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128B1 -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128B1
KR100636128B1 KR1020020027340A KR20020027340A KR100636128B1 KR 100636128 B1 KR100636128 B1 KR 100636128B1 KR 1020020027340 A KR1020020027340 A KR 1020020027340A KR 20020027340 A KR20020027340 A KR 20020027340A KR 100636128 B1 KR100636128 B1 KR 100636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rocessing
read
control signal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226A (ko
Inventor
김해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1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67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e.g. actuating a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69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detection of an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원고대 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를 세트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고 처리하는 이 방법은,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이라고 판단되면, 화상의 독취를 준비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고를 세트하기 위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의 원고대의 커버를 열거나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를 세트한 때부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위한 예열 및/또는 쉐이딩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가 있은 이후의 데이터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 즉,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데이터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for reducing image scanning ti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처리 장치의 적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스캐너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처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안정적인 화상을 독취하기 위하여 예열 및/또는 쉐이딩 보정과 같은 화상 독취를 위한 준비를 한 후에 실제 화상을 독취한다.
종래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화상 독취를 위한 준비는, 원고를 세트하고 시 작 키를 누른다거나 또는 퍼스널 컴퓨터에서 스캐너 보조 프로그램의 스캐닝 기능을 클릭하는 등의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가 있은 후에 이루어진다. 그런데, 사용자는 이러한 화상 독취 지시가 있은 후부터 데이터 처리결과를 기다리게 되므로, 화상 독취를 위한 준비 과정을 먼저 수행한 후에 실제로 화상을 독취하는 일련의 시간을 길다고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독취 지시가 있기 전이라도 예열 및/또는 쉐이딩 보정과 같은 화상 독취를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가 있은 후부터 화상 독취가 완료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원고대 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를 세트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고 처리하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의 독취를 준비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원고대와 자동 원고 급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원고대 또는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세트되어 있 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상기 독취한 화상을 처리하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원고대의 커버가 열려 있는가 및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어 있는가 중 하나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를 출력하는 감지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화상 독취 지시 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화상 독취 준비를 지시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쉐이딩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쉐이딩 보정 및/또는 광원의 예열을 수행하며, 상기 화상 독취 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쉐이딩 프로파일의 기준 화상이 되는 화이트 패널; 상기 제1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점등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이트 패널 또는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고 상기 독취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너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는, 안정적인 화상 독취를 위하여 예열 및/또는 쉐이딩 보정과 같은 화상 독취의 준비 단계를 수행한 후에 실제로 화상을 독취한다.
여기서 예열은, 형광등 광원을 사용할 때 안정적인 광의 공급을 위하여 광원이 포화되기까지 점등 후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리는 과정이다.
또한, 쉐이딩 보정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스캐너에서, 이미지 센서 소자 자체의 전기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렌즈 및 독취 광학계 주변의 구조나 오염 등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독취된 화상 데이터의 경시적인 쉐이딩 왜곡(Shading distortion)을 완화하기 위한 과정이며, 화이트 쉐이딩(White Shading) 보정과 블랙 쉐이딩(Black Shading) 보정이 있다. 화이트 쉐이딩 보정은 기준이 되는 화이트 패널을 독취한 데이터와 이상적인 화이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가중치를 주어 보정하는 것이고, 블랙 쉐이딩 보정은 기준이 되는 블랙 패널 또는 광원이 턴-오프된 상태를 독취한 데이터와 이상적인 블랙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주어 보정한다.
한편, 스캐너의 광원으로는 형광등이나 LED(Light Emintting Diode)가 사용되며, 화상을 독취하는 수단으로는 이미지 센서가 사용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는 일정 시간 동안 빛에 의해 축적되는 전하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소자이다. 스캐너용의 이미지 센서로는 전하 결합 소자(CCD :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접촉 이미지 센서(CIS : Contact Image Sensor)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는 독취될 원고를 세트하기 위한 원고대와 자동 원고 급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원고를 원고대 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세트하고 키 조작부의 시작 키를 누르는 등으로 화상 독취 지시를 하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고 처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인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10 단계). 여기에서,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인가는 원고대의 커버가 열려 있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실제로 원고를 원고대에 세트 했는지 여부는 불문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자동 원고 급지 장치(ADF : Automatic Document Feeder)가 장착되어 있다면,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인가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었는가로 판단할 수도 있다. 만일,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이라고 판단되면, 화상의 독취를 준비한다(제12 단계). 즉, 원고대에 커버가 열렸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었다고 판단되면, 화상의 독취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화상 독취의 준비는 쉐이딩 왜곡을 완화하기 위한 쉐이딩 보정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광의 공급을 위하여 예열 과정이 필요한 광원 예컨대 형광등 광원을 채택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경우에는 화상 독취의 준비에 광원의 예열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제12 단계 후에 제14 단계와 제16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화상 독취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화상 독취를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 화상 독취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종료할 수도 있다. 제14 단계와 제18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12 단계 후에, 사용자로부터 화상 독취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한다(제14 단계). 여기에서,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시작 키의 입력일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된 외부 예를 들어 컴퓨터상에서 화상 독취 시작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클릭일 수도 있다. 제14 단계의 판단 결과, 만일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가 없다고 판단되면, 도1 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종료한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가 있다고 판단되면, 화상 독취를 수행한다(제16 단계).
이 때,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종료하기 전에 일정한 대기 시간을 두는 단계(제18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화상의 독취를 준비하는 제12 단계를 완료한 후에 또는 화상 독취를 수행하는 제16 단계를 완료한 후에 화상 독취 지시가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종료한다. 그러나 만일,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14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제18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8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첫째, 제12 단계의 화상의 독취를 준비하는 단계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제18 단계). 이는 사용자가 키 입력등으로 화상 독취 지시를 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화상 독취 지시 예를 들어 시작 키 입력에 의한 화상 독취 지시가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도1 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종료한다. 즉, 사용자가 원고대의 커버를 열어 화상 독취의 준비를 하였느나 그 후에 화상 독취 지시가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데이터 처리를 종료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14 단계로 진행하여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화상 독취 지시가 있는가를 기다린다.
둘째, 제16 단계의 화상 독취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제18 단계). 즉, 화상 독취를 수행한 사용자가 원고대의 커버를 열고 독취한 원고를 제거하는 시간을 주고, 화상 독취를 수행한 사용자가 같은 원고에 대해 재차 화상 독취를 원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다시 화상 독취 시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만일, 제16 단계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도1 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종료한다. 그러나, 제16 단계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14 단계로 진행하여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가 있는가를 기다린다. 그러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제18 단계)에 재차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제14 단계)가 있으면 다시 화상 독취를 수행한다(제16 단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감지부(210), 제어부(220), 화상 독취부(230), 키 입력부(2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210)는 도 1의 제1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원고대의 커버가 열려있는가 및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어 있는가 중 하나를 감지하고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240)는, 제1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화상 독취 지시에 해당하는 키 입력 즉 화상 독취 지시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한다.
제어부(220)는, 제1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 감지부(212)로부터 입력된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광원의 예열 및/또는 쉐이딩 보정과 같은 화상 독취 준 비를 지시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미지 센서부(236)로부터 입력된 화이트 패널(232)을 독취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쉐이딩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쉐이딩 보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1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키 입력부(240)로부터의 화상 독취 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에 선택적으로 더 구비되어 제18 단계를 수행하는 타이머(222)는 제어부의 통제하에 일정 시간을 측정한다. 타이머(222)는 제3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초기화되고 인에이블(enable)되어 카운팅 즉 시간 측정을 시작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disable)된다. 여기서, 제3 제어신호는 화상 독취 준비의 완료 여부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독취된 데이터를 입력받았는지 여부에 응답하여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다. 즉, 타이머(222)는 화상 독취를 준비하는 제12 단계가 완료된 후 또는 화상을 독취하는 제16 단계 후로부터 시간 측정을 시작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화상 독취 지시가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에 의하여 디스에이블된다. 또한 타이머(222)는 카운팅이 종료 즉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카운팅 종료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감지부(210)는 타이머(222)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팅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원고대의 커버가 열려 있는가 및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어 있는가 중 하나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를 출력한다. 즉 정상적으로 타이머(222)의 카운팅이 종료하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새로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화상 독취부(230)는, 제12 단계와 제1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화이트 패널(232), 발광부(234) 및 이미지 센서부(236)를 구비한다. 화이트 패널(232)은 쉐 이딩 보정의 기준 원고가 된다. 발광부(234)는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발광하며, 이미지 센서부(236)는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화이트 패널(232) 또는 원고 화상을 독취하여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처리 장치의 적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데이타 처리 장치(300) 및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40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데이타 처리 장치(300)는 조작 패널(310), 스캐너(320), 프린터(330), 센서부(340), 팩스(350), 제어부(360), 저장부(370) 및 인터페이스부(38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부는 버스(390)에 의해 데이타를 주고 받는다.
도 3에 도시된 조작 패널(OPE:Operating Panel)(310)은 다수 개의 숫자 키들(미도시)과 메뉴상에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키들(미도시)을 구비하는 키 매트릭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들을 조작할 때 키 데이타를 발생하여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또한, 조작 패널(310)은 도 2에 도시된 키 입력부(240)에 해당하며, 데이타 처리 장치(300)의 현재 동작 상태를 제어부(360)의 제어하에 표시하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부(미도시)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저장부(370)는 제어부(360)의 제어하에, 스캐너(320)에서 독취된 이미지 데이타, 팩스(350)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타 또는/및 PC(400)로부터 인터페이스부(380)와 제어부(360)를 경유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임시적으로 저장한 데이타를 독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저장부(370)는 제어부(360)가 데이타 처리 장치(300)를 제어할 때 수행하는 시스템 펌 웨어(firmware)를 저장할 수도 있다.
스캐너(320)는 PC(400) 및 제어부(360)의 제어하에, 화상을 독취하여 이미지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데이타를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이 때, 스캐너(320)는 도 2에 도시된 화상 독취부(230)에 해당할 수 있다.
프린터(330)는 팩스(350)에서 수시된 수신 데이타, 스캐너(320)에서 독취된 데이타 또는 PC(400)로부터 인터페이스부(380)를 경유하여 전송된 데이타에 해당하는 문서를 제어부(360)의 제어하에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340)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타 처리 장치(300)의 각 부의 상태를 체크하여 제어부(36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감지부(210)는 도 3에 도시된 센서부(34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처리 장치(300)와 PC(400)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부(380)는 제어부(360)의 제어하에, 팩스(350)에서 수신된 또는 팩스(350)를 통해 송신할 데이타, 스캐너(320)에서 독취된 데이타 또는 PC(400)와 주고 받을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제어부(36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타 처리 장치(300)의 전반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2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360) 또는 개인용 컴퓨터(400)에 내장된 마이콤(미도시)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원고를 세트하기 위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의 원고대의 커버를 열거나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를 세트한 때부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위한 예열 및/또는 쉐이딩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 독취 지시가 있은 이후의 데이터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 즉,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데이터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원고대 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를 세트하여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고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화상을 독취하기 바로 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의 독취를 준비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b) 단계는
    쉐이딩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원고대의 커버가 열렸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원고대의 커버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의 독취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의 독취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광원을 예열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1 항 내지 제3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c) 상기 (b) 단계 후에, 사용자로부터 화상 독취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화상 독취 지시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상 독취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e) 상기 (b) 단계 후에 또는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화상 독취 지시가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8. 원고대와 자동 원고 급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원고대 또는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세트되어 있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상기 독취한 화상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의 커버가 열려 있는가 및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어 있는가 중 하나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를 출력하는 감지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화상 독취 지시 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화상 독취 준비를 지시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쉐이딩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쉐이딩 보정 및/또는 광원의 예열을 수행하며, 상기 화상 독취 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쉐이딩 프로파일의 기준 화상이 되는 화이트 패널;
    상기 제1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점등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이트 패널 또는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고 상기 독취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초기화되고 인에이블 되어 카운팅을 시작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며, 상기 카운팅이 종료하면 카운팅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카운팅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원고대의 커버가 열려 있는가 및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가 세트되어 있는가 중 하나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화상 독취 준비의 완료 여부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독취된 데이터를 입력받았는지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0020027340A 2002-05-17 2002-05-17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36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340A KR100636128B1 (ko) 2002-05-17 2002-05-17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340A KR100636128B1 (ko) 2002-05-17 2002-05-17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226A KR20030089226A (ko) 2003-11-21
KR100636128B1 true KR100636128B1 (ko) 2006-10-19

Family

ID=3238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340A KR100636128B1 (ko) 2002-05-17 2002-05-17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1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5231A (ja) * 1995-05-10 1996-11-22 Canon Inc 記録装置
JPH10149063A (ja) * 1996-11-18 1998-06-02 Minolta Co Ltd 複写装置
JP2002040869A (ja) * 2000-07-27 2002-02-06 Canon Inc 定着装置及びこの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2055566A (ja) * 2000-08-07 2002-02-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5231A (ja) * 1995-05-10 1996-11-22 Canon Inc 記録装置
JPH10149063A (ja) * 1996-11-18 1998-06-02 Minolta Co Ltd 複写装置
JP2002040869A (ja) * 2000-07-27 2002-02-06 Canon Inc 定着装置及びこの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2055566A (ja) * 2000-08-07 2002-02-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226A (ko)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2804B (zh) 图像读取系统的控制方法
EP1684497A2 (en) Scanning
JP200920714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11442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636128B1 (ko) 화상 독취 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9933831B2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2003626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操作履歴の確認方法
US6643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age in an image scanner
CN110719376A (zh) 图像形成装置以及控制方法
US20100002274A1 (en) Independent scanning apparatus and independent scanning method
US508477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wo read modes
KR100472466B1 (ko) 데이터 처리 기기에 있어서 화질 관리 방법 및 장치
JP2817942B2 (ja) 画像読取装置
KR100787222B1 (ko) 부분 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497367B1 (ko) 인덱스 인쇄 방법 및 장치
KR100412303B1 (ko) 페이지프린터에서비규격용지인쇄방법
JP4865646B2 (ja) 画像処理装置
JP4470483B2 (ja) 画像読取装置
JP2012015700A (ja)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7717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087788A (ja) 画像読取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JP5593684B2 (ja) 画像読込制御装置、画像読込装置、画像読込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65656A (ko) 데이타 복합 처리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 절감 방법
JP2017097809A (ja) 画像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更新方法
JPH118600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23

Effective date: 200607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