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783B1 -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783B1
KR100635783B1 KR1020040094053A KR20040094053A KR100635783B1 KR 100635783 B1 KR100635783 B1 KR 100635783B1 KR 1020040094053 A KR1020040094053 A KR 1020040094053A KR 20040094053 A KR20040094053 A KR 20040094053A KR 100635783 B1 KR100635783 B1 KR 10063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lack bean
bea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634A (ko
Inventor
김성우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4009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7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거피 흑콩 추출물, 피부 노화 방지, 콜라겐 생성,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Skin Aging Containing the Extract of Decorticated Glycine max Merr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습도, 체온 등의 항상성을 유지해주고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체내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거나 외부의 자극, 특히 햇볕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게 되면 피부가 손상되고 생리 기능이 저하되는 피부 노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스런 현상이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피부 노화의 발생 요인이 증가한 지금에 들어서는 피부 노화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광노화나 자연노화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피부 세포내 현상은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이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은 발암, 염증 및 노화촉진을 유발한다 (Clinics in dermatology, 1996, 14:227-234). 노화에 따른 활성 산소종의 증가는 ROS의 생성 증가와 항산화 수준의 감소에 그 원인이 있다. 활성 산소종은 생체내 단백질이나 DNA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기능을 변질시키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각종 대사의 근간을 이루는 신호전달 과정을 변화시켜 생체 불균형을 초래하고 이러한 불균형이 오랜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결국 노화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피부 노화와 연관된 가장 두드러진 외관상의 특징은 주름의 생성이다. 주름은 이마, 눈 주변, 양미간 및 입 주변 등의 안면이나 목, 목 둘레, 팔꿈치, 겨드랑이, 손 및 발 등의 신체 각 부위에 생긴다. 대부분 30세 전후부터 눈에 띄기 시작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수나 깊이, 범위가 증가해간다. 이러한 주름 생성의 주된 원인은 자외선 조사나 자연노화에 의해 피부조직에 생긴 활성산소종이 최종적으로 피부 진피 구성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에 가교를 형성시키고 생성 및 분해를 변화시켜 일어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001, 17(4):617-630).
따라서,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일환으로 항산화 효과를 지니는 물질을 적용하고, 주름 생성의 주요 원인인 콜라겐 교원섬유의 합성을 꾸준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 및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 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 및 논문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요지가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당업계의 요구를 해결하고자 다수의 천연물을 대상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효과 및 콜라겐 합성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한 결과, 거피 (去皮) 흑콩 추출물이 우수한 콜라겐 합성 효과, 항산화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거피 흑콩 (Glycine max Mer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 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거피 흑콩 추출물은 흑콩에서 껍질을 제거한 흑콩의 알맹이만으로부터 추출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천연물을 원료로 하여 다양한 추출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한 결과, 거피 흑콩 추출물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가장 부합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58585호의 개시사항에 따르면, 흑콩을 일반적인 용매 추출법에 의해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화장료 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항산화, 세포 증식 효과 및 피부색 개선 효과가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은 기존의 흑콩 추출물에서 발견되지 않은 신규 효능인 콜라겐 합성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은 흑콩 껍질에서 나타나는 세포독성을 제거하고, 흑콩 껍질 특유의 색소를 제거하여 제형의 적용 용이성을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노화 방지"라는 용어는 피부 노화 예방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상기 거피 흑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함수 저급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거피 흑콩 추출물은 다음의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a) 흑콩을 세척한 후 거피하여 알맹이만을 얻어 건조하고 파쇄하는 단계; (b) 70% 에탄올을 가해 15-35℃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c) 추출액을 여과한 후 건조하는 단계.
한편,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에 대하여 0.0001-10.0 중량%이다.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대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 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뛰어나 항산화 작용을 하고,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키며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 과를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거피 흑콩 추출물의 제조
흑콩 (Bioland, 한국)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거피하여 알맹이만을 얻었다. 상기 거피된 흑콩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건조 중량의 1-10배의 70% 에탄올을 가하였다.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거피 흑콩 추출 파우더를 50% 1,3-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2: 흑콩 껍질 추출물의 제조
흑콩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껍질만을 얻어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건조 중량의 1-10배의 70% 에탄올을 가하였다.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흑콩 껍질 추출 파우더를 50% 1,3-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3: 흑콩 추출물의 제조
흑콩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건조 중량의 1-10배의 70% 에탄올을 가하였다.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흑콩 추출 파우더를 50% 1,3-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거피 흑콩 추출물의 세포독성 억제 시험
인간 피부세포인 섬유아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T-75 플라스크 (Falcon, 미합중국)에서 80%정도 성장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것을 다시 96-웰 플레이트 (Falcon, 미합중국)의 각 웰에 105 세포수/웰이 되게 옮겨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현미경을 통해 세포가 플레이트의 웰에 꽉 차서 자라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각 웰에 DMEM (시그마, 미합중국)을 200 ㎕씩 첨가한 뒤, 제조예 1, 2 및 3의 추출물을 각각 0.5, 1, 2 및 4 ㎎/㎖로 조절하여 첨가하였다. 시험 물질을 첨가하고 24시간 경과 후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각 웰에 10 ㎕씩 첨가하였다. 4시간 경과 후에 세포 생존율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 시험 물질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 ×100
세포 생존율
추출물의 농도 (㎎/㎖) 세포 생존율(%)
흑콩 추출물 흑콩 껍질 추출물 거피 흑콩 추출물
0.5 92.0 73.8 100
1 79.7 50.6 100
2 65.2 42.9 100
4 48.3 17.5 100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흑콩 껍질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이 가장 낮아 흑콩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껍질에 의해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거피 흑콩 추출물의 경우 흑콩 추출물 및 흑콩 껍질 추출물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훨씬 높아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거피 흑콩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전혀 없는 추출물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거피 흑콩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시험
상기 제조예 1, 2 및 3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리놀레산 (linoleic acid)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리놀레산은 시그마사 (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Fenton's reagent (2% SDS, 0.79 mM potassium chloride, 0.25 mM Trizma base (pH 7.4), 1 μM FeCl2, 0.025 mM H2O2) 4.4 ㎖, 리놀레산 50 ㎕ 및 제조예 1, 2 또는 3의 추출물 500 ㎕를 섞어 빛을 차단한 상태로 55℃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추출물 대신에 항산화제인 BHT (buthylated hydroxytoluene) 500 ㎕를 첨가하여 비교군으로 실험하였다. 반응액 2 ㎖과 35% 트리클로로 아세트산 1 ㎖, 0.75% TBA 2 ㎖을 섞어서 10분간 끓인 후 냉각시켰다. 반응액 5 ㎖을 아세트산 1 ㎖ 및 클로로포름 2 ㎖과 섞은 뒤 5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4053379410-pat00001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추출물의 농도 (%)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흑콩 추출물 흑콩 껍질 추출물 거피 흑콩 추출물 BHT
0.025 18.3 1.1 67.3 51.4
0.05 36.1 3.5 78.1 61.5
0.1 55.3 6.2 91.6 73.3
0.2 69.7 9.4 94.7 80.4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은 기존의 흑콩 추출물에 비해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월등히 향상되었고 기존에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BHT보다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실험예 3: 거피 흑콩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시험
제조예 1-3의 추출물에 대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3의 흑콩 추출물은 PBS 완충용액에 적당한 농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normal fibroblast)를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 (Sigma Co., Ltd. 미국)가 들어 있는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1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는 병원에서 신생아의 포경 수술 후 채취한 피부조직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최종 농도가 50, 100, 그리고 200 ㎍/㎖ 되도록, 혈청이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를 만든 후, 상기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를 이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동안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각각의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콜라겐 생성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상기 추출물 대신에 Type I 콜라겐 생합성 촉진 원료인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한 것을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다카라사 (Takara Shuzo Co., Ltd. 일본국)의 콜라겐 단백질 측정 키트를 사용하여, 상기 채취한 세포배양액에서 생성된 프로콜라겐 타입 I C-펩타이드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콜라겐 생성 촉진 정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상기 채취된 세포배양액을 넣고 37℃에서 3시간동안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웰 내의 세포배양액을 제거하고 PBS 완충용액으로 4회 세척하였다. 각 웰에 발색 유발 물질을 넣고 상온에서 15분 간 반응시킨 후, 1 N 황산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분광광도계로 파장 45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흡광도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각 시료가 첨가된 세포배양액의 콜라겐 생성량을 산출하였다. 콜라겐 합성 촉진율은 하기 수학식 3으로 구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합성 촉진율(%) = [(A ×100) / B] - 100
상기 수학식에서, A는 시료 첨가 배양액의 콜라겐 생성량이며, B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의 콜라겐 생성량이다.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추출물의 농도 (㎍/㎖) Type I 콜라겐 생성 증가율(%)
흑콩 추출물 거피 흑콩 추출물 아스코르빈산
50 67.9 146.2 54.8
100 138.5 267.1 75.4
200 167.3 382.7 74.9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피 흑콩 추출물의 Type I 콜라겐 생합성 효과는 흑콩 추출물보다 크게 향상되고, 농도 의존적으로 Type I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켰으며 Type I 콜라겐 생합성 촉진 원료로 쓰이고 있는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더 낮은 농도에서도 콜라겐 생성 증가율이 뛰어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은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를 근거로 항산화 효과 및 콜라겐 생합성 효과가 우수한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러 가용화제형과 유화제형의 화장료 조성을 제시한다. 아래와 같은 제형예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제조예 1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거피 흑콩 추출물 2.5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1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화장수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제조예 1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거피 흑콩 추출물 2.5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겔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1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제조예 1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거피 흑콩 추출물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0.01
유니사이드-유 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제조예 1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거피 흑콩 추출물 6.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0.01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맛사지 크림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제조예 1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거피 흑콩 추출물 5.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0.01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하기의 표 9의 조성으로 제조예 1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거피 흑콩 추출물 5.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제조예 1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거피 흑콩 추출물 2.5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시이크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미량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4: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주름 개선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주름 개선 효과를 건강한 한국 여성 20명 (연령분포 35-51세)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한 상기 제형예 4의 크림, 제형예 4에서 거피 흑콩 추출물을 0.1 중량% 아스코르빈산으로 대체한 크림 (비교예 1) 및 0.1 중량% 레티노익산으로 대체한 크림 (비교예 2), 그리고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 (대조군)을 팔의 상박 2 ×2 ㎠의 면적에 매일 아침 및 저녁으로 2회, 0.2 g씩 6주 동안 도포하였다. 실리콘 재질의 용액으로 도포전과 도포 8주 후 피부주름의 레플 리카 (replica)를 뜨고, 피부 비지오미터 (Skin Visiometer SV400, C+K Electronics GmbH., 독일연방공화국)로 피부 주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CCD 카메라로 레플리카의 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주름의 거칠기 (Rm: m은 1 이상의 정수)의 합을 주름의 개수로 나눈 값인 하기 수학식 4의 평균 주름 거칠기 (Rz)로 주름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11에 나타나 있다.
Rz = (R1 + R2 + R3 + ····+ Rm-2 + Rm-1 + Rm) / 주름의 개수(m)
구분 ΔRz = 사용전 Rz - 6주 후 Rz
대조군 제형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피검자 1 0.005 0.151 0.105 0.130
피검자 2 0.009 0.150 0.116 0.116
피검자 3 0.006 0.145 0.106 0.124
피검자 4 0.003 0.149 0.115 0.118
피검자 5 0.006 0.132 0.108 0.102
피검자 6 0.008 0.139 0.116 0.104
피검자 7 0.014 0.145 0.124 0.109
피검자 8 0.011 0.147 0.110 0.127
피검자 9 0.010 0.142 0.127 0.134
피검자 10 0.006 0.137 0.124 0.126
피검자 11 0.008 0.156 0.121 0.105
피검자 12 0.006 0.142 0.122 0.116
피검자 13 0.011 0.135 0.135 0.128
피검자 14 0.009 0.143 0.116 0.120
피검자 15 0.010 0.150 0.134 0.127
피검자 16 0.012 0.147 0.128 0.132
피검자 17 0.006 0.129 0.113 0.127
피검자 18 0.007 0.137 0.123 0.113
피검자 19 0.003 0.156 0.119 0.127
피검자 20 0.001 0.140 0.112 0.118
평균 0.008 0.144 0.119 0.120
상기 표 11의 결과에 의하면 정제수만을 포함하는은 대조군에서는 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거피 흑콩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4는 거피 흑콩 추출 물 대신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한 비교예 1과 레티노익산을 함유한 비교예 2에 비해 주름 개선 효과가 훨씬 높았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제형예 4와 주름 개선 효과에 있어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듯이, 본 발명은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거피 흑콩 추출물은 기존 항산화제나 콜라겐 합성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할 뿐만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용하였을 때에 탁월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피 흑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피 흑콩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1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 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94053A 2004-11-17 2004-11-17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053A KR100635783B1 (ko) 2004-11-17 2004-11-17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053A KR100635783B1 (ko) 2004-11-17 2004-11-17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634A KR20060053634A (ko) 2006-05-22
KR100635783B1 true KR100635783B1 (ko) 2006-10-18

Family

ID=3715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053A KR100635783B1 (ko) 2004-11-17 2004-11-17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468B1 (ko) * 2018-06-29 2020-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634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505B1 (ko) 황금누에고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57B1 (ko)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66775B1 (ko)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31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08102998A1 (en)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carvacrol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883307B1 (ko) 황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8736B1 (ko)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429590B1 (ko)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635783B1 (ko)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636A (ko) 발아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40052318A (ko)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0519191B1 (ko) 파우다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1264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사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5602B1 (ko) 알로에 베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5782B1 (ko) 거피 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29601A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