROM(read only memory) 포맷에 기초한 컨피규레이션 ROM이 배치된다. 컨피규레이션 ROM에는 버스 인포블록, 루트 디렉토리, 및 유닛 디렉토리가 배치된다. 버스 인포블록 내의 컴퍼니 ID(Company ID)에는 기기의 제조자를 나타내는 ID 번호가 격납된다. 칩 ID(Chip ID)에는 그 기기 고유의, 다른 기기와 중복이 없는 세계에서 유일한 ID가 기억된다.
인테페이스를 통해, 기기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노드는 도 6의 이니셜 유닛 스페이스 내의 어드레스(900h 내지 9FFh)에, IEC1883에 규정되는 PCR(Plug Control Register)을 가진다. 이것은, 논리적으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신호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플러그라는 개념을 실체화한 것이다. 도 8은, PCR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PCR은, 출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oPCR(output Plug Control Register), 입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iPCR(input Plug Control Register)을 가진다. 또한, PCR은, 각 기기 고유의 출력 플러그 또는 입력 플러그의 정보를 나타내는 레지스터 oMPR(output Master Plug Register)과 iMPR(input Master Plug Register)를 가진다. 각 기기는 oMPR 및 iMPR를 각각 부수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개개의 플러그에 대응한 oPCR 및 iPCR을, 기기의 능력에 따라서 복수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되는 PCR은, 각각 31개의 oPCR 및 iPCR을 가진다. 등시성 데이터의 흐름은, 상기 플러그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된다.
도 9는 oMPR, oPCR, iMPR, 및 iPCR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oMPR의 구성을, 도 9b는 oPCR의 구성을, 도 9c는 iMPR의 구성을, 도 9d는 iPCR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다. oMPR 및 iMPR의 MSB측의 2 비트의 데이터 레이트의 능력(data rate capability)에는, 그 기기가 송신 또는 수신 가능한 등시성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코드가 격납된다. oMPR의 동보(同報) 채널 베이스(broadcast channel base)는 브로드캐스트 출력(동보 출력)에 사용되는 채널의 번호를 규정한다.
oMPR의 LSB측의 5 비트의 출력 플러그 수(number of output plugs)에는, 그 기기가 가지는 출력 플러그 수, 즉 oPCR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 격납된다. iMPR의 LSB측의 5 비트의 입력 플러그 수(number of input plugs)에는, 그 기기가 가지는 입력 플러그 수, 즉 iPCR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 격납된다. 주확장 필드 및 보조확장 필드는 장래의 확장을 위해서 정의된 영역이다.
oPCR 및 iPCR의 MSB의 온라인(on-line)은, 플러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즉, 그 값이 1이면 그 플러그가 온라인이고, 0이면 오프라인임을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동보 커넥션 카운터(broadcast connection counter)의 값은, 동보 커넥션의 있음(1) 또는 없음(0)을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6 비트 폭을 가지는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가 가지는 값은, 그 플러그가 가지는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의 수를 나타낸다.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소위 p-to-p connection)은, 특정한 1개의 노드와 다른 특정한 노드 사이에서만 전송을 행하기 위한 커넥션이다.
oPCR 및 iPCR의 6 비트폭을 가지는 채널 수(channel number)가 가지는 값은, 그 플러그가 접속되는 등시성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oPCR의 2 비트폭을 가지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의 값은, 그 플러그로부터 출력되는 등시성 데이터의 패킷의 현실의 전송 속도를 나타낸다. oPCR의 4 비트폭을 가지는 오버 헤드 ID(overhead ID)에 격납되는 코드는 등시성 통신의 오버의 밴드폭을 나타낸다. oPCR의 10 비트폭을 가지는 패이로드(payload)의 값은, 그 플러그가 취급할 수 있는 등시성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최대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플러그,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 및 등시성 채널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IEEE1394 방식의 버스에 접속된 기기를, AV 디바이스(AV-device; 71 내지 73)로서 나타내고 있다. AV 디바이스(73)의 oMPR에 의해 전송 속도와 oPCR의 수가 규정된 oPCR〔0〕내지 oPCR〔2〕중, oPCR〔1〕에 의해 채널이 지정된 등시성 데이터는 IEEE1394 직렬 버스의 채널(#1; channel #1)에 송출된다. AV 디바이스(71)의 iMPR에 의해 전송속도와 iPCR의 수가 규정된 iPCR〔0〕과 iPCR〔1〕중, 입력 채널(#1)이 전송속도와 iPCR〔0〕에 의해, AV 디바이스(71)는 IEEE1394 직렬 버스의 채널(#1)에 송출된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마찬가지로, AV 디바이스(72)는 oPCR〔0〕으로 지정된 채널(#2; channel # 2)에, 등시성 데이터를 송출하고, AV 디바이스(71)는 iPRC〔1〕로써 지정된 채널(#2)로부터 그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렇게 하여, IEEE1394 직렬 버스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는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지만, 본 예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접속된 기기의 컨트롤을 위한 커맨드로서 규정된 AV/C 커맨드 세트를 이용하여, 각 기기의 컨트롤이나 상태의 판단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AV/C 커맨드 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V/C 커맨드 세트에 있어서의 서브유닛 아이덴티파이어 디스크립터(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서브유닛 아이덴티파이어 디스크립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유닛 아이덴티파이어 디스크립터의 계층 구조의 리스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리스트란 예를 들면, 튜너이면, 수신할 수 있는 채널, 디스크이면, 그곳에 기록되어 있는 곡 등을 나타낸다. 계층 구조의 최상위층의 리스트는 루트 리스트라고 불리고 있고, 예를 들면, 리스트(0)가 그 하위의 리스트에 대한 루트로 된다. 다른 리스트도 마찬가지로 루트 리스트가 된다. 루트 리스트는 오브젝트의 수만큼 존재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란, 예를 들면, 버스에 접속된 AV 기기가 튜너인 경우,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각 체널 등을 말한다. 또한, 1개의 계층의 모든 리스트는 공통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도 12는 제너럴 서브유닛 디스크립터(The General 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서브유닛 디스크립터에는, 기능에 대한 속성 정보가 내용으로서 기술되어 있다.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 length) 필드는 그 필드 자신의 값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제너레이션 ID(generation ID)는 AV/C 커맨드 세트의 버전을 나타내고 있고, 그 값은 예를 들면 "00h"(h는 16진을 나타냄)로 되어 있다. 여기서, "00h"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구조와 커맨드가 AV/C 제너럴 규격(General Specification)의 버전 3.0임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00h"를 제외한 모든 값은 장래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리스트 ID 사이즈(size of list ID)는 리스트 ID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오브젝트 ID 사이즈(size of object ID)는 오브젝트 ID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오브젝트 포지션 사이즈(size of object position)는, 제어 시, 참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리스트중의 위치(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 수(number of root object list)는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 ID(root object list id)는 각각 독립된 계층의 최상위의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ID를 나타내고 있다.
서브유닛에 속하는 데이터 길이(subunit dependent length)는 후속의 서브유닛에 속하는 데이터 필드(subunit dependent information) 필드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서브유닛에 속하는 데이터 필드는 기능에 고유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제조 메이커 특유의 데이터 길이(manufacturer dependent length)는 후속의 제조 메이커 특유의 데이터(manufacturer dependent information) 필드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 메이커 특유의 데이터는 벤더(제조 메이커)의 사양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디스크립터 중에 제조 메이커 특유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는, 이 필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리스트 ID의 할당 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0000h 내지 0FFFh" 및 "4000h 내지 FFFFh"는 장래의 사양을 위한 할당 범위로서 예약 확보되어 있다. "1000h 내지 3FFFh" 및 "10000h 내지 리스트 ID의 최대치"는 기능 타입의 종속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서 준비되어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V/C 커맨드 세트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AV/C 커맨드 세트의 스택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리층(81), 연계층(82), 트랜잭션층(83), 및 직렬 버스 매니지먼트(84)는 IEEE1394에 준거하고 있다. FCP(Function Control Protocol; 85)는 IEC61883에 준거하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86)는 1394 TA 스펙에 준거하고 있다.
도 16은 도 15의 FCP(85)의 커맨드와 리스폰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CP는 IEEE1394 방식의 버스상의 기기(노드)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하는 측이 컨트롤러이고, 제어되는 측이 타깃이다. FCP의 커맨드의 송신 또는 리스폰스는 IEEE1394의 비동기 통신의 라이트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노드 사이에서 행해진다. 데이터를 받아들인 타깃은, 수신확인을 위해, 애크놀리지를 컨트롤러에 돌려준다.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한 FCP의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EEE1394 버스를 통해 노드(A)와 노드(B)가 접속되어 있다. 노드(A)가 컨트롤러이고, 노드(B)가 타깃이다. 노드(A), 노드(B) 모두, 커맨드 레지스터 및 리스폰스 레지스터가 각각, 512 바이트씩 준비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가 타깃의 커맨드 레지스터(93)에 커맨드 메시지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명령을 전한다. 또한 반대로, 타깃이 컨트롤러의 리스폰스 레지스터(92)에 리스폰스 메시지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응답을 전하고 있다. 이상 2개의 메시지에 대하여, 제어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FCP에서 보내지는 커맨드 세트의 종류는 후술하는 도 18의 데이터 필드중의 CTS에 기록된다.
도 18은 AV/C 커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전송되는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는 AV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이고, CTS(커맨드 세트의 ID)="0000"이다. AV/C 커맨드 프레임 및 리스폰스 프레임이, 상기 FCP를 사용하여 노드 사이에서 교환된다. 버스 및 AV 기기에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는 100ms 이내로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는 수평방향 32 비트(=1 quadlet)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상단은 패킷의 헤더 부분을 도시하고 있고, 도면 중 하단은 데이터 블록을 도시하고 있다.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ID)은, 수신처를 나타내고 있다.
CTS는 커맨드 세트의 ID를 나타내고 있고, AV/C 커맨드 세트에서는 CTS="0000"이다. C타입/리스폰스(ctype/response)의 필드는, 패킷이 커맨드인 경우는 커맨드의 기능 분류를 나타내고, 패킷이 리스폰스인 경우는 커맨드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커맨드는 크게 나누어, (1) 기능을 외부로부터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 (2) 외부로부터 상태를 문의하는 커맨드(STATUS), (3) 제어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문의하는 커맨드(GENERAL INQUIRY(opcode의 서포트의 유무) 및 SPECIFIC INQUIRY(opcode 및 operands의 서포트의 유무)), (4)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의 4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리스폰스는 커맨드의 종류에 따라서 되돌아간다. 컨트롤(CONTROL)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다」(NOT IMPLEMENTED), 「받아들인다」(ACCEPTED), 「거절」(REJECTED), 및 「잠정」(INTERIM)이 있다. 스테이터스(STATUS)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다」(NOT IMPLEMENTED), 「거절」(REJECTED), 「이행 중」(IN TRANSITION), 및 「안정」(STABLE)이 있다.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문의하는 커맨드(GENERAL INQUIRY 및 SPECIFIC INQUIRY)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실장되어 있다」(IMPLEMENTED), 및 「실장되어 있지 않다」(NOT IMPLEMENTED)가 있다.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에 대한 리스폰스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다」(N0T IMPLEMENTED), 「거절」(REJECTED), 「잠정」(INTERIM) 및 「변화하였다」(CHANGED)가 있다.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은, 기기 내의 기능을 특정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tape reccorder/player), 튜너(tuner) 등이 할당된다. 상기 서브유닛 타입에는, 기기에 대응한 기능 외에, 다른 기기에 정보를 공개하는 서브유닛인 BBS(뷸리틴 보드 서브유닛)에 대해서도 할당이 있다. 같은 종류의 서브유닛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판별을 행하기 위해서, 판별번호로서 서브유닛 ID(subunit id)로 어드레싱을 행한다. 오퍼레이션 코드(opcode)는 커맨드를 나타내고 있고, 오퍼랜드(operand)는 커맨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 부가되는 필드(dditional operands)도 준비되어 있다. 오퍼랜드의 뒤에는 0 데이터 등이 필요에 따라서 부가된다. 데이터 CRC(Cyclic Reduncy Check)는 데이터 전송시의 에러 체크에 사용된다.
도 19는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의 좌측은, c 타입/리스폰스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하단이 커맨드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 중 하단이 리스폰스를 나타내고 있다. "0000"에는 컨트롤(CONTR0L), "0001"에는 스테이터스(STATUS), "0010"에는 스페시픽 인콰이어리(SPECIFIC INQUIRY, "0011"에는 노티파이(NOTIFY), "0100"에는 제너럴 인콰이어리(GENERAL INQUIRY)가 할당되어 있다. "0101 내지 0111"은 장래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또한, "1000"에는 실장 없음(NOT INPLEMENTED), "1001"에는 받아들임(ACCEPTED), "1010"에는 거절(REJECTED), "1011"에는 이행 중(IN TRANSITION), "1100"에는 실장 있음 (IMPLEMENTED/STABLE), "1101"에는 상태 변화(CHNGED), "1111"에는 잠정 응답(INTERIM)이 할당되어 있다. "1110"은 장래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도 19의 중앙은, 서브유닛 타입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00000"에는 비디오 모니터, "00011"에는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 "00100"에는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 "00101"에는 튜너, "00111"에는 비디오 카메라, "01010"에는 BBS, "11100"에는 제조 메이커 특유의 서브유닛 타입(Vender unique), "11110"에는 특정한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 extended tonext byte)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11111"에는 유닛이 할당되어 있지만, 이것은 기기 그 자체에 보내지는 경우에 사용되고, 예를 들면 전원의 온 오프 등을 들 수 있다.
도 19의 우측은, 오퍼레이션 코드(operation code: opcode)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각 서브유닛 타입마다 오퍼레이션 코드의 테이블이 존재하고, 여기서는 서브유닛 타입이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의 경우의 오퍼레이션 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오퍼레이션 코드마다 오퍼랜드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는, "00h"에는 제조 메이커 특유의 값(Vender dependent), "50h"에는 서치 모드, "51h"에는 타임 코드, "52h"에는 ATN, "60h"에는 오픈 메모리, "61h"에는 메모리 판독, "62h"에는 메모리 기록, "C1h"에는 로드, "C2h"에는 녹음, "C3h"에는 재생, "C4h"에는 되감기가 할당되어 있다.
도 20은 AV/C 커맨드와 리스폰스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타깃(콘스마)으로서의 재생기기에 재생 지시를 행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도 20a와 같은 커맨드를 타깃으로 보낸다. 상기 커맨드는 AV/C 커맨드 세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CTS="0000"으로 되어 있다. ctype에는 기기를 외부로부터 제어하는 커맨드(C0NTROL)를 사용하기 때문에, ctype="0000"으로 되어 있다(도 19 참조). 서브유닛 타입은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인 것보다, 서브유닛 타입="00100"으로 되어 있다(도 19 참조). id는 ID0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id=000으로 되어 있다. 오퍼레이션 코드는 재생을 의미하는 "C3h"로 되어 있다(도 19 참조). 오퍼랜드는 순방향(FORWARD)을 의미하는 "75h"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되면, 타깃은 도 20b와 같은 리스폰스를 컨트롤러에 돌려준다. 여기서는, 「받아들임」(accepted)이 리스폰스에 들어가기 때문에, 리스폰스="1001"로 되어 있다(도 19 참조). 리스폰스를 제외하고, 다른 것은 도 20a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AV/C 커맨드 세트에 준비된 다른 기기에 정보를 공개하는 서브유닛인 BBS(뷸리틴 보드 서브유닛)의 구성과, 그 BBS를 사용한 처리에 대하여, 도 21 이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BBS는,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로 구성된다. 즉, BBS의 데이터 구조(리스트)를 나타내는 BBSID(Bulletin Board Subunit Identifier Desceptor; 900)가 최상위의 계층에 설치되어 있고, 그 BBSID(900)로 나타나는 루트 리스트 ID로, 실제의 각 디스크립터 나 보드의 위치가 지시된다. 상기 BBSID는 뷸리틴 보드의 규격서인〔1394 Trade Association Board Subunit General Specification〕에 정해지고 있는 것이며, 뷸리틴 보드의 서브유닛이 반드시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는 리스트이다. 또한 컨트롤러는 BBS에 최초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스트를 판독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BBSID(900)하의 계층에는 보드 리스트와 인포메이션 리스트가 배치된다. 보드 리스트와 인포메이션 리스트에는 각각 판독 전용인 것과, 기록 가능한 것의 2종류가 설정되어 있다. 즉, 리스트 타입의 일람을 도 28에 도시하면, 리스트 타입의 값(80)의 경우에는, 판독 전용의 보드 리스트로 되고, 리스트 타입의 값(81)의 경우에는, 기록 가능한 보드 리스트가 된다. 또한, 리스트 타입의 값(82)의 경우에는, 판독 전용의 인포메이션 리스트로 되며, 리스트 타입의 값(83)의 경우에는, 기록 가능한 인포메이션 리스트가 된다. 또한, 여기서의 판독 전용의 리스트란, BBS를 가지는 기기와는 별도의 외부의 기기의 컨트롤러로부터의 지시로 기록을 할 수 없는 리스트이고, BBS를 가지는 기기의 내부의 컨트롤러의 지시로서는 기록이 가능하다.
BBSID(900)에는 BBS 내에 있는 리스트를 판독/기록하기 위한 기본 정보가 들어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BSID(900)의 리스트의 맨 앞에는 사이즈 등의 정해진 정보가 설정된다. 더욱이 상기 정보에 계속해서 루트 리스트 ID가 설정된다. 상기 루트 리스트 ID는, 각각이 각 BBS에 직결되는 보드 리스트로의 포인터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루트 리스트 ID는, 각 보드 타입마다 각각 1개의 값이 할당되는 것이다.
즉 상기 루트 리스트 ID는,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하는 리스트 ID 어사인먼트(9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6진치로 0000으로부터 FFFF까지의 값으로 정해지고, 이 중의 1000으로부터 1FFF까지가 루트 리스트 ID로서 정해진다. 또한 루트 리스트 ID의 2000으로부터 3FFF까지는 디폴트 리스트를 위한 자유공간으로 된다. 더욱이 루트 리스트 ID의 0000으로부터 1FFF까지와, 4FFF로부터 FFFF까지는 미정의이다. 또한 상기 루트 리스트 ID의 값은 규격서 등에 의해서 공개된다.
그리고 상술한 BBSID(900)에는, 이러한 루트 리스트 ID가 각 보드 타입별로 복수가 설정된다. 도 22의 예에서는, 타입(A 내지 C)의 3종의 BBS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이다. 더욱이 상기 루트 리스트 ID의 뒤에는, BBS에 특유의 인포메이션 정보나, 제조 메이커에 특유의 인포메이션 정보 등이 설정된다.
여기서는 타입(A)의 루트 리스트 ID는, 리소스 스케줄 보드(RSB; 910)로의 포인터가 된다. 상기 리소스 스케줄 보드(910)에는, 예를 들면 예약 녹화의 구체적인 설정(채널, 개시 시각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리소스 스케줄 보드(910)에 기록된 정보에는, 개개에 오브젝트 ID가 설정되고, 그 오브젝트 ID의 정보가 리소스 스케줄 보드(910)내에 기록된다. 상기 오브젝트 ID는, 동일한 예약 녹화에 관한 정보인 한 공통으로 사용된다. 즉, 본 예의 경우에는, 리소스 스케줄 보드(910)에는, 예약 녹화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만이 기록되고, 후술하는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921, 922, 931, 932)에는, 각 예약 녹화에 부수하는 정보가 기록되지만,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 내의 각 항목에, 리소스 스케줄 보드(910) 내의 각 항목의 오브젝트 ID와 동일한 오브젝트 ID가 설정되고, 대응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BBSID(900)의 타입(B, C)의 루트 리스트 ID에 의해서, 각각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920, 930)가 검색된다.
여기서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920)는, 기록 가능(Write Enable)한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를 나타낸다. 여기서의 기록 가능이란, 버스 라인(1)으로 접속된 상대의 기기로부터의 기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자기의 기기 내의 컨트롤러에 의해서도 기록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920)는, 최초에 리스트의 데이터 길이가 나타나고, 다음에 리스트 타입으로서 기록 가능한 보드인 것이 나타난다. 더욱이 속성으로서 오브젝트 ID를 가지는지의 여부와, 리스트 정보로서 형성 가능한 보드의 용량이 나타난다. 또한, 준비된 보드 엔트리의 수가 나타난다.
그 다음에 각 보드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즉 예를 들면 보드 엔트리의 수가 n개라고 하면, 0 엔트리 타입으로부터 n-1 엔트리 타입까지의 보드 엔트리가 존재하고, 0 엔트리 타입의 정보(920a)로서, 엔트리 타입이 보드인 것, 속성으로서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는지의 여부가 나타난다. 그리고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차일드 리스트 ID가 설정된다. 상기 차일드 리스트 ID로, 차일드 리스트로서의 디스크립터(#B-1; 921)의 위치가 지시된다. 또한 엔트리 정보로서 보드 타입과 보드 타입의 상세에 관한 정보의 기록 필드가 설정된다. 더욱이 이러한 리스트가 보드의 수만큼 설정된다. 예를 들면, 1 엔트리 타입의 정보(920b)가 동일하게 설정되고, 그 정보중의 차일드 리스트 ID로, 디스크립터(#B-n; 922)의 위치가 지시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930)는, 판독 전용의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를 도시하고, 이 경우에는 최초에 리스트 타입으로서 판독 전용의 보드인 것이 나타난다. 여기서의 판독 전용이란, 버스 라인(1)으로 접속된 상대의 기기에서 기록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자기의 기기 내의 컨트롤러에 의한 기록은 가능하다. 더욱이 속성으로서 오브젝트 ID를 가지는지의 여부와, 리스트 정보로서 형성 가능한 보드의 용량과, 보드 엔트리의 수가 나타난다.
그 후에 각 보드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즉 예를 들면 0 엔트리 타입의 정보(930a)로서, 엔트리 타입이 보드인 것, 속성으로서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는지의 여부가 나타난다. 그리고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차일드 리스트 ID가 설정된다. 상기 차일드 리스트 ID로, 차일드 리스트로서의 디스크립터 (931)의 위치가 지시된다. 또한 엔트리 정보로서 보드 타입과 보드 타입의 상세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필드가 설정된다. 더욱이 이러한 리스트가 보드의 수만큼 설정된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하는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B-1; 92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최초에 리스트 타입으로서 기록 가능한 인포메이션 리스트인 것이 나타난다. 더욱이 속성으로서 오브젝트 ID를 가지는지의 여부와, 리스트스페시픽으로서 형성 가능한 용량과, 엔트리수의 정보가 나타난다.
그 후에 각 인포메이션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즉 0 엔트리 타입의 정보(921a)로서 예를 들면 프리세트의 인포메이션인 것, 속성으로서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가 나타난다.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차일드 리스트 ID의 필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오브젝트 ID와, 예를 들면 프리세트의 인포메이션이 설정된다. 더욱이 이러한 리스트가 인포메이션의 수만큼 설정된다. 또한, 동일한 계층의 다른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B-n; 922)도 동일한 데이터 구성이지만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또한,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930)의 차일드 리스트인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C-1; 931)는,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930)의 차일드 리스트 ID로 위치가 지시된다. 여기서 상기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C-1)는, 더욱이 디스크립터에 차일드 리스트 ID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C-1; 93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최초에 리스트 타입으로서 판독 전용의 인포메이션인 것이 나타난다. 또한 속성으로서 오브젝트 ID를 가지는지의 여부와, 리스트 정보, 리스트로서 형성 가능한 용량, 또한 엔트리의 수가 나타난다.
그 후에 각 인포메이션에 관한 정보(931a)가 설정된다. 즉 0 엔트리 타입으로서 △△의 인포메이션인 것, 속성으로서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가 나타난다. 그리고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차일드 리스트 ID와, 오브젝트 ID와, 인포메이션 엔트리가 설정된다. 더욱이 이러한 리스트가 인포메이션의 수만큼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립터에 설정된 차일드 리스트 ID에 의해서, 또한 그 디스크립터의 하층의 디스크립터인 인포메이션 차일드 리스트 디스크립터(#C-1-1; 932)가 검색된다. 상기 디스크립터(#C-1-1; 93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최초에 리스트 타입으로서 판독 전용의 보드인 것, 속성으로서 오브젝트 ID를 가지는지의 여부가 나타난다.
더욱이 리스트 정보와, 보드로서 형성 가능한 용량과, 엔트리의 수가 나타난다. 또한, 각 인포메이션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0 엔트리 타입의 정보(932a)로서, 속성에 차일드 리스트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가 나타난다. 또한, 인포메이션 엔트리 스페시픽이 설정된다. 이러한 리스트가 엔트리의 수만큼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뷸리틴 보드 서브유닛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루트 리스트 ID가 보드 타입별로 1개의 ID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컨트롤러는 BBSID 내의 루트 리스트 ID를 판독하고, 목적으로 하는 보드 타입과 비교하는 것으로, 타깃인 서브유닛 내에 목적으로 하는 보드 타입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각 루트 리스트 ID는 보드를 구성하는 선두 리스트, 또는 동일 타입의 보드를 복수 정리한 보드 리스트를 나타낸다. 보드 및 보드 리스트의 구성 내용은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보드는 1 이상의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로 구성된다. 또한, 동일 타입의 복수의 보드를 정리하는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에서는, 각 보드의 선두의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로의 포인터가 나타나고 있다.
복수의 보드 타입을 정리하는 보드 리스트 디스크립터에는, 기록 가능한 것으로 판독 전용의 2개의 타입이 있다. 이러한 타입은 리스트 타입으로 식별할 수 있다. 기록 가능한 보드 리스트는, 동일 타입의 보드를 컨트롤러가 리모트로 발생시킬 수 있다. 리스트 타입이 기록 가능이라고 검지한 컨트롤러는, 기록을 실행시키는 커맨드를 발행하고, 데이터를 기록시키는 것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크립터 내에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데이터의 액세스에는, 예를 들면 AV/C 커맨드로 규정되는 AV/C 오픈/리드/라이트 디스크립터(오픈/리드/라이트 디스크립터 커맨드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즉, BBS 내의 디스크립터에 액세스할 때는, 우선 도 29에 도시하는 구성의 오픈 디스크립터(OPEN DESCRIPTIR)의 커맨드를 보내고, 해당하는 디스크립터가 판독 또는 기록할 수 있는 상태에 설정한다. 상기 오픈 디스크립터의 커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코드의 난에 오픈 디스크립터의 커맨드에 대응한 값을 배치하여, 오퍼랜드〔0〕의 난에 오픈시키는 디스크립터의 타입의 값을 배치하며, 오퍼랜드〔1〕,〔2〕의 난에 오픈시키는 리스트 ID의 값을 배치하고, 오퍼랜드〔3〕의 난에, 서브펑션의 값을 배치한다. 서브펑션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록용으로 오픈시키는 경우에는, 라이트 오픈의 값을 배치하고, 판독용으로 오픈시키는 경우에는, 리드 오픈의 값을 배치한다. 오퍼랜드〔4〕이후의 란은 미정의로 된다.
도 29에 도시하는 오픈 디스크립터의 커맨드로 액세스할 수 있는 상태가 된 디스크립터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때는, 리드 커맨드를 보내어, 필요한 데이터를 판독한다. 도 30은, 상기 리드 커맨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 구성을 설명하면, 오퍼레이션 코드의 난에 리드 디스크립터의 커맨드에 대응한 값을 배치하고, 오퍼랜드〔0〕이후의 난에, 디스크립터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배치하며, 특정한 오퍼랜드에 판독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데이터 길이, 어드레스 등을 배치한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오픈 디스크립의 커맨드로 액세스할 수 있는 상태가 된 디스크립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시킬 때는, 라이트 커맨드를 보내어, 필요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도 31은 상기 라이트 커맨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 구성을 설명하면, 오퍼레이션 코드의 난에 라이트 디스크립터의 커맨드에 대응한 값을 배치하고, 오퍼랜드〔0]의 난에 디스크립터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배치하며, 이후의 오퍼랜드에, 서브펑션과, 그룹 태그와, 기록 데이터 길이와, 어드레스와, 재기록되기 전의 오리지널의 데이터 길이와, 기록시키는 데이터를 배치한다. 서브펑션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분적인 재기록을 지시하는 서브펑션으로 한다.
또한, 도 30에 도시한 리드 커맨드로 판독을 행하거나, 도 31에 도시한 라이트 커맨드로 기록을 행한 후에, 해당하는 디스크립터로의 액세스를 종료시킬 때, 클로즈 커맨드를 행하여 액세스를 종료시킨다. 클로즈 커맨드는, 오픈 커맨드와 동일한 구성의 커맨드를 이용하여, 서브펑션으로 클로즈를 지시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코드의 난에 오픈 디스크립터의 커맨드에 대응한 값을 배치하고, 오퍼랜드〔0〕의 난에 오픈시키는 디스크립터의 타입의 값을 배치하며, 오퍼랜드〔1〕,〔2〕의 난에 오픈시키는 리스트 ID의 값을 배치하고, 오퍼랜드〔3〕의 난에, 클로즈를 나타내는 서브펑션의 값을 배치한다. 오퍼랜드〔4〕 이후의 난은 미정의로 된다.
다음에, 도 21의 BBSID(900)로 나타난 보드를, AV/C 커맨드를 사용하여, 버스 라인상의 다른 기기의 컨트롤러로부터 판독할 때의 처리를, 도 24 내지 도 2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4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B 서브유닛(뷸리틴 보드 서브유닛)의 SID(서브유닛 아이덴티파이 디스크립터)를 리드 오픈시키는 커맨드를 보내고, 판독 가능 상태로 한다(단계(S11)). 이 상태에서, BB 서브유닛의 SID를 지정하고, 리드 디스크립터 커맨드로, 그 SID의 내용을 판독하며, 리스트 ID의 사이즈, 타깃의 BB 서브유닛이 서포트하고 있는 보드 타입을 알 수 있다(단계(S12)). 그 후, BB 서브유닛의 SID를 클로즈시킨다(단계(S13)).
다음에, SID로 나타난 루트 리스트 ID 내의 임의의 리스트 ID를 지정하고, 리드 오픈시키는 커맨드를 보내며, 판독 가능 상태로 한다(단계(S14)). 그리고 속성의 데이터로부터,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는 ID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단계 (S15)). 더욱이 리스트 타입이 기록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S16)), 기록 가능일 때, 엔트리 기록시의 제한을 검지한다(단계(S17)). 그리고 단계(S16)에서 기록 불가라고 판단하였을 때, 및 단계(S17)에서 엔트리 기록 시의 제한을 검지한 후에, 리스트 타입이 보드 리스트가 아닌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18)).
단계(S18)에서 보드 리스트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그 보드 리스트 엔트리를 판독하는 처리인 도 25의 플로우 차트로 옮긴다. 여기서는, 해당하는 보드 리스트 엔트리의 오브젝트 엔트리수의 데이터로부터, 해당하는 디스크립터 내의 엔트리 총수를 검지하여, 컨트롤러 내에 설정되는 카운터를 초기화한다(단계(S21)).
그리고, 엔트리 총수가 카운터의 카운트치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22)). 최초의 상태에서는 카운터의 카운트치보다도 엔트리 총수 쪽이 커진다. 이 판단으로 엔트리 총수 쪽이 클 때, 오브젝트 내의 속성의 차일드 리스트 ID가 1인지(즉 차일드 리스트 있음으로 되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S23)). 여기서, 차일드 리스트 ID가 1인 경우에는, 차일드 리스트 ID를 판독한다(단계(S24)). 단계(S23)에서 차일드 리스트 없음이라고 판단하였을 때, 및 단계(S24)에서 차일드 리스트 ID를 판독한 후에는, 그 엔트리의 인포메이션 정보(엔트리스페시픽인포메이션)를 판독하고(단계(S25)), 카운터의 값을 카운트 업시켜(단계(S26)), 단계(S22)의 판단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단계(S22)의 판단에서, 엔트리 총수와 카운터의 카운트치가 같을 때, 상기 보드 리스트를 클로즈시키는 커맨드를 보내고, 판독을 종료시킨다(단계(S27)).
또한, 도 24의 플로우 차트의 단계(S18)에서 보드 리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때(즉 인포메이션 리스트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인포메이션 리스트 엔트리를 판독하는 처리인 도 26의 플로우 차트로 옮긴다. 여기서는, 해당하는 인포메이션 리스트 엔트리의 오브젝트 엔트리수의 데이터로부터, 해당하는 디스크립터 내의 엔트리 총수를 검지하고, 컨트롤러 내에 설정되는 카운터를 초기화한다(단계(S31)).
그리고, 엔트리 총수가 카운터의 카운트치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32)). 최초의 상태에서는 카운터의 카운트치보다도 엔트리 총수 쪽이 커진다. 이 판단에서 엔트리 총수 쪽이 클 때, 오브젝트 ID를 판독한다(단계(S33)). 더욱이, 오브젝트 내의 속성 차일드 리스트 ID가 1인지(즉 차일드 리스트 있음으로 되어 있는지)판단한다(단계(S34)). 여기서, 차일드 리스트 ID가 1인 경우에는, 차일드 리스트 ID를 판독한다(단계(S35)). 단계(S34)에서 차일드 리스트 없음이라고 판단하였을 때, 및 단계(S35)에서 차일드 리스트 ID를 판독한 후에는, 그 엔트리의 인포메이션 정보(엔트리 스페시픽 인포메이션)를 판독하고(단계(S36)), 카운터의 값을 카운트 업시켜(단계(S37)), 단계(S32)의 판단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단계(S32)의 판단에서, 엔트리 총수와 카운터의 카운트치가 같을 때, 상기 인포메이션 리스트를 클로즈시키는 커맨드를 보내어, 판독을 종료시킨다(단계(S38)).
다음에, 인포메이션 리스트로 차일드 리스트 있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그 인포메이션 차일드 리스트를 판독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 2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인포메이션 리스트로부터 단계(S35)에서 판독한 차일드 리스트 ID를 지정하고, 리드 오픈시키는 커맨드를 보내어, 판독 가능 상태로 한다(단계(S41)). 이 상태에서, 리스트 타입이 기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S42)), 기록 가능과, 엔트리 기록 시의 제한을 검지한다(단계 S43). 그리고 단계(S42)에서 기록 불가라고 판단하였을 때, 및 단계(S43)에서 엔트리 기록시의 제한을 검지한 후에, 속성으로부터 리스트 내의 엔트리가 오브젝트 ID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단계(S44)). 또한, 오브젝트 엔트리수로부터 엔트리 총수를 판단하여, 카운터를 초기화한다(단계(S45)).
그리고, 엔트리 총수가 카운터의 카운트치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46)). 최초의 상태에서는 카운터의 카운트치보다도 엔트리 총수 쪽이 커진다. 이 판단에서 엔트리 총수 쪽이 클 때, 오브젝트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S47)), 오브젝트 ID가 있을 때, 그 오브젝트 ID를 판독한다(단계(S48)). 더욱이, 오브젝트 내의 속성의 차일드 리스트 ID가 1인지(즉 차일드 리스트 있음으로 되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S49)). 여기서, 차일드 리스트 ID가 1인 경우에는, 차일드 리스트 ID를 판독한다(단계(S50)). 그리고, 그 엔트리의 인포메이션 정보(엔트리 스페시픽 인포메이션)를 판독하고(단계(S51)), 카운터의 값을 카운트 업시켜 (단계(S52)), 단계(S46)의 판단으로 되돌아간다.
단계(S46)의 판단에서, 엔트리 총수와 카운터의 카운트치가 같을 때, 상기 인포메이션 리스트를 클로즈시키는 커맨드를 보내고, 판독을 종료시킨다(단계(S53)).
또한, 도 24 내지 도 27의 플로우 차트에서는, 디스크립터의 판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기록 가능한 디스크립터에 대해서는, 판독 처리와 같은 순서로 리스트의 위치를 지정하면서, 기록을 행하는 커맨드를 발행시키는 것으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1개의 기기에, 뷸리틴 보드 서브유닛을 준비하고, 그 서브유닛을 구성하는 디스크립터를 계층 구조화하여,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부터, 각 보드 및 인포메이션의 판단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기기 사이에서 효율 좋게 뷸리틴 보드 서브유닛에 기록된 데이터를 공용하여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CR(200)측에 뷸리틴 보드 서브유닛(BBS; 4)을 준비하는 것으로, DVCR(200)와 버스 라인(1)으로 접속된 IRD(100) 내의 BBS 컨트롤러(5)가, 도 24 내지 도 27의 플로우 차트에 따른 순서로, BBS(4)를 판독하고, DVCR(200)에서의 예약 녹화의 설정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BBS(4)의 판독에 의해, 예를 들면 예약 녹화를 위해 IRD(100) 내의 튜너에서 수신이 필요할 때에는,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상기 예약 녹화의 개시시간 등의 기본적인 정보는, 최상위의 디스크립터인 BBSID 내의 루트 리스트 ID로 직접적으로 지시되는 리소스 스케줄 보드에 직접적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예약 녹화에 부수하는 정보는,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에 기록되기 때문에, 각각의 인포메이션 리스트 디스크립터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예약 녹화에 관한 상세를 알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녹화가 예약된 프로그램의 타이틀, 내용 등의 상세를 알 수 있게 된다. 프로그램의 타이틀, 내용 등의 정보는, 예를 들면 IRD(100)에서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의 경우, 방송 데이터에 중첩된 EPG(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라고 불리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또한, 각각의 디스크립터와 리소스 스케줄 보드에 설정되는 정보에는, 오브젝트 ID를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각각의 정보의 대응을 간단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IRD(100) 내의 BBS 컨트롤러(5)에 의해, BBS(4)에 데이터를 기록시키고, 새로운 녹화 예약의 설정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기록 가능한 디스크립터에 데이터를 기록시키지만, 그 때는 디스크립터 내의 기록 가능한 용량의 정보를 판독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의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고, 적정한 기록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BBS내에 설정된 디스크립터에 기록 제한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DVCR(200)내에서 설정된 예약 녹화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기록 제한된 디스크립터에 준비하는 것으로, 그 예약 녹화에 대한 수정을, IRD(100) 내의 BBS 컨트롤러(5)가 실행할 수는 없게 되고, 예약 녹화의 보호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BBS(뷸리틴 보드 서브유닛)를, 녹화예약의 정보의 기록용으로서 사용한 예로 하였지만, 버스 라인을 통해 공개할 필요가 있는 그 밖의 데이터를, BBS에 동일한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에 기록시켜도 좋다. 또한, 그 BBS를 사용하는 기기에 대해서도, 상술한 IRD, DVCR 이외의 전자기기(각종 영상 기기, 오디오 기기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기 간을 접속하는 버스 라인에 대해서도,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하였지만, 그 밖의 규격의 버스 라인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유선으로 접속되는 버스 라인 외에,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여 동일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전송로를 적용하여도 좋다.

Claims (12)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를 설정하고,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를 소정의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디스크립터 형식 중에 설정되는 보드에 기억시키고,
    상기 계층 구조의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 상기 소정의 보드의 기억 위치를 직접적으로 지시하고,
    상기 소정의 정보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부터 상기 계층 구조를 더듬어가는 것으로 지시되는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시키도록 한, 정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인포메이션 영역에는, 디스크립터가 설정되는 기기 이외의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제한되는 영역을 설정한, 정보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였을 때, 기록이 가능한 용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부가하도록 한, 정보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보드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 ID를 부가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도 공통의 ID를 부가하여, 보드의 기억 정보와 인포메이션 영역의 기억 정보의 대응이 얻어지도록 한, 정보 처리 방법.
  5.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을 행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독하거나 또는 기록시키는 제어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 1 기기에 설치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 2 기기에,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판독 또는 데이터의 기록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발행시키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기기에 설치된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로의 데이터의 기억을, 소정의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디스크립터 형식 중에 설정되는 보드에 기억시키고,
    상기 계층 구조의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 상기 소정의 보드의 기억 위치를 직접적으로 지시하고,
    상기 소정의 정보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부터 상기 계층 구조를 더듬어가는 것으로 지시되는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한,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의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내의 인포메이션 영역에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과, 상기 제 2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제한되는 영역을 설정한, 정보 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으로서,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였을 때, 기록이 가능한 용량에 관한 정보의 기억 영역을 디스크립터에 부가하고,
    상기 제 2 기기의 제어부에서, 기록이 가능한 용량을 판단하도록 한, 정보 처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의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내의 소정의 보드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 ID를 부가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도 공통의 ID를 부가하고,
    상기 제 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ID에 기초하여, 상기 보드의 기억 정보와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의 기억 정보의 대응을 판단하도록 한, 정보 처리 시스템.
  9.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와 정보의 전송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공개하는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독하거나 또는 기록시키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로의 데이터의 기억을, 소정의 계층 구조화된 디스크립터 형식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디스크립터 형식 중에 설정되는 보드에 기억시키고,
    상기 계층 구조의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 상기 소정의 보드의 기억 위치를 직접적으로 지시하고,
    상기 소정의 정보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최상위의 디스크립터로부터 상기 계층 구조를 더듬어가는 것으로 지시되는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한, 정보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내의 인포메이션 영역에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기록이 제한되는 영역을 설정한, 정보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으로서,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였을 때, 기록이 가능한 용량에 관한 정보의 기억 영역을 디스크립터에 부가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개시용 데이터 기억부 내의 소정의 보드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 ID를 부가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영역에 기억된 각각의 정보에도 공통의 ID를 부가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017000193A 1999-05-07 2000-04-28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0637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27351 1999-05-07
JP12735199 1999-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758A KR20010071758A (ko) 2001-07-31
KR100637615B1 true KR100637615B1 (ko) 2006-10-24

Family

ID=1495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193A KR100637615B1 (ko) 1999-05-07 2000-04-28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6941059B1 (ko)
JP (1) JP4320955B2 (ko)
KR (1) KR100637615B1 (ko)
AU (1) AU4145400A (ko)
TW (1) TW529270B (ko)
WO (1) WO2000069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1059B1 (en) * 1999-05-07 2005-09-0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or
JP4433249B2 (ja) * 2000-07-28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7286797B2 (en) * 2000-12-28 2007-10-23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7337255B2 (en) * 2002-06-12 2008-02-26 The Boeing Company Distributed data handling and processing resources system
JP4613487B2 (ja) * 2003-11-07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863173B2 (en) 2008-12-11 2014-10-14 Sony Corporation Social networking and peer to peer for TV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0058A (ja) 1997-01-22 1998-08-07 Sony Corp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453071B2 (en) * 1997-04-04 2002-09-17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and programs for data communication process stored i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3658919B2 (ja) 1997-04-15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情報伝送方法
JPH1127299A (ja) 1997-07-03 1999-01-29 Sony Corp 電子機器及びそのプロトコル切換方法
US6085236A (en) * 1998-01-06 2000-07-04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 video network with device control modules for incorporating legacy devices
JP3277874B2 (ja) * 1998-01-29 2002-04-22 日本電気株式会社 Ieee1394ブリッジ
DK1084576T3 (da) * 1998-05-07 2005-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emgangsmåde og apparat for universelt tilgængelige kommando- og kontrolinformationer i et netværk
US20020057893A1 (en) * 1998-08-11 2002-05-16 Anthony Wood Digital recording and playback
US6941059B1 (en) * 1999-05-07 2005-09-0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35328A1 (en) 2005-10-20
US7130523B2 (en) 2006-10-31
WO2000069121A1 (fr) 2000-11-16
US7095946B2 (en) 2006-08-22
JP4320955B2 (ja) 2009-08-26
US20050196135A1 (en) 2005-09-08
US6941059B1 (en) 2005-09-06
KR20010071758A (ko) 2001-07-31
US20050232584A1 (en) 2005-10-20
TW529270B (en) 2003-04-21
AU4145400A (en) 2000-11-21
US7088908B2 (en)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5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649340B1 (ko) 통신 방법,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제공 매체
US68047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its repairing method
US20020046311A1 (en) Communications controlling method,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device
KR100739263B1 (ko) 기기 제어 방법, 전송 장치 및 매체
EP1098476A1 (en) Network connection recognizing method and network-connected terminal device
US6832267B2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system, input unit, output unit and transmission control unit
JP2002057683A (ja)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
US20020041602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63716B1 (ko) 정보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제어 시스템
KR20010071972A (ko) 통신방법, 통신장치 및 통신시스템
JP2002281038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EP1098475A1 (en) Network connection recognition method, network system and network connection terminal device
JP4635290B2 (ja) 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3078537A (ja) 機器認識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10071968A (ko)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전자기기
JP2000356980A (ja) 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出力装置
JP2001024654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並びに提供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