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802B1 -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적층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적층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802B1
KR100635802B1 KR1020040053096A KR20040053096A KR100635802B1 KR 100635802 B1 KR100635802 B1 KR 100635802B1 KR 1020040053096 A KR1020040053096 A KR 1020040053096A KR 20040053096 A KR20040053096 A KR 20040053096A KR 100635802 B1 KR100635802 B1 KR 10063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heet
starting substrate
wood sheet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106A (ko
Inventor
아베유키오
이소베마코토
오카무라이스사쿠
오다히로시게
하마구치아키히토
혼다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2004005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8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3/00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베니어 판재(LVL) 같은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층재는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핫 프레스에 의해 적층재의 연속적 길이의 다층 보드로 함께 적층된 베니어 시트 같은 다수의 목재 시트로 제조되며, 다층 보드의 각 층의 목재 시트는 인접층내의 목재 시트에 대해 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엇갈린 관계로 배열된다. 핫 프레스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면 관계로 배열된 한 쌍의 가열판 및 각 가열판의 일 단부에 인접 배치된 보조 가열판을 포함한다. 보조 가열판은 가열판의 상기 단부를 초과하여 연장하는 목재 시트의 부분을 가압하도록 적용된다.
가열판, 핫 프레스, 보조 가열판, 목재 시트, 배니어 판재

Description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적층재 제조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glued laminated wood}
도 1은 적층재의 예로서, LVL(laminated venner lumber)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VL 제조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의 전체도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로부터 본 개략 측면도.
도 4는 도 3의 B-B로부터 본 흡입 헤드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2의 D-D로부터 본 장치의 개략 단부도.
도 6은 도 2의 A-A"로부터 본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
도 7은 도 2의 E-E로부터 본 장치의 개략 단부도.
도 8은 도 2의 F-F로부터 본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9는 도 8의 G-G로부터 본 개략도.
도 10은 도 2의 H-H로부터 본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
도 11은 연속적 길이의 LVL 보드가 그 단부로부터 형성되는 베니어 시트로 이루어진 개시 기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예시도.
도 12a 내지 도 37b는 연속적 길이의 LVL 보드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각 작업 단계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38a 및 도 38b는 LVL을 제조하는 방법의 변형된 실시예의 작업 단계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39a 및 도 39b는 각각 변형된 개시 기재 및 변형된 기재로부터 LVL을 제조하기 위한 베니어 시트 프레싱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 5 : 베니어 시트
6 : 흡입 헤드 15 : 아교 살포 스테이션
29 : 컨베이어 롤 103 : 캐리어 판
141 : 핫 프레싱 스테이션 143 : 하부 가열판
147, 151 : 제 1 및 제 2 보조 하부 가열판
173, 177 : 제 1 및 제 2 보조 상부 가열판
본 발명은 회전 박리(rotary peeling) 또는 기타 준비, 적절한 건조, 사전결정된 길이로의 절단(clip) 및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한 핫 프레싱(hot pressing)에 의한 상호적층에 의해 적층재(glued laminated wood)의 연속적 길이의 다층 보드가 제조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베니어 시트(veneer sheet) 같은 다수의 목재 시트로 제조된 적층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과적인 적층재 보드의 각 층내의 목재 시트는,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인접 층내의 목재 시트에 관하여 엇갈린 관계로(staggered relation)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도 관련한다.
본 발명의 기저 배경(underlying background)에 대한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먼저, 전형적인 적층재인 적층 베니어 판재(laminated veneer lumber)(LVL)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 1을 참조하며, 여기서는 다수의 베니어 시트는 각 베니어 시트의 목재 입자가 결과적인 제품 또는 LVL 보드의 길이를 따라 주로 연장하는 상태로, 엇갈린 방식으로 함께 적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스 도중의 LVL 보드가 도면상의 우수측(right-hand side)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운반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세 개의 서로 다른 스테이지에 배열된 세 개의 핫 프레스 세트(three sets of hot press)(X, Y, Z)를 포함한다. 상기 핫 프레스(X, Y, Z) 각각은 하나가 나머지 위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가동성 상부 및 하부 가열판(X1, Y1 및 Z1)을 각각 가진다. 장치의 설명을 위해, 이들 세 세트의 핫 프레스(X, Y, Z)는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핫 프레스라 지칭될 것이다. 비록,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핫 프레스(X, Y, Z)와 연계된 세 세트의 베니어 공급기(veneer feeder)가 제공되며, 각 세트는 이송 방향을 도시하는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가동성 베니어 시트 공급기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A, B 및 C는 실질적으로 동일 길이, 폭 및 두께를 각각 가지며 그 목재 입자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 즉, 처리 도중의 LVL 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태로 동일한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목재 베니어 시트를 나타낸다. 예시의 편의를 위해, 각 베니어 시트는 그 길이에 대하여 과도하게 크게 도시되어 있는 두께로 예시되어 있으며, 처리 도중의 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는 예시 생략되어 있다.
도 1의 장치를 사용한 LVL 보드의 제조시, 먼저, 음영(shading)으로 도시된 한 쌍의 베니어 시트(A)가 이런 베니어 시트(A) 중 어느 하나의 일 표면이 열경화성 접착제로 피복되는 상태로 준비된다. 이들 베니어 시트(A)는 제 1 핫 프레스(X)를 위한 제 1 공급기에 의해 공급되고, 그 목재 입자(wood grain)가 실질적으로 제조된 LVL 보드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배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위 및 엇갈린 관계(offset and staggered relation)의 그 단부를 가지며, 두 베니어 시트(A)의 정합면(mating surface)사이에 개재된 접착제 피복면으로 함께 조합된다. 이렇게 하나가 나머지 위에 배치된 이들 두 베니어 시트(A)는, 제 1 가열판(X1) 사이의 제 1 프레싱 스테이션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베니어 시트(A)는 핫 프레스(X)에 의해 열 및 압력하에서 함께 접착된다. 제 1 핫 프레싱 작업이 끝나고, 가열판(X1)이 후퇴된 이후, 적층된 베니어 시트(A)는 제 2 핫 프레스(Y)의 제 2 프레싱 스테이션을 향해 이송된다.
제 2 프레싱 스테이션으로의 경로 도중에, 즉, 제 1 및 제 2 프레싱 스테이션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서, 각각 적층된 베니어 시트(A)에 인접한 그 측면상에 열경화성 접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음영으로 표시된 베니어 시트(B)의 다른 쌍이 제 2 베니어 시트 공급기에 의해 공급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A)에 대해 엇갈린 상태로 이전에 적층된 베니어 시트(A)의 대향 외면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베니어 시트(A)상에 배치된 베니어 시트(B)는 그와 함께 제 2 프레싱 스테이션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상기 베니어 시트(B)는 제 2 핫 프레스(Y)에 의해 가압되어 적층된 베니어 시트(A)에 접합된다.
제 2 핫 프레스(Y)에 의한 프레싱이 끝난 이후, 적층된 베니어 시트(A 및 B)는 제 3 스테이션의 제 3 핫 프레스(Z)를 향해 이송된다. 제 2 및 제 3 프레싱 스테이션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서, 그 내면상에 접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음영으로 표시된 베니어 시트(C)의 또 다른 쌍이 제 3 베니어 공급기에 의해 공급되고, 엇갈린 배열로 상기 베니어 시트(B)의 대향 외면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렇게 적층된 베니어 시트(A 및 B)상에 배치된 베니어 시트(C)는 제 3 프레싱 스테이션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이들은 제 3 핫 프레스(Z)에 의해 유사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적층된 베니어 시트(A, B 및 C)의 조립체가 형성된다.
상기 베니어 시트 공급, 배설(laying), 핫 프레싱 및 이송을 포함하는 작업 단계는, 각 위치 및 스테이션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따라서, 그 두께를 통해 계수(counted)할 때 6개의 플라이(ply)를 가지는 LVL 보드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내의 소정의 두 개의 인접한 베니어 시트(A, B 또는 C)는 그 단부가 서로 긴밀하게(closely) 접하여 단부 조인트를 형성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베니어 시트(A, B 및 C)는 단부 조인트가 결과적인 LVL 보드내에서 규칙적으로 엇갈린 배열로 분포되도록 배설된다.
원하는 접합 강도로 베니어 시트를 성공적으로 접착하기 위해서, 열 및 압력은 가능한 균일하게 접합 대상 각 베니어 시트의 전체 표면에 인가(apply)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핫 프레싱에 의한 베니어 시트(A, B 또는 C)의 쌍의 접합은 쌍을 이룬 베니어 시트의 표면의 일부가 핫 프레스의 가열판에 의한 직접적 가압 작용을 받지 못한다. 즉, R로 표시된 이송 방향으로 볼 때, 그 상류 단부 부분에 인접한 베니어 시트(A, B 및 C)의 영역은 비록 일부 열이 베니어 시트의 이런 영역으로 전도되기는 하지만, 핫 프레스의 가열판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베니어 시트의 상류 단부는 원하는 강도로 접합되지 않고, 따라서, 결과적인 LVL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단점을 경감(obviate)시키기 위한 시도로 영역(R)이 협소화(narrowed) 또는 감소되는(reduced) 이런 엇갈린 배열로 베니어 시트가 배설되는 경우에, LVL 보드의 소정의 두 인접 층내의 단부 조인트는 서로 보다 근접 배치되고, 따라서, 보드가 굴곡에 대해 보다 약해지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LVL 같은 적층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핫 프레스의 가열판의 일 단부에 인접한 보조 가열판(auxiliary heating plate)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조 가열판의 사용은 베니어 시트 같은 다수의 목재 시트를 사용하여 적층된 베니어 판재(LVL) 같은 적층재(glued laminated wood)의 제조시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 영역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재로서 적층 베니어 판재(laminated veneer lumber)(LVL)를 제조하는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모든 베니어 시트는 적절히 건조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 즉, 약 4mm의 두께, 베니어 시트의 일반적 목재 입자 배향(wood grain orientation)을 따라 측정할 때 약 1,000mm의 길이 및 시트 길이를 가로질러 측정할 때 약 1,000mm의 폭을 가진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장치는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3), 아교 살포 스테이션(glue spreading station)(15), 제 1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27), 제 2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71), 베니어 시트 로딩 스테이션(101), 기재 배치 스테이션(base material positioning station)(127)(도 10) 및 핫 프레싱 스테이션(141)을 가진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는 도면의 상단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롤(29, 73)을 따라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3)으로부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우향으로(rightward) 이동 또는 이송된다. 장치는 추후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다양한 센서 및 회전 인코더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실린더 같은 작동기, 모터 같은 구동부 및 장치의 기타 디바이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유니트(C)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3)에는 베니어 시트(5)의 파일(pile)이 제공되며, 그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파일(pile)내의 최상부 베니어 시트의 목재 입자 패턴으로부터 명백히 보여진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의 도면에서 볼 때, 그 목재 입자가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의 파일로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베니어 시트(5)의 파일은 소정의 적절한 승강기에 의해 지지되며, 이 승강기는 최상위 베니어 시트가 항상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베니어 시트 파일을 설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니어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적절한 센서(미도시)가 제공된다.
베니어 시트(5)의 파일 바로 위에는, 파일로부터 한번에 하나의 베니어 시트(5)를 빼내기(picking) 위한 흡입 헤드(6)가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헤드(6)는 베니어 시트(5)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 배치된 세장형(elongated) 중공 박스(9) 및 유지기(retainer)(8)에 의해 박스(9)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박스(9)의 연장부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흡입 컵(7)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흡입 컵(7), 그 연계된 유지기(8) 및 박스(9)를 통해 구멍이 형성되며, 그래서, 이런 구멍을 통해 대기와 박스 내부가 소통한다. 상기 흡입 컵(7)은 목재 베니어 시트의 표면과 양호하게 접촉하는 합성 고무(synthetic rubber) 또는 스폰지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 박스(9)의 내부는 제어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는 셔터(shutter)(미도시)에 의해 송풍기(blower)(미도시) 같은 소정의 적절한 진공 소스에 포트(9a)를 통해 연결된다. 셔터가 개방될 때에, 공기는 도 4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흐르며, 따라서, 흡입력이 생성된다. 도 3에 두 개의 이중-헤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흡입 헤드(6)는 수직 및 수평 방향 양자 모두로 실린더(미도시)와 같은 소정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니어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 볼 때, 베니어 시트 파일의 직하류(immediately downstream)에는 후속 아교 살포 스테이션(15)을 향해 흡입 헤드(6)에 의해 픽업된(picked up) 베니어 시트(5)를 이송하기 위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은 한 쌍의 롤(11)이 배치된다.
상기 아교 살포 스테이션(15)은 베니어 시트(5)의 상부면에 열경화성 접착제(16)의 사전결정된 체적을 적용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은 닥터 롤(doctor roll)(19) 및 아교 롤(glue roll)(17) 한 쌍을 포함하는 가동성 롤 조립체를 가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닥터 롤(19)은 약 210g의 접착제가 베니어 시트 표면 약 1m2의 면적에 적용되도록 조절된다. 쌍을 이룬 아교 롤(17) 및 닥터 롤(19) 아래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고정 롤(stationary roll)(23)이 제공된다. 참조 번호 21은 고정 롤(23)을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롤 조립체(17, 19)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나타낸다. 보다 명확하게, 실린더(21)는 아교 롤(17)과 고정 롤(23)의 외주면(peripheral surface)사이의 이격 거리가 베니어 시트의 두께 보다 다소 작은 하강 또는 아교 살포 위치와, 아교 롤(17)의 외주면이 고정 롤(23)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격되도록 롤 조립체(17, 19)가 후퇴되는 상승 또는 대기 위치(elevated or standby position) 사이에서 롤 조립체(17, 19)를 이동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아교 살포 스테이션(15)의 하류(downstream)에는 롤(29)의 제 1 그룹 및 롤(73)의 제 2 그룹을 포함하는 다수의 회전가능한 이송 롤이 배열되며, 이들은 이런 롤(29, 73)에 의해 형성된 이송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베니어 시트(5)를 이송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병치 배열된다(arranged in juxtaposed).
비록 상세한 설명이 추후에 제공되지만, 접착제로 코팅된 그 상부면을 가지면서 제 1 롤(29)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베니어 시트는, 이송 경로를 따른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정지되며, 이송 경로에 관해 그곳에 중심설정되고, 그후, 제 1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27)에서 이송 경로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27)은 하기의 배열을 가진다.
센서(31)가 센서(31)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 롤(29)에 의해 이동되는 베니어 시트의 선도 단부(leading end)의 도착을 검출하기 위해 베니어 시트 이송 경로내에 제공된다(도 3). 센서(31)의 상류 약 500mm의 거리에 도 2에 이중 헤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공기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왕복 이동가능한 한 쌍의 중심설정 판(centering plate)(33, 35)이 배치된다. 보다 명확하게, 이들 중심설정판(33, 35)은 롤(29)에 의해 이송되는 베니어 시트가 판(33, 35)을 벗어나도록 판(33, 35)이 서로 1,000mm, 즉, 베니어 시트의 폭 보다 큰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후퇴 위치와, 판(33, 35) 사이에 배치된 베니어 시트가 그후 베니어 시트 이송 경로에 관하여 직선화 및 중심설정되도록(straightened and cnetered) 판(33, 35)이 약 1,000mm의 이격 간격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중심설정 위치 사이에서 공기 실린더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37)는 센서(31)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 베니어 시트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해 센서(31)의 하류에 위치된다. 이 센서(37)의 직하류에는 제 1 정지판(39)이 배치되며, 이 정지판은 정지판(39)이 롤(29)에 의해 운반되는 베니어 시트의 선도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베니어 시트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연장되는 그 동작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39)이 후퇴된 그 비동작 위치 사이에서 실린더(41)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유사한 제 2 정지판(47)이 제 1 정지판(39)의 약 120mm 하류에 이격 배치되며, 연장된 동작 위치와 후퇴된 비동작 위치 사이에서 실린더(49)에 의해 이동된다.
상술한 흡입 헤드(6)와 유사한 흡입 헤드(43)는 제 1 정지판(39)의 상류의 위치에서 베니어 시트 이송 경로 위에 제공된다. 상기 흡입 헤드(43)는 도 2에 이중 헤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정지판(39, 47)의 상류(upstream)에는 베니어 시트 로딩 스테이션(101)을 향해 이송 경로를 가로질러 베니어 시트를 이동 또는 베니어 시트를 횡단하는 제 1 디바이스가 배열된다. 도 2,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는 베니어 시트 이송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두 개의 긴 바아 부분과, 두 개의 긴 바아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짧은 바아 부분을 가지는 리프팅 바아(lifting bar)(51)를 포함하며, 그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볼 때 채널 형상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바아(51)는 그 채널 형상의 폐쇄 단부에서 그에 고착된 블록(block)(51a)을 가지며, 이 블록에는 나사형 구멍이 그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블록(53)상에 고착된 전기 모터(55)는 블록(51a)내의 나사형 구멍과 결합하면서 모터(55)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형 샤프트(56)를 가지며, 그래서, 모터(55)에 의한 샤프트(56)의 회전이 지지블록(53)에 대한 상하로 리프팅 바아(51)가 이동하게 한다. 참조 번호 57, 58은 리프팅 바아(5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블록(51a)을 검출함으로써 각각 리프팅 바아(51)의 최하 및 최상 위치(lowermost and uppermost position)를 결정하기 위한 반사형 센서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53)은 그 중 하나가 모터(65)에 의해 능동적으로(positively) 구동되는 한 쌍의 풀리(63) 사이에 이어진(trained) 벨트(61)에 그 상단부에서 고착되며, 그래서, 상기 블록(53) 및 리프팅 바아(51)를 포함하는 그 연계된 부품이 이중 헤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왕복이동할 수 있다. 참조 번호 67, 68은 지지블록(53)의, 따라서, 리프팅 바아(51)의 이동 범위의 각 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반사형 센서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로부터 약 1,000mm 이격 배치된 그 하류에는 상술한 제 1 횡단 디바이스와 구조 및 배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2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횡단 디바이스의 유사 콤포넌트 부품(component part) 또는 엘리먼트(element)는 프라임(prime)이 부여된 유사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으며, 예로서, 43'는 흡입 헤드, 51'는 리프팅 바아, 39'는 제 1 및 제 2 정지판, 53'은 지지블록을 그리고, 65'는 모터를 나타낸다.
접착제로 코팅된 그 상부면을 가지며, 제 2 이송 롤(73)에 의해 전향 이동되는 베니어 시트는 이송 경로를 따라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정지되고, 중심설정되며, 그후에, 제 2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71)에서 이송 경로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제 2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71)은 하기의 배열을 갖는다.
도 2,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71)은 센서(75)의 상류 약 500mm 거리에 제공된 한 쌍의 제 2 중심설정판(77, 79) 및 센서(75)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서 제 2 롤(73)에 의해 운반되는 베니어 시트의 선도 단부(leading end)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75)(도 6)를 포함한다. 이들 중심설정 판(77, 79)은 제 1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에 관하여 설명된 상술한 제 1 중심설정 판(33, 35)과 구조 및 동작이 동일하다. 다른 센서(81)는 이 센서(81)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 베니어 시트의 선도 단부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서(75)의 약간 하류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81)의 직 하류에는 상술한 정지판(39, 47)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린더(85)에 의해 이동가능한 정지판(83)이 배치되어 있다.
정지판(83)의 약 500mm 상류에는 복수의 흡입 컵(7)을 가지면서, 도 4의 흡입 헤드(6)와 구조가 유사한 제 1 흡입 헤드(87)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헤드(87)는 그 흡입 컵(7)이 상향한 상태로 베니어 시트 이송 경로 아래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헤드(87)는 그에 고착된 블록(90a)을 가지며, 이는 그를 통해 형성된 나사형 구멍을 가진다. 지지블록(91)상에 고착된 전기 서보 모터(93)는 모터(93)에 의해 구동되는, 블록(90a)내의 나사 구멍과 결합되는 나사형 샤프트(98)를 가지며, 그래서, 모터(93)에 의한 샤프트(90)의 회전은 지지블록(91)에 대하여 상하로 흡입 헤드(87)를 이동시킨다. 도 7에서, 참조 번호 92는 샤프트를 나타내며, 이 샤프트 위에는 모터 지지부(91)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래서, 모터 지지부(91) 및 따라서 흡입 헤드(87)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 위치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반전 위치(inverted position) 사이에서 약 180°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회전 인코더(95)가 모터(93)의 회전 각도를 계수하는 서보 모터(93)에 연결되며, 그에 의해, 후술될 기준 위치에 관하여 흡입 헤드(87)의 현 위치를 결정하고, 따라서, 흡입 헤드(87)를 제어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제 1 흡입 헤드(87)의 약 1,000mm 하류에는, 제 2 흡입 헤드(87') 및 그 연계된 부품과 도 7을 참조로 설명된 흡입 헤드(87)의 대응 상대부와 동작 및 구조가 동일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제 2 흡입 헤드(87')를 위한 이런 디바이스 및 부품은 나사형 샤프트(90'), 서보 모터(93'), 회전 인코더(95') 등 같이 프라임이 부여된 동일 참조 번호로 지칭할 것이다.
이제 도 2, 5, 8 및 9를 참조로 베니어 시트 로딩 스테이션(101)이 설명된다. 스테이션(101)에서 디바이스는 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두 개의 베니어 시트를 그 위에 지지하면서 핫 프레싱 스테이션(141)을 향해 이런 베니어 시트를 전달하기 위해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을 포함한다. 한쌍의 안내 부재(105)가 시트 캐리어 판(10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약 1,300mm의 이격 간격으로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의 대향 측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 하나가 서보 모터(115)에 의해 가역적으로(reversibly) 구동되는 한쌍의 풀리(113) 사이에 연결된 한쌍의 벨트(111)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서보 모터(115)는 서보 모터(115)의 회전 각도를 계수하고, 그에 의해, 장치의 사전결정된 위치에 관하여 시트 캐리어 판(103)의 현 위치를 결정하고, 캐리어 판(103)을 제어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게하는 회전 인코더(116)에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벨트(111)는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상에 형성된 상보적(complementary) 원추형 돌출부(103a)와 결합하는 상향 확장 구멍(111a)이 형성된다. 벨트(111)의 구멍(111a)내에 수용된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의 돌출부(103a)에서, 상기 캐리어 판(103)은 판(103)이 벨트(111)에 의해 안내 부재(105)를 따라 이동되도록 벨트(111)와 결합하여 유지된다. 상기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은 삽입 시트(103)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벨트(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판(103)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같은 높은 열 전도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도 8에서 참조번호 117은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베니어 시트가 캐리어 판(103)상에 배치되는 시작 위치에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나타낸다.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은 그 두께를 통해 복수의 구멍(103b)이 형성된다. 보다 명확하게, 상기 캐리어 판(103)은 도 2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구멍(103b)이 캐리어 판(103)상에 배치된 두 개의 베니어 시트 각각에 의해 덮혀지는 방식으로 배열된 12개 만큼 많은 구멍(103b)을 갖는다. 상술된 시작 위치(도 2)에 배치된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에서, 실린더(123)에 의해 이동가능한 로드(12)가 구멍(103b)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캐리어 판(103)내의 각 구멍(103b)과 정렬 배치된 직립 로드(upstanding rod)(121)가 캐리어 판(103) 바로 아래에 제공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스테이션(127)의 기재 배치 디바이스(base material positioning device)가 설명된다. 이 디바이스에 의해 배치되는 기재(base material)(1)(도 10)는 도 11을 참조로 추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배치 디바이스는 실질적인 평탄한 이송 상부 레그를 가지면서 풀리(단 하나의 풀리(131)만이 도시됨) 사이에 연결된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129)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131)는 이중 헤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역적으로 상기 체인 컨베이어(129)를 구동하기 위한 서보 모터(133)에 연결된다. 회전 인코더(135)는 서보 모터(113)의 회전 각도를 계수하기 위해 서보 모터(133)에 접속되며, 그에 의해, 연속적 길이의 LVL 보드가 그 일단부로부터 형성되는 기재(1)를 그 위에 지지하는 체인 컨베이어(129)의 현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후술될 핫 프레스의 가열판에 관한 기재의 제어가능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8을 참조로 핫 프레싱 스테이션(141)이 설명될 것이다. 핫 프레스가 이 가공 스테이션(141)내에 제공되며, 이는 도 8의 도면상에서 측방향으로 측정할 때 약 2,120mm의 길이 및 약 1,100mm의 폭을 가지는 하부 가열판(143)을 포함한다. 이 하부 가열판(143)은 170 내지 190℃의 온도로 증기에 의해 일정하게 가열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후퇴된 비작동 위치와, 그 상승된 동작 위치 사이에서 유압 실린더(14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열판(143)의 좌수측(left hand side)상에 또는 베니어 시트 로딩 스테이션(101)에 인접한 측면상에는, 하부 가열판(143)과 동일한, 또는 약 1,100mm의 폭 및 약 120mm의 길이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보조 하부 가열판(147, 151)이 제공된다. 양 보조 가열판(147, 151)은 하부 가열판(143)과 동일한 온도로 증기에 의해 가열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후퇴된 비작동 위치와 상승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각각 유압 실린더(149, 153)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 보조 가열판이 가열판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 두 개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며, 따라서, 도 8에는 각 가열판을 위해 단 하나의 실린더만이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그 후퇴 위치(도 8)의 제 1 보조 가열판(147)은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하부 가열판(143)의 상단면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그 상단면을 가진다. 상기 실린더(149)는 약 4mm의 거리, 즉, 베니어 시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제 1 보조 가열판(147)을 상승시킨다. 다른 한편, 그 후퇴 위치의 제 2 보조 하부 가열판(151)은 제 1 보조 가열판(147)과 같은 위치에 배치된 그 상단면을 가지지만, 그러나, 이는 실린더(153)에 의해 약 8mm의 거리, 즉, 베니어 시트의 두께의 두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승된다.
핫 프레스는 하부 가열판(143)에 관하여 대면하며,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상부 가열판(155)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상부 가열판(155)은 하부 가열판(143)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동일한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하부 및 상부 가열판(143, 155)은 서로에 대해 편위되어(offset) 배치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보다 명확하게, 예로서, 상기 가열판(143, 155)을 그 폐쇄 상태로 도시하고 있는 도 20b 및 도 20c에 가장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열판(155)은 하부 판(143)에 관해 약 70mm 좌향으로 또는 스테이션(101)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상부 가열판(155)은 각각 내부에 나사(157, 159)를 수용하는 한쌍의 나사형 구멍(미도시)이 그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나사(157)는 순차적으로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게 되는 지지블록(160)에 장착된 서보 모터(161)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나사(159)는 블록(160)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나사(157, 159)는 스프로켓(sprocket)(미도시)을 가지며, 이는 서보 모터(161)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157)의 회전이 나사(159)에 전달되고, 양 나사(157, 159)가 동기식으로(synchronous manner) 회전되도록 무단 체인(16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서보 모터(161)는 이 서보 모터(161)의 회전 각도를 계수하고, 그에 의해 흡입 헤드(87)에 관하여 이전에 언급된 기준 위치에 대한 상부 가열판(155)의 현 위치를 결정하며, 상부 가열판의 제어가능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회전 인코더(rotary encoder)(165)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가열판(155)은 그 로드가 보다 상세히 후술될 원하는 위치에서 가열판(155)을 유지하기 위해 가열판(155)에 접촉되는 한쌍의 유압 실린더(169)를 가진다. 각 실린더(169)는 전자기 밸브(171)를 통해 오일 저장조(oil reservoir)(172)에 접속된 유체 포트(169a)를 갖는다. 상기 밸브(171)는 정상시 개방되어 상부 가열판(155)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지만, 그러나, 가열판(155)이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에 이는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 상부 가열판(173, 17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열판(155)의 좌수측상에 또는 상기 스테이션(101)에 인접한 측면에 제공된다. 이들 보조 가열판(173, 177)은 치수, 형상 및 가열 방식이 하부 가열판(143)을 위한 보조 가열판(147, 151)과 유사하다. 상부 보조 가열판(173, 17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퇴된 비작동 위치와 하강된 동작 위치 사이에서 각각 실린더(175, 179)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된다(각 보조 가열판을 위해 단 하나의 실린더가 도시되어 있음). 그 후퇴 위치의 제 1 및 제 2 보조 상부 가열판(173, 177)은 상부 가열판(155)의 저면과 실질적으로 표면이 일치되게 배치된(located substantially flush) 그 저면을 갖는다. 상기 제 1 보조 가열판(173)은 약 4mm의 거리, 즉, 베니어 시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실린더(175)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실린더(179)는 제 2 보조 가열판(177)을 약 8mm의 거리, 즉 베니어 시트의 두께의 두 배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하강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열판(155, 143) 및 그 연계된 보조 가열판(173, 177 및 147, 151)은 모두 쌍을 이룬 안내 부재(105) 사이의 범위에 배치된다.
상술된 장치에서, 상기 센서 및 회전 인코더는 제어 유니트(C)에 검출 신호 또는 회전 각도 계수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어 유니트는 이런 신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들 및 모터, 실린더 및 장치의 기타 디바이스(소정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이들 모터 및 실린더 포함)와 같은 작동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93, 93' 및 161)에 연결된 회전 인코더(95, 95' 및 165)는 흡입 헤드(87, 87') 및 상부 가열판(155) 각각의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현 위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런 기준 위치는 체인 컨베이어(129)상에 배치된 기재(1)내의 소정의 적절한 위치, 예로서, 그 두께를 가로질러 측정될 때 기재(1)의 중앙 위치, 즉, 기재(1)의 제 4 층 및 제 5 층의 베니어 시트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며, 이런 기준 위치의 데이터는 제어 유니트(C)의 적절한 메모리내에 저장된다.
상술된 장치를 사용한 적층 베니어 판재(LVL) 제조시, 연속적 길이의 LVL 보드가 그로부터 형성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 베니어 조립체 형태의 개시 기재(initial base material)(1)가 미리 준비된다. 상기 개시 기재(a)는 접착제(16)에 의해 함께 배설 및 접착된 약 4mm 두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베니어 시트로 이루어진다. 모든 베니어 시트는 도면에 보여진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그 목재 입자를 가지는 상태로 기재(1)내에 배치된다. 도 11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시 기재(1)는 최하부 베니어 시트로부터 계수할 때 제 1 시트 내지 제 8 시트를 포함하는 베니어 시트의 8개 층을 가지는 8-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기재(1)내의 베니어 시트는 베니어 시트의 소정의 두 인접 층의 단부가 제 5 및 제 6 베니어 시트의 단부 사이 170mm를 제외하고, 약 120mm의 길이로 이격배치되는 규칙적 엇갈림 배열로 배설되며, 또한, 기재(1)의 단부 부분은 단차열의 형태(form of flight of step), 즉, 제 5 내지 제 8 베니어 시트에 의해 상향한 일 열의 단차(one flight of step)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5 베니어 시트에 의해 형성된 하향한 다른 열의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로 성형된다.
보다 명확하게, 상기 개시 기재(1)는 각각 베니어 시트 두께에 대응하는 도면에서 볼 때 수직방향으로 측정된 약 4mm의 치수를 가지는 제 1 단부면(1a), 제 2 단부면(1c), 제 3 단부면(1e), 제 4 단부면(1g), 제 5 단부면(1i), 제 6 단부면(1k), 제 7 단부면(1n) 및 제 8 단부면(1t)과, 각각 베니어 시트의 일반적 입자 배향을 따라 측정할 때 약 120mm의 치수를 가지는 부가의 제 1 면(1b), 제 2 면(1d), 제 3 면(1f), 제 4 면(1h), 제 6 면(1m), 제 7 면(1s)과, 동일 방향으로 측정할 때 약 170mm의 치수를 가지는 제 5 면(1j)을 갖는다.
도 12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이하 상술된 장치를 사용하여 적층재로서 적층 베니어 판재(LVL)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상기 개시 기재(1)는 미리 체인 컨베이어(129)상에 배치된다. 쌍을 이룬 공급 롤(11), 쌍을 이룬 아교 롤(17) 및 닥터 롤(19)과, 고정 롤(23)이 시동되고, 각각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 유지된다. 장치내의 개시 기재(1)를 사용한 LVL 보드의 제조는, 접착제가 적용될 필요가 없으면서 형성될 LVL 보드의 제 5 층내에 배열될 베니어 시트를 공급하면서 시작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아교 롤(17)이 그후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롤(23)로부터 이격된 그 후퇴된 비작동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 유니트(C)가 시작 신호를 수신할 때에, 이는 제 1 컨베이어 롤(29)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고 동시에 실린더(41')를 작동시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연장 위치로 정지판(39')을 이동시키기 위해 신호를 생성한다. 동시에, 상기 흡입 헤드(6)가 도 12a에 이중 헤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파일로부터 최상부 베니어 시트(A5')를 픽업하고, 그후에, 화살표 방향 또는 도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이동하여 베니어 시트(A5')의 선도 단부(leading end)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롤(11)과 제 1 컨베이어 롤(29)에 의해 포획되어 그후 전향(forward) 전달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흡입 헤드(6)는 베니어 시트(A5')가 롤(11)에 의해 그 선도 단부에서 포획될 때 비작동 상태가 된다. 고정 롤(23)을 지나 이동하는 베니어 시트(A5')가 그 선도 단부가 센서(31)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검출 신호가 센서(31)에 의해 제어 유니트(C)로 생성되며, 이 제어 유니트는 그후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베이어 롤(29)을 정지시키기 위해 신호를 전송한다. 동일 신호는 흡입 헤드(6)를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원래의 대기 위치로 화살표 방향으로 복귀 이동하게 한다. 제 1 컨베이어 롤(29)의 정지 때문에,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 제어 유니트(C)에 의해 생성된 다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중심설정판(33, 35)이 작동되어 그들이 베니어 시트(A5')의 측방향 대향 에지들과 접촉할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하며, 그 결과, 상기 베니어 시트(A5')는 직선화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 이송 경로에 대해 중심설정된다. 상기 중심설정판(33, 35)은 베니어 시트가 적절히 중심설정되기에 충분히 긴 중심설정판(33, 35)의 작동 이후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에 서로 그 후퇴 위치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컨베이어 롤(29)이 베니어 시트(A5')를 전향 이동시키도록 다시 회전된다.
베니어 시트(A5')가 그 선도 단부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제어 유니트(C)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39')과 선도 단부가 접촉하기에 충분히 긴 센서(37')에 의한 검출이후의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 컨베이어 롤(29)이 정지하게 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실린더(41')는 정지판(39')을 그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 유니트(C)는 베니어 시트(A5')를 픽업하기 위해 흡입 헤드(43')를 하강시키고, 그후,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A5')를 가지는 흡입 헤드(43')를 대기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실린더(45')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제공한다. 흡입 헤드(43')의 상승과 동시에, 실린더(41)는 정지판(39)을 그 연장된 동작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며, 베니어 시트 공급 스테이션(3)의 흡입 헤드(6)는 동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 파일로부터 최상위 베니어 시트(A5)를 픽업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제 1 컨베이어 롤(29)은 그후 다시 작동되고, 상기 흡입 헤드(6)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롤(11) 사이에서 시트(A5)를 이동시키며, 그래서, 제 2 베니어 시트(A5)가 베니어 시트(A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향 이동된다. 상기 베니어 시트(A5)의 선도 단부가 센서(31)에 의해 검출될 때에, 센서(3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응답하는 제어 유니트(C)는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롤(29)이 정지하게하고, 흡입 헤드(6)가 그 후퇴 위치로 복귀 이동하게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중심설정판(33, 35)은 베니어 시트(A5')와 동일한 방식으로 베니어 시트(A5)를 직선화 및 중심설정하도록 동작한다. 중심설정 판(33, 35)은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 그 후퇴 위치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컨베이어 롤(29)이 베니어 시트(A5)를 전향 이동시키도록 다시 회전된다.
상기 베니어 시트(A5)가 그 선도 단부가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컨베이어 롤(29)은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 정지되고, 그래서, 선도 단부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39')과 접촉한다. 상기 실린더(41)는 정지판(39)을 그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그후, 실린더(45)는 베니어 시트(A5)를 픽업하기 위해 흡입 헤드를 하강시키고, 그후,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A5)를 가진 흡입 헤드(43)를 상승시키도록 동작된다. 이어서, 실린더(49')가 정지판(47')을 그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되고, 동시에 실린더(21)(도 2에 도시)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교 살포 위치로 롤 조립체(17, 19)를 하강시키도록 동작된다. 흡입 헤드(6)는 제 3 베니어 시트(A4')를 픽업하도록 동작되며, 제 1 컨베이어 롤(29)이 회전된다. 상기 베니어 시트(A4')는 공급 롤(11)을 통과하고, 그후,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교 롤(17)과 고정 롤(23) 사이를 통과하며, 그래서, 베니어 시트(A4')가 접착제로 그 상부면이 코팅된다. 이렇게 접착제로 코팅된 그 상부면을 가지는 베니어 시트는, 이하 "코팅된 베니어 시트라 지칭된다. 베니어 시트(A4')가 공급 롤(11)을 통과한 이후, 흡입 헤드(6)는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원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코팅된 베니어 시트(A4')가 그 선도 단부가 센서(31)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컨베이어 롤(29)은 정지되고, 중심설정 판(33, 35)은 베니어 시트 (A4')를 직선화 및 중심설정하도록 동작된다. 중심설정판(33, 35)은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후 그 후퇴 위치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컨베이어 롤(29)이 베니어 시트(A4')를 추가로 전향 이동시키도록 다시 회전된다.
코팅된 베니어 시트(A4')의 선도 단부가 센서(37')에 의해 검출될 때, 컨베이어 롤(29)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도 단부가 정지판(47')과 접촉하기 위한 사전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정지된다. 도 15a에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4')는 제 1 및 제 2 정지판(39' 및 47')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약 120mm의 거리만큼 그로부터 하류로 편위된 위치 또는 도면에서 볼 때 우향으로 편위된 위치에서 베니어 시트(A5') 아래에 배치된다. 코팅된 베니어 시트(A5')가 정지판(47')에 의해 이렇게 배치된 이후, 정지판(47')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된다.
상기 제 2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를 위한 모터(55')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아(51')를 그 블록(51a')이 센서(58')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상향 이동시키도록 동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코팅된 베니어 시트(A4')는 두 베니어 시트(A4', A5')의 인접 단부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20mm의 상기 거리 만큼 엇갈려진 편위 관계로 베니어 시트(A5') 아래에 배치된다. 실린더(49)는 정지판(47)을 그 동작 위치로 연장하도록 동작된다. 이어서, 흡입 헤드(43')가 셔터(미도시)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비동작 상태가 되고, 그래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5')가 리프팅 바아(51')에 의해 베니어 시트(A4')로 지지된다.
이어서, 제 1 컨베이어 롤(29) 및 흡입 헤드(6)를 동작시켜, 제 4 베니어 시트(A4)가 파일로부터 픽업되고, 접착제로 코팅되며,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A4')와 동일한 방식으로 그 선도 단부가 센서(31)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전향 이동된다. 베니어 시트(A4)의 이동이 정지될 때, 흡입 헤드(6)는 후퇴되고, 베니어 시트(A4)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설정판(33, 35)에 의해 중심설정 작업을 받으며, 제 1 컨베이어 롤(29)의 재작동이 이어진다.
상기 컨베이어 롤(29)에 의해 이동된 코팅된 베니어 시트(A4)의 선도 단부가 센서(37)에 의해 검출될 때, 컨베이어 롤(29)은 센서(37)에 의한 검출 이후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에 정지되고, 그래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4)의 선도 단부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47)과 접촉한다. 정지판(47)에 접촉 배치된 그 선도 단부를 가지는 코팅된 베니어 시트(A4)는 베니어 시트(A5) 아래의 위치에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정지판(39, 47)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약 120mm의 거리 만큼 그로부터 하류로 편위된다(offset). 상기 실린더(49)는 그후,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47)을 후퇴시키도록 동작된다.
제 1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를 위한 모터(55)는 리프팅 바아(51')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향으로 리프팅 바아(51)를 이동시키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4)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베니어 시트(A4, A5)의 인접 단부가 약 120mm 만큼 엇갈려진 상태로 편위 관계로 베니어 시트(A5) 아래에 배치된다. 흡입 헤드(43)가 그 연계된 셔터(미도시)를 폐쇄함으로써 비작동 상태가 되고, 그래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5)는 흡입 헤드(43)로부터 방임(release)되고,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아(51')에 의해 베니어 시트(A4)로 지지된다.
비록 도면에는 제 1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그후, 모터(55, 55')가 센서(58, 58')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이상 블록(51a, 51a')을 검출하지 못할 때까지 리프팅 바아(51, 51')를 하강시키도록 동시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베니어 시트(A5, A5')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흡입 헤드(43, 43')로부터 미소한 간극(slight clearance)으로 위치된다(단지 베니어 시트 A5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음).
이어서, 제 1 및 제 2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를 위한 모터(65, 65')가 작동된다. 이하, 도 18a 내지 도 18d를 참조로 리프팅 바아(51)의 이동 및 제 1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의 관련 동작을 설명하지만, 동일 동작이 제 2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를 위해서도 동시에 발생한다.
상기 모터(65)는 리프팅 바아(51)가 고착되어 있는 지지 블록(53)을 블록(53)이 센서(67)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도 18a에 화살표로 표시된 우향으로 이동시키며, 여기서, 그 위에 베니어 시트(A4, A5)를 지지하는 리프팅 바아(51)는 동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 바로 위에 배치된다. 그후, 실린더(123)는 직립 로드가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내에 형성된 구멍(103b)을 통해 삽입될 때까지 직립 로드(121)를 상승시키도록 작동되며, 그래서, 조합된 베니어 시트(A4, A5)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아(51)를 벗어나도록 로드(121)에 의해 상향으로 밀려진다. 벨트(61)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68)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지지블록(53)을 뒤로 이동시키도록 모터(65)에 의해 구동된다. 이어서, 실린더(123)는 그 로드(121)를 후퇴시키도록 동작되고, 그래서, 베니어 시트(A4, A5)가 캐리어 판(103)상에 배치되며, 리프팅 바아(51)가 모터(55)에 의해 그 원 위치로 하강되고, 여기서, 블록(51a)은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57)에 의해 검출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캐리어 판(103) 위에 배치된 두 베니어 시트(A4, A4' 또는 A5, A5')는 그 인접 단부가 서로에 관해 대면하여 설정된 상태로 하나 다음에 나머지가 배치된다. 핫 프레스의 가열판(143, 155)에 인접한 코팅된 베니어 시트(A4')의 일 단부가 도 19a의 좌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20mm의 거리로 캐리어 판(103)의 인접 단부면(103c)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니어 시트(A4, A4',A5,A5')가 상술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캐리어 판(103)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캐리어 판(103)은 크기설정 및 배열된다.
상기 서보 모터(133)는 체인 컨베이어(129)상에 배치된 개시 기재(1)의 제 6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6 단부면(1k)(도 11)이 도 19a의 우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열판(155)의 인접 단부면(155a)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체인 컨베이어(129)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어서, 모터(115)는 캐리어 판(103)의 단부면(103c)이 도 19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 기재(1)의 제 3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3 단부면(1e)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는 위치가 도달될 때까지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과 함께 벨트(111)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벨트(11) 및 이에 따라 캐리어 판(103)이 정지되어야 하는 위치는 모터(115)의 회전 각도를 계수함으로써 장치의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에 관하여 캐리어 판(103)의 현 위치를 결정하는 회전 인코더(116)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11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C)에 의해 결정된다.
그후에, 유체 포트(169a)를 통해 실린더(169)에 연결된 전자기 밸브(171)는 개방되고, 가열판(155)의 하부면이 베니어 시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로 기재(1)의 상술된 기준 위치로부터 이격 배치된 위치, 즉, 상부 가열판(155)의 하부면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 기재(1)의 제 5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5 면(1j)과 접촉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보 모터(161)가 상부 가열판(155)을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상부 가열판(155)이 정지되어야 하는 위치는 모터(161)의 회전 각도를 계수함으로써, 기재(1)의 상술된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에 관하여 상부 가열판(155)의 현 위치를 결정하는 회전 인코더(165)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서보 모터(16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C)에 의해 결정된다. 전자기 밸브(171)는 모터(161)가 정지된 이후 폐쇄된다.
그 후에, 유압 실린더(145, 145)가 작동되어 하부 가열판(143)을 상승시킨다. 하부 가열판(143)이 상향 이동되는 동안에, 그 위에 베니어 시트(A4, A5, A4', A5')를 지지하는 캐리어 판(103)이 벨트(111)로부터 분리되고,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가 가압될 때까지 가열판(143)과 함께 추가로 상향 이동된다. 네 개의 베니어 시트(A4, A4', A5, A5')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위치 관계로 가열판(155, 143) 사이에서 가압되며, 또한, 개시 기재(1)에 인접한 코팅된 베니어 시트(A4', A5')의 우단부가, 각각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 기재(1)의 제 4 층 및 제 5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4 및 제 5 단부면(1g 및 1i)에 대해 대면하여 설정되도록 가압된다. 부가적으로, 코팅된 베니어 시트(A4, A4')의 전체 표면적은 하부 가열판(143)으로부터의 압력을 받으며, 동일 전체 표면적이 가압 동안 상부 가열판(155)에 의해 보강 및 지지된다. 핫 프레싱은 약 1MPa의 압력으로 약 3분 동안 지속된다. 이 핫 프레싱 동안, 보조 가열판(147, 151, 173, 177)은 베니어 시트의 핫 프레싱에 기여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 유니트는 이 핫 프레싱 동안 적절한 시기에 베니어 시트이 다음 세트를 준비하기 위해 상기 핫 프레싱의 3분 동안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 단계를 개시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 2 컨베이어 롤(73) 및 제 1 컨베이어 롤(29)은 회전 구동되고, 상기 실린더(85')는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83')을 연장시키도록 동작된다. 동시에, 상기 흡입 헤드(6)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A6')를 픽업하고, 아교 살포기(17, 23)를 통해 베니어 시트(A6')를 공급하도록 동작된다. 코팅된 베니어 시트(A6')가 센서(75)에 의해 그 선도 단부에서 검출될 때, 제 2 컨베이어 롤(73)이 정지되고, 제 2 중심설정판(77, 79)(단지 하나의 판(79)만이 도시됨)이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된 베니어 시트를 직선화 및 중심설정하도록 동작된다. 중심설정이 종결된 이후, 상기 제 2 컨베이어 롤(73)이 다시 코팅된 베니어 시트(A6')를 전향 이동시키도록 회전된다. 베니어 시트(A6')가 그 선도 단부가 센서(81')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에, 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81')에 의한 검출 이후, 선도 단부가 정지판(83')에 접촉하기에 충분히 긴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 제 2 컨베이어 롤(73)이 정지된다.
상기 실린더(85')는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퇴 위치로 정지판(83')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고, 서보 모터(93')는 흡입에 의한 유지를 위해 제 2 흡입 헤드(87')를 상승시키고, 그후, 도 22a 및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 이송 경로 위의 사전결정된 위치가 흡입 헤드(87')에 의해 도달될 때까지 코팅된 베니어 시트(A6')를 상승시키도록 동작한다. 서보 모터(93')의 동작은 예로서, 모터(161)를 위한 인코더(165)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회전 인코더(95')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는 제어 유니트(C)에 의해 제어된다. 그후에, 실린더(85)는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83)을 연장시키도록 동작된다. 동시에, 제 2 컨베이어 롤(73)이 다시 회전되고, 흡입 헤드(6)가 베니어 시트(A6)를 픽업하여 도 22a 및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교 살포기(17, 23)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된다. 상기 코팅된 베니어 시트(A6)가 그 선도 단부가 센서(75)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컨베이어 롤(73)은 정지되고, 코팅된 베니어 시트(A6)는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설정판(77, 79)에 의해 중심설정된다. 이어서, 컨베이어 롤(73)은 다시 회전되어 코팅된 베니어 시트(A6)를 전향 이동시킨다.
상기 코팅된 베니어 시트(A6)가 그 선도 단부가 센서(81)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로 이동할 때, 컨베이어 롤(73)은 베니어 시트(A6)의 선도 단부가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83)과 접촉하도록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 정지되며, 실린더(85)는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83)을 그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로 설명된 동작과 유사하게, 서보 모터(93)는 도 23b 및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 이송 경로 위의 사전결정된 위치로 흡입 헤드(87)를 상승시키도록 동작된다. 베니어 시트(A6' 및 A6) 양자 모두가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결정된 위치에 이렇게 배치되었을 때, 제어 유니트(C)는 모터 지지부(91. 91') 및 이에 따라 흡입 헤드(87, 87')를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A6, A6')는 그 코팅된 표면이 기재(1) 바로 위에 배치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약 180° 선회시키도록 선회축(92, 92')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9')를 작동시킴으로써 연장된 정지판(47') 및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 제 1 컨베이어 롤(29)에서, 흡입 헤드(6)가 동작되어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교 살포기(17, 23)를 통해 베니어 시트(A3')를 픽업 및 이송하도록 동작하며, 코팅된 베니어 시트(A3')의 선도 단부가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1)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전향 이동시킨다. 도 24c의 위치에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3')는 중심설정판(33, 35)에 의해 중심설정되며, 여기서, 컨베이어 롤(29)은 다시 회전되고, 코팅된 베니어 시트(A3')는 예로서, 베니어 시트(A5')를 참조로 상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정지판(47')과 접촉할 때까지 전향 이동된다.
상기 모터(55')는 그 블록(51a')이 센서(58')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리프팅 바아(51')를 상승시키도록 동작하며, 그래서, 상기 코팅된 베니어 시트(A3')는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이송 경로 위의 위치에 유지된다. 그후, 실린더(49', 49)의 동작시,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판(47')이 후퇴되고, 정지판(47)이 연장된다. 제 1 컨베이어 롤(29)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헤드(6)는 도 25b 및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교 살포기(17, 23)를 통해 베니어 시트를 픽업 및 공급하도록 동작되며, 베니어 시트(A3)는 그 선도 단부가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1)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전향 이동되고, 여기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3)는 중심설정판(33, 35)에 의해 중심설정된다.
컨베이어 롤(29)이 코팅된 베니어 시트(A3)를 전향 이동시키도록 다시 회전된다. 상기 베니어 시트(A3)가 그 선도 단부가 센서(37)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베니어 시트(3)의 선도 단부가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47)과 접촉하도록 검출 이후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 컨베이어 롤(29)이 정지된다. 상기 모터(55)는 블록(51a)이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58)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리프팅 바아(51)를 상승시키도록 동작된다. 실린더(49)는 정지판(47)을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비록 도면은 단지 제 1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그후에, 모터(55, 55')는 동시에 동작되어 센서(58, 58')가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51a, 51a')를 더 이상 검출할 수 없을 때까지 리프팅 바아(51, 51')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베니어 시트(A3, A3')는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흡입 헤드(43, 43')로부터 미소 유격으로 배치된다.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로 설명된 상기 동작 단계는, 도 20c의 핫 프레싱 동작의 3분 동안 수행된다. 접착제는 이 핫 프레싱 동안 충분히 설정되어 두 세트의 베니어 시트(A4, A4' 및 A5, A5') 및 개시 기재(1)를 서로 접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추가된 베니어 시트(A4, A4', A5, A5')를 포함하는 새로운 기재가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런 기재는 참조 번호 1-1로 지칭할 것이다.
3분이 경과하였을 때에, 제어 유니트(C)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자기 밸브(171)(도 8)를 개방시키고, 그후, 서보 모터(161)가 상부 가열판(155)을 그 원래 대기 위치로 상향 이동시키도록 동작시키며, 유압 실린더(145)를 하부 가열판(143)을 그 원래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캐리어 판(103)은 캐리어 판(103)의 돌출부(103a)가 벨트(111)내의 구멍(111a)에 수용된 상태로 벨트(111)와 결합할 때까지 하부 가열판(143)을 하강시킨다.
그후, 상기 모터(115)가 작동되어 벨트(111)에 결합된 캐리어 판(103)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캐리어 판(103)의 좌단부(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가 센서(117)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벨트(111)를 구동한다. 동시에, 모터(133)가 또한 작동되어 도 2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된 베니어 시트(A6')의 인접 단부면과 기재(1-1)의 제 6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6 단부면(1k)이 실질적으로 정렬하는 위치로 기재(101)를 이동시키도록 체인 컨베이어(129)를 구동한다.
이어서, 제 1 및 제 2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를 위한 모터(65, 65')가 작동된다. 비록, 이하에서, 리프팅 바아(51)의 이동 및 제 1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의 관련 동작을 도 29a 내지 도 29d를 참조로 설명하지만, 동일한 동작이 제 2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65)는 블록(53)이 센서(67)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도 29a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우향으로 지지블록(53)을 이동시키도록 벨트(61)를 구동하며, 이 지지블록에는 리프팅 바아(51)가 고착되어 있으며, 여기서, 그 위에 베니어 시트(A3)를 지지하는 리프팅 바아(51)는 동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 바로 위에 배치된다. 그후에, 실린더(123)는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A3)가 리프팅 바아(51) 외측으로 로드(121)에 의해 상향 추진되도록 베니어 시트 캐리어 판(103)내의 구멍(103b)을 통해 그들이 삽입될 때까지 직립 로드(121)를 상승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 벨트(61)는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68)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지지블록(53)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모터(65)에 의해 구동된다. 이어서, 실린더(123)가 작동되어 베니어 시트(A3)가 캐리어 판(103)상에 배치되고, 리프팅 바아(51)가 모터(55)에 의해 블록(51a)이 센서(57)에 의해 검출되는 도 2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원래 위치로 하강되도록 그 로드(121)를 후퇴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일련의 동일 동작 단계가 제 2 베니어 시트 횡단 디바이스를 위해 수행되며, 그래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3')가 캐리어 판(103)상에 배치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판(103)상에 배치된 두 개의 베니어 시트(A3, A3')는 그 인접 단부가 서로 대면 관계로 설정된 상태로 하나 다음에 나머지가 배치된다.
그후, 상기 서보 모터(93, 93')가 작동되어 도 30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된 베니어 시트(A6, A6')가 도 30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이 이전에 적층된 베니어 시트(A5, A5')의 표면 및 기재(1-1)의 제 5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5 표면(1j)과 바로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될 때까지 흡입 헤드(87, 87')를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모터(93, 93')가 정지된 이후에, 그 연계된 셔터(미도시)를 폐쇄함으로써, 흡입 헤드(87, 87')가 비작동 상태가 되며, 그래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6, A6')가 기재(1-1) 위에 배치된다.
선회축(92, 92')은 모터 지지부(91, 91') 및 그에 따라 흡입 헤드(87, 87')를 약 180°선회시키도록 회전되며, 그후, 서보 모터(93, 93')가 회전되어 흡입 헤드(87, 87')를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원래 대기 위치로 복귀 이동시킨다.
서보 모터(133)는 도 31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열판(155)의 인접 단부면(155a)과 기재(1-1)의 제 7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7 단부면(1n)이 실질적으로 정렬하는 위치로 그 위의 기재(1-1)를 이동시키기 위해 체인 컨베이어(129)를 구동하도록 작동된다. 이어서, 벨트(111)를 구동하기 위한 서보 모터(115)가 캐리어 판(103)상의 코팅된 베니어 시트(A3')의 선도 단부(또는 도면에서 볼 때 우수측 단부)의 표면이 도 31b의 동일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1)의 제 3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3 단부면(1e)과 실질적으로 정렬하는 위치가 도달될 때까지 도 31b의 화살표 방향으로 캐리어 판(103)을 이동시키도록 동작된다.
그후, 실린더(175)가 작동되어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4mm 만큼 제 1 보조 상부 가열판(173)을 하강시킨다.
상기 전자기 밸브(171)가 개방되고, 서보 모터(161)가 작동되어 상부 가열판(155)의 하부면이 베니어 시트의 두배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기재(1-1)의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 즉, 도 31c의 우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열판(155)의 하부면이 기재(1-1)의 제 6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6 표면(1m)과 바로 접촉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부 가열판(155)을 하강시킨다. 전자기 밸브(171)는 상부 가열판(155)이 배치되고 서보 모터(161)가 정지된 이후 폐쇄된다. 상부 가열판(155)의 상기 위치에서, 베니어 시트(A5)의 상부면의 부분은 도 31c의 좌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상부 가열판(173)과 접촉하여 유지된다.
그후, 실린더(149)는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4mm 만큼 제 1 보조 하부 가열판(147)을 상승시키도록 작동되고, 유압 실린더(145, 145)가 작동되어 보조 하부 가열판(147)과 함께 하부 가열판(143)을 상승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 위에 베니어 시트(A3, A3')를 지지하는 캐리어 판(103)은 벨트(111)로부터 분리되고, 베니어 시트(A3, A3', 6, A6')가 도 32a 및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1)에 대해 가압될 때까지 가열판(143)과 함께 상향 이동된다.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팅된 베니어 시트(A3')는 그 단부가 기재(1-1)의 제 3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3 단부면(1e)에 대해 대면 관계인 상태로 배열되며, 기재(1-1)의 이미 적층된 베니어 시트(A4')의 부분과 제 4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3 표면(1f) 위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베니어 시트(A6')는 그 우단부가 기재(1-1)의 제 6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6 단부면(1k)에 대해 대면 관계로 배열되며, 기재(1-1)의 이미 적층된 베니어 시트(A5')의 부분과 제 5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5 표면(1j) 위로 연장한다. 부가적으로, 이 핫 프레싱 동안에, 코팅된 베니어 시트(A3, A3')의 전체 표면 영역은 하부 가열판에 의해 가압되며, 동일 전체 표면 영역은 상부 가열판(155)에 의해 지지된다. 다른 한편, 코팅된 베니어 시트(A, A6')의 전체 표면 영역은 상부 가열판(155)으로부터 압력을 받는다. 동일 전체 표면 영역의 주 부분은 하부 가열판(143)에 의해 제지되며, 하부 가열판(143)의 좌단부면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그 잔여 부분은 제 1 보조 하부 가열판(147)에 의해 지지된다.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 프레싱은 약 1MPa의 동일 압력하에서 약 1분 동안 이어진다.
이 1분 핫 프레싱 동안, 두 개의 코팅된 베니어 시트(A7, A7')가 베니어 시트(A6, A6')와 동일한 방식으로 준비되고,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1) 위에 배치되며, 두 개의 코팅된 베니어 시트(A2, A2')가 예로서,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니어 시트(A3, A3')와 동일한 방식으로 준비된다.
1분 핫 프레싱이 종료하였을 때, 제어 유니트(C)는 하부 및 상부 가열판(143, 155)이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퇴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캐리어 판(103)이 벨트(111)와 결합할 때까지 가열판(143)과 함께 하강된다. 이 핫 프레싱 이후, 비록, 접착제는 아직 완전히 경화되지 않았지만, 기재(1-1) 및 베니어 시트(A3, A3', A6, A6')는 접착에 의해 접합된다. 따라서, 추가된 베니어 시트(A3, A3', A6, A6')를 포함하는 새로운 기재가 형성되며, 이는 참조 번호 1-2로 지칭될 것이다.
그후, 모터(115)는 캐리어 판(103)의 좌단부가 센서(117)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캐리어 판(103)을 이동시키도록 벨트(111)를 구동하도록 작동된다. 동시에, 모터(133)는 기재(1-2)의 제 7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7 단부면(1n)이 도 3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된 베니어 시트(A7')의 우단부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기재(1-2)를 이동시키기 위해 체인 컨베이어(129)를 구동하도록 동작된다.
이렇게 기재(1-2)가 배치된 상태에서, 모터(93, 93')가 작동되어 도 3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된 베니어 시트(A7, A7')가 그들이 이전에 적층된 베니어 시트(A6, A6')의 표면 및 기재(1-2)의 제 6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6 표면(1m)과 바로 접촉하여 배치될 때까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흡입 헤드(87, 87')를 하강시키도록 동작된다. 모터(93, 93')가 정지된 이후, 흡입 헤드(87, 87')가 그 연계된 셔터(미도시)를 폐쇄함으로써 비작동 상태가 되며, 그래서, 코팅된 베니어 시트(A7, A7')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2)상에 배치된다.
그후, 서보 모터(133)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129)를 이동시키면, 제 8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8 단부면(1t)이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열판(155)의 인접 단부면(155a)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화살표 방향으로 기재(1-2)가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모터(115)가 구동되어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판(103)상의 코팅된 베니어 시트(A2')의 선도 단부(또는 도면에서 볼 때 우수측 단부)가 기재(1-2)의 제 2 단부면(1c)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도 35a의 화살표 방향으로 캐리어 판(103)을 이동시킨다.
그후, 실린더(179)가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8mm의 거리 만큼 제 2 상부 보조 가열판(177)을 하강시키도록 동작된다.
이어서, 전자기 밸브(171)가 개방되고, 그후, 서보 모터(161)가 작동되어 상부 가열판(155)의 하부면이 베니어 두께의 3배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기재(1-2)의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 즉,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2)의 베니어 시트의 제 7 층의 제 7면(1s)과 상부 가열판(155)의 하부면이 바로 접촉하는 위 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부 가열판(155)을 하강시킨다.
상기 상부 가열판(155)이 배치되고 서보 모터(161)가 정지된 이후, 상기 전자기 밸브(171)는 폐쇄된다. 상부 가열판(155)이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상부 보조 가열판(173, 177)은, 도 35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코팅된 베니어 시트(A6 및 A5)의 상부면과 접촉 결합하여 배치된다.
또한, 실린더(153)는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8mm의 거리 만큼 제 2 하부 보조 가열판(151)을 상승시키도록 작동된다. 그 뒤, 도 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2)에 대해 베니어 시트(A2, A2', A7, A7')를 핫 프레싱하기 위해, 캐리어 판(103)과 함께 하부 가열판(143)을 상승시키기 위한 실린더(145)의 동작이 이어진다.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된 베니어 시트(A2')는 기재(1-2)의 제 2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2 단부면(1c)에 대해 대면 관계의 그 우단부(도면에서 볼 때)를 가지는 상태로 가압되고, 이전에 적층된 베니어 시트(A3')의 부분 및 기재(1-2)의 제 3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2 면(1d) 위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상기 코팅된 베니어 시트(A7')는 그 우단부가 기재(1-2)의 제 7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7 단부면(1n)에 대해 대면 관계로 가압되며, 이전에 적층된 베니어 시트(A6')의 부분 및 기재(1-2)의 제 6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6 면(1m) 위로 연장한다. 부가적으로, 핫 프레싱 동안에, 코팅된 베니어 시트(A2, A2')의 전체 표면 영역이 하부 가열판(143)에 의해 가압되고, 동일 전체 표면 영역이 상부 가열판(155)에 의해 지지된다. 다른 한편, 코팅된 베니어 시트(A7, A7')의 전체 표면 영역이 상부 가열판(155)에 의해 가압된다. 동일 전체 표면 영역의 주 부분은 하부 가열판(143)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 가열판(143)의 좌단부면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그 나머지 부분은 제 1 보조 하부 가열판(147)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하부 가열판(143)에 의해 덮여지지 않으면서, 이전 핫 프레싱 작업에서 단지 1분만 핫 프레싱된 베니어 시트(A3, A4) 사이의 접촉 영역의 부분은 제 1 보조 하부 가열판(147)으로부터 열 및 압력을 받으며, 동일 영역은 상부 가열판(155) 및 제 1 보조 상부 가열판(173)에 의해 지지된다. 동일한 바가 상부 가열판(155)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베니어 시트(A7, A6) 사이의 접촉 영역의 부분에 대해서도 사실이다. 이 접촉 영역의 부분은 제 1 보조 상부 가열판(173)으로부터 열 및 압력을 받으며, 제 1 및 제 2 보조 하부 가열판(147, 15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이 접촉 영역의 접착제의 경화는 완전한 경화를 향해 촉진된다. 도 36a의 핫 프레싱은 약 1MPa의 동일 압력하에서 약 1분 동안 지속된다.
베니어 시트(A2, A2')상에 코팅된 접착제는 캐리어 판(103)을 통해 하부 가열판(143)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경화되기 시작한다. 부가적으로, 하부 가열판(143)으로부터의 열은 또한 베니어 시트(A2, A2')를 통해 베니어 시트(A3, A3')로 전달되거나, 직접적으로 제 1 하부 보조 가열판(147)에 의해 전달되며, 그래서, 베니어 시트(A3, A3')상의 접착제의 경화는 이 핫 프레싱 작업 동안 추가된다. 유사하게, 베니어 시트(A7, A7')상에 코팅된 접착제는 상부 가열판(155)으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경화되기 시작하며, 동일 가열판(155)으로부터 베니어 시트(A7, A&')를 통해 또는 제 1 상부 보조 가열판(173)에 의해 직접적으로 베니어 시트(A6, A6')로 전달된 열은 베니어 시트(A6, A6')상의 접착제의 경화를 촉진하는 것을 돕는다.
프레싱 이후에, 기재(1-2) 및 베니어 시트(A2, A2', A7, A7')는 비록 접착제가 아직 완전히 경화되지 않았지만 접착에 의해 통합된다. 추가된 베니어 시트(A2, A2', A7, A7')를 포함하는 새로운 기재가 형성되며, 이는 참조 번호 1-3으로 지칭될 것이다.
비록,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었지만, 상기 1분의 핫 프레싱 작업 동안, 두 쌍의 코팅된 베니어 시트(A8, A8' 및 A1, A1')가 각각 베니어 시트(A^, A6') 및 베니어 시트(A3, A3')와 동일한 방식으로 준비된다.
1분의 상기 핫 프레싱이 종료한 이후, 일련의 작업 단계가 수행되어 두 세트의 베니어 시트(A1, A1' 및 A8, A8')를 배설 및 핫 프레싱한다. 이런 작업이 수행되는 방식은 베니어 시트(A2, A2' 및 A7, A7')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 핫 프레싱은 약 1MPa의 동일 압력하에서 약 3분 동안 지속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핫 프레싱 동안, 코팅된 베니어 시트(A1')는 그 우단부(도면에서 볼 때)가 기재(1-3)의 제 1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1 단부면(1a)에 대해 대면 관계로 가압되며, 이전에 적층된 베니어 시트(A2')의 부분 및 기재(1-3)의 제 2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1 면(1b) 위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코팅된 베니어 시트(A8')는 기재(1-3)의 제 8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8 단부면(1t)에 대해 대면 관계로 배치된 그 우단부를 가지며, 이전에 적층된 베니어 시트(A7')의 부분 및 기재(1-3)의 제 7 층내의 베니어 시트의 제 7 면(1s) 위로 연장한다. 부가적으로, 이 핫 프레싱 동안, 코팅된 베니어 시트(A1, A1')의 전체 표면 영역이 하부 가열판(143)에 의해 가압되며, 동일 전체 표면 영역은 상부 가열판(155)에 의해 지지된다. 다른 한편, 코팅된 베니어 시트(A8, A8')의 전체 표면 영역은 상부 가열판(155)에 의해 가압된다. 동일 전체 표면 영역의 주 부분은 하부 가열판(143)에 의해 지지되며, 하부 가열판(143)의 좌단부면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그 나머지 부분은 제 1 보조 하부 가열판(147)에 의해 지지된다. 도 36a의 예시와의 비교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은 바와 같이, 보조 가열판은 각각 하부 및 상부 가열판(143, 155)에 의해 덮여지지 않으면서 이전 핫 프레싱 작업 동안 단지 1분 동안만 가열된 베니어 시트(A2, A3 및 A6, A7) 사이의 접촉 영역의 이들 부분에 열 및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이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베니어 시트(A3, A4 및 A6, A7) 사이의 접촉 영역의 부분은 제 2 보조 가열판(151, 177)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받는다. 도 36b의 핫 프레싱은 약 1MPa의 동일 압력하에서, 약 3분 동안 지속된다.
3분의 상기 핫 프레싱 작업이 끝난 이후, 기재(1-3) 및 베니어 시트(A1, A1', A8, A8')는 비록 접착제가 아직 완전히 경화되지는 않았지만, 접착에 의해 통합된다. 따라서, 새로운 기재(1')가 도 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며, 그 단부 부분은 도 11에 도시된 개시 기재(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차열 형태로 형성된다.
그후, 제어 유니트(C)는 상부 및 하부 가열판(155, 143), 제 1 및 제 2 상부 보조 가열판(173, 177) 및 제 1 및 제 2 하부 보조 가열판(147, 151)이 그 원래의 대기 위치로 각각 도 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되게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모터(115)가 벨트(111)를 구동하도록 동작되며, 도 37b의 화살표 방향으로 캐리어 판(103)을 그 원래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모터(133)가 동작되어 체인 컨베이어(129)에 지지된 기재(1')가 기재(1')의 제 6 층내의 베니어 시트(A6)의 단부면(1k)이 실질적으로 도 37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열판(155)의 단부면(155a)과 정렬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체인 컨베이어(129)를 이동시킨다.
그후에, 도 12 내지 도 37을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 단계가 원하는 길이의 8층 LVL 보드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횟수로 반복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도 11에 도시된, 약 4mm의 두께를 각각 가지는 8 층의 베니어 시트를 가지는 적층된 베니어 조립체가 연속적 길이의 LVL 보드가 그 일 단부로부터 제조되는 개시 기재(1)로서 사용되었다. 베니어 시트 두께 또는 층의 수가 변경되는 경우, 흡입 헤드(87, 87') 및 상부 가열판(155)이 그에 대해 배치되는 상술된 기준 위치는 변경된다. 이런 경우에, 기준 위치는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준 위치는 기재 두께를 횡단하여 측정할 때, 체인 컨베이어(129)상에 지지된 새로운 개시 기재의 중앙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새로운 기준 위치의 설정은 또한, 층의 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필요해진다. 이런 경우에, 핫 프레싱을 위한 시간 길이는 양호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 12 내지 도 37을 참조로 설명된 단계들을 포괄하는 각 완전한 동작 사이 클의 다른 유사 단계 보다 제 1 및 최종 핫 프레싱 단계(또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도 20c 및 도 36b)를 위해 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 및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하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베니어 시트가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여 그 인접 단부들이 설정된 상태로 하나가 나머지 다음에 배치되는 적층을 위해 한 세트로서 준비되었다. 그러나, 준비되는 한 세트의 베니어 시트의 수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 베니어 시트가 한 세트의 베니어 시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8a 및 38b에 도시된 변경 실시예는 상부 가열판(155')이 고정식이고, 체인 컨베이어(129)가 도 38a에 이중 헤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여, 그 위에 지지된 기재가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양호한 실시예와 다르다. 이를 위해, 서보 모터(129') 및 그 중 하나가 모터(129')에 연결되어 그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 샤프트가 수직방향으로 체인 컨베이어(129)를 제어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체인 컨베이어(129)는 일반적으로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강 위치에 배치되며, 예로서, 상부 가열판(155')의 우단면(155')에 대해 기재를 배치하기 위한 양호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평 방향으로 제어가능하게 이동가능하다. 핫 프레싱 동작에서, 그 위에 기재를 가지는 체인 컨베이어(129)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부 가열판(155)이 하강되는 거리에 대 응하는 거리 만큼 모터(129')에 의해 상향 이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층된 베니어 시트 조립체가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그후, 하부 가열판(143)이 약 1MPa의 압력을 적용하기 위해 상승된다.
도 39a는 제 1 내지 제 5 층내의 베니어 시트가 하향 대면 경사면과 사전결정된 각도로 경사지거나 스카프 컷팅된 그 일 단부를 가지며, 제 6 내지 제 8 층내의 베니어 시트가 그 경사면이 상향 대면하도록 대향 방향으로 동일 각도로 경사진 그 일 단부를 가지는 대안적 형태의 개시 적층 베니어 조립체(1)를 도시한다.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기재에 대한 적층을 위한 베니어 시트는 각 베니어 시트의 대향 경사면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동일 방향으로 동일 각도로 경사진 그 대향 단부를 가진다. 베니어 시트는 도 39b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층 내의 소정의 두 인접 베니어 시트 사이에 랩 조인트(lap joint)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적층된다. 비록 Q로 표시된 베니어 시트 단부의 부분이 핫 프레싱 동안 단지 감소된 압력만을 받지만, 이들은 이런 부분의 영역이 작기 때문에, 결과적인 LVL 보드의 일반적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양호한 실시예 및 도 39a의 변형 실시예에서, 8 층 개시의 일 단부는 두 개의 단차열의 형태로 형성되며, 일 단차열은 제 5 내지 제 8 베니어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향 대면하며, 나머지 단차열은 제 1 내지 제 5 베니어 시트에 의해 형성되며 하향 대면한다. 본 발명은 이런 형태의 개시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시 기재는 예로서, 도 11의 기재의 제 1 내지 제 5 층에서만 베니어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되어 결과적인 기재의 단부가 하향 대면한 단일 단차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개시 기재의 경우에, 베니어 시트(A4, A4', A5, A5')는 도 20c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층된다. 도 32b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단지 베니어 시트(A3, A3')만이 적층된다. 도 36a 및 도 36b의 것들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단지 베니어 시트(A2, A2' 및 A1, A1')만이 각각 기재에 접합된다.
비록 양호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보조 가열판이 상부 및 하부 가열판 각각의 일 단부에 인접 제공되었지만, 본 발명은 사용되는 보조 가열판의 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 하나의 보조 가열판 또는 대안적으로 둘 이상의 유사한 가열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 가열판의 배열은 반전될 수 있다. 즉, 169 같은 실린더를 가지면서 161 같은 서보 모터에 의해 이동되고, 165 같은 회전 인코더를 구비하는 가열판이 하부 가열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145 같은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가열판이 상부 가열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핫 프레스의 가열판의 일 단부에 인접한 보조 가열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조 가열판의 사용은 베니어 시트 같은 다수의 목재 시트를 사용하여 적층된 베니어 판재(LVL) 같은 적층재의 제조시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 영역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Claims (8)

  1. 사전결정된 길이(predetermined length), 폭 및 두께를 가지며,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핫 프레싱에 의해, 보드의 각 층내의 목재 시트가 인접 층내의 목재 시트에 대해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엇갈려진 관계(staggered relation)로 배열된, 적층재의 연속적 길이의 다층 보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함께 적층된 다수의 목재 시트(wood sheet)로 이루어진 적층재(glued laminated wood)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다수의 목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사전결정된 두께 및 단부 부분을 가지는 개시 기재(initial base material)로서, 상기 연속적 길이의 적층재 보드가 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시 기재의 단부 부분이 일련의 교번적인(alternate), 상기 개시 기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표면, 및 상기 제 1 표면에 관하여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하는 제 2 표면을 가지는 단차열의 형태로 성형되며, 상기 개시 기재의 두께를 횡단하는(across) 소정의 두 인접 제 1 표면 사이의 이격 간격이 각 목재 시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단부 부분의 말단(extremity)에 배치된 상기 제 2 표면 중 하나는 그 최외부 제 2 표면인, 개시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c)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면한 관계로 배치되어 나머지를 향해, 그리고, 나머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열판을 포함하는 핫 프레스(hot press)로서, 상기 가열판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 영역을 덮기에 충분히 큰 가압 영역을 가지며, 상기 핫 프레스는 적어도 한 쌍의 보조(auxiliary) 가열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보조 가열판 각각은 상기 가열판 각각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를 향해, 그리고, 나머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1 표면의 길이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핫 프레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적어도 두 세트 중 제 1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고,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가장 인접 배치된 개시 기재의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며, 또한,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이 하나의 가열판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적어도 상기 전체 표면 영역이 나머지 가열판에 의해 지지되는 배열로, 상기 개시 기재에 대한 적층을 위해, 상기 가열판으로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각각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세트의 상기 제 1 및 제 2 목재 시트를 가압하는 단계;
    (e) 다른 적어도 두 세트 중 제 3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두 번째로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고, 상기 제 4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세 번째로 가장 인접 배치된 개시 기재의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며, 또한, 상기 제 4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이 상기 하나의 가열판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적어도 상기 전체 표면 영역이 상기 나머지 가열판에 의해 지지되는 배열로, 상기 개시 기재에 대한, 그리고, 또한, 상기 이미 적층된 제 1 및 제 2 목재 시트에 대한 적층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를 각각 포함하는, 다른 적어도 두 세트의 제 3 및 제 4 목재 시트를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상기 가열판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보조 가열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 4 목재 시트의 나머지 단부를 초과하여 연장하는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
    (f) 또 다른 적어도 두 세트 중 제 5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네 번째로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고, 제 6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다섯 번째로 가장 인접 배치된 개시 기재의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며, 또한, 상기 제 6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이 상기 하나의 가열판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적어도 상기 전체 표면 영역이 상기 나머지 가열판에 의해 지지되는 배열로, 상기 개시 기재에 대한, 그리고, 또한, 상기 이미 적층된 제 3 및 제 4 목재 시트에 대한 적층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를 각각 포함하는, 또 다른 적어도 두 세트의 제 5 및 제 6 목재 시트를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상기 가열판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보조 가열판으로 상기 제 5 및 제 6 목재 시트의 나머지 단부를 초과하여 연장하는 상기 제 3 및 제 4 목재 시트의 부분을 각각 가압하는 단계;
    (g) 적층재 시트의 총 두께가 상기 개시 기재의 두께에 도달하여 처리중인 적층재 보드가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단부 부분의 것과 같은 단차열(flight of step)의 형상으로 성형된 새로운 단부 부분을 가지고 형성될 때까지 상기 단계 (f)에 기술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또 다른 적어도 두 세트의 목재 시트와 이미 적층된 목재 시트의 부분의 가압을 반복하는 단계; 및
    (h) 원하는 길이의 상기 적층재 보드가 형성될 때까지, 필요한 횟수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처리중인 적층재 보드의 각 새로운 단부 부분을 위해 단계 (d) 내지 (g)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재 제조 방법.
  2. 사전결정된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지며, 열경화성 접착제(thermosetting adhesive)를 사용하는 핫 프레싱에 의해, 보드의 각 층내의 목재 시트가 인접 층내의 목재 시트에 대해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엇갈려진 관계(staggered relation)로 배열된, 적층재의 연속적 길이의 다층 보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함께 적층된 다수의 목재 시트로 이루어진 적층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다수의 목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사전결정된 두께 및 단부 부분을 가지는 개시 기재로서, 상기 연속적 길이의 적층재 보드가 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시 기재의 단부 부분이 일련의 교번적인, 상기 개시 기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표면 및 상기 제 1 표면에 관하여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하는 제 2 표면을 가지는 단차열의 형태로 성형되며, 상기 개시 기재의 두께를 횡단하는 소정의 두 인접 제 1 표면 사이의 이격 간격이 각 목재 시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단부 부분의 말단에 배치된 상기 제 2 표면 중 하나는 그 최외부 제 2 표면인, 개시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c)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면한 관계로 배치되어 나머지를 향해, 그리고, 나머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판을 포함하는 핫 프레스로서, 상기 판 중 적어도 하나가 가열되고, 상기 판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 영역을 덮기에 충분히 큰 가압 영역을 가지며, 상기 핫 프레스가 적어도 한 쌍의 보조 가열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보조 가열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판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판을 향해, 그리고, 나머지 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1 표면의 길이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핫 프레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적어도 두 세트 중 제 1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고,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가장 인접 배치된 개시 기재의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며, 또한,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이 적어도 하나의 가열된 판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적어도 상기 전체 표면 영역이 나머지 판에 의해 지지되는 배열로, 상기 개시 기재에 대한 적층을 위해, 상기 판으로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각각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세트의 상기 제 1 및 제 2 목재 시트를 가압하는 단계;
    (e) 제 3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두 번째로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고, 상기 제 4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세 번째로 가장 인접 배치된 개시 기재의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며, 또한, 상기 제 3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 영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된 판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상기 전체 표면 영역이 나머지 판에 의해 지지되는 배열로, 상기 개시 기재에 대한, 그리고, 또한, 상기 이미 적층된 제 1 및 제 2 목재 시트에 대한 적층을 위해, 제 3 목재 시트의 다른 세트를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상기 판으로 가압하는 단계;
    (f) 제 4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세 번째로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관해 대면 관계이고, 또한, 상기 제 4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된 판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상기 전체 표면 영역이 상기 나머지 판에 의해 지지되는 배열로, 상기 개시 기재에 대한, 그리고, 또한, 상기 이미 적층된 제 3 목재 시트에 대한 적층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를 포함하는, 또 다른 제 4 목재 시트를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상기 판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가열판으로 상기 제 4 목재 시트의 나머지 단부를 초과하여 연장하는 상기 제 3 목재 시트의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
    (g) 적층재 시트의 총 두께가 상기 개시 기재의 두께에 도달하여 처리중(in-process)인 적층재 보드가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단부 부분의 것과 유사한 단차열의 형상으로 성형된 새로운 단부 부분을 가지고 형성될 때까지, 상기 단계 (f)에 기술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또 다른 적어도 한 세트의 목재 시트와 이미 적층된 목재 시트의 부분의 가압을 반복하는 단계, 및
    (h) 원하는 길이의 상기 적층재 보드가 형성될 때까지, 필요한 횟수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처리중인 적층재 보드의 각 새로운 단부 부분을 위해 단계 (d) 내지 (g)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재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2 표면이 상기 제 1 표면에 관하여 연장하는 상기 각도는 직각이고,
    상기 목재 시트 각각은 그 대향 표면과 직각으로 절단된 대향 단부를 가지는 적층재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2 표면은 상기 제 1 표면에 관하여 상기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목재 시트 각각은 상기 경사 단부면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상기 각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그 대향 단부를 가지며,
    각 층내의 소정의 두 인접 목재 시트는 그 경사 단부가 중첩식으로(overlapped manner) 대면한 관계로 설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적층재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시트의 각 세트는 그 인접 단부가 서로에 관해 대면하여 설정된 상태로 평면내에서 하나 다음에 나머지가 배치되는 두 개의 목재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재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시트는 베니어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재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단계에서, 베니어 시트는 그 목재 입자가 주로 적층재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상태로 함께 적층되고, 그에 의해, 상기 적층재로서, 적층된 베니어 판재(LVL)가 제조되는 적층재 제조 방법.
  8. 사전결정된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지며, 열경화성 접착제(thermosetting adhesive)를 사용하는 핫 프레싱에 의해, 보드의 각 층내의 목재 시트가 인접 층내의 목재 시트에 대해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엇갈려진 관계(staggered relation)로 배열된, 적층재의 연속적 길이의 다층 보드의 형태로 적층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적층재의 보드는 사전결정된 두께를 가지는 미리 준비된 개시 기재의 일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속적 길이의 적층재 보드가 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단부 부분은 일련의, 교번적인, 상기 기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표면과 상기 제 1 표면에 관하여 각도를 이루며 연장하는 제 2 표면을 가지는 단차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시 기재의 두께를 횡단하는 소정의 두 인접 제 1 표면 사이의 이격 간격은 각 목재 시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단부 부분의 말단에 배치된 상기 제 2 표면 중 하나는 그 최외부 제 2 표면인 적층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a)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로 상기 목재 시트의 일 표면을 선택적으로 코팅하기 위한 수단;
    (b) 상기 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 길이를 가지는, 서로에 관해 실질적으로 대면 배치된 한쌍의 주 판(main plate)으로서, 가압을 위해 폐쇄되도록 서로를 향해 상대 이동할 수 있으면서, 그 적어도 하나가 가열되며, 상기 주 판 각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 영역을 덮기에 충분히 큰 가압 영역을 가지는 한쌍의 주 판;
    (c) 상기 주 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개시 기재를 제어가능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주 판에 관하여 상기 개시 기재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주 판의 일 단부에 인접 배치된 수단;
    (d) 서로에 관해 실질적으로 상기 주 판의 나머지 단부에 인접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보조 판으로서, 가압을 위한 폐쇄를 위해 서로를 향해 상대 이동할 수 있으면서, 그 적어도 하나가 가열되는 적어도 한쌍의 보조 판으로서, 상기 보조 판 각각이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1 표면의 길이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한쌍의 보조 판;
    (e) 상기 제 1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대해 대면 관계이고,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주 판이 상기 제 1 및 제 2 목재 시트의 가압을 위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가장 인접 배치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2 표면에 대해 대면 관계인 제 1 배열을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목재 시트를 공급하고, 그후, 제 3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주 판이 제 3 목재 시트의 가압을 위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두 번째로 가장 인접 배치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2 표면에 대해 대면 관계인 제 2 배열로 제 3 목재 시트를 공급하고, 그후, 제 4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주 판이 상기 제 4 목재 시트의 가압을 위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세 번째로 가장 인접 배치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2 표면에 대해 대면관계인 제 3 배열로 제 4 목재 시트를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가 그 일 단부가, 상기 주 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를 가압하기 위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격된 상기 개시 기재의 상기 제 2 표면에 대해 대면 관계인 배열로 공급되는 순서로 이렇게 공급 및 가압되는 목재 시트의 총 두께가 개시 기재의 두께가 될 때까지 한번에 적어도 하나의 목재 시트를 연속적으로 추가 공급하기 위한 목재 시트 공급 수단; 및
    (f) 상기 접착제 코팅 수단, 상기 주 판, 상기 배치 수단(positioning means), 상기 보조 판 및 상기 공급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제어부로서,
    (1) 상기 제 2 목재 시트가 그 일 표면상이 상기 접착제 코팅 수단에 의해 접착제로 코팅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목재 시트가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배열을 위한 위치로 공급되며, 상기 주 판이 상기 제 1 및 제 2 목재의 가압을 위해 폐쇄될 때,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이 하나의 주 판에 의해 가압되고, 나머지 주 판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로 상기 개시 기재가 상기 배치 수단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주판은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가압을 위해 폐쇄되며;
    (2) 상기 가압을 위한 상기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의 경과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목재 시트가 그에 적층되는 상기 개시 기재는 상기 배치 수단에 의해 사전결정된 위치로 이동되고, 그 일 표면상에 접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상기 제 3 목재 시트가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배열을 위한 위치로 공급되며, 상기 주 판 및 보조 판이 상기 제 3 목재 시트와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부분의 가압을 위패 폐쇄되었을 때, 상기 개시 기재가 상기 제 3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이 상기 하나의 주 판에 의해 가압되고, 나머지 주 판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상기 제 3 시트의 나머지 단부를 초과하여 연장하는 상기 제 2 목재 시트의 부분이 상기 보조판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로 상기 배치 수단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주 판 및 상기 보조 판은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상기 가압을 위해 폐쇄되며;
    (3) "N"이 정수(integer)를 나타내고, "N 번째"가 제 1, 제 2 및 제 3이 아닌 서수(ordinal number)를 나타낼 때, 적층을 위한 N 번째 목재 시트의 가압시, 제 1 내지 (N-1) 번째 목재 시트가 그에 이미 적층된 상기 개시 기재는 상기 배치 수단에 의해 사전결정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N 번째 목재 시트의 일 단부가 상기 주 판이 상기 N 번째 시트의 가압을 위해 폐쇄될 때 상기 최외부 제 2 표면에 N-1번째로 가장 인접 배치된 상기 개시 기재의 제 2 표면에 대해 대면 관계인 배열로, 접착제가 그 일 표면상에 코팅된 상기 N 번째 목재 시트가 상기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N 번째 목재 시트의 전체 표면이 하나의 주 판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나머지 주 판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로 상기 개시 기재가 상기 배치 수단에 의해 이동되며, 또한, N 번째 목재 시트의 다른 단부를 초과 연장하는 N-1 번째 목재 시트의 부분은 상기 주 판 및 상기 보조 판이 상기 N 번째 주 판과 상기 N-1 번째 목재 시트의 상기 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폐쇄될 때, 상기 보조 판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주 판 및 상기 보조 판은 사전결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가압을 위해 폐쇄되며;
    (4) 상기 (3)의 제어는 상기 적층된 목재 시트의 총 두께가 상기 개시 기재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되는 적층재 제조 장치.
KR1020040053096A 2004-07-08 2004-07-08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적층재 제조 장치 KR10063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96A KR100635802B1 (ko) 2004-07-08 2004-07-08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적층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96A KR100635802B1 (ko) 2004-07-08 2004-07-08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적층재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106A KR20060004106A (ko) 2006-01-12
KR100635802B1 true KR100635802B1 (ko) 2006-10-19

Family

ID=3711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096A KR100635802B1 (ko) 2004-07-08 2004-07-08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적층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4646A (zh) * 2019-09-27 2019-12-03 新田县永顺木器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胶合板热压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106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353B1 (ko) 적층재 제조시의 가압 방법 및 장치
US47971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veneer sheet into a plywood
US7879173B2 (en) Method for laying a sheet over a base material
US10144147B2 (en) Automated door assembly, press, and adhesive therefor
US716041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glued laminated wood
US10427393B2 (en) Automated door assembly, press, and adhesive therefor
KR100635802B1 (ko) 적층재 제조 방법 및 적층재 제조 장치
EP16145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lued laminated wood
JP4342365B2 (ja) 積層材の製造装置及び板状体の接着方法
JP4300078B2 (ja) 積層材の製造装置及び積層材の製造方法
JP4243180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及び積層材の製造装置
CA2475170C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glued laminated wood
RU227747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лееной слоистой древесины
JP3526600B2 (ja) 弾球遊技機遊技盤の化粧板貼付装置
JP4342406B2 (ja) 積層材の接着方法及び装置
TWI276523B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glued laminated wood
JP2920142B1 (ja) 木材接着装置
NZ534094A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glued laminated wood
AU200420314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glued laminated wood
KR100642069B1 (ko) 에어 블로워 성형방법 및 그 장치
KR101793186B1 (ko) 보드용 합지 장치
US5695596A (en) Apparatus for laying up veneer panels
JP2002120309A (ja) 段ボール整列装置とこれを備えた重ね合せ糊付け装置
JPH1177610A (ja) 木質ベニヤ板の積層方法及びその装置
JPS61240981A (ja) 化粧板貼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