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974B1 -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974B1
KR100632974B1 KR1020050051911A KR20050051911A KR100632974B1 KR 100632974 B1 KR100632974 B1 KR 100632974B1 KR 1020050051911 A KR1020050051911 A KR 1020050051911A KR 20050051911 A KR20050051911 A KR 20050051911A KR 100632974 B1 KR100632974 B1 KR 10063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sand
roasting plate
meat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기
Original Assignee
김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기 filed Critical 김동기
Priority to KR102005005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성형물이 구워짐으로써, 충격 및 가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될 수 있는 황토 구이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은, 40메시 이상의 입도의 85 내지 90체적%의 황토분과 15 내지 10체적%의 저융점의 미세 모래로 구성되어, 고온으로 구워질 때 용융된 모래에 의해 표면이 코팅되며, 중앙 부분이 양측부 보다 두꺼운 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황토 구이판은 본 발명에 따라서, 황토를 40메시 이상의 그물눈을 가지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황토로부터 불순물이 제거하여 황토분을 만드는 단계와; 85 내지 90 체적%의 황토분과 15 내지 10 체적%의 저융점의 미세 모래를 혼합하여,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5 내지 4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와; 모래 혼합 황토분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중량부의 물을 혼합 반죽하여, 양측부 보다 중앙 부분이 두꺼운 판 형상으로 진공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물로부터 습기를 제거하도록 성형물을 48시간 이상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성형물을 고온 가마에서 950 내지 1050℃의 온도에서 11 내지 13시간동안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황토, 모래, 구이판,

Description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 방법{Yellow earth plate for roasting foo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서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이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이 전용 식탁에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식탁에서 사용되는 황토 구이판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황토 구이판 2 : 중앙 부분
3 : 양측 부분 4 : 기름 안내홈
5 : 휴대용 가스레인지 6 : 노즐
7 : 거치대 8 : 구이판 받침대
9a, 9b : 지지대 10 : 식탁
11 : 기름받이
본 발명은 황토 구이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고기 또는 생선 등을 구울 때 사용될 수 있는 황토 구이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불고기, 갈비, 돼지고기(삼겹살) 등을 구울 때 사용되는 고기 구이판은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금속제 고기 구이판은 그 재료 특성상 열전도율이 좋기 때문에 고기 구이판이 빠른 시간에 고온으로 달구어져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지는 이점은 있으나, 고온으로 달구어진 고기 구이판에 의해 고기가 검게 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너 등의 불의 세기를 조정하여 고기 구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가 있으나, 고기 구이판에 놓인 고기의 양에 따라서 구이판의 온도를 알맞게 맞추는 것이 매우 어려운 한편, 불을 끄는 경우에, 열전도성이 좋기 때문에, 급격히 냉각되어, 고기가 딱딱하게 되어서 섭취하기 어렵게 되고 또 고기의 맛도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금속제 고기 구이판은 고기를 구울 때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지방)이 고기 구이판에 흡수되지 않고, 고기 구이판이 식으면 고기 구이판의 표면에 단단하게 엉겨 붙는다. 고기 구이판에 엉겨 붙은 기름 덩어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고기 구이판의 표면에 단단하게 엉겨 붙은 기름 덩어리를 고기 구이판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세제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세제로 인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2년 2월 21일자 등록된 특허 제10-032705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황토를 이용한 고기구이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발명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나트륨 0.2 내지 0.5 중량부(티스푼 1개 정도의 양)가 첨가되어 제조되는 황토를 이용한 고기구이판으로서, 이 발명에 의한 고기구이판은, 황토의 무게를 잰 후 물에 황토를 녹이고, 물에 녹은 황토를 망눈의 크기가 상이한 체에 반복하여 통과시키는 한편, 체의 망 눈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되며, 스크린을 통과한 황토와 물의 혼합물에서 황토를 가라앉혀 윗부분의 맑은 물을 분리 제거시키고, 윗부분의 물이 제거된 젖은 황토에 최초에 첨가된 황토의 무게 1㎏ 대비 염화나트륨(소금) 티스푼 1개 정도의 양(황토 100 중량부 대비 염화나트륨(소금) 약 0.2 내지 0,5중량부)을 가하여 섞어주며,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황토를 반건조시키고, 반건조된 황토를 다수의 분쇄기를 통과시키는 한편 분쇄기의 메시의 간격이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하며, 분쇄기를 통과한 황토를 비닐봉지에 넣고 그늘에서 양생시켜서 수분함유량을 조절하고, 황토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며, 성형된 황토를 건조시키는 단계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이 만들어지는 황토를 이용한 고기구이판은 반건조된 황토가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후에 그늘에서 양생된 상태에서 성형 후에 건조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완성된 상태에서 황토분이 날리거나 손에 묻을 수 있으며, 또한 건조되는 것만으로 완성되므로 완성된 고기구이판의 강도가 약하여, 약한 충격에도 파손될 수 있다.
아울러, 고기를 굽기 위하여 버너에서 사용될 때, 건조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강한 열에 의해 깨지거나 균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 명세서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몇 번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고 난 후의 고기구이판의 폐기물 처리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성형물이 구워짐으로써, 충격 및 가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될 수 있는 황토 구이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40메시 이상의 입도의 85 내지 90체적%의 황토분 과 15 내지 10체적%의 저융점의 미세 모래로 구성되어, 고온으로 구워질 때 용융된 모래에 의해 표면이 코팅되며, 중앙 부분이 양측부 보다 두꺼운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황토 구이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부분이 양측부 보다 두꺼운 원호 형상의 곡면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중앙 부분은 전방 및 후방 부분중 하나 이상의 부분을 향하는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경사면의 끝 부분에 기름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모래는 바람직하게 철분이 없는 모래이다.
대안적으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황토를 40메시 이상의 그물눈을 가지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황토로부터 불순물이 제거하여 황토분을 만드는 단계와; 85 내지 90 체적%의 황토분과 15 내지 10 체적%의 저융점의 미세 모래를 혼합하여,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5 내지 4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래 혼합 황토분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중량부의 물을 혼합 반죽하여, 양측부 보다 중앙 부분이 두꺼운 판 형상으로 진공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로부터 습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성형물을 48시간 이상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성형물을 고온 가마에서 950 내지 1050℃의 온도에서 11 내지 13시간동안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은 240 내지 280 × 300 내지 350㎜의 크기를 가지는 판, 바람직하게는 가마솥의 하부 부분과 유사한 형상의 약 300㎜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황토 구이판(1)은 중앙 부분(2)이 10 내지 12㎜의 두께를, 양측 부분(3)이 8 내지 10㎜의 두께를 가진다. 이 때, 황토 구이판(1)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모따기 또는 둥글게 라운딩 처리된다.
황토 구이판(1)의 중앙 부분(2)이 양측 부분(3) 보다 두껍게 만들어지는 것은 황토 구이판(1)이 가정용 가스레인지, 또는 등산용 버너에서 고온으로 가열될 때, 황토 구이판(1)의 중앙 부분이 측면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열이 측면부분으로 보다 서서히 전달되어 가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서, 황토 구이판(1)의 중앙 부분이 측면보다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황토 구이판(1)의 중앙 부분에 열이 축열될 수 있어, 황토 구이판(1)이 어느 정도 달구어졌을 때,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의 불의 세기를 약하게 하였을 경우에, 황토 구이판(1)의 냉각이 지연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은 황토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상태에서, 황토를 40메시 이상의 그물눈을 가지는 체를 이용하여 황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황토를 체질함으로써, 황토에 포함된 모래, 작은 돌 등과 같은 불순물 등이 제거되어, 일정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황토분이 얻어질 수 있다.
모래, 작은 돌 등과 같은 불순물이 제거된 85 내지 90 체적%의 황토분과, 15 내지 10 체적%의 저융점의 미세 모래, 예를 들어 800메시의 입도의 주로 백운석 성분으로 이루어진 미세 모래가 혼합된다. 황토분에 혼합되는 모래는 모래를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서 800 메시의 입도를 가지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준비된다. 이 때, 모래는 철분이 없는 모래가 채취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질에 의해 적당한 입도의 모래를 채취할 때, 철분이 포함된 모래는 흐르는 물에 가라앉음에 따라서 철분이 없는 모래와 선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래는 황토와 균일하게 혼합되어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5 내지 40일 동안 숙성(발효)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철분이 없는 비교적 미세한(부드러운) 모래와 황토분이 혼합되어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5 내지 40일 동안 숙성실에서 숙성됨으로써, 황토분이 가지는 점력(점도)이 모래에 의해 완화되어 성형후 성형물이 건조될 때 성형물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황토 구이판(1)으로 완성되어 사용될 때, 황토분에 혼합된 모래에 의해 내열성이 강하게 되어, 황토 구이판(1)의 형상과 함께 고온의 가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은 상기된 바와 같이 숙성된 모래 혼합 황토분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중량부의 물이 혼합되어 반죽된다. 황토분과 물의 반죽은 국수를 만들 때의 밀가루 반죽과 같은 반죽 상태가 적절하고, 반죽 내에 공기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충분히 반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황토 반죽은 진공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된 바와 같은 형태로 성형되고, 진공 성형기에 의해 성형된 황토 구이판 성형물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후에, 성형물로부터 습기가 제거되도록 48시간 이상 자연 건조, 바람직하게는 음지에 서 자연 건조된다. 자연 건조에 의해 습기가 충분히 제거된 황토 구이판 성형물은 고온 가마에서 950 내지 1050℃, 바람직하게 약 1000℃의 온도에서 11 내지 13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12시간동안 구워진다. 이 때, 황토분에 혼합된 모래가 용융되어 황토분의 강한 결합을 유발하여 황토 구이판(1)의 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구이판의 표면을 매끄럽게 코팅하는 작용을 하여, 황토 구이판(1)의 표면으로부터 황토분이 날리거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은 성형 후에 건조만으로 완성되는 종래의 황토 구이판과 비교하여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이 불에 직접 가열되는 중앙 부분(2) 보다 양 측면 부분(3)이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기를 굽기 위해 사용될 때, 측면 부분(3)의 온도가 중앙 부분(2)보다 낮게 되어, 완전히 또는 약간 덜 익은 고기가 측면 부분(3)에 놓여 졌을 때, 고기가 타는 것이 방지되고 열에 의해 익은 상태로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은 상기된 바와 같이 일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가마솥 형상의 약 300㎜의 곡률반경 및 상기된 바와 같은 두께를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만들어질 때, 가열로 인한 황토 구이판(1)의 파손이 최적으로 방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황토 구이판(1)이 원호 형상으로 만들어짐으로써, 완전히 또는 약간 덜 익은 고기가 측면 부분(3)에 놓여 졌을 때, 고기로부터 나온 기름이 황토 구이판(1)의 중앙 부분(2)으로 모여지게 된다.
황토 구이판(1)의 중앙 부분(2)은 바람직하게 기름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도 2의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 구이판(1)의 전방 또는 후방 부분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경사면 끝 부분에는 기름을 안내하기 위한 기름 안내홈(4)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은 황토 구이판(1)의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기 때문에 황토 구이판(1) 자체에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중앙 부분(2)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서 흘러내려 기름 안내홈(4)에 의해 기름 안내홈(4)의 하부에 위치되는 별도의 용기로 안내되어 폐기된다. 아울러,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황토 구이판(1)으로 흡수되거나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된 바와 같이 제조된 황토 구이판(1)을 처음 시작할 때 식용유 또는 들기름과 같은 기름이 황토 구이판(1)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에서 휴대용 가스레인지(3)에 의해 가열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전방 또는 후방에 제공되는 하나의 기름 안내홈(4)이 황토 구이판(1)의 경사면 끝 부분에 형성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에서와 같이 전용 식탁(1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2)의 전후 방향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전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전후방의 경사면 끝 부분에 각각 기름 안내홈(4)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후방의 경사면 끝 부분에 각각 기름 안내홈(4)들을 따라서 흘러내린 기름은 식탁(10)의 하부에 제공되는 기름받이(11)로 흘러내려 폐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은 상기된 바와 같이 가마솥의 하부 부 분과 같은 곡률의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용 가스레인지(5)의 거치대(7)에 얹혔을 때, 아래로 볼록 튀어나온 중앙 부분(2)이 가스레인지(5)의 노즐(6)과 가까이 위치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이판 받침대(8)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구이판 받침대(8)는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9a,9b)를 가지며, 기름 안내홈(4)은 높이가 낮은 지지대(9b) 쪽에 위치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기름 안내홈(4)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러한 구이판 받침대(8)는 적절한 형상 및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이 구이판 받침대(8)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용 가스레인지(5)에 직접 올려져 사용되는 경우에도,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황토 구이판(1)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은 상기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가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1)은 중앙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고 황토 구이판(1)의 전방 또는 후방 부분에 기름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벽이 형성됨으로써 기름이 한 쪽으로 흐르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에 의하면, 황토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성형물이 구워짐으로써, 충격 및 가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고기를 굽기 위하여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은 물, 바람직하게는 뜨거운 물에 충분히 담근 후에 세척하는 것에 의하여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어 재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구이판을 이용하는 경우에, 고기가 구워지거나 타는 것에 의한 연기 및 냄새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익혀진 고기의 맛이 황토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보다 부드럽게 되고, 육류뿐만 아니라 생선 등을 구울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생선을 구울 때 발생하는 냄새가 황토 고유의 특성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40메시 이상의 입도의 85 내지 90체적%의 황토분과 15 내지 10체적%의 저융점의 미세 모래로 구성되어, 고온으로 구워질 때 용융된 모래에 의해 표면이 코팅되며, 중앙 부분이 양측부 보다 두꺼운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황토 구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이 양측부 보다 두꺼운 원호 형상의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구이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은 전방 및 후방 부분중 하나 이상의 부분을 향하는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경사면의 끝 부분에 기름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구이판.
  4. 제 1 항에 있어서 모래는 철분이 없는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구이판.
  5. 황토를 40메시 이상의 그물눈을 가지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황토로부터 불순물이 제거하여 황토분을 만드는 단계와;
    85 내지 90 체적%의 황토분과 15 내지 10 체적%의 저융점의 미세 모래를 혼 합하여,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5 내지 4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래 혼합 황토분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중량부의 물을 혼합 반죽하여, 양측부 보다 중앙 부분이 두꺼운 판 형상으로 진공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로부터 습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성형물을 48시간 이상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성형물을 고온 가마에서 950 내지 1050℃의 온도에서 11 내지 13시간동안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구이판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은 중앙 부분이 양측부 보다 두꺼운 원호 형상의 곡면판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구이판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모래는 철분이 없는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구이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50051911A 2005-06-16 2005-06-16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 방법 KR10063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911A KR100632974B1 (ko) 2005-06-16 2005-06-16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911A KR100632974B1 (ko) 2005-06-16 2005-06-16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974B1 true KR100632974B1 (ko) 2006-10-11

Family

ID=3763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911A KR100632974B1 (ko) 2005-06-16 2005-06-16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9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84Y1 (ko) 1999-08-02 2000-02-15 서춘석 황토 구이판
JP2001252194A (ja) 2000-03-10 2001-09-18 Manabu Shiraishi 陶磁器製波形焼き肉プレート
KR200318562Y1 (ko) 2003-03-26 2003-06-28 김형련 고기구이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84Y1 (ko) 1999-08-02 2000-02-15 서춘석 황토 구이판
JP2001252194A (ja) 2000-03-10 2001-09-18 Manabu Shiraishi 陶磁器製波形焼き肉プレート
KR200318562Y1 (ko) 2003-03-26 2003-06-28 김형련 고기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52020A (zh) 具有自动翻转功能的烧烤装置
KR100632974B1 (ko)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 방법
KR100566386B1 (ko) 초벌구이용 화덕구이기
JP6797506B1 (ja) キャンピングテーブル
JP2007301327A (ja) 焼き物調理器
CN204811685U (zh) 一种多功能空气炸锅
KR101380623B1 (ko)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101875339B1 (ko) 직화불꽃을 이용한 불판
CN106724900B (zh) 一种炭烤炉
CN109288408A (zh) 一种环保的家用无烟烧烤炉
KR100335149B1 (ko) 황토 구이판과 그의 제조방법
KR100841392B1 (ko) 고기 구이 전열판
KR200232658Y1 (ko) 숯불구이기
WO2006019228A1 (en) Clay fry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5937138U (zh) 一种便携多功能烧烤架
CN208625428U (zh) 一种烧烤炉
KR200359473Y1 (ko) 석영재를 이용한 불판형 조리용구
CN205912753U (zh) 一种环保烤肉炉
KR200178845Y1 (ko) 고기구이기의 석쇠용 살
KR20100059620A (ko) 고기 구이판
KR20090012688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200206873Y1 (ko) 기능성 직화구이용 판지
JP2004210571A (ja) 酸化鉄含有セラミックス炭
KR200330934Y1 (ko) 구이 불 판과 그 제조방법
KR19990038518U (ko)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