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121B1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121B1
KR100636121B1 KR1020000027749A KR20000027749A KR100636121B1 KR 100636121 B1 KR100636121 B1 KR 100636121B1 KR 1020000027749 A KR1020000027749 A KR 1020000027749A KR 20000027749 A KR20000027749 A KR 20000027749A KR 100636121 B1 KR100636121 B1 KR 10063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tical
light
gain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787A (ko
Inventor
김태경
정종삼
안영만
서해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121B1/ko
Priority to JP2001118702A priority patent/JP2001357545A/ja
Priority to US09/854,922 priority patent/US6580670B2/en
Publication of KR2001010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3Methods and circuits for performing mathematical operations on individual detector segment outp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1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gain or phase compensation dur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을 광기록매체의 래디얼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하여 검출하도록 마련된 광검출수단과, 광검출수단의 검출신호로부터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재생신호 검출부 및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광기록매체 상에 단일 광스폿으로 형성하도록 된 광픽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는, 제1 및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를 차동한 제1차동신호와 제2 및 제3광영역의 검출신호를 차동한 제2차동신호를 합산하고, 이 합신호를 제1차동신호 또는 제2차동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 또는 감소한 신호와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출력한다. 재생신호 검출부는, 제1 및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의 제1합신호 또는 제2 및 제3광영역의 검출신호의 제2합신호를 증폭 또는 감소시키고, 이 게인이 조정된 신호와 게인이 조정되지 않은 제1 또는 제2합신호를 합산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러한 광픽업장치를 채용하면, 대물렌즈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시에도 푸시풀 신호의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기록시 인접 트랙에 기록된 신호가 소거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할 수 있어 좁은 트랙 피치를 갖는 고용량 광기록매체용으로 적합하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Optical pickup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그레이팅을 채용한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차동 푸시풀 방식에 의해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종래의 광검출기 및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광검출기 및 신호 검출유니트를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광검출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대물렌즈 시프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와, 발생한 경우 광검출기에 수광되는 광의 분포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통상적인 푸시풀 방식에 의한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보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검출기의 내측에 위치된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검출신호의 푸시풀 신호(b-c)와, 외측에 위치된 제1 및 제4수광영역(A)(D)의 검출신호의 푸시풀 신호(a-d)를 보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70)의 게인 조정기(75)의 게 인(α)이 5.6739인 경우, 트랙킹 에러신호(TESpp)를 보인 그래프,
도 10은 푸시풀 옵셋(%)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로 광기록매체의 주트랙 재생시 검출신호를 개략적으로 보인 그래프,
도 12는 종래의 재생신호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신호의 트랙피치에 따른 지터특성을 보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4는 도 13의 광학부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광검출기의 일 실시예 및 그에 적용되는 신호 검출유니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광기록매체 31...광원 33...광로변환수단
35...대물렌즈 40,151,153,155,157...광검출기
50...신호 검출유니트 60...재생신호 검출부
61,63...제1 및 제2차동기 67,77...제1 및 제2합산기
65,75...제1 및 제2게인 조정기 70...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
140...광학부재 A,B,C,D...제1 내지 제4수광영역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물렌즈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푸시풀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수 있으며, 및/또는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접촉식으로 정보가 기록되거나 기록된 정보가 재생되는 광기록매체의 기록용량(capacity)은 그 정보기록면에 형성되는 광스폿의 크기 및 그 광스폿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트랙피치에 크게 의존한다. 즉, 광스폿의 크기 및 트랙피치가 작을수록 기록용량이 커진다.
광스폿의 직경은 수학식 1에 보여진 바와 같이, 사용되는 광의 파장(λ)에 비례하고, 광을 집속하여 정보기록면에 광스폿으로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의 개구수(Numerical Aperture:NA)에 반비례한다.
광스폿의 직경 ∝ λ/ NA
한편, 일반적으로 광기록매체의 트랙피치(tp)는 인접트랙간의 간섭이 재생신호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된다.
tp 〉0.6 × (λ/ NA)
즉, 780 nm 파장의 광원과 개구수 0.45인 대물렌즈를 사용하는 CD는 트랙 피치 1.6μm로, 수학식 2의 오른편 식에 780 nm와 0.45를 대입하여 구한 값(1.04μm) 보다 크다. 650 nm 파장의 광원과 개구수 0.6인 대물렌즈를 사용하는 DVD는 트랙 피치 0.74μm(기록용량 4.7GB)로, 마찬가지로 수학식 2의 오른편 식에 650 nm 와 0.6을 대입하여 구한 값(0.65μm)보다 크다.
이와 같이, 상기 CD 및 DVD는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는 트랙 피치를 갖도록 규격화되었으므로, 기록/재생시에 인접 트랙에 의해 재생신호의 열화가 고려해야 할 정도로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15GB 이상의 기록용량을 목표로 개발중인 HD-DVD(high definition digital versatile disk) 시스템의 경우에는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는 트랙 피치를 갖도록 규격화되기 어렵다. 즉, HD-DVD용 광픽업장치에 예를 들어, 400 nm 파장의 광원 및 개구수 0.6인 대물렌즈를 채용한다면, 상기 수학식 2의 오른편 식에 400nm 와 0.6을 대입하여 구한 값은 0.4μm가 된다. 하지만, 0.4μm의 트랙 피치로는 15 GB 이상의 기록용량을 달성할 수 없어, HD-DVD는 수학식 2의 오른편 식으로부터 구한 값 이하 예컨대, 0.4 μm 이하의 트랙 피치를 갖도록 규격화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 개발중에 있는 HD-DVD의 재생시에는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켜 좁은 트랙 피치로 인해 발생하는 인접트랙간의 상호 간섭에 의한 재생신호의 열화를 줄여야 한다.
한편, 기록용 광디스크의 경우, 트랙킹 에러신호는 통상적으로, 푸시풀 신호로 검출되는데, 이러한 푸시풀 신호는 대물렌즈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에 따라 옵셋이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푸시풀 옵셋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종래에는 그레이팅을 채용하여 광기록매체의 주트랙과 그 인접 트랙 상에 주광스폿과 제1 및 제2부광스폿을 형성하고, 그로부터 차동 푸시풀(differential push-pull) 방식에 의해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레이팅을 채용한 종래의 광픽업장치를 보인 도 1을 참조하면, 광원(1)에서 출사된 빔은 그레이팅(2)에서 회절되어 0차 및 ±1차 회절광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이 분기된 광들은 빔스프리터(3)에서 반사된 후 대물렌즈(5)에 의해 집속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디스크(10)에 맺히게 된다.
이때, 0차 회절광인 주광(1a)은 광디스크(10)의 주트랙(12) 상에 맺히고, ±1차 회절광인 제1 및 제2부광(1b)(1c)은 상기 주광(1a)에 대해 선행 및 후행하며, 광디스크(10)의 래디얼 방향으로 ±1/2 트랙 피치만큼 어긋나게 맺힌다.
상기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되고 대물렌즈(5)를 경유한 주광(1a)과 제1 및 제2부광(1b)(1c)은 상기 빔스프리터(3)를 투과하여 광검출기(8)에 수광된다.
상기 광검출기(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광(1a)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8a)와, 제1 및 제2부광(1b)(1c)을 각각 수광하는 제2 및 제3광검출기(8b)(8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광검출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며 상기 광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분할된 두 개의 분할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참조부호 4는 반사 미러, 참조부호 6은 콜리메이팅렌즈, 참조부호 7은 입사되는 광을 광검출기(8a)(8b)(8c) 상에 집속하는 수광렌즈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픽업장치에 채용되는 차동 푸시풀 방식에 의해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20)는, 제1 내지 제3차동기(21)(23)(25), 제1 및 제2증폭기(27)(28)와 제4차동기(29)로 이루어져, 차동 푸시풀 방식에 의해 푸시풀 옵셋이 없는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차동기(21)(23)(25)는 각각 제1 내지 제3광검출기(8a)(8b)(8c)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제1 내지 제3푸시풀 신호를 출력한다. 제2증폭기(27)는 제3푸시풀 신호를 소정 게인(G1)으로 증폭하고, 제2증폭기(28)는 상기 제1증폭기(27)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제2푸시풀 신호의 합신호를 소정 게인(G2)으로 증폭한다. 상기 제4차동기(29)는 상기 제2증폭기(28)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제1차동기(21)에서 입력되는 주광(1a)에 의한 푸시풀 신호를 차동하여 트랙킹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증폭기(27)(28)의 게인(G1)(G2)은 주광(1a)과 제1 및 제2부광(1b)(1c)의 강도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4차동기(29)에서는 푸시풀 옵셋이 제거된 트랙킹 에러신호가 출력되어, 대물렌즈(5)의 시프트시에도 푸시풀 옵셋이 없는 트랙킹 에러신호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픽업장치는 광원(1)에서 출사된 광을 그레이팅(3)에 의해 3개의 광으로 분기시켜 사용하므로, 주광(1a)의 광효율이 저하되어 기록용으로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록시 제1 및 제2부광(1b)(1c)에 의해 인접 트랙에 기록된 신호가 소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기록매체의 주트랙 상에만 하나의 광스폿을 형성하는 광학계 구조를 가져 기록시 인접 트랙에 기록된 신호가 소거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대물렌즈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시에도 푸시풀 신호의 옵셋이 저감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할 수 있어 좁은 트랙 피치를 갖는 고용량 광기록매체용으로 적합한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수단과; 상기 광로변환수단과 광기록매체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대물렌즈 및 광로변환수단을 경유하여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수단과; 상기 광검출수단의 검출신호로부터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재생신호 검출부 및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를 구비하는 신호 검출유니트;를 포함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광기록매체 상에 단일 광스폿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검출수단은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을 광기록매체의 래디얼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하여 검출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광영역 중 외측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를 차동하는 제1차동기와; 상기 제1 내지 제4광영역 중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 및 제3광영역의 검출신호를 차동하는 제2차동기와; 상기 제1 및 제2차동 기쪽에서 입력된 신호를 합산하는 제1합산기와; 상기 제1 또는 제2차동기와 상기 제1합산기의 입력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차동기쪽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소정 게인으로 증폭 또는 감소되어 상기 제1합산기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게인 조정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합산기로부터 푸시풀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게인 조정기는 상기 제2차동기와 제1합산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를 각각 a,b,c,d라 하고, 상기 제1게인 조정기의 게인을 α라 할 때, 상기 제1합산기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Spp) = (a-d) + α(b-c)가 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재생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및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의 제1합신호 또는 상기 제2 및 제3광영역의 검출신호의 제2합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제2게인 조정기; 및 일 입력단에는 상기 제2게인 조정기에서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입력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합신호 중 상기 제2게인 조정기를 경유하지 않은 합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들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제2합산기;를 포함하여,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톡 성분이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재생신호 검출부의 제2게인 조정기는 상기 제1합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켜 제2합산기로 입력시키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를 각각 a,b,c,d라 하고, 상기 제2게인 조정기의 게인을 κ라 할 때, 상기 제4합산기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RFS) = (b+c) + κ(a+d)가 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검출수단은, 래디얼 방향으로 배치되어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 수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제1 내지 제4수광영역을 가지는 광검출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검출수단은,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회절시켜 광기록매체의 래디얼 방향에 대해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하는 광학부재와; 상기 광학부재에 의해 분할된 광을 수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제1 내지 제4광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원(31)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수단(33)과, 상기 광로변환수단(33)과 광기록매체(30)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35)와, 상기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되고 대물렌즈(35) 및 광로변환수단(33)을 경유하여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수단과, 상기 광검출수단의 검출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 및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유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31)으로는 반도체 레이저 즉, 표면광 레이저(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또는 모서리 발광 레이저(edge emitting laser)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31)은 HD-DVD 계열의 광기록매체에 적합하도록 청색광 예컨대, 400 nm 파장영역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로변환수단(33)으로는 예컨대, 빔스프리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광원(31)쪽에서 이 광로변환수단(33)으로 입사되는 광은 반사되어 광기록매체(30)를 향하고,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은 투과되어 상기 광검출수단을 향한다.
상기 광검출수단은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된 광을 광기록매체(30)의 래디얼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하여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검출수단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기록매체(30)의 래디얼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수광영역(A)(B)(C)(D)을 가지는 광검출기(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수광영역(A)(B)(C)(D)은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 수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한다.
이때,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폭은 입사되는 광의 광기록매체(30)의 래디얼 방향을 따른 직경에 대해 그 광 중심부의 10-90% 정도를 수광하도록 된 크기를 가진다. 여기서,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폭은 광픽업장치의 전체적인 배치 및 후술하는 게인(α,κ)과 관련지어 결정될 수 있는데, 그 가능범위는 상기와 같다.
여기서, 참조부호 34는 광원(31)에서 출사된 발산광을 평행광으로 바꾸어주는 콜리메이팅렌즈이고, 참조부호 37은 입사되는 광을 집속시켜 광검출기(40)에 수광되도록 하는 수광렌즈이다.
상기와 같은 광학적 배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원(31)에서 출사된 광을 광기록매체(30)의 주트랙 상에 단일 광스폿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광효율이 높아 기록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종래의 그레이팅을 채용한 광픽업장치와는 달리 인접 트랙에 기록된 신호가 소거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신호 검출유니트(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킹 에러신호(TESpp)를 검출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70) 및 재생신호(RFS)를 검출하는 재생신호 검출부(60)를 구비하는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70)는 제1 내지 제4수광영역(A)(B)(C)(D) 중 외측에 위치된 제1 및 제4수광영역(A)(D)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차동하는 제1차동기(71)와, 내측에 위치된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검출신호를 차동하는 제2차동기(73)와, 상기 제1 및 제2차동기(71)(73)쪽에서 입력된 신호를 합산하는 합산기(77)와, 상기 제1 또는 제2차동기(73)와 상기 합산기(77)의 입력단 사이에 설치되는 게인 조정기(75)를 포함한다.
상기 게인 조정기(75)는 상기 제2차동기(73)와 합산기(77)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차동기(73)쪽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켜 상기 합산기(77)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게인 조정기(75)의 게인은 트랙킹 에러신호(TESpp)에 포함된 푸시풀 옵셋이 최소가 되도록 조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내지 제4수광영역(A)(B)(C)(D)의 검출신호를 각각 a,b,c,d라 하고, 상기 게인 조정기(75)의 게인을 α라 할 때, 상기 제1합산기(77)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Spp)는 수학식 3과 같다.
TESpp = (a-d) + α(b-c)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70)에서는 대물렌즈(35)가 광기록매체(30)의 래디얼 방향으로 시프트 되는 경우에도 푸시풀 옵셋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트랙킹 에러신호(TESpp)가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생신호 검출부(60)는, HD-DVD 계열의 광기록매체와 같은 좁은 트랙 피치를 갖는 고용량 광기록매체를 채용할 수 있도록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톡 성분이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재생신호 검출부(60)는, 제1 및 제4수광영역(A)(D)의 검출신호(a)(d)를 입력받아 합산하는 제1합산기(61)와, 상기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검출신호(b)(c)를 입력받아 합산하는 제2합산기(63)와, 상기 제1 및 제2합산기(61)(63) 쪽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합산하는 제3합산기(67)와, 상기 제1 또는 제2합산기(61)(63)의 출력단과 제3합산기(67)의 입력단 사이에 설치되는 게인 조정기(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신호 검출부(60)는 상기 제1 및 제2합산기(61)(63)가 생략되고, 제1 및 제4수광영역(A)(D)의 검출신호(a)(d)의 합신호(a+d)와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검출신호(b)(c)의 합신호(b+c)가 직접적 으로 게인 조정기(65) 및 제3합산기(67)로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인 조정기(65)는 제1합산기(61)의 출력단과 제3합산기(67)의 입력단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합산기(61)쪽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게인(κ)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켜 상기 제3합산기(67)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게인 조정기(65)의 게인은 재생신호에 포함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조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게인 조정기(65)의 게인을 κ라 할 때, 상기 제3합산기(67)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RFS)는 수학식 4와 같다.
RFS = (b+c) + κ(a+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채용하면, 광기록매체(30)의 주트랙 상에만 하나의 광스폿이 형성되므로, 광효율이 높아 기록용으로 유용하고 기록시 인접 트랙에 기록된 신호가 소거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동시에 대물렌즈(35)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시에도 푸시풀 신호의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TESpp)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재생신호(RFS)를 검출할 수 있어 좁은 트랙 피치를 갖는 고용량 광기록매체용으로 적합하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4분할 구조를 가지는 광검출기(40)를 채용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 으나, 상기 광검출기(40)는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수광영역(A)(B)(C)(D)이 각각 광기록매체(30)의 트랙을 따른 탄젠셜 방향으로 2분할되어 이루어진 8분할 구조(A1,A2)(B1,B2)(C1,C2)(D1,D2)를 가진다. 물론, 트랙킹 에러신호(TESpp) 및 재생신호(RFS) 검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광영역의 2개의 분할판에서 검출된 신호(a1,a2)(b1,b2)(c1,c2)(d1,d2)의 합신호(a1+a2)(b1+b2)(c1+c2)(d1+d2)가 사용되며, 그 재생신호 검출부(60) 및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70)의 회로 구조는 실질적으로 도 4에서와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에 의해 푸시풀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TESpp) 및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재생신호(RFS)가 검출될 수 있음을 그래프 등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푸시풀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가 검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검출기(40)의 중심과 그에 수광되는 광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대물렌즈(35)의 광축과 광검출기(4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그러나, 광기록매체(30) 런아웃(runout)이나 대물렌즈(35)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의 시크 동작시에 대물렌즈(35)의 광축은 광검출기(40)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검출기(40)에서 수광되는 광의 분포가 광기록매체(30)의 래 디얼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대물렌즈(35)가 래디얼 방향으로 시프트 된 경우에도 수학식 3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검출 방법에 의하면, 도 7 내지 도 9,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시풋 옵셋이 거의 없는 트랙킹 에러신호(TESpp)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파장(λ)이 400 nm인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개구수(NA) 0.65인 대물렌즈를 이용하여 그루브 폭이 0.30μm인 랜드/그루브 타입의 RAM형 광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고, 그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검출한 신호를 보인 그래프로, x축은 대물렌즈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량을 50μm 단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RAM형 광기록매체는 그루브 폭을 gw라 할 때, gw=0.30μm, λ=400 nm, NA=0.65이므로, gw/(λ/NA)= 0.49가 되어, 수학식 2의 tp/(λ/NA)> 0.6인 조건을 충족하도록 규격화된 CD 및 DVD와는 다르게, 좁은 트랙 피치로 형성되어 18GB의 기록용량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푸시풀 방식에 의한 트랙킹 에러신호(TES')에는, 대물렌즈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에 따라 푸시풀 옵셋이 크게 발생되며, 대물렌즈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량이 커질수록(x축의 오른쪽 방향으로 갈수록) 그 푸시풀 옵셋량은 증가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검출기(40)의 내측에 위치된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검출신호의 푸시풀 신호(b-c)와, 외측에 위치된 제1 및 제4수광영역(A)(D)의 검출신호의 푸시풀 신호(a-d)를 보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70)의 게인 조정기(75)의 게인(α)이 5.6739인 경우, 수학식 3으로부터 구한 트랙킹 에러신호(TESpp)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8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푸시풀 신호(b-c,a-d)에는 종래의 트랙킹 에러신호(TES')와 마찬가지로, 푸시풀 옵셋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으며, 대물렌즈(35) 시프트량이 증가할수록 그 푸시풀 옵셋량이 증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 방식에 따라, 푸시풀 신호(b-c)에 게인(α=5.6739)을 곱한 다음, 이를 푸시풀 신호(a-d)와 합산하면, 도 9에 보여진 바와 같이, 대물렌즈(35)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에 대해 푸시풀 옵셋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트랙킹 에러신호(TESpp)가 검출된다.
도 7 및 도 9의 트랙킹 에러신호에 포함된 푸시풀 옵셋량(%)을 비교하여 보인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에 의해 검출된 트랙킹 에러신호(TESpp)에는 종래의 푸시풀 방식에 의해 검출된 트랙킹 에러신호(TES')에 비해 훨씬 작은 푸시풀 옵셋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표 1은 도 7 내지 도 9의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400 nm인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개구수(NA) 0.65인 대물렌즈를 이용하여 그루브 폭(gw)이 0.30μm인 랜드/그루브 타입의 RAM형 광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고, 그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검출한 신호에 포함된 대물렌즈 시프트에 따른 푸시풀 옵셋량(%)을 보인 것으로, 18GB(gw/(λ/NA)= 0.49)의 기록용량에 대한 것이다.
대물렌즈 시프트 푸시풀 옵셋량(종래) 푸시풀 옵셋량(본 발명)
50μm 1.6%(5nm) 0.6%(2nm)
100μm 3.1%(9nm) 1.1%(3nm)
150μm 4.8%(14nm) 1.6%(5nm)
200μm 6.6%(20nm) 1.8%(5nm)
250μm 8.5%(26nm) 1.7%(5nm)
300μm 10.6%(32nm) 1.5%(4nm)
350μm 12.9%(39nm) 0.9%(3nm)
400μm 15.4%(46nm) 0.0%(0nm)
여기서, 푸시풀 옵셋량(%)은 도 10에 보여진 바와 같이, 트랙킹 에러신호의 최대 진폭을 V1, 그라운드 레벨(GND)과 트랙킹 에러신호의 중심 레벨의 간격을 V2라 할 때, V2/V1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괄호안의 nm값은 푸시풀옵셋량 (%)에 대응하는 광스폿이 트랙 중심에서 벗어난 정도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다음과 같이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재생신호(RFS)를 검출할 수 있다.
광원(31)에서 조사된 광은 대물렌즈(35)에 의해 광기록매체(30)의 주트랙 상에 광스폿으로 맺히는데, 좁은 트랙 피치로 인해 광스폿은 주트랙 뿐만 아니라, 인접 트랙에 그 일부가 걸치게 된다. 따라서, 내측에 위치된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검출신호의 합신호(b+c)와 외측에 위치된 제1 및 제4수광영역(A)(D)의 검출신호의 합신호(a+d)는 도 11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 트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가로축은 트랙 방향을 따른 주트랙 상의 광스폿의 이동을 나타낸다. D1은 주트랙에만 기록마크가 있는 구간, D2는 한쪽 인접 트랙에만 기록마크가 있고 다른쪽 인접 트랙과 주트랙에는 기록마크가 없는 구간이며, D3는 양쪽 인접 트랙에 기록마크가 있고 주트랙에는 기록마크가 없는 구간이다. 세로축은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로 나타낸 검출신호값이다.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검출신호(b)(c)의 합신호(b+c)와 제1 및 제4수광영역(A)(D)의 검출신호(a)(d)의 합신호(a+d)는 D1 구간에서는 그 위상이 대략 일치하지만, D2 및 D3 구간에서는 그 위상이 대략 180도 어긋난다. 따라서, 종래의 재생신호 검출방법과 같이, 상기 검출신호들을 그대로 합하여 검출된 재생신호(a+b+c+d)에는 주트랙에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구간 특히, D3 구간에서도 인접 트랙에 의한 간섭의 영향으로 시간축 흔들림이 크게 나타난다. 즉, 종래의 재생신호에는 인접 트랙에 의한 간섭의 영향으로 크로스토크가 크게 발생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신호인 제1 및 제4수광영역(A)(D)의 검출신호(a)(d)의 합신호(a+d)를 소정 게인(예컨대, κ=2.0)으로 증폭한 다음 이를 제2 및 제3수광영역(B)(C)의 검출신호(b)(c)의 합신호(b+c)와 합산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신호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트랙에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D3 구간에서의 시간축 흔들림이 거의 없다. 즉, 본 발명의 재생신호 검출방식을 이용하면, 좁은 트랙 피치를 갖는 광기록매체(30)의 재생시에도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현저히 저감된 양질의 정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도 12는 파장(λ)이 400 nm인 광원(31) 및 개구수 0.6인 대물렌즈(35)를 채용하여, 최소마크 길이=0.25μm, 피트 높이=-0.25λ인 광기록매체(30)를 재생하는 경우, 트랙 피치에 다른 지터(jitter)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래의 방식에 의한 재생신호는 트랙 피치가 좁아짐에 따라 크로스토크가 급격히 증가되어 지터 특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트랙피치가 0.29μm까지 좁아지는 경우 지터는 약 23% 정도로 큰 값을 나타낸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재생신호는 크로스토크가 크게 저감되므로 트랙피치가 0.29μm까지 좁아지더라도 지터는 약 10% 정도의 값만을 가진다.
따라서,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채용하면, 트랙 피치가 좁은 경우에도 양질의 재생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으로, 도 3과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검출수단은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회절시켜 광기록매체(30)의 래디얼 방향에 대해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하는 광학부재(140)와, 상기 광학부재(140)에 의해 분할된 광을 수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학부재(140)로는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되는 광을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하여 회절/분리시키는 제1 내지 제4패턴부(141)(143)(145)(147)를 구비하는 회절소자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 및 제3패턴부(143)(145)의 래디얼 방향을 따른 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2 및 제3수광영역(B)(C)과 마찬가지로, 입사되는 광의 래디얼 방향 직경에 대해 그 중심부의 10-90% 정도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패턴부(141)(143)에는 예를 들어, 입사광을 서로 다른 각도로 -1차 회절시키도록 홀로그램패턴과 같은 회절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패턴부(145)(147)에는 입사광을 서로 다른 각도로 +1차 회절시키도록 홀로그램패턴과 같은 회절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패 턴부(141)(143)(145)(147) 중 일부는 입사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투명부재 또는 개방된 구멍으로 형성되거나, 입사광을 0차로 회절 투과시키도록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검출기(15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부재(140)에 대응되게 마련된 제1 내지 제4광검출기(151)(153)(155)(15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4광검출기(151)(153)(155)(157)는 각각 제1 내지 제4패턴부(141)(143)(145)(147)를 경유한 광을 수광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신호 검출유니트(50) 구성 및 그로부터 푸시풀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TESpp) 및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재생신호(RFS)를 검출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기록매체의 주트랙 상에만 하나의 광스폿을 형성하는 광학계 구조를 가져, 대물렌즈의 래디얼 방향 시프트시에도 푸시풀 신호의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기록시 인접 트랙에 기록된 신호가 소거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할 수 있어 좁은 트랙 피치를 갖는 고용량 광기록매체용으로 적합하다.

Claims (10)

  1. 광원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수단과; 상기 광로변환수단과 광기록매체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대물렌즈 및 광로변환수단을 경유하여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수단과; 상기 광검출수단의 검출신호로부터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재생신호 검출부 및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를 구비하는 신호 검출유니트;를 포함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광기록매체 상에 단일 광스폿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검출수단은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을 광기록매체의 래디얼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하여 검출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광영역 중 외측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를 차동하는 제1차동기와; 상기 제1 내지 제4광영역 중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 및 제3광영역의 검출신호를 차동하는 제2차동기와; 상기 제1 및 제2차동기쪽에서 입력된 신호를 합산하는 제1합산기와; 상기 제1 또는 제2차동기와 상기 제1합산기의 입력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차동기쪽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소정 게인으로 증폭 또는 감소되어 상기 제1합산기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게인 조정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합산기로부터 푸시풀 옵셋이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인 조정기는 상기 제2차동기와 제1합산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를 각각 a,b,c,d라 하고, 상기 제1게인 조정기의 게인을 α라 할 때, 상기 제1합산기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는 하기의 식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트랙킹 에러신호 = (a-d) + α(b-c)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인 조정기의 게인은 트랙킹 에러신호에 포함된 푸시풀 옵셋이 최소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및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의 제1합신호 또는 상기 제2 및 제3광영역의 검출신호의 제2합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제2게인 조정기; 및
    일 입력단에는 상기 제2게인 조정기에서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입력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합신호 중 상기 제2게인 조정기를 경유하지 않은 합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들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제2합산기;를 포함하여,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톡 성분이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 검출부의 제2게인 조정기는 상기 제1합신호 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켜 제2합산기로 입력시키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광영역의 검출신호를 각각 a,b,c,d라 하고, 상기 제2게인 조정기의 게인을 κ라 할 때, 상기 제4합산기에서 출력되는 재생신호는 하기의 식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재생신호 = (b+c) + κ(a+d)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게인 조정기의 게인(κ)은 재생신호에 포함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광영역의 폭은 수광되는 광의 래디얼 방향 직경에 대해 그 중심부의 10-90% 정도를 수광하도록 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광기록매체용 광픽업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수단은,
    래디얼 방향으로 배치되어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 수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제1 내지 제4수광영역을 가지는 광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그 제1 내지 제4수광영역이 각각 광기록 매체의 탄젠셜 방향으로 2분할되어 8분할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광기록매체용 광픽업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수단은,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회절시켜 광기록매체의 래디얼 방향에 대해 제1 내지 제4광영역으로 분할하는 광학부재와;
    상기 광학부재에 의해 분할된 광을 수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제1 내지 제4광검출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KR1020000027749A 2000-05-23 2000-05-23 광픽업장치 KR10063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49A KR100636121B1 (ko) 2000-05-23 2000-05-23 광픽업장치
JP2001118702A JP2001357545A (ja) 2000-05-23 2001-04-17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09/854,922 US6580670B2 (en) 2000-05-23 2001-05-15 Optical pickup using a single light spot to generate tracking error signal and reproduction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49A KR100636121B1 (ko) 2000-05-23 2000-05-23 광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87A KR20010106787A (ko) 2001-12-07
KR100636121B1 true KR100636121B1 (ko) 2006-10-18

Family

ID=1966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749A KR100636121B1 (ko) 2000-05-23 2000-05-23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80670B2 (ko)
JP (1) JP2001357545A (ko)
KR (1) KR100636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794A (ko) * 2002-03-20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서보동작 제어방법
KR100464419B1 (ko) * 2002-06-20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재생용 호환형 광픽업
JP2004039165A (ja) 2002-07-05 2004-02-05 Toshiba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ディスク装置、及び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検出方法
JP2004281026A (ja) * 2002-08-23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装置及び光情報装置及び光情報再生方法
US7706216B2 (en) * 2002-11-07 2010-04-27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head and optical device provided with optical head
JP2004227694A (ja) * 2003-01-23 2004-08-12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4281027A (ja) * 2003-02-24 2004-10-07 Ricoh Co Ltd 光記録媒体及び光情報処理装置
JP4329364B2 (ja) * 2003-03-07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ヘッド、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524986B1 (ko) 2003-08-26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US7793290B2 (en) * 2004-12-20 2010-09-07 Sap Ag Grip application acceleration by executing grid application based on application usage history prior to user request for application execution
JP2006244536A (ja) * 2005-02-28 2006-09-14 Toshiba Corp 光ヘッド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286079A (ja) * 2005-03-31 2006-10-19 Toshiba Corp 光ヘッド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575211B2 (ja) * 2005-03-31 2010-11-04 株式会社東芝 記憶媒体、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EP1744308A3 (en) * 2005-07-12 2009-03-18 Kabushiki Kaisha Toshiba Light receiving element circuit and optical disk drive
JP2007207381A (ja) * 2006-02-03 2007-08-16 Canon Inc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WO2008041330A1 (fr) * 2006-10-04 2008-04-10 Pioneer Corporation Dispositif de lecture
EP2221818B1 (en) * 2007-11-29 2017-06-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head apparatus
US8923105B2 (en) 2012-10-11 2014-12-30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device, cross-talk reduction method, computer, player, and recorder
JPWO2014203528A1 (ja) * 2013-06-21 2017-0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及び光情報装置
CN105340012B (zh) 2013-06-28 2019-06-28 索尼公司 光学介质再现装置和光学介质再现方法
WO2015022767A1 (ja) 2013-08-14 2015-02-19 ソニー株式会社 光媒体再生装置および光媒体再生方法
JP6167918B2 (ja) 2013-08-14 2017-07-26 ソニー株式会社 光媒体再生装置および光媒体再生方法
JP6123821B2 (ja) * 2015-02-12 2017-05-10 ソニー株式会社 光媒体再生装置及び光媒体再生方法
JP6820547B2 (ja) * 2016-03-09 2021-01-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157A (en) * 1996-03-18 1999-02-23 Sony Corporation Tracking error detecting circuit i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nd recording apparatus
US6418095B1 (en) * 1996-06-18 2002-07-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device, inclination det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1091983A (ja) * 1996-09-12 1998-04-10 Sony Corp 光学式ディスク装置および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算出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27843A1 (en) 2002-03-07
KR20010106787A (ko) 2001-12-07
US6580670B2 (en) 2003-06-17
JP2001357545A (ja) 200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121B1 (ko) 광픽업장치
JP3799318B2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的情報記録装置または再生装置
KR100754517B1 (ko) 회절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픽업장치
KR100403622B1 (ko) 광픽업장치 및 광스폿의 최적 포커싱 방법
KR100524959B1 (ko) 광픽업 및 광 기록 및/또는 재생 기기 및 호환 트랙킹구현 방법
JP2007122779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0298871A (ja) 互換型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7283440B2 (en) Tracking error signal detecting method selectively using a push-pull method, an improved push-pull method, and a three beam method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33291B1 (ko)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의 사용을 위한 광검출기
KR20060107995A (ko)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광픽업장치
KR100618990B1 (ko) 광픽업용 시크방향 검출 신호 생성장치
KR100601599B1 (ko)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광픽업장치
KR20050099083A (ko) 트래킹 에러 오프셋 보상용 광검출 영역이 형성된 광픽업장치
EP1139339A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eek direction detecting signal for optical pickup
JP2010040069A (ja) 光ヘッド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50042583A (ko)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의 사용을 위한 광재생장치
US6646976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cross talk by adjacent tracks and a method therefor
KR100659293B1 (ko) 회절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픽업장치
JP2007172737A (ja) 光ピックアップ
JP4268971B2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243138B1 (ko) 광픽업장치
JP2004178771A (ja) サーボ装置並びに光ディスク情報記録再生装置
JP4384248B2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的情報記録装置または再生装置
JP2012053929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6216233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的情報記録装置また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