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646B1 - 전자부품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646B1
KR100636646B1 KR1020050065721A KR20050065721A KR100636646B1 KR 100636646 B1 KR100636646 B1 KR 100636646B1 KR 1020050065721 A KR1020050065721 A KR 1020050065721A KR 20050065721 A KR20050065721 A KR 20050065721A KR 100636646 B1 KR100636646 B1 KR 10063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nozzle
air pressure
valv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호
신경효
Original Assignee
(주)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티에스 filed Critical (주)알티에스
Priority to KR102005006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자부품을 회전하는 회전수단의 궤도를 지나가도록 하고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하기 위한 전자부품검사장치에 있어서, 양품과 불량품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압을 공급하는 노즐과,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 1밸브와,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 2밸브, 및 제 1밸브 및 제 2밸브가 교번적으로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밸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전자부품의 검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자부품, 검사, 노즐,

Description

전자부품검사장치{Electronic part inspection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부품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블록도의 구성들을 실제 구현한 전자부품검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도 3 전자부품검사장치의 분류수단의 상세구성도,
도 5는 도 4의 분류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피이더 수단 112 : 리니어 피이더 수단
120 : 회전수단 130 : 정렬수단
132 : 1차 정렬기 138 : 2차 정렬기
140 : 촬영 수단 150 : 분류 수단
160 : 엔코더 170 : 마이컴
180 :밸브제어부
본 발명은 미세한 크기의 전자부품의 불량 또는 정상여부를 검사하여 분류하기 위한 전자부품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비 또는 전자기기에 설치되기 전에 전자부품에 대한 불량검사를 실시하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에 실시되는 전자부품에 대한 대부분 검사는 작업장에 여러 명이 현미경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검사하게 되어 있으나, 이는 많은 량의 전자부품을 검사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정확성에서도 한계가 있어 검사를 실시하기에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테인레스의 재질로 이루어진 2개의 원형판을 사용하거나 드럼을 2개 사용하여 드럼의 측면에서 진공(Vacuum)으로 흡착한 다음 회전을 하고 회전이 끝나는 지점에서 또 하나의 드럼이 흡착하여 전자부품을 검사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또한 상기 전자제품을 검사하는데 있어 정확성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는 여전하였다. 즉, 이러한 검사는 수공으로 검사하는 것보다는 빨리 실시할 수 있으나, 많은 량을 검사하는 데는 여러 동작이 반복되어 구동하게 되어 있어 여전히 장시간 소요되고, 전자부품의 4면을 확인하기 위해 드럼의 흡착을 반복해야 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전자부품에 대한 불량검사는 급속히 발전되는 반도체 기술에 오히려 역행될 수가 있고, 이로 인한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검사를 제대로 하지 못한 전자부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소화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부품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블록도의 구성들을 실제 구현한 전자부품검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하나의 검사장치이며 이해를 돕기 위해 블록도로 도시한 도 1과 구성도로 도시한 도 2를 함께 도시하였다.
도 1과 도 2의 검사장치는 완성된 전자부품(1)을 검사하기 위해 많은 량을 담아 놓은 호퍼(10)와, 호퍼(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자부품(1)을 진동작용에 의해 이동시키는 피이더 수단(20)과, 피이더 수단(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자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라이너 피이더 수단(30)과, 라이너 피이더 수단(30)에 의해 공급되는 전자부품에 대해서 검사가 용이하도록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회전수단(40)과, 회전수단(40)에 의해 회전되는 전자부품에 대해 정확한 검사를 실시하도록 전자부품을 일렬로 배열하기 위한 정렬수단(50)과, 정렬수단(50)을 통해 정렬된 전자부품의 각 면의 형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수단(60)과, 카메라 수단(60)에 의해 촬영된 전자부품에 대해서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엔코더(70)와, 카메라 수단(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와 전자부품(1)의 숫자를 확인하기 위해 감지하는 카운터센서(71)와 엔코더(70) 등의 신호를 입력하여 처리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80)과, 마이컴(80)의 신호에 의해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자부품의 양품 및 불량품의 갯수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터치판넬로 이루어진 제어수단(90)과, 제어수단(90)의 신호에 의해 전자부품의 양품 및 불량품을 구분하여 배출하기 위해 공기압을 분사시키는 2개의 노즐(91)(92)을 포함한다. 노즐(91, 92)은 도시된 것처럼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공기가 노즐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노즐(91, 92)의 반대쪽 연결호스의 끝단에는 밸브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의 온/오프에 따라 공기가 연결호스를 따라 유입되어 노즐(91, 92)을 통해 분사된다. 이처럼 공기압이 밸브로부터 연결호스를 지나 노즐(91, 92)을 통해 분사되기까지의 이동거리가 있으므로 시간소요가 발생한다.
또한, 정렬수단(50)은 회전수단(40)에 의해 회전되는 전자부품에 대해 정확한 위치로 정렬시키기 위해서 같은 직경을 갖고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정렬기(51)(52)와, 정렬기(51)(52)보다 직경이 작고 속도가 빠른 정렬기(53)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수단(60)은 전자부품(1)에 대하여 4개의 면(전, 후, 상, 하)을 촬영하기 위해 회전수단(4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이격된 부분에 각각 설치되되, 전자부품(1)의 후면을 촬영하기 위한 리어 카메라(61)가 형성되고, 전자부품(1)의 하면을 촬영하기 위한 바텀 카메라(62)가 형성되며, 전자부품(1)의 상면을 촬영하기 위한 탑 카메라(63)가 형성되고, 전자부품(1)의 전면을 촬영하기 위한 프론트 카메라(64)가 형성된다.
엔코더(70)는 회전수단(4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카운터센서(71)는 노즐(91)의 전단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자부품검사장치는 양품과 불량품을 배출하기 위해 공기압을 분사하는 노즐과 에어공급원간에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밸브를 온/오프 조절하여 공기압을 분사할 때의 응답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즐의 에어공급시에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여 전자부품의 검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자부품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검사장치는 전자부품을 회전하는 회전수단의 궤도를 지나가도록 하고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하기 위한 전자부품검사장치에 있어서, 양품과 불량품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압을 공급하는 노즐과,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 1밸브와,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 2밸브, 및 제 1밸브 및 제 2밸브가 교번적으로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밸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검사장치는 전자부품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하기 이전에 정렬하는 정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밸브는 별도의 공기 이동통로없이 상기 노즐과 일체화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밸브는 별도의 공기 이동통로없이 상기 노즐과 일체화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의 검사장치(300)는 피이더 수단(110), 리니어 피이더 수단(112), 회전수단(120), 정렬수단(130), 촬영 수단(140), 분류 수단(150)을 포함한다. 피이더 수단(110)은 완성된 전자부품(1)을 검사하기 위해 많은 량을 담아 놓은 호퍼(미도시됨)를 통해 공급되는 전자부품(1)을 진동작용에 의해 이동시키며, 리니어 피이더 수단(112)은 피이더 수단(110)을 통해 공급되는 전자부품(1)을 회전수단(120)의 유리판에 순차적으로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정렬수단(130)은 상기 전자부품(1)을 촬영(검사)을 위한 궤도(a)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1차 정렬기(132)와 2차 정렬기(138)로 이루어진다. 전자부품(1)은 상기 1차 정렬기(132)와 2차 정렬기(138)를 거치면서 유리판에 미세 정렬된다.
정렬수단(13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차 정렬기(132)는 리니어 피이더 수단(112)의 끝단부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1차 정렬기(132)는 인사이드 가이더(134)와 아웃사이드 가이더(135)를 형성하여 전자부품(1)들은 인사이드 가이더(134)와 아웃사이드 가이더(135)의 가이드면, 즉 이들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지나 가면서 정렬되어진다. 이렇게 하여 1차 정렬기(132)에서 전자부품(1)이 정렬되었다 하더라도, 전자부품(1)에는 유리판의 원심력에 의해 궤도(a)를 벗어나려는 힘이 일시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정렬기(138)는 유리판의 원심력에 의해 궤도(a)를 벗어나려는 전자부품을 미세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2차 정렬기(138)는 궤도(a)의 바깥쪽을 정렬한다. 따라서, 전자부품(1)은 제 2차(138)를 거치면서 미세 정렬이 이루어진다.
한편, 정렬이 완료된 전자부품(1)은 촬영 수단(140)을 통과하면서, 6 면의 형상이 촬영된다. 즉, 촬영 수단(140)은 제1사이드 카메라(141), 제2사이드 카메라(142), 탑 카메라(143), 리어 카메라(144), 바텀 카메라(145), 프론트 카메라(146)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유리판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이격된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촬영이 완료된 전자부품(1)은 분류수단(150)에 의해 분류된다. 분류수단(150)은 밸브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공기압을 분사하는 노즐들(152b,154b,156b)과, 노즐들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해 튕겨지는 전자부품들을 담기 위한 배출통들(152a,154a,156a)로 이루어진다. 분류수단(150)은 밸브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전자부품들을 재검사품과 불량품 그리고 양품 등으로 각각 구분하여 각각의 배출통들(152a,154a,156a)에 분류하게 된다. 특히, 불량품의 경우에는 그 불량 타입에 따라 각각 다르게 분류할수 있도록 4개의 불량 배출통을 갖는다. 그리고 각 노즐들(152b,154b,156b)에는 공기압을 분사하기 위한 두 개씩의 밸브(152c, 152d, 156c, 156d)가 형성된다. 양품배출통(156a)을 참고로 설명하면, 양 품배출통(156a)은 공기압을 분사하는 노즐(156b)이 있으며 노즐의 공기압분사를 제어하는 두 개의 밸브(156c, 156d)를 구비한다. 두 개의 밸브(156c, 156d)는 양품의 전자부품(1)이 양품배출통(156a) 앞에 왔을 때 교번적으로 공기압을 발생하도록 온/오프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며, 동작은 도 5의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양품배출통(156a)을 도시한다. 양품배출통(156a)의 전자부품(1)에 공기압을 넣기 위한 노즐(156b)이 있으며, 노즐(156b)과 연결된 두 개의 밸브(156c, 156d)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4b를 보면, 에어공급구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 두 개의 밸브(156c, 156d)가 교번적으로 노즐(156b)을 통해 공기압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의 밸브(156c, 156d)의 제어상태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3의 촬영 수단(140)과 정렬수단(130) 사이에는 센서가 설치되어 전자부품(1)들을 센싱하고 그 정보를 엔코더(160)로 제공한다. 엔코더(160)는 촬영 수단(140)에 의해 촬영된 전자부품에 대해서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컴(170)은 도 3의 촬영 수단(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와 전자부품의 숫자를 확인하기 위해 감지하는 카운터센서(미도시)와 엔코더(160) 등의 신호를 입력하여 처리 및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엔코더(160)와 마이컴(170)의 제어를 받아 밸브제어부(180)는 제 1밸브(156c)와 제 2밸브(156d)를 온/오프제어한다. 제 1 또는 제 2밸브 중에 오프된 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압은 양품노즐(156b)을 통해 배출된다. 밸브제어부(180)는 양품의 전자부품(1)이 유입될 때마 다 제 1밸브와 제 2밸브를 교번적으로 온/오프한다. 그러면, 노즐에 계속적으로 공기압이 공급되어 전자부품(1)이 빠르게 배출통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압에 의해 양품배출통(156a)에는 양품의 전자부품(1)이 유입된다. 여기서 엔코더(160)와 마이컴(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부품(1)을 양품배출통(156a)으로 배출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기술은 동일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특허에 상세히 개시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즉, 본원 실시예에서의 전자부품장치는 각 배출통으로 전자부품(1)을 배출하기 위해 공기압을 발사하는 노즐에 밸브를 두 개 설치하여 응답속도를 빠르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배출통마다 두 개씩의 밸브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출통들과 밸브들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현하는 예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전자부품의 검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검사대상의 전자부품을 회전하는 회전수단; 회전수단의 궤도를 지나가도록 하여 전자부품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촬영결과에 따라 양품의 전자부품을 분류하기 위한 양품분류수단, 및 불량품의 전자부품을 불량상태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복수개의 불량품분류수단을 포함하여 전자부품을 검사하기 위한 전자부품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품과 불량품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압을 공급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 1밸브;
    상기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 2밸브; 및
    상기 제 1밸브 및 제 2밸브가 교번적으로 상기 노즐에 공기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밸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검사장치는
    상기 전자부품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하기 이전에 정렬하는 정렬기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검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밸브는
    별도의 공기 이동통로없이 상기 노즐과 일체화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검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밸브는
    별도의 공기 이동통로없이 상기 노즐과 일체화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검사장치.
KR1020050065721A 2005-07-20 2005-07-20 전자부품검사장치 KR10063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721A KR100636646B1 (ko) 2005-07-20 2005-07-20 전자부품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721A KR100636646B1 (ko) 2005-07-20 2005-07-20 전자부품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646B1 true KR100636646B1 (ko) 2006-10-20

Family

ID=3762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721A KR100636646B1 (ko) 2005-07-20 2005-07-20 전자부품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6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85B1 (ko) 2005-12-28 2007-06-07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 시스템
KR100769730B1 (ko) 2006-03-30 2007-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 장치
KR20160108662A (ko) 2015-03-04 2016-09-20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85B1 (ko) 2005-12-28 2007-06-07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 시스템
KR100769730B1 (ko) 2006-03-30 2007-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 장치
KR20160108662A (ko) 2015-03-04 2016-09-20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799B1 (ko) 듀얼 전자부품 검사장치
JP6503346B2 (ja) バルク材料仕分け装置およびバルク材料仕分け方法
US5226361A (en) Integrated circuit marking and inspecting system
US10421293B2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manufacturing method
JPH04247273A (ja) ばら荷の粒子を選別する為の方法及びその為の装置
US201100642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container closures
KR101416748B1 (ko) 연속 핀 자동 검사 장치
KR102501482B1 (ko) 쇼트 처리 장치
KR100636646B1 (ko) 전자부품검사장치
JP2017136367A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製造方法
KR100691455B1 (ko) 듀얼 전자부품 검사 장치에서의 부품 정렬 장치
KR100924575B1 (ko) 전자부품 검사장치
JP6745627B2 (ja) 錠剤印刷装置
JP731256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学習方法および学習済モデル
US10515501B2 (en) Testing device for testing coin blanks
JP2005028285A (ja) 微小磁性物除去装置
KR100783595B1 (ko) 듀얼 전자부품 검사장치에서의 전자부품 분류방법
KR200416589Y1 (ko) 오링 자동검사장치
JP7221147B2 (ja) 検査装置
KR100650306B1 (ko) 곡물선별기
KR20040089798A (ko) 연속 영상취득을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방법
JP2020192341A (ja) 錠剤印刷装置
KR100713801B1 (ko) 듀얼 전자부품 검사 방법
JP2006320779A (ja) 扁平錠剤の外観検査装置
KR200361364Y1 (ko) 비접촉식 정제 마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