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293B1 - 배면투사 스크린 - Google Patents

배면투사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293B1
KR100633293B1 KR1019990061032A KR19990061032A KR100633293B1 KR 100633293 B1 KR100633293 B1 KR 100633293B1 KR 1019990061032 A KR1019990061032 A KR 1019990061032A KR 19990061032 A KR19990061032 A KR 19990061032A KR 100633293 B1 KR100633293 B1 KR 100633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projection
projection screen
substrate
light
scre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368A (ko
Inventor
아베다카시
요시다즈토무
니시카와유이치
오노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4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액정형 배면투사 TV용 스크린은, 양면 렌즈시트(20)와 수평렌티큘러시트(30)로 이루어진다. 양면 렌즈시트(20)의 리어사이드에 수직 렌티큘러부(23)가 배열설치되고, 프론트사이드에 프레넬렌즈(22)가 배열설치된다. 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리어사이드에 수평렌티큘러부(32)가 배열설치되고, 프론트사이드에 차광층(35) 및 보호수지기판(41)이 배열설치된다.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은 투명성이 낮고, 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수지기판(31,41)의 투명성은 높다. 이때문에, 관찰자는 차광층(35)보다도 리어사이드의 양면렌즈시트(20)에서 영상을 인식한다.
실린드리칼렌즈, 렌티큘러부, 헤이즈,프레넬 렌즈, 배면투사

Description

배면투사 스크린{REAR-PROJECTION SCREEN}
도 1은 액정형 배면투사 TV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액정형 배면투사 TV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배면투사 스크린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는 도 2 도시의 스크린을 X-Y면으로 절단한 횡단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선 IIIB-IIIB선에 따른 종단측면도,
도 4a는 액정형 배면투사 TV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배면투사 스크린을 도시하는 횡단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선 IVB-IVB선에 따른 종단측면도,
도 5a∼e는 도 3a, b 또는 도 4a, b 도시의 스크린의 차광층의 형성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횡단평면도,
도 6은 스크린의 시야각과 휘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CRT형 배면투사 TV에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을 도시하는 횡단평면도,
도 8은 액정형 배면투사 TV에 사용되는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을 도시하는 횡단평면도,
도 9는 액정형 배면투사 TV에 사용되는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의 다른예를 도시하는 횡단평면도.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배면투사 스크린에 관하고, 특히 액정패널을 영상원으로 하는 배면투사 TV의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는 스크린에 관한다.
도 7은 CRT형 배면투사 TV에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을 도시하는 횡단평면도이다. 이 스크린은 투사측(리어사이드)에서 프레넬 렌즈시트(110), 양면렌티큘러(lenticular)시트(120), 보호판(130)을 포함한다.
프레넬 렌즈시트(110)는 투명수지기판(111)을 갖고, 그 프론트사이드에 프레넬렌즈(112)가 배열설치된다. 한편, 보호판(130)은 투명수지기판(131)을 갖고, 통상 그의 프론트사이드에 표면처리층(138)이 형성된다. 보호판(130)은, 후술하는 렌티큘러시트(120)의 프론트사이드의 요철에 대한 먼지, 쓰레기부착방지, 및 차광층(125)의 보호를 위해 배열설치된다. 보호판(130)의 표면처리층(138)은, 내찰상성(耐擦傷性)의 하드코트나 대전방지처리를 위하여 배열설치된다.
렌티큘러시트(120)는 수지기판(121)을 갖고, 그 양면에 렌티큘러부(122,123)가 배열설치된다. 리어사이드의 렌티큘러부(122)는 수직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복수의 실린드리칼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병렬설치하여 이룬다. 렌티큘러부(122)는 영상광을 수평방향으로 굴절확산시키기 위하여 배열설치된다. 관찰측(프론트사이드)의 렌티큘러부(123)도, 수직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실린드리칼렌즈를 수평방향으로 병렬설치하여 이룬다. 양면의 렌티큘러부(122,123)는, 후에 설명하는 컬러시프트를 수정하기 위하여 기능한다.
렌티큘러시트(120)의 수지기판(121)에는, 영상광을 수직방향으로 굴절 확산시키기 위하여 광확산제(124)가 혼입된다. 수지기판(121)의 프론트사이드에는 렌티큘러부(123)의 실린드리칼렌즈와 번갈아 볼록부가 형성된다. 볼록부의 꼭지부는 평탄하고, 여기에 먹잉크 등의 인쇄에 의하여 차광층(125)이 형성된다. 차광층(125)은 외광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열설치된다.
최근 CRT형 배면투사 TV에 대신하여, 소비전력이 적고, 고화질, 경량, 동시에 박형 등의 특징을 갖는 액정형 배면투사 TV가 보급되어 오고 있다. CRT형 배면투사 TV의 경우, RGB의 3관에 의하여 투사되고, 그 3관의 각각의 위치 차에 의하여 컬러시프트가 발생한다. 컬러시프트를 수정하기 위하여, 배면투사 스크린에는 양면렌티큘러시트가 필요로 된다. 이에 대하여 액정형 배면투사 TV의 경우, 액정으로부터의 영상광의 단안(單眼)의 렌즈를 통하여 투사되기 때문에, 위치차에 의한 컬러시프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면투사 스크린에는 편면(片面) 렌티큘러시트가 사용된다.
도 8은 액정형 배면투사 TV에 사용되는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을 도시하는 횡단평면도이다. 이 스크린은 리어사이드로부터 프레넬렌즈시트(140), 수평렌티큘러시트(150)를 포함한다.
프레넬렌즈시트(140)는 수지기판(141)을 갖고, 그 프론트사이드에 프레넬렌즈(142)가 배열설치된다. 렌티큘러시트(150)는 수지기판(151)을 갖고, 그 리어사이드에 렌티큘러부(152)가 배열설치되고, 프론트사이드에 표면처리층(158)이 배열설치된다. 렌티큘러부(152)는, 수직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실린드리칼렌즈를 수평방향으로 병렬설치하여 이룬다. 렌티큘러부(152)는 영상광을 수평방항으로 굴절확산시키기 위하여 배열설치된다.
이 스크린의 경우, 도 7의 도시와 같은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문제로 된다. 영상광을 수직방향으로 굴절확산시키기 위해 그리고, 콘트라스트를 올리기 위하여 렌티큘러렌즈시트(150)의 수지기판(151)에 광확산제(154) 및 암색계 착색제(154)가 혼입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효과가 불충분하고, 더욱이 프레넬렌즈시트(140)의 수지기판(141)에도 광확산제(144)가 혼입된다.
이와 같은 광확산제(144,154) 및 착색제(154)는, 그 첨가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하여는 상당량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결과, 스크린 휘도가 첨가량에 비례하여 저하한다. 또, 첨가량이 적은 경우, 수직방향에의 영상광의 굴절확산작용이 부족하고, 스크린의 수직 시야각이 좁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도 9는 액정형 배면투사 TV에 사용되는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횡단평면도이다. 이 스크린은 리어사이드에서 프레넬렌즈시트(160), 수평렌티큘러시트(170)를 포함한다.
프레넬렌즈시트(160)는 수지기판(161)을 갖고, 그 프론트사이드에 프레넬렌즈(162)가 배열설치된다. 프레넬렌즈시트(160)의 수지기판(161)에는 광학산제(164) 가 혼입된다.
수평렌티큘러시트(170)는 수지기판(171)를 갖고 그 리어사이드에 렌티큘러부(172)가 배열설치된다. 렌티큘러부(172)는 수직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실린드리칼렌즈를 수평방향으로 병렬설치하여 이룬다. 수지기판(171)의 프론트사이드에는, 자외선 경화수지층(176) 및 차광층(175)이 배열설치된다. 차광층(175)은, 렌티큘러부(172)의 실린드리칼렌즈의 광 집광부에 상당하는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흑색의 스트라이프로 이루어진다.
수평렌티큘러시트(170)는 더욱이 점착층(187)을 통하여 차광층(175)의 프론트사이드에 접착된 보호수지기판(181)을 갖는다. 수지기판(181)에는 광확산제(184) 및 암색계착색제(184)가 혼입된다. 또, 수지기판(181)의 프론트사이드에는, 반사방지, 대전방지, 하드코트 등을 위한 표면처리층(188)이 형성된다.
도 9 도시의 스크린에 의하면, 흑색차광층(175)의 효과로부터, 콘트라스트의 향상이 인정되어, 상기한 착색제나 광확산제의 첨가량을 줄일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액정형 배면투사 TV특유의 「핫바」라는 현상이 시각(視覺)된다. 핫바란 스크린을 관찰한 경우 스크린 표면에서 프로젝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렌티큘러부(172)의 실린드리칼렌즈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국소적으로 밝게 시각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넬렌즈시트(160)의 수지기판(161) 및 보호수지기판(181)의 2개의 부재에 광확산제 및 착색제(164,184)가 혼입되어, 광확산처리가 실시된다. 이 스크린에서는, 그러나 이와 같은 수지기판(161,181)의 조제에 의하여 스크린휘도의 저하와 제조코스트가 증대되는 문제를 동반한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배면투사 TV의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는 스크린에 있어서,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양자를 모두 개량함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저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이와 같은 개량이 실시된 스크린에 있어서 더욱더 시야각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시점은 투사측이 리어사이드, 관찰측이 프론트사이드로서 규정되는 배면투사 스크린으로서,
제1렌티큘러부와, 상기 제1렌티클러부는 제1방향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병렬설치된 복수의 실린드리칼렌즈를 구비하는 것과,
상기 제1렌티큘러부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은 0.5mm∼2mm의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75%∼95%의 전광선투과율(Tt1)과, 40%∼70%의 확산투과율(Dt1)과, 50∼80의 헤이즈(haze)값(H1)을 갖는 것과,
상기 제1기판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프레넬렌즈와,
상기 프레넬렌즈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제2렌티큘러부와, 상기 제2렌티큘러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방향으로 병렬설치된 복수의 실린드리칼렌즈를 구비하는 것과,
상기 제2렌티큘러부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0.05mm∼0.3mm의 두께를 갖는 것과,
상기 제2기판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차광스트라이프층과, 상기 차광스트라이프층은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설치된 복수의 차광대를 구비하는 것과,
상기 차광스트라이프층에 접하도록 상기 차광스트라이프층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제3기판과, 상기 제3기판은 0.5mm∼3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제2 및 제3기판(3)은,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75%∼95% 전광선투과율 (Tt2)과, 0%∼40%의 확산투과율(Dt2)과, 0∼50의 헤이즈값(H2)을 갖도록 설정되고, Tt1/Tt2=0.8∼1.2, Dt1/Dt2 ≥ 1, H1/H2 ≥ 1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제2시점은, 액정형 배면투사 TV로서,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하여 광을 투사시키는 영상원으로 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액정패널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계와, 상기 광학계에 의하여 영상광이 투사되는 제1의 시점(視点)의 배면투사스크린을 구비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자 등은, 본 발명의 개발과정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에 대하여 많은 실험을 거듭하여 연구를 행하였 다. 그 결과, 본 발명자 등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식견을 얻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사이드에 프레넬렌즈시트를, 프론트사이드에 렌티큘러시트를 갖는 배면투사 스크린에 있어서는, 통상 렌티큘러시트측에서 관찰자가 영상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스크린에 있어서는, 렌티큘러시트(150)의 수지기판(151)에 광확산제(154) 및 암색계 착색제(154)가 혼입되고, 관찰자는 수지기판(151)에 있어서 영상을 인식한다. 또 도 9에 도시하는 스크린과 같이, 차광 스트라이프층(175)을 배열설치하는 경우, 차광스트라이프층 보다도 프론트사이드의 보호수지기판(181)(렌티큘러시트(170)와 일체)에 광확산제(184) 및 암색계 착색제(184)가 혼입되어, 관찰자는 수지기판(181)에 있어서 영상을 인식한다.
렌티큘러시트측에서 관찰자가 영상을 인식하도록 한 구성은, 만일 리어사이드의 프레넬렌즈시트측에 광확산제를 많이 혼입하면, 프로젝터로부터의 투사광이 과도하게 확산하여, 프레넬렌즈기능으로 렌티큘러시트측에 평행으로 출사하는 광량이 저하한다라는 이유에 의한다. 본 발명자 등의 연구에 의하면, 이점에 관한 발상을 전환하고, 리어사이드의 프레넬렌즈시트측에서 관찰자가 영상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의 스크린에 있어서 콘트라스트 및 광효율의 저하나 제조코스트의 증대 등의 문제를 해소가능한 것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식견에 의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필요한 경우에만 행한다.
도 1은 액정형 배면투사 TV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TV는 케이싱(12)의 최하부에 배열설치된 투사 드라이버(13)를 갖는다. 투사 드라이버(13)는, 광원(14) 및 그 전면에 배열설치된 영상원으로 되는 액정패널(15)등을 포함한다. 광원(14)으로부터의 광이 액정패널(15)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광은, 투사렌즈(17), 미러(18) 등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경유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배면투사 스크린(19)의 리어사이드로 투사된다.
도 2는 액정형 배면투사 TV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배면투사 스크린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 도시의 스크린을 X-Y면에서 절단한 횡단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선 IIIB-IIIB선에 따른 종단측면도이다. 이 스크린(A1)은 투사측(리어사이드)으로부터 양면렌즈시트(20), 수평렌티큘러시트(30)를 포함한다.
양면렌즈시트(20)는, 0.5mm∼3mm, 예를 들면 1.5mm의 두께의 수지기판(21)을 갖는다. 수지기판(21)에는 광확산제(24)가 혼입되고, 75%∼95%, 예를 들면 90%의 전광선 투과율(Tt1)과, 40%∼70%, 예를 들면 60%의 확산투과율(Dt1)과 50∼80, 예를 들면 70의 헤이즈(haze)값(H1)을 갖도록 설정된다.
더욱이, 여기서, 전광선투과율, 확산투과율, 헤이즈값의 정의는 JIS 규격 K7105에 의한다.
수지기판(21)의 리어사이드에는, 수직렌티큘러부(23)가 배열설치된다. 수직렌티큘러부(23)는,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실린드리칼렌즈를 0.2mm이하, 예를 들면, 0.07mm의 피치(PLa)로 수직방향으로 병렬 설치하여 이룬다. 수직 렌지큘러부(23)는, 영상광을 수직방향으로 굴절확산시키기 위하여 배열설치된다.
수지기판(21)의 관찰측(프론트사이드)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프레넬 렌즈(22)가 배열설치된다. 프레넬 렌즈(22)의 피치(Pf)는 0.05mm∼0.2mm, 예를 들면 0.1mm로 설정된다.
수평렌티큘러시트(30)는, 0.05mm∼0.3mm, 예를 들면 0.15mm의 두께의 수지기판(31)과, 여기에 접착된 0.5mm∼3mm, 예를 들면 2mm의 두께의 보호수지기판(41)을 갖는다. 수지기판(31,41)은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75%∼95%, 예를 들면 90%의 전광선 투과율(Tt2)과 0%∼40%, 예를 들면 0%의 확산 투과율(Dt2)과, 0∼50, 예를 들면 0의 헤이즈값(H2)을 갖도록 설정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지기판(31,41)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의 광학특성의 설정값과 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수지기판(31,41)의 광학특성의 설정값과의 관계는 Tt1/Tt2=0.8∼1.2, Dt1/Dt2 ≥ 1, H1/H2 ≥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수지기판(31)의 리어사이드에는, 수평렌티큘러부(32)가 배열설치된다. 수평렌티큘러부(32)는 수직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투명한 실린드리칼렌즈를 0.3mm 이하, 예를 들면 0.15mm의 피치(PLb)로 수평방향으로 병렬설치하여 이룬다. 수평렌티큘러부(32)는, 영상광을 수평방향으로 굴절확산시키기 위하여 배열설치된다.
수직렌티큘러부(23)의 피치(PLa)와 수평렌티큘러부(32)의 피치(PLb)와의 관계는 PLa < PLb을 만족하고, 바람직하게는 PLb/PLa = 1.1∼6.0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수지기판(31)의 프론트사이드에는 방사선(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수지층(36) 및 차광층(스트라이프층)(35)이 배열설치된다. 차광층(35)은, 수직방향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설치된 복수의 흑색의 차광대로 이루어진다. 차광대는, 후술의 양태로, 수평렌티큘러부(32)의 실린드리칼렌즈의 광집광부에 상당하는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다.
차광층(35)의 프론트사이드에, 점착층(37)을 통하여 보호수지기판(41)이 접착된다. 수지기판(41)의 프론트사이드에는, 1㎛∼30㎛, 예를 들면 5㎛의 두께의 표면처리층(48)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면투사 스크린(A1)에 있어서는,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은 투명성이 낮고, 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수지기판(31,41)의 투명성은 높다. 이 때문에, 관찰자는, 차광층(35)보다도 리어사이드의 양면렌즈시트(20)로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이로서, 스크린의 차광층(35)에 의한 콘트라스트가 향상함과 동시에, 외광반사율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만을 확산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스크린의 제조코스트를 저하시킬수가 있다.
또, 프레넬렌즈(22)의 작용과, 수직렌티큘러부(23)의 수직방향의 영상광의 굴절확산작용과, 수평렌티큘러부(32)의 수평방향의 굴절확산작용이 서로 어울러서 스크린 화면의 광량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균일한 밝기의 스크린이 얻어진다. 또,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확산층)의 광확산 특성과, 수직렌티큘러부(23)의 0.2mm 이하의 피치를 제어함으로써, 액정투사형 특유의 핫바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 수직시야각까지도 제어할 수가 있다.
도 4a는 액정형 배면투사 TV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배면투사 스크린을 도시하는 횡단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선 IVB-IVB 선에 따른 종단 측면도이다. 이 스크린(A2)은 투사측(리어사이드)에서 양면렌즈시트(20), 제1수평렌티큘러시트(30),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를 포함한다.
양면렌즈시트(20) 및 제1수평렌티큘러시트(30)는, 도 2, 도 3a, b에 도시된 양면렌즈시트(20) 및 수평렌티큘러시트(30)와 동일한 조성 및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보호수지기판(41) 표면의 표면처리층(48)은 배열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는, 0.05mm∼0.3mm, 예를 들면 0.2mm의 두께의 수지기판(51)과, 이에 접착된 0.5mm∼3mm, 예를 들면 2mm의 두께의 보호수지기판(61)을 갖는다. 수지기판(51,61)은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75%∼95%, 예를 들면 90%의 전광선 투과율(Tt3)과 0%∼40%, 예를 들면 0%의 확산투과율(Dt3)과, 0∼50 예를 들면 0의 헤이즈값(H3)을 갖도록 설정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지기판(51,61)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의 광학특성의 설정값과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의 수지기판(51,61)의 광학특성의 설정값과의 관계는 Tt1/Tt3=0.8∼1.2, Dt1/Dt3 ≥ 1, H1/H3 ≥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수지기판(51)의 리어사이드에는, 수평렌티큘러부(52)가 배열설치된다. 수평렌티큘러부(35)는 수직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투명한 실린드리칼렌즈를 0.1mm 이하, 예를 들면 0.05mm의 피치(PLc)로 수평방향으로 병렬설치하여 이룬다. 수평렌티큘러부(52)는, 영상광을 수평방향으로 굴절확산시키기 위하여 배열설치된다.
제1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수평렌티큘러부(32)의 피치(PLb)와,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의 수평렌티큘러부(52)의 피치(PLc)와의 관계는 PLc < PLb를 만족하고, 바람직하게는 PLb/PLc = 1.1∼6.0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수지기판(51)의 프론트사이드에, 점착층(57)를 통하여 보호수지기판(61)이 접착된다. 수지기판(62)의 프론트사이드에는, 1㎛∼30㎛, 예를 들면 5㎛의 두께의 표면처리층(68)이 형성된다.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배면투사 스크린(A2)에 있어서는 제1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프론트사이드에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가 배열설치됨으로서, 수평방향의 시야각이 넓어진다. 즉,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가 없는 경우, 도 6의 선(B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야각이 크게 되면, 시야각의 어떤 곳에서 급격히 휘도가 저하한다. 이에 대하여,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를 배열설치한 경우, 시야각이 커짐에 따라 휘도가 완만하게 저하한다. 이 사실은,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를 배열설치한 스크린의 경우, 관찰자 측에서는 어떤 시야각으로부터 서서히 휘도가 저하하므로 위화감을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상기한 2개의 스크린(A1,A2)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의 주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스틸렌수지, 아크릴수지, 아크릴-스틸렌 공중합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수지기판(21)의 주재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최종적으로 상기한 광학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요점으로 된다.
수지기판(21)에 혼입되는 광확산제(24)는, SiO2(글라스) 등의 무기화합물 혹은 아크릴계수지 등의 유기화합물의 구형상(球狀)의 비즈로 이루어진다. 비즈의 입경은 3㎛∼100㎛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광확산제(24)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프로젝터로부터의 투사광이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확산층)을 투과한 투과광(La)은 평행광(L1)과 확산광(L2)과의 합으로 표시된다. 이 투과광이 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렌즈면에 입사하고, 관찰측으로 출사한다.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의 확산층에는 광확산제로서, 분말글라스, 산화티탄, 탄산칼슘, 2산화규소(실리카), 산화알루미늄, 각종 점토 등의 무기미분말 등의 무정형의 것이 사용된다. 만일, 이와 같은 광확산제만을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에 사용하였다면, 수지기판(21)을 투과한 투과광은, 수평렌티큘라시트(30)의 광집광부 즉 차광층(35)의 스크린개구부를 통과하는 경우, 평행광(L1)성분의 일부가 확산광(L2) 성분으로 된다. 이 경우, 광은 차광층(35)(BS율 50% 이상의 경우)에게 일축되어(일축율 20∼30%), 투과광의 광량손실이 생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확산층)의 광확산제는, SiO2(글라스)등의 무기화합물 혹은 아크릴계수지 등의 유기화합물의 입경이 3㎛∼100㎛의 구형상의 비즈로 이루어진다. 이때문에 수지기판(21)을 투과한 투과량은, 수평렌티큘라시트(30)의 광집광부 즉 차광층(35)의 스크린 개구부를 통과하는 경우, 확산광(L2) 성분에 대하여 평행광(L1) 성분이 많아진다. 이 경우, 광은 차광층(35)(BS율 50% 이상의 경우)에 일축율이 감소하고 (일축율 10% 이하), 따라서, 스크린의 휘도가 향상한다.
양면렌즈시트(20)의 광확산제(24)를 혼입한 수지기판(21)에는 비즈이외에 필요에 따라 분말글라스, 미분쇄(微分碎)글라스섬유, 산화티탄, 탄산칼슘, 2산화규소(실리카), 산화알루미늄, 각종 점토 등의 무기미분말 또는 가교중합체수지미립자 등을 첨가할 수가 있다.
또, 수지기판(21)에는 더욱이 착색제, 대전방지제를 혼입할 수가 있다. 착색제에는, 광흡수 스펙트럼이 가시파장영역에 있어서 거의 한결같은 흑색의 가시광선 흡수재료, 또는 선택파장특성을 갖는 가시광선흡수재료 중, 어느 한쪽을 함유시킨다. 이로서, 가시광선파장영역에 있어서 광흡수량을 증가시켜, 외광(外光)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수가 있다. 가시광선을 흡수할 수 있는 착색제의 재료로서 수지기판(21)과 상용성(相容性)이 있는 색소, 안료, 카본, 금속염 등을 들 수가 있다. 대전방지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지기판(21)을 성형하는 경우에 섞어서, 혼입시킬 수가 있다.
수평렌티큘러시트(30,50)의 수지기판(3,151)의 주재료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스틸렌수지, 아크릴수지, 아크릴-스틸렌공중합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수지기판(31,51)의 주재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최종적으로 상기한 광학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요점으로 된다.
보호수지기판(41,61)의 주재료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틸렌수지, 아크릴수지, 아크릴-스틸렌 공중합수지(M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강성 및 광선투과율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수지기판(41,61)의 주재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최종적으로 상기한 광학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요점으로 된다. 또 수지기판(41,61)의 주재료는 수평렌티큘러시트(30,50)에 강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더욱이 수지기판(41)은 차광층(35)을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수지기판(41,61)에는 상기한 광학적 특성의 조건에 적합한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착색제를 혼입할 수도 있다.
보호수지기판(41,61)의 표면처리층(48,68)은 하드코트처리, 대전방지처리, 반사방지처리 등을 위하여 배열설치된다. 보호수지기판(41,61)의 최외면은, 배면투사 스크린의 관찰면으로 된다. 이를 위하여 외부로부터의 할큄이나 접촉에 의한 상처 등에 견디기 위하여 하드코트처리가 이용된다. 또 기판(41,61)의 최외면에 쓰레기, 먼지가 부착하기 어렵고, 스크린 표면을 닦는 빈도를 줄일 수 있도록 대전방지처리가 이용된다. 더욱이 스크린 표면에서의 반사를 저감하고, 외광의 반사가 적고, 외광의 비처들어옴에 의한 영상방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반사방지처리가 이용된다.
하드코트 처리에 의한 하드코트층은, 자외선 경화형 도료로부터 형성할 수가 있다. 자외선 경화형 도료는, 일반적으로 피막형성성분으로서 그 구조중에 라디칼 중합성의 2중결합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머, 올리고머, 모노머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기타 광중합개시제나 증감제(增感劑)를 함유한다. 피막형성성분이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官能基)를 갖는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사용함으로서, 표면경도, 투명성, 내마찰성, 내찰상성 등에 우수한 하드코트 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수지판에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블레이드 코팅, 로드코팅, 나이프코팅, 리버스롤코팅, 스프레이코팅, 오프셋 그라비야코팅 등의 임의의 도포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도포막의 정밀도, 도포표면의 평활성 등에 우수한 그라비야코팅, 그라비야리버스코팅, 리버스롤코팅, 오프셋 그라비야코팅, 커텐플로코팅 등이 알맞다. 또 하드코트층을 전사층으로 한 전사시트를 사용하여 전사에 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대전방지처리는, 보호수지기판(41,61)에 대전방지제를 도포함으로서 행해진다. 일예로서 입경 0.5㎛ 이하의 산화주석(SnO2)을 사용하고, 표면저항값이 1012Ω 이하로 되도록 대전방지층을 설치한다.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값이 1012Ω 이하이면, 특히 금속산화물 미분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종류 첨 가량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방지처리는, 관찰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매트층에 의한 안티글래어처리(AG)나, 굴절율이 다른 재료를 보호판상에 적층하여 형성하는 저반사처리(LR,AR)를 코팅이나 래미네이트에 의하여 보호수지기판(41,61)상에 형성함으로서 실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저굴절율재료 형성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로서, 외광콘트라스트의 개선, 비처들어옴이 없는 영상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보호수지기판(41,61)의 최외층에 외부로부터의 할큄이나 상처등에 견디기 위하여 하드코트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다. 이 하드코트층은 아크릴계의 자외선 경화수지 등의 자외선 경화도료로부터 형성한다. 이 수지중에 50이하의 비율로 SiO2 (글라스) 등의 무기화합물 혹은 아크릴계수지 등의 유기화합물을 첨가함으로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매트층에 의한 안티글래어(AG)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첨가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트층 즉 코팅은, 스크린의 시야각을 넓히는 광확산층으로 기능한다. 시야각 개선용의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가 없는 스크린(A1)의 경우, 실질적으로 투명한 보호수지기판(41)에 대하여 스크린의 시야각을 넓히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때문에, 기판(41)의 관찰면상에 형성되는 1㎛∼30㎛이라는 얇은 표면처리층(48)에 광확산층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드코트층 위에 저반사층으로서 굴절율이 다른층을 적층하므로서, 저반 사(LR)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다. 또, 하드코트층 위에 반사방지층으로서 Ti 나 SiO2 등의 굴절율이 다른 층을 적층한 AR필름을 적층함으로서 반사방지(AR)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다.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직렌티큘러부(23) 및 프레넬렌즈(22)와, 수평렌티큘러시트(30,50)의 수평렌티큘러부(32,52)는 다음 방법 1∼3의 어느것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더욱, 이하의 설명으로 언급되는 시트형상 기판은, 폴리스틸렌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의 수지재료로부터 형성할 수가 있다.
방법 1: 시트형상 기판을 가열하고, 열용융상태에서 평프레스로 금형을 사용하여 프레스한다.
방법 2: 엑스트루더(압출기)에 의한 용융압출성형으로 용융상태로 압출되는 시트형상 기판의 표면에 엠보스롤금형을 사용하여 프레스한다.
방법 3: 자외선 또는 전자선 경화성수지조성물을 엠보스롤 금형의 성형면에 도공(塗工)하고 시트형상 기판을 엠보스롤 금형에 공급한다. 이 기판을 통하여 자외선 또는 전리방사선의 조사에 의하여, 수지를 경화시킴과 동시에, 수지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렌즈를 투명기판에 중합접착시킨다.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양면 렌즈시트(20)의 프레넬렌즈(22)와 수평렌티큘러시트(30,50)의 수평렌티큘러부(32,52)와는, 생산성의 점에서 방법 3의 자외선 또는 전자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양면 렌즈시트(20)의 수직렌티큘러부(23)는, 방법 2의 압출성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차광층(35)은, 수평렌티큘러부(32)의 실린드리칼렌즈의 광집광부에 상당하는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흑색의 광흡수차광 스트라이프로 이루어진다. 즉, 차광스트라이프는 수평렌티 큘러부(32)에 의하여 집광되는 영상광이 통과하지 않는 영역에 정일(整一)하여 형성된다.
도 5a∼e는 차광층(35)의 형성방법을 공정순으로 도시하는 횡단평면도이다.
우선,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면에 실린드리칼렌즈의 렌티큘러부(72)가 형성된 기판(71)을 준비한다.
다음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71)의 평탄면상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층(73)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드리칼렌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띠형상(帶狀)의 광선(LB)을, 렌티큘러부(72)측에서 기판(71)의 평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사한다. 이 경우, 광원과 기판(71)을 실린드리칼렌즈의 병렬설치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킨다. 이로서, 각 실린드리칼렌즈에 의하여 집광되는 광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지층(73)을 경화시킨다. 이로서 수지층(73)에는, 미경화층(73a)과 경화층(73b)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층(73)을 형성한 기판(71)의 평탄면상의 전면(全面)에, 전사시트기판(76)에 흑색의 착색층(77)이 형성된 전자시트(78)를 착색층(77)측에서 포개어 맞춘다. 그리고, 미경화층(73a)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착색층(77)을 미경화층(73a)에만 부착시킨다. 이 방법에 대신하여, 흑색미분체 토너를 미경화층(73a)에만 선택적으로 부착시킬수도 있다.
다음에 도 5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시트(78)를 기판(71)으로부터 벗기고, 경화층(73b)에 대응하는 착색층(77)부분을 제거한다. 이로서 미경화층(73a)에 대응하여 띠형상의 차광층(75)이 형성된다.
도 5c에 도시의 노광공정에 있어서는 광원과 기판(71)을 실린드리칼렌즈의 병렬설치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므로서, 렌티큘러부(72)의 전면에 평행광을 일괄적으로 조사하는 것과 동등의 조사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차광층(75)은, 렌티큘러시트를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비집광부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차광층(75)은, 셀프얼라이먼트에 의하여 영상광이 통과하지 않는 개소, 즉 차광이 필요한 개소에 확실한 위치정밀도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동일한 노광프로세스 공정에 의하면, 노광량에 따라 미경화층(73a)의 폭을 제어하므로서 차광층(75)의 각 띠의 폭을 컨트롤할 수 있다.
비집광부의 폭과 (비집광부+집광부)의 폭의 비를 BS율로 정의하면 충분한 콘트라스트를 얻기 위하여는 BS율을 50%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도 2 내지 도 4b 도시의 본 발명에 관한 액정형 배면투사 TV용의 배면투사 스크린(A1,A2)의 샘플(PS1,PS2)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액정형 배면투사 TV용의 종래의 배면투사 스크린의 샘플(CS1,CS2)과 도 7에 도시하는 CRT형 배면투사 TV용의 종래의 배면투사스크린의 샘플(CS3)과의 성능비교실험을 행하였다.
샘플의 구성
1. 본 발명에 관한 샘플(PS1)
샘플(PS1)은 도 3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면렌즈시트(20)와 흑색차광층(35)를 갖는 수평렌티큘러시트(30)로 구성하였다. 즉, 양면렌즈시트(20)의 수지기판(21)에 광확산제(24)를 혼입하고, 수평렌티큘러시트(30)의 수지기판(31,41)은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하였다. 보호수지기판(41)의 표면처리층(48)은 생략하였다. 프레넬렌즈(22), 수직렌티큘러부(23), 수평렌티큘러부(32)의 피치(Pf,PLa,PLb)는 각각 0.1mm, 0.07mm, 0.16mm로 설정하였다.
2. 본 발명에 관한 샘플(PS2)
샘플(PS2)은, 도 4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면렌즈시트(20)와, 흑색차광층(35)을 갖는 제1수평렌티큘러시트(30)와,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로 구성하였다. 즉 샘플(PS2)은, 샘플(PS1)의 프론트사이드에 제2수평렌티큘러시트(50)를 추가한 것으로 하였다. 보호수지기판(61)의 표면처리층(68)은 생략하였다. 수평렌티큘러부(52)의 피치(PLc)는 0.07mm로 설정하였다.
3. 비교샘플(CS1)
샘플(CS1)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넬렌즈시트(140)와, 흑색차광층을 갖지 않는 수평렌티큘러시트(150)로부터 구성하였다. 즉, 프레넬렌즈시트(140)의 수지기판(141)에는 광확산제(144)를 혼입하고, 수평렌티큘러시트(150)의 수지기판(151)에는 광확산제 및 착색제(154)를 혼입하였다. 수지기판(151)의 표면처리층(158)은 생략하였다. 프레넬렌즈 및 수평렌티큘러부의 피치는 본 발명에 관한 샘플(PS1)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4. 비교샘플(CS2)
샘플(CS2)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넬렌즈시트(160)와, 흑색차광층(175)을 갖는 수평렌티큘라시트(170)로부터 구성하였다. 즉 프레넬렌즈시트(160)의 수지기판(161)에는 광확산제(164)를 혼입하고, 수평렌티큘러시트(170)의 보호수지기판(181)에는 광확산제 및 착색제(184)를 혼입하였다. 보호수지기판(181)의 표면처리층(188)은 생략하였다. 프레넬렌즈 및 수평렌티큘러부의 피치는 본 발명에 관한 샘플(PS1)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5. 비교샘플(CS3)
샘플(CS3)로서는, 도 7에 도시의 구조를 갖는 시판의 CRT형 배면투사 TV용 스크린을 사용하였다. 즉 비교샘플(CS3)은, 프레넬렌즈시트(110)와 양면렌티큘러시트(120)와, 보호판(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양면렌티큘러시트(120)의 수지기판(121)에는 광확산제(124)가 혼입되어 있다. 프레넬렌즈(112)의 피치는 0.15mm, 수평렌티큘러부(122)의 피치는 0.5mm 었다.
평가방법
상기 샘플의 광학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시야각
액정용 배면투사 TV(화면중앙부의 조도: 200LUX)에 배면투사 스크린의 샘플을 세트하고, 2m 떨어진 위치에서의 스크린 중앙부 및 그 중앙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좌우의 소정의 각도에서의 휘도(cd/m2)를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토프콘제 BM-7을 사용하고, 2도 시야(2度視野)로 행하였다. 그 측정결과로부터 중심휘도의 각각 1/2, 1/3, 1/10, 1/20로 되는 각도를 αH, βH, γH, δH로 나타내었다.
동일하게, 스크린 중앙부 및 그 중앙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하 소정의 각도에서의 휘도(cd/m2)를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토프콘제BM-7을 사용하고, 2도 시야로 행하였다. 그 측정결과로부터 중심휘도의 1/2로 되는 각도를 αV로 나타내다.
2. 휘도
액정형 배면투사 TV(화면중앙부의 조도: 200LUX)에 배면투사 스크린의 샘플을 세트하고, 2m 떨어진 위치에서의 휘도(cd/m2)를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토프콘 제 BM-7을 사용하고, 2도 시야로서 행하였다.
3. 콘트라스트
액정형 배면투사 TV(화면중앙부의 조도: 200LUX)에 배면투사 스크린의 샘플을 세트하고, 2m 떨어진 위치에서 백색부와 흑색부와의 휘도(cd/m2)를 측정하고, 그 휘도비로부터 콘트라스트를 구하였다. 측정에는 토프콘제 BM-7을 사용하고, 2도 시야로 행하였다.
4. 외광반사율
액정형 배면투사 TV(화면중앙부의 조도: 200LUX)로 배면투사 스크린의 샘플을 세트하고, 2m 떨어진 위치에서 흑색휘도를 측정하고, 표준 백색판과의 휘도비로 부터 외광반사율을 구하였다.
5, 핫바
액정형 배면투사 TV (화면중앙부의 조도: 200LUX)에 배면투사 스크린의 샘플을 세트하고, 1m 떨어진 위치에서의 시스르현상(광원이 틈이 생기는 현상)이 없는 것을 ◎, 약간 관찰되는 것을 △, 있는 것을 ×로 표시한다.
6. 무아레, 선명도,
투사화상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무아레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을 ◎, 약간 관찰된 것을 △로 나타내었다. 또 선명도는 화상의 해상도를 나타내고, 동일한 투사화상을 육안 관찰에 의하여 평가하고, 해상성이 우수한 것을 ◎, 약간 뒤떨어지는 것을 △로 나타내었다.
표 1은 본 실험의 결과를 표시한다.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샘플(PS1,PS2)은 다른 샘플과 비교하면 휘도, 콘트라스트, 외광반사율, 핫바에 관하여 총합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 샘플(PS1,PS2)을 비교하면, 샘플(PS2)의 쪽이 시야각 특성에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PS1 PS2 CS1 CS2 CS3
광 학 특 성 시야각(도) 수평방향αH 수평방향βH 수평방향γH 수평방향δH 수직방향αV 35 40 45 50 8 37 42 48 55 8 35 41 46 51 8 35 41 46 51 8 30 38 43 48 10
휘도(cd/cm2) 460 430 130 380 190
콘트라스트 150 40 100 45
외광반사율(%) 1.5 4 3 4
핫바 ×
무아레
선명도
따라서, 본 발명은 TV의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는 스크린에 있어서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양자를 모두 개량함과 동시에 제조 코스트를 저하시킬수 있다.

Claims (20)

  1. 투사측이 리어사이드, 관찰측이 프론트사이드로서 규정되는 배면투사 스크린:
    제1렌티큘러부와, 상기 제1렌티클러부는 제1방향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병렬설치된 복수의 실린드리칼렌즈를 구비하는 것과,
    상기 제1렌티큘러부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은 0.5mm∼2mm의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75%∼95%의 전광선투과율(Tt1)과, 40%∼70%의 확산투과율(Dt1)과 50∼80의 헤이즈(haze)값(H1)을 갖는 것과,
    상기 제1기판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 설치된 프레넬렌즈와,
    상기 프레넬렌즈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 설치된 제2렌티큘러부와, 상기 제2렌티큘러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방향으로 병렬 설치된 복수의 실린드리칼렌즈를 구비하는 것과,
    상기 제2렌티큘러부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0.05mm∼0.3mm의 두께를 갖는 것과,
    상기 제2기판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차광스트라이프층과, 상기 차광스트라이프층은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설치된 복수의 차광대를 구비하는 것과,
    상기 차광스트라이프층에 접하도록 상기 차광스트라이프층의 프론트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제3기판과 상기 제3기판은 0.5mm∼3mm의 두께를 갖는 것
    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제2 및 제3기판(3)은,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75%∼95% 전광선투과율(Tt2)과, 0%∼40%의 확산투과율(Dt2)과, 0∼50의 헤이즈값(H2)을 갖도록 설정되고, Tt1/Tt2=0.8∼1.2, Dt1/Dt2 ≥ 1, H1/H2 ≥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티큘러부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프레넬 렌즈는 일체적인 제1렌즈시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티큘러부와,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차광스트라이프층과, 상기 제3기판은 일체적인 제2렌즈시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기판은 실질적으로 수지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티큘러부의 실린드리칼렌즈의 배열 피치는 0.3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티큘러부의 실린드리칼렌즈의 배열피치는 0.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티큘러부의 실린드리칼렌즈의 피치가 PLa, 상기 제2렌티큘러부의 실린드리칼렌즈의 피치가 PLb일때 PLa < PL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PLb/PLa는 1.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스트라이프층의 상기 띠는, 상기 제2렌티큘러부의 실린드리칼렌즈의 비집광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은 광확산제가 혼입된 수지재료로부터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제는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의 비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수지재료에 착색제 및 대전방지제가 더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의 프론트 사이드 측의 면상에 배열설치된 1㎛∼30㎛의 두께를 갖는 광확산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은, 50이하의 비율로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이 혼입된 수지층으로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의 프론트 사이드의 면상에 부여된 하드코트, 대전방지, 반사방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기능을 완수하는 코팅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의 프론트 사이드에 배열설치된 제3렌티큘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3렌티큘러부는 상기 제2방향에 연재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방향으로 병렬설치된 복수의 실린드리칼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티큘러부의 실린드리칼렌즈의 피치가 PLb, 상기 제3렌티큘러부의 실린드리칼렌즈의 피치가 PLc일때 PLc < PL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PLb/PLc는 1.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 스크린 디바이스.
  20.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하여 광을 투사시키는 영상원으로 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액정패널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계, 및 상기 광학계에 의하여 영상광이 투사되는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배면투사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형 배면투사 TV.
KR1019990061032A 1998-12-24 1999-12-23 배면투사 스크린 KR100633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66994A JP2000187283A (ja) 1998-12-24 1998-12-24 透過型スクリーン
JP98-366994 1998-12-24
JP99-124159 199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368A KR20000048368A (ko) 2000-07-25
KR100633293B1 true KR100633293B1 (ko) 2006-10-11

Family

ID=1848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032A KR100633293B1 (ko) 1998-12-24 1999-12-23 배면투사 스크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187283A (ko)
KR (1) KR100633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807A (ja) * 2000-12-22 2002-09-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及びレンズシートの成形方法
JP3733418B2 (ja) 2001-04-16 2006-01-11 シャープ株式会社 粘接着シート、積層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422707B1 (ko) * 2001-09-21 2004-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tv의 투과형 스크린
JP2005292299A (ja) * 2004-03-31 2005-10-20 Toppa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368A (ko) 2000-07-25
JP2000187283A (ja) 200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7675B1 (en) Rear-projection screen for use with a liquid crystal panel as a video source
US7727626B2 (en) Light diffusion plate and its production process
US7719763B2 (en) Light-diffusing member, transmission type screen, rear-projection-type display, and light-absorbing-part-forming resin composition
US6865834B2 (en) Display apparatus
US7990618B2 (en) Light-diffusing film and screen including the same
JP5716733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JP2003131326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3918439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3570282B2 (ja) 光学物品及び該光学物品を用いた背面透過型スクリーン
KR100633293B1 (ko) 배면투사 스크린
JP6135889B2 (ja) 採光シート及び採光積層体
JP3610826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KR100485218B1 (ko) 투사형텔레비젼스크린
JP3698028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7127858A (ja) 光拡散板とそれを用いた透過型スクリーン
JP6089680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JP4984378B2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3131325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KR20070110173A (ko) 투사 스크린
JP2007334186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
JP6037068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JP6037067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JP6215376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JP2002268147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37069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