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416B1 -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416B1
KR100633416B1 KR1020050084467A KR20050084467A KR100633416B1 KR 100633416 B1 KR100633416 B1 KR 100633416B1 KR 1020050084467 A KR1020050084467 A KR 1020050084467A KR 20050084467 A KR20050084467 A KR 20050084467A KR 100633416 B1 KR100633416 B1 KR 100633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bumper
under cover
piece
mounting bracket
under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0Elastome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4Bu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2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on two vertical sleeves, e.g. on energy absorber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5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with adjusting means to compensate manufacturing tolerances, e.g. between bumper and energy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7Fastening of bumpers' sid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범퍼의 도중 하측으로 머플러의 테일 파이프가 지나가도록 배관되는 차량에서 머플러와 언더 커버 사이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후방에 리어 범퍼가 장착되고, 상기 리어 범퍼의 하부측 도중으로 배기가스 배출을 위한 배기계와 간섭되지 않도록 리어 범퍼의 하부 일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범퍼의 하부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언더 커버가 조립되어지도, 상기한 리어 범퍼의 하부 내측으로는 소정크기의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언더 커버의 도중에는 조립돌기가 끼워지기 위한 슬롯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상부측에는 언더 커버가 리어 범퍼에 지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 부재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수직방향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 사이에는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이 장착되어지되,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은 그 측단면형상이 상부편, 중간편, 하부편으로 구분되는 '
Figure 112005050703374-pat00001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하부편은 지지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되고, 상기 상부편은 하부편이 조립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상에서 리어 범퍼에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리어 범퍼, 언더 커버, 마운팅 브라켓

Description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Apparatus to mount the rear bumper and the under cov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너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제2조립돌기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 범퍼 11 : 조립돌기
12 : 제2조립돌기 13 : 삽입단
14 : 지지단 20 : 언더 커버
21 : 슬롯 22 : 지지부재
23 : 볼트체결공 24 : 환상돌기
25 : 지지돌기 30 : 마운팅 브라켓
31 : 상부편 32 : 중간편
33 : 하부편 34 : 볼트체결공
35 : 제2조립돌기 슬롯 36,37 : 측면편
38 : 패드 40 : 볼트
50 : 스피드 너트
본 발명은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범퍼의 도중 하측으로 머플러의 테일 파이프가 지나가도록 배관되는 차량에서 머플러와 언더 커버 사이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방에는 후방에서 가해지는 충돌로부터 차체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리어 범퍼가 형성된다.
그런데 차량의 후방측으로 엔진의 배기가스를 유도하기 위한 배기파이프 및 머플러의 레이아웃에 따라서 머플러에서 연장형성된 테일 파이프가 리어 범퍼의 도중 하부에 간섭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의 차량에서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계와 리어 범퍼 사이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리어 범퍼(10)의 도중 일부는 리어 범퍼(10)의 몸체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부분에는 차량의 후방 외관 및 차량의 공력성능향상을 위하여 언더 커버(20)가 조립된다.
상기한 리어 범퍼(10)에 언더 커버(20)를 조립시키기 위해서 리어 범퍼(10)의 하단부 내측으로는 소정 크기의 조립돌기(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리어 범퍼(10)에 언더 커버(20)를 조립하였을 경우에 조립돌기(11)가 위치되는 언더 커버(20)의 위치에는 상기 조립돌기(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롯(2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슬롯(21)의 상부측에는 언더 커버(20)가 리어 범퍼(10)에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언더 커버(20)와 리어 범퍼(10)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재(22)가 리어 커버(10)의 내측면을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의 마운팅 구조는 그 조립 및 탈거가 이루어지는 방향이 수평방향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었는데, 이는 리어 범퍼 및 언더 커버에 형성되는 조립돌기(11)와 지지부재(22)가 금형구조상 수평방향으로 밖에 형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가 수평방향으로만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그 체결력이 약하게 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함에도 불 구하고 별도의 체결수단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인하여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리어 범퍼의 도중 하측으로 머플러의 테일 파이프가 지나가도록 배관되는 차량에서 머플러와 언더 커버 사이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 후방에 리어 범퍼가 장착되고, 상기 리어 범퍼의 하부측 도중으로 배기가스 배출을 위한 배기계와 간섭되지 않도록 리어 범퍼의 하부 일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범퍼의 하부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언더 커버가 조립되어지도, 상기한 리어 범퍼의 하부 내측으로는 소정크기의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언더 커버의 도중에는 조립돌기가 끼워지기 위한 슬롯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상부측에는 언더 커버가 리어 범퍼에 지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 부재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수직방향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 사이에는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이 장착되어지되,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은 그 측단면형상이 상부편, 중간편, 하부편으로 구분되는 '
Figure 112005050703374-pat00002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하부편은 지지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되고, 상기 상부편은 하부편이 조립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상에서 리어 범퍼에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 마운팅 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너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제2조립돌기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브라켓을 지시하는 것이며, 일부의 도면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의하여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그대로 인용된다.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30)은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의 사이에 개재되어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의 수직방향 체결력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마운팅 브라켓(30)은 그 측단면형상이 상부편(31), 중간편(32), 하부편(33)으로 구분되는 '
Figure 112005050703374-pat00003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부편(31)은 리어 범퍼(10)의 내측면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서 고정장착되고, 하부편(33)은 언더 커버(20)의 측면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서 고정장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30)이 개재되어 마운팅되는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에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의 수평방향체결을 위한 조립돌기(11), 슬롯(21), 지지부재(22) 등의 구성요소가 종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 브라켓(30)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리어 범퍼(10)의 조립돌기(11)가 언더 커버(20)의 슬롯(21)에 끼워지고, 상기 슬롯(21)의 상부측에 돌출형성된 지지부재(22)의 끝단은 리어 범퍼(10)의 내측면에 닿도록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리어 범퍼(10)의 내측면과 언더 커버(20)의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 사이의 수직방향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마운팅 브라켓(30)의 하부편(33)이 언더 커버(2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으로는 볼트(40)가 사용되는데, 볼트(40)의 체결을 위해서 언더 커버(20)의 지지부재(22)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볼트 체결공(23)이 관통형성되고, 언더 커버(20)의 볼트 체결공(23)에 대응되는 마운팅 브라켓(30)의 하부편(33)의 도중에도 볼트 체결공(34)이 관통형성된다.
언더 커버(20)의 볼트 체결공(23) 주위에는 마운팅 브라켓(30)의 하부편(33)과의 간격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상돌기(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환상돌기(24)의 하부측으로는 마운팅 브라켓(30)의 하부편(33) 하단을 받치기 위한 지지돌기(25)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마운팅 브라켓(30)의 상부편(31)이 리어 범퍼(1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으로는 리어 범퍼(1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조립돌기(12)와, 상기 제2조립돌기(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편(31)의 도중에 관통형성되는 제2조립돌기 슬롯(35)과, 상기한 제2조립돌기 슬롯(35)에 제2조립돌기(12)를 끼워 관통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제2조립돌기 슬롯(35)의 다른 측으로 노출된 제2조립돌기(12)를 잡기 위한 스피드 너트(50)가 사용된다. 스피드 너트(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형상이 다수의 단으로 굴곡진 형태를 이루고, 그 중간단(51) 도중에는 상기한 제2조립돌기(12)가 끼워지기 위한 홀(52)이 관통형성되어지되 그 홀(52)을 향하여 혀모양의 탄성편(53)들이 다수 형성된 상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피드 너트(50)의 구멍에 그 도중이 끼워지기 위하여 리어 범퍼(10)의 내측면으로 돌출형성된 제2조립돌기(12)의 중간부에는 삽입단(13)이 그 주변보다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단(13)의 양측으로는 스피드 너트(50)의 내측면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단(14)이 양측에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30)의 중간편(32) 양측에는 각각 측면편(36,37)이 형성되는데, 이 측면편(36,37)은 중간편(32)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리어 범퍼(10)의 내측면과 마운팅 브라켓(30) 간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측면편(36,37)의 하단은 보다 넓은 면적이 리어 범퍼(10)의 내측면에 면접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고, 그 하단면과 리어 범퍼(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하는 패드(38)가 개재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의 조립상태를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한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 사이의 수평방향 체결력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리어 범퍼(10)의 하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조립돌기(11)가 언더 커버(20) 하단부에 마련된 슬롯(21)에 끼워짐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의 수직방향 체결력은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30)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마운팅 브라켓(30)의 하부편(33)은 언더 커버(20)의 도중에 볼트(40) 등의 체결수단으로서 고정장착되고, 그 상부편(31)은 리어 범퍼(10)의 내측면으로 향해 돌출형성된 제2조립돌기(12)가 제2조립돌기 슬롯(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피드 볼트(50)가 체결됨으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마운팅 브라켓(30)이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 사이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그 중간편(32)의 양측면에 하향 형성된 측면편(36,37)이 리어 범퍼(1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이 과정에서 중간편(32)의 하단과 리어 범퍼(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패드(38)가 개재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그 수평방향 체결력 향상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그 수직방향 체결력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30)에 의해서 강화되므로서,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 사이가 들뜨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가 종래기술에 의해서 조립될 때에는 수평방향의 체결력만을 받도록 조립됨으로 인하여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가 조립된 부분이 들뜨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 사이에 수직방향의 체결력 강화를 위해 마운팅 브라켓이 개재되므로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 사이의 체결이 수평방향 체결력과 수직방향 체결력이 동시에 받도록 이루어지 종래기술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 후방에 리어 범퍼가 장착되고, 상기 리어 범퍼의 하부측 도중으로 배기가스 배출을 위한 배기계와 간섭되지 않도록 리어 범퍼의 하부 일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범퍼의 하부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언더 커버가 조립되어지도, 상기한 리어 범퍼의 하부 내측으로는 소정크기의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언더 커버의 도중에는 조립돌기가 끼워지기 위한 슬롯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상부측에는 언더 커버가 리어 범퍼에 지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 부재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된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의 수직방향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리어 범퍼(10)와 언더 커버(20) 사이에는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30)이 개재되어지되,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30)은 그 측단면형상이 상부편(31), 중간편(32), 하부편(33)으로 구분되는 '
    Figure 112005050703374-pat00004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하부편(33)은 지지부재(22)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되고, 상기 상부편(31)은 하부편(33)이 조립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상에서 리어 범퍼(10)에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편(33)은 언더 커버(20)의 측면에 볼트(40)로써 체결되고, 상기한 상부편(31)은 리어 범퍼(10)의 내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제2조립돌기(12)에 그 도중에 마련된 제2조립돌기 슬롯(35)이 끼워진 후 스피드 너트(50)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운팅 브라켓(30)의 중간편(32) 양측으로는 각각 측면편(36,37)이 하향 연장형성되고, 각 측면편(36,37)의 하단과 리어 범퍼(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패드(38)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KR1020050084467A 2005-09-12 2005-09-12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KR100633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467A KR100633416B1 (ko) 2005-09-12 2005-09-12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467A KR100633416B1 (ko) 2005-09-12 2005-09-12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416B1 true KR100633416B1 (ko) 2006-10-16

Family

ID=3762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467A KR100633416B1 (ko) 2005-09-12 2005-09-12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590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백빔용 스틸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590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백빔용 스틸 브라켓
KR102394846B1 (ko) * 2017-02-14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백빔용 스틸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574B2 (en) Vehicle bumper structure
US7213671B2 (en) Structure for mounting engine
KR100633416B1 (ko) 리어 범퍼와 언더 커버의 마운팅 장치
US6979053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end module carrier
JP4826959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4184735B2 (ja) 車両の動力源マウント構造
JP2005225360A (ja) 車両用マウント構造
JP2005145271A (ja) 車体前部構造
CN103221295B (zh) 车体前部结构
JP4238389B2 (ja) サイドステップの支持構造
CN106274769B (zh) 用于车辆的保险杠支架
JP6780433B2 (ja) 車両のエンジン搭載構造
CN103209884B (zh) 车体前部的结构
JP2005219590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の車体前部への取り付け構造
JP6972851B2 (ja) ヘッドランプの取り付け構造
KR100383990B1 (ko) 프론트 앤드 모듈 구조
KR101272034B1 (ko) Fem캐리어의 보강구조
KR20190143268A (ko) 차량용 스트럿 타워 브레이스 바
KR100203513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장치
JP5257698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燃料フィルタ装置
JP3745571B2 (ja) 電気接続箱
JP6515948B2 (ja) パワートレインのマウント装置
KR100456868B1 (ko) 차량 연료탱크의 확장구조
KR100705052B1 (ko) 연료탱크용 패드
KR100434981B1 (ko) 펜더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