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911B1 -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911B1
KR100632911B1 KR1020017000704A KR20017000704A KR100632911B1 KR 100632911 B1 KR100632911 B1 KR 100632911B1 KR 1020017000704 A KR1020017000704 A KR 1020017000704A KR 20017000704 A KR20017000704 A KR 20017000704A KR 100632911 B1 KR100632911 B1 KR 10063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tooth
nose portion
sides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121A (ko
Inventor
클렌데닝찰스
Original Assignee
에이치 앤드 엘 투쓰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3799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329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앤드 엘 투쓰 캄파니 filed Critical 에이치 앤드 엘 투쓰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8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8Teeth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12), 굴착용 톱니(14), 및 상기 톱니(14) 및 상기 어댑터(12)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된 상태로 상호연결시키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16)를 포함하는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톱니(14) 및 어댑터(12)는 이들 사이에 유일하게 형성된 결합면을 가진다. 또한, 톱니(14) 및 어댑터(12) 사이의 결합면은, 통상의 수직 및 수평 핀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보유지지 장치(16)의 방향을 편리하게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 노즈부, 긴 부재, 오목부, 보유지지 장치, 굴착형 톱니, 어댑터

Description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MULTIPIECE EXCAVATING TOOTH ASSEMBLY}
본 발명은 지반 침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유지지 장치에 의해 상호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와 어댑터를 구비하는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채광(採鑛), 건설, 및 여러 가지 다른 지반 침입 작업들에 사용되는 굴착 장치는 일반적으로 버킷 립(bucket lip)을 가로질러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장착된 일련의 지반 침입용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톱니는 버킷에 재료를 모으고 모인 재료를 파쇄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러한 기술에서는, 버킷 또는 굴착용 장비에 차례로 연결되는 상대적으로 큰 어댑터에 상대적으로 작은 굴착 또는 채굴용 톱니를 연결시킴으로써 획득되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어댑터는 버킷 및 자유단 노즈부의 전방 립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많은 경우에, 상기 채굴용 톱니와 어댑터 사이의 관계로서, 상기 채굴 또는 굴착용 톱니는, 상기 톱니 후방부에 대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대체로 그 길이 이상으로 그 길이를 따라 설치된 포켓 또는 캐비티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톱니 및 어댑터가 서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적당한 핀이 상기 톱니 및 어댑터를 작동할 수 있게 상호연결시킨다.
일반적으로, 지반 굴착용 다품식 톱니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세계의 각 지역에서 제조된다. 즉, 굴착용 톱니 또는 팁(tip)은 세계의 일정 지역, 예를 들면 중국에서 제조되고, 한편 상기 톱니용 어댑터는 세계의 또 다른 지역, 예를 들면 멕시코에서 독립적으로 제조되기도 한다. 이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각 부품들은 그 장치가 제조 및 조립시에 준비되는 장소에서만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다품식 톱니 조립체의 일부분 또는 요소들이 세계 여러지역의 제조 공장에서 제조된 부분들이 서로 결합되게 조립 및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히 큰 허용오차를 필요로 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킷 등에 연결시에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가 종종 고도로 연마되고 이리하여 급속히 그리고 상당히 마모되게 된다. 게다가, 상기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작동 중에 형성되는 상대적인 큰 힘이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의 급속한 마모에 더욱 더해진다. 일반적으로, 각 채굴용 톱니에는 상기 톱니의 정방향 에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컷팅 날을 구비하여 지반에 대한 침투 및 파괴를 용이하게 한다. 각 톱니의 컷팅 날은 톱니에 대해 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굴착되는 작업 표면과는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특별한 단계들이 톱니 제작시 제작공정 중에 가해졌다 하더라도, 톱니의 정방향 컷팅 날은 굴착 작업 중에 마모되어 급속히 무뎌지게 되고, 따라서 굴착작업에 효율적이지 않게 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게 된다. 톱니 조립체의 복수개의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그 조립체의 굴착용 또는 채굴용 톱니가 어댑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관련된 굴착 형태에 따라, 소정의 어댑터가 예리한 침투 날 을 형성하기 위하여 5 내지 30개의 톱니 교체물을 임의의 장소에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현장에서, 마모된 굴착용 톱니부의 교체는 일반적인 일이며 때때로 일상적으로 경험되는 일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굴착, 채굴 또는 로드 작업 중에 매우 강한 수직방향 힘이 상기 굴착 장비와 결합된 각 굴착용 톱니에 가해진다. 통상의 어댑터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상단 및 하단면을 가지며 그에 대응하는 굴착용 톱니의 평평한 표면이 그 상단 및 하단의 평평한 면과 관계가 있다. 과도한 로드 상태하에서, 그리고 핀 등을 통하여 상호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굴착용 톱니는 어댑터의 노즈부에 대하여 정방향으로 그리고 대향 측부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구성부분들 사이의 느슨한 조립구성은 톱니와 어댑터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더하게 한다. 톱니가 어댑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향은 특히 포켓 내에서 그리고 어댑터의 노즈부를 따라 발생되는 마모 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 굴착용 톱니 및 어댑터 상의 대향된 미끄러짐면들 사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오물은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구성부분들의 질을 더욱 저하시킨다. 이리하여, 상기 굴착용 톱니 및 어댑터 사이의 임계 접합위치는 마모 상태가 가속화되기 쉽고 그것은 결과적으로 톱니 포켓이 고장나거나 또는 어댑터 교체시기가 빨라지게 된다.
지반 침입 작업 동안 각 톱니 조립체에 가해진 수직 로드가 중요하며, 한편 상기 톱니에 가해진 수평 또는 측방 로드가 또한 중요하다. 예를 들면, 공지된 바와 같이, 리퍼(ripper) 등과 같은 지반 침입 장치에 고정된 굴착 장치에 가해진 수평 로드 및 힘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굴착용 톱니 조립체가 정상 작업 동안 그에 가해진 수평 및 수직 로드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물론, 굴착 톱니가 작업 중에 부서진다면, 그 굴착된 재료의 잔여물과 깨진 톱니를 혼합시키게 되어 후속하는 공정, 즉 크러싱(crushing) 공정에서 중요 재료 취급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만약 톱니 또는 포인트를 잃어버린다면, 어댑터는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가 높은 마모 상태에 내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지지 않았으므로 급속히 손상되게 될 것이다. 더욱 특히, 굴착기 버킷 또는 로더를 고려할 때, 굴착 장치 또는 버킷의 정방향 에지를 따라 정확한 수의 톱니를 설치하기 위하여 각 톱니 조립체의 수평 폭이 제어될 필요가 있다.
어댑터에 대한 굴착용 톱니의 고착은 2개의 상반되는 요구 조건들 사이의 타협을 필요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톱니를 어댑터에 고착시키는 방법으로서, 굴착 작업 중에 발생되는 매우 큰 충격 로드에도 상기 톱니 및 어댑터를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력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톱니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요구될 때, 상기 톱니를 어댑터에 고착시키기 위한 핀이 쉽게 이동가능해야 한다. 종종 그리고 특히, 현장 상황에서 보유지지 핀은 매우 강력한 로킹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해머 및 드리프트 핀으로만 제거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상기 톱니를 어댑터에 고착시키기 위한 공지된 핀 고정 시스템은 상기 톱니 및 어댑터 사이의 개구부를 통하여 하나의 핀 또는 복수의 짧은 핀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삽입하는 것과 관련된다. 수직 방향 핀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핀에 대하여 더욱 접근되어 있다. 보유지지 핀을 해머로 때리기 위하여 더욱 접근 되도록 하면서, 수직방향의 보유지지 핀은 그 보유지지 핀을 암반에 노출하고 있으며, 다른 매체가 굴착되어 핀 마모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심한 경우에는 보유지지 핀이 제거된다. 게다가, 수직 핀 시스템을 이용하면, 굴착 장치의 수직 이동이 수직방향의 핀 시스템에 대향하여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서 그것을 마모되도록 하고, 심한 경우에는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톱니 및 어댑터가 굴착 작업 중에 부적절하게 분리되게 한다.
수평방향 핀 고정 시스템은, 굴착 톱니 및 어댑터의 부착을 확실히 하도록 하는 반면, 그에 관련된 결점을 가진다. 공지된 바와 같이, 굴착 장비의 정면 에지 또는 립을 가로질러 고착될 때, 이웃하는 굴착 톱니 조립체들 또는 마모 측판들 사이의 측방향 또는 수평방향 간격이 최소화된다. 그러한 정밀한 공간 구속은 상기 굴착용 톱니의 설치 및 제거 중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보유지지 핀을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어렵게 한다. 사실, 굴착용 톱니 조립체에 대하여 수평방향 보유지지 핀을 구동시키는 문제점에 특히 관련된 분리 사업(separate industries)이 공지되어 있으며 수평 핀 고정 시스템으로부터의 문제점을 다루는 특별한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따라서, 굴착작업 중에 상기 톱니 조립체에 가해진 과도한 로딩 상태를 처리할 수 있는 강화된 강도 특성을 제공하고, 또한 지금까지 공지된 수평 및 수직방향 핀 고정 시스템에 관련된 문제점 및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핀 고정 시스템에 적당한 형상을 제공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에 대한 필요 및 요구가 있어 왔다.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 굴착용 톱니, 및 서로에 대하여 작동할 수 있는 조합으로 상기 어댑터 및 톱니를 상호연결시키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톱니 및 어댑터는 이들 사이에 특이하게 형성된 결합면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굴착용 톱니 및 어댑터 사이의 결합면은 바람직하게는 지금까지 공지되지 않은 다른 이점을 포함하는 한편, 보유지지 장치를 바람직하게는 상술된 수직 및 수평 핀 시스템 양자로부터의 문제점을 피하는 배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품식 톱니 조립체용의 어댑터는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정렬된 베이스부 및 노즈부를 가진다. 상기 어댑터의 베이스부는 상기 어댑터를 굴착 장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어댑터의 노즈부는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선 위에 및 아래에 각각 배치된 상면 및 저면을 가진다.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면은, 적어도 상기 노즈부의 후방 단부로부터 노즈부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전방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된 2개의 측부를 가진다. 어댑터의 상면을 형성하는 각 측부는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방향 측부에 정렬된다. 상기 어댑터는, 해제할 수 있는 고착용 보유지지 장치를 추가 설치하도록 구성되고, 굴착형 톱니 및 어댑터가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저면은, 마찬가지로 상기 노즈부의 후방 단부로부터 노즈부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전방으로 세로로 연장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된 2개의 측부를 가진다. 상면과 마찬가지로, 어댑터의 노즈부의 저면 상의 측부는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된 측방향 측부에 정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굴착용 톱니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가진다. 톱니 조립체의 후방 단부에는 막힌 캐비티 또는 소켓이 형성되어 어댑터의 노즈부의 긴 길이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굴착용 톱니는 또한 보유지지 장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어댑터 상에서 그 구성과 함께 작용하도록 추가 구성된다.
상기 어댑터 및 굴착용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하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는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설계를 취할 수 있다. 일 형태로서, 상기 보유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핀이 어댑터의 보어를 통과하여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구성을 가지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착용 톱니에 의해 형성된 축방향의 정렬된 구멍들 내로까지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보유지지 장치는 상기 굴착용 톱니 상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구멍들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작동할 수 있게 계합된 핀과, 그 중간 대향 단부들, 상기 어댑터 상에 형성된 외부 리지(ridge) 상의 개방 채널(channel)을 포함한다.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보유지지 장치는, 어댑터 상에 형성된 오목부 내로 통과되고 연장되어 상기 톱니 상에서 오목부와 해제할 수 있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굴착용 톱니와 어댑터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인 멈춤쇠 또는 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보유지지 장치는 상기 어댑터 및 톱니에 대하여 보유지지 핀이 부적절하게 단부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기구 또는 장치 형태를 포함한다.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어댑터 및 굴착용 톱니에는 바람직하게는 굴착 작업 중에 상기 톱니 조립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톱니 및 어댑터를 안정화하기 위한 지지부에는, 어댑터의 상면 및 저면 상에 그리고 상기 톱니의 대응하는 영역 상에 대체로 수평면 및 대체로 수직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 상에 상면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는 하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기울어지고, 상기 톱니 및 어댑터 사이의 결합면에 안정성을 더하기 위하여 대체로 평면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 상의 저면의 2개의 측부는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기울어지고,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기 톱니 및 어댑터 사이의 결합면에 안정성을 더하기 위하여 대체로 평면부가 더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대체로 웨지(wedge) 또는 쐐기 형태의 프로파일을 구현하는 톱니 설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면 및 저면의 측부는 서로 수렴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진다. 강도, 내구성, 강성을 더하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단조 작업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사변형의 단면 형태를 가지는 어댑터의 노즈부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어댑터 상에서 지금까지 공지된 노즈부와는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노즈부의 사변형 또는 대체로 장방형 단면 형상은 상기 어댑터의 베이스부의 방향에 대하여 약 25° 내지 65° 사이의 각도로 벗어나 위치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댑터의 노즈부의 장방형으로 형성된 단면은 상기 어댑터의 베이스부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로 벗어나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면 및 저면의 측부를 연결하는 공통 에지가, 어댑터의 상면 및 저면 상의 2개의 대향 측부들 중의 어느 하나를 가로질러 측정할 수 있는 제2 거리보다 더 큰 제1 거리만큼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특유의 설계는 어댑터의 노즈부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그럼으로써 내구성 및 실시가능한 유용성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인 예로서,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팁 또는 톱니는 대체로 웨지형의 측부 프로파일을 가진다. 상기 톱니는, 지반 침입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 전방 단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며 또한 굴착 장치 또는 그에 연결된 버킷의 에지 또는 립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반 침입 에지를 가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굴착 톱니의 후방 단부는,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가 그 내부에 미끄러질 수 있게 수용되는 막힌 캐비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상기 후방 단부의 구성, 특히 상기 톱니 및 어댑터 사이의 결합면의 캐비티 형성부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굴착용 톱니에 의해 형성된 막힌 캐비티는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부들에 배치된 상면 및 저면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캐비티의 단면 형상은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단면 형상을 제공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기 톱니에서 캐비티의 상면은 상기 톱니의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하여 약 25°내지 65°사이의 예각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측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또는 소켓의 상면을 형성하는 각 측부는 상기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부의 측부 상에 정렬되고,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공통 에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톱니의 저면은 마찬가지로 상기 톱니의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하여 약 25° 내지 65°사이 범위의 예각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측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또는 소켓의 저면을 형성하는 각 측부는 상기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부의 측부 상에 정렬되고,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공통 에지를 가진다. 상기 굴착용 톱니는 추가로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막힌 캐비티의 상단 표면의 측부들 중의 하나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축을 형성하는 보유지지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막힌 캐비티의 상면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는 일반적으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게다가, 그렇게 구성된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톱니의 막힌 캐비티의 저면을 형성하는 각 측부는 바람직하게는 평면 형상을 가진다. 이 바람직한 설계에서,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막힌 캐비티는 그 긴 종방향 축 부분을 따라 사변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특히, 상기 캐비티의 사변형 형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장방형의 형상은 상기 톱니의 횡단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하여 약 25° 내지 65°사이의 각도로 벗어나 위치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굴착용 톱니는, 가혹하고도 지나치게 요구되는 환경에서 상기 강도, 강성 및 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 그리고 상술된 임의의 형태의 보유지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에 형성된 보어 및 상기 굴착용 톱니 내에 정렬된 구멍들은 서로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단부방향으로 통로를 수용하고 그 후 상기 긴 보유지지 장치가 톱니 및 어댑터와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에 의해 형성된 보어는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면 및 저면의 대향 측부를 교차하는 축을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굴착용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는, 그 내부에 보유지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톱니 상의 전방 컷팅 에지(지반 침입 에지)에 대하여 약 25° 내지 65°사이의 각도로 배치되는 축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이용하면, 상기 보유지지 장치의 축은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단 표면의 일측부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보유지지 장치의 이러한 경사진 배향은 지금까지 공지되지 않은 몇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상기 보유지지 장치의 경사진 배향은, 굴착용 톱니의 복구 및 교체 중에, 그리고 보유지지 장치의 삽입 및 제거시에 인간공학적(ergonomic)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인간공학적 이점은, 버킷의 배치에 따라, 또는 상기 굴착용 톱니가 복구 또는 교체되도록 하는 수단에 따라 더욱 명백해진다. 게다가, 상기 보유지지 장치의 경사진 배향은 상기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조립 중에 상기 어댑터에 대하여 상기 굴착용 톱니의 적절한 배향의 시각적 표시를 초래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임의의 굴착용 톱니가 버킷 또는 그 상부에 장착된 지반 침입 수단에 대하여 부딪히는 특별한 각도로 의도적 설계된다. 종종, 상기 굴착용 톱니는 버킷에 부정확하게 장착되고, 이리하여 특별히 설계된 핀의 이점을 잃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지지 장치의 경사진 배향은 조립 중에 상기 톱니 및 어댑터의 적당한 배향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이리하여 사용자가 상기 굴착용 톱니 내로 특별히 설계된 이익 전체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하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에 결합면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굴착용 톱니와 어댑터의 요소들의 각 배향은, 이들 사이의 결합면에 우수한 강도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 설계를 의도적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이전의 굴착용 톱니 조립체로부터 대폭 변형되게 되었다.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면 및 상기 톱니 내의 막힌 캐비티를 형성하는 측부들의 경사진 배치는 상기 어댑터 및 톱니 사이의 느슨한 조립구성에 대하여 자기중심결정 효과를 증진시킨다. 추가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면 및 톱니에서의 캐비티의 상면을 형성하는 측부들의 경사진 배치는, 톱니 조립체의 구성부품들 사이의 결합면에서 접촉 표면적이 (상기 어댑터의 베이스부 및 상기 톱니의 기준 에지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유사 형상 단면적에 비하여) 증가하게 됨으로써, 더 넓은 영역 상의 지반 침입 작업 중에 그에 가해진 로드를 분배하는 부품 성능을 더한다.
또한, 톱니 및 어댑터 사이의 결합면을 형성하는 구성부품의 경사진 변형은 엄격하고 제한적인 수직 및 수평 배향 외에 다른 배향으로 보유지지 장치를 유용하게 배치시킨다. 이전의 형상을 따르기보다는, 본 발명의 결합면의 구성부품에 제공된 벗어난 위치 각이 마찬가지로 상기 보유지지 핀을 수평면에 대하여 약 25° 및 약 65°사이의 수평 범위에 대한 각도로 벗어나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보유지지 장치의 각 배향을 이용하여, 수직 배향의 보유지지 장치에 정상적으로 가해지는 굴착용 장치의 굴착력 또는 굴착된 재료 및 수직 운동이 굴착 작업 중에 본 발명의 보유지지 장치에서의 역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킬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기술된 새로운 설계로부터 알 수 있는 또 다른 이점으로는, 보유지지 핀이 대체로 수평 배향 상에 배치되는 굴착용 톱니 설계에 비하여, 대체로 방해받지 않는 접근을 제공하는 공간의 증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목표,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첨부되는 청구의 범위로부터 쉽게 명백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측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4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어댑터의 부분단면입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선6-6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7은 도4 내지 6에 도시된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굴착용 톱니 형성부의 평면도이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굴착용 톱니의 부분단면입면도이다.
도10은 도8에 도시된 굴착용 톱니의 배면도이다.
도11은 도1의 선11-11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의 선12-12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의 선13-13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의 선14-14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의 선15-15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의 선16-16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의 선17-17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7과 유사한 도로서, 어댑터 및 굴착용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시킨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유지시키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에 대한 선택적인 단면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7과 유사한 도로서, 어댑터 및 굴착용 톱니를 서로 해제할 수 있으나 작동할 수 있게 결합시킨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유지시키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에 대한 또 다른 선택적인 단면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어댑터의 노즈부의 횡단면도로서, 굴착용 톱니를 어댑터에 작동할 수 있게 결합시킨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고착시키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에 대한 선택적인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1은 도7과 유사한 도로서, 도20에 도시된 선택적 보유지지 장치를 수용할 수 있으며 도20에 도시된 어댑터의 노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2는 어댑터의 노즈부 및 굴착용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시킨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고착시키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의 선택적 형태를 가지는 어댑터의 종방향 축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1과 유사한 도로서, 보유지지 장치의 선택적 형태를 수용할 수 있으며 도22에 도시된 어댑터의 노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4는 굴착용 톱니를 부근에 조립하여 구비한 어댑터의 노즈부를 도시하고 상기 어댑터 및 굴착용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시킨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유지 및 지속시키기 위한 또 다른 선택적인 보유지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20과 유사한 확대횡단면도이다.
도25는 도24에 도시된 보유지지 장치의 확대측부도이다.
도26은 어댑터의 노즈부의 다른 선택적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27은 어댑터의 노즈부의 다른 선택적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6과 유사한 다른 단면도이다.
도28은 어댑터의 노즈부의 다른 선택적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29는 어댑터의 노즈부의 다른 선택적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30은 어댑터의 노즈부의 다른 선택적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31은 어댑터의 노즈부의 다른 선택적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6과 유사한 다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한 한편,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할 것이며, 본 상세한 설명은 이후 본 발명의 예증으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고려되며 기술된 특별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여기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되며, 도1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원리 및 여러 태양을 구체화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10)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용 톱니 조립체(10)는 복수개의 부품들로 구성되고, 어댑터(12) 및 서로에 대하여 하나의 위치 또는 하나의 배향으로 유지되는 굴착용 톱니(14)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유지지 장치(16)는 상기 어댑터(12) 및 굴착용 톱니(14)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된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상호연결시키고 유지시킨다.
비록 도1에 단일의 굴착용 톱니 조립체가 굴착 버킷 등의 전방 립(20) 등과 같은 굴착 장치(18)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하더라도, 굴착용 장치의 전형적인 부품 상에 톱니 조립체(10)와 대체로 동일한 측방으로 간격이 형성된 다품식 톱니 조립체가 지면 관련 배향에서 버킷 립(2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당업자는 알 것이다. 그리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굴착 장치는 연결된 버킷, 셔블 또는 굴착 장치용 다른 부품이 굴착 작업 중에 수직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이동한다.
도1 내지 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에는 종방향 중심선(22)을 형성하는 자유 단부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12)는 통상의 보유지지 핀(24)과, 지반 굴착 장치 또는 버킷(18)의 전방 에지 또는 립(20)으로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상기 보유지지 핀(24)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정렬된 노즈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12)의 보유지지 핀(24)은 지반 결합 장치(18)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임의의 더 큰 형태의 장치에서, 어댑터(12)의 보유지지 핀(24)은 (도시되지 않은)통상의 웨지 로킹 기구 등에 의하여 지반 굴착용 장치의 셔블 또는 디퍼 버킷(18)의 전방 립(20)에 대해 해제할 수 있게 고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굴착용 톱니(14)는 어댑터(12)의 노즈부(26)를 따라 그리고 노즈부(26)에 대해 끝방향으로 조립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어댑터(12)는 전술한 작업에 의해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어댑터(12)에 대해 강도 및 강성을 증가시킨다.
도3,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노즈부(26)는 각지게 수렴하는 상면 및 저면 외부면(30 및 40)을 각각 포함하는 전방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면 및 저면(30 및 40)은 어댑터(12)의 종방향 중심선(22)의 대체로 위로 그리고 아래로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그리고 도4,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외부 상면 및 저면(30 및 40)에는 각각 어댑터(12)의 종단 영역(33)을 향하여 정렬된 오목부 영역(32, 42)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 영역(32, 42)은 상기 면(30, 40) 상에 그리고 어댑터(12)의 종방향 중심선(22)에 대하여 균등하게 배치된다. 각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32, 42)은 어댑터(12)의 표면(30, 40) 상에 안정화된 지면을 형성한다.
각 지면(32, 42)은 어댑터(12) 상에 각각의 경사진 면(30, 40)으로부터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어댑터(12)의 종방향 중심선(22)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체로 평평한 면 또는 수평면(34, 44)을 형성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상면 및 저면 상의 평평하거나 또는 대체로 수평인 면(34, 44) 사이에 소정의 수직거리가 측정된다. 또한, 각 지면(32, 42)은 대체로 수직인 안정화벽(35, 45)을 각각 포함한다. 이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상면 및 저면(30 및 32) 상의 지면(32, 42)은 굴착 작업 중에 상기 톱니 조립체에 공통으로 가해진 최대한의 수직 로드를 흡수할 수 있도록 더 큰 로드 분포를 제공하는 한편, 각 안정화 지면(32, 42) 상의 수직 안정화벽(35, 45)은 굴착 작업 중에 톱니 조립체에 마찬가지로 공통으로 가해진 최대한의 수평 로드를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각각 추가의 수직 지지면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는 어댑터(12)의 노즈부의 특유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도4,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상면은, 공통의 상부 에지(38)를 따라 서로 결합되고 보유지지 핀(24)으로부터 어댑터(12)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 2개의 하향 배치된 측부(36 및 37)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상면(30)을 형성하는 측부(36, 37)들은 어댑터(12)의 종방향 중심선(22)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치된다. 상기 2개의 측부(36, 37)를 연결시키는 상부 공통 에지(38)는 상기 어댑터(12)의 긴 길이까지 연장되고, 그 종방향 중심선(22)을 따라 중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어댑터(12)의 상면(30)을 형성하는 측부(36, 37)는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종방향 하향으로 경사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어댑터(12)의 상면(30)을 형성하는 하향으로 배치된 측부(36, 37)는 각각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 어댑터(12)의 상면을 형성하는 측부(36, 37)는 수평면에 대하여 약 45°로 각각 경사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도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저면(40)은 상면(30)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즉, 어댑터(12)의 저면 또는 하면(40)은 공통의 저부 또는 하부 에지(48)를 따라 서로 결합되고 보유지지 핀(24)으로부터 어댑터(12)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 2개의 상향 배치된 측부(46 및 47)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저면(40)을 형성하는 측부(46, 47)들은 어댑터(12)의 종방향 중심선(22)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치된다. 상기 2개의 측부(46, 47)를 연결시키는 하부 공통 또는 저부 에지(38)는 상기 어댑터(12)의 긴 길이까지 연장되고, 보통 그 종방향 중심선(22)을 따라 중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어댑터(12)의 저면(40)의 측부(46, 47)는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종방향 하향으로 경사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어댑터(12)의 저면 또는 하면(40)을 형성하는 측부(46, 47)는 각각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 어댑터(12)의 저면을 형성하는 측부(46, 47)는 수평면에 대하여 약 45°로 각각 경사 진다.
어댑터(12)의 상면(30)을 형성하는 측부(36, 37) 및 하면 또는 저면(40)을 형성하는 측부(46, 47)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12)의 노즈부(26)는 그 길이방향 종방향 거리가 긴 형태의 대체로 장방형 단면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면 및 저면(30 및 40)의 측부(36, 37 및 46, 47)가 어댑터(12)의 종단부를 향하여 각각 수렴하므로,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장방형 단면 형상은 그 자유 종단(33)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측정된 거리의 함수로서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30 및 40)을 형성하는 모나게 배치된 측부(36 및 46)는, 어댑터(12)의 종방향 중심선(22) 중의 하나의 측부에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어댑터(12)의 보유지지 핀(24)으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39)를 따라 서로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댑터(12)의 종방향 축(22)의 대향되게 배치된 상면 및 저면(30 및 40)에 모나게 배치된 각각의 측부(37 및 47)는 어댑터(12)의 보유지지 핀(24)으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49)를 따라 서로 결합된다.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긴 길이방향 단면이 어댑터(12)의 보유지지 핀(24)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로 벗어나 위치된다. 예컨대, 어댑터(12)를 가로질러 그리고 상면 및 저면(30 및 40) 상의 상부 및 하부 공통 에지(38 및 48) 사이의 측정할 수 있는 수직 거리(VD)는 각각 어댑터(12)의 상면 및 저면(30 및 40) 상의 2개의 대향 측부들 중의 임의의 하나를 가로질러 측정할 수 있는 거리보다 상당히 더 크다. 마찬가지로, 어댑터(12)를 가로질러 그리고 상면 및 저면(30 및 40) 상의 공통 측부 에지(39 및 49) 사이의 측정할 수 있는 수평 거리(HD)는 각각 어댑터(12)의 상면 및 저면(30 및 40) 상의 2개의 대향측부들 중의 임의의 하나를 가로질러 측정할 수 있는 거리보다 상당히 더 크다.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는 핀 지지 장치(16)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구멍(50)이 추가로 형성된다. 도1 내지 7에 도시된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목부 또는 보어(50)는 어댑터(12)를 통하여 연장되도록 대향하는 개방된 단부들을 가진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 또는 오목부(50)는, 상면 및 저면(30)의 대향측부(36, 47)를 가로지르고, 어댑터(12)의 종방향 축의 대향 측방향 측부 상에 배치되는 축(52)을 따라 배치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오목부 또는 보어(50)의 축(52)은 수평면에 대하여 약 45°로 기울어져서 배치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그리고 어댑터(12)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오목부 또는 보어(50)의 축(52)은 어댑터(12)의 상면 및 저면(30, 40)을 형성하는 측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보어(50)는 어댑터(12) 및 굴착용 톱니(14)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시킨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긴 고착부(16)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정해진다.
복수 부품의 굴착용 톱니(10)가 조립될 때, 상기 굴착용 톱니(14)는 상기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길이방향 단면을 따라 그리고 길이방향 단면에 관하여 끝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1, 도2,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용 톱니(14)는 전방 단부(57)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공의 후방 장착 단부(58)를 구비한 측방 컷팅 또는 지반 침입 에지(56)로 중심선을 형성하는 긴 웨지형 형상을 가진다. 어댑터(12)로 조립될 때, 컷팅 또는 지반 침입 에지(56)는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그리하여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된 굴착 장치의 에지 또는 립(20)에 평행으로 연장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중공의 장착 단부(58)는 톱니(14)를 상기 어댑터(12)의 끝을 향하도록 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톱니(14)는 단조 작업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하여 그 강도 및 강성을 증가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14)는, 각각 전방 컷팅 에지(5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톱니(14)의 후방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외부면(60 및 62)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면(60, 62)이 에지(5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므로, 이들은 서로로부터 모나게 멀리 분기한다. 도8, 9,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14)의 상단 또는 상부 외부면(60)은 마모에 의해 톱니(14)가 무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부 에지(56; 도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특별한 형상의 오목부(64)로 구성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14)의 단면 형상 및 그 상면(60)은 그 컷팅 에지(56; 도1)로부터 후방으로 측정된 거리의 함수로서 상당히 변화한다.
이후에 기술되는 복수 부품의 톱니 조립체의 형태의 통상적인 사실로서, 그리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14)의 후방부(58)는 톱니(14)의 후방 단부로 통하는 막힌 캐비티 또는 소켓(68)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단부(58)로 통하는 캐비티(68)의 에지는 어댑터(12)의 노즈부(26)를 톱니(14)와 결합시키기 위하여 끝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그 삽입 작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그에 관하여 연장되는 내측부를 향한 반경(69)을 가진다.
도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68)는, 그 캐비티(68)의 개방된 후방 단부로부터 톱니(14)의 전방 에지(56)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면 및 저면(30 및 40)이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 각각 배치되는 각도와 대체로 동일한 각도로 서로를 향하여 각지게 수렴하는 상부 및 저부 내부면(70 및 8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저부 내부면(70 및 80)은 각각 상기 톱니(14)의 종방향 중심선(54) 대체로 위로 그리고 아래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톱니(14)의 캐비티 또는 소켓(68)에 의해 형성된 내부 상면 및 저면(70 및 80)은 상기 캐비티(68)의 종단벽(67)을 향하여 정렬되고 그 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정화 지면(72 및 82)을 포함한다. 상기 안정화 지면(72, 82)은 상기 어댑터(12) 및 톱니(14)가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된 상태로 정렬될 때 노즈부(26) 상에 각각 지면(32, 42)과 대칭되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도9, 10,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정화 지면(72, 82)은 상면 및 저면(70, 80)으로부터 상기 톱니(14)의 중심선(54)을 향하여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톱니(14)의 중심선(54)에 대체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평평한 면 또는 수평면(74, 84)을 형성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소정의 수직 거리는, 톱니(14)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68)의 상면 및 저면(70, 80) 상의 평평하거나 또는 대체로 수평인 면(74, 84) 사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안정화 지면(72, 82)은 각각 대체로 수직인 안정화벽(75, 8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양을 이해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톱니(14) 상의 지면(72, 82)은 어댑터(12)의 노즈부(26) 상에 지면(32, 42)과 결합하여, 굴착 작업 중에 톱니 조립체(10)에 공통으로 가해진 최대한의 수직 로드를 흡수 및 분배시킨다. 또한, 상기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68)의 상면 및 저면(70, 80) 상의 안정화벽(75, 85)은 어댑터(12) 상에 안정화벽(35, 45; 도5)과 작동할 수 있게 결합하여, 정상 굴착 작업 중에 톱니 조립체(10)에 공통으로 가해진 최대 수평 로드를 흡수 분배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추가의 지지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 구성은,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68)의 특유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68) 부분을 형성하는 상면(70)은 상부 공통 에지(78)를 따라 서로 결합되고 캐비티(68)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하향 배치된 측부들(76 및 77)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68)의 상면(70)을 형성하는 측부들(76, 77)은 톱니(14)의 종방향 중심선(54)의 대향 측부들 상에 정렬된다. 캐비티(68)의 상면(70)의 2개의 측부(76, 77)를 연결시키는 상부 공통 에지(78)가 캐비티(68)의 긴 길이까지 연장되고, 톱니(14)의 종방향 중심선(54)에 대하여 대체로 중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캐비티의 상면(70)을 형성하는 측부들(76 및 77)은 캐비티(68)의 종단벽(67)을 향하여 종방향 하향으로 경사진다.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68)의 상면(70)을 형성하는 측부들(76, 77) 각각은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이런 형태로서, 상면(70)을 형성하는 측부들(76, 77)은 각각 상기 톱니(14)의 전방 컷팅 에지(56)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로 경사진다.
도1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캐비티(68)의 일부를 형성하는 저면(80)은 톱니(14)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68)의 상면(70)에 대한 상보적인 형상이다. 즉, 캐비티(68)를 형성하는 저면 또는 하면(80)은 톱니(14)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68)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공통 에지(88)를 따라 서로 결합된 2개의 상향 배치된 측부들(86 및 87)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68)의 저면 또는 하면(80)을 형성하는 측부들(86, 87)은 톱니(14)의 종방향 중심선(54)의 대향 측부들 상에 정렬된다. 캐비티(68)의 측부들(86, 87)을 연결시키는 하부 또는 저부 공통 에지(88)는 캐비티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상기 톱니(14)의 종방향 중심선(54)에 대하여 대체로 중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68)의 저면 또는 하면(80)을 형성하는 측부들(86, 87) 각각은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이런 형태에서, 캐비티(68)의 상면(70)을 형성하는 측부들(76, 77)은 각각 상기 톱니(14)의 전방 컷팅 에지(56)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로 경사진다.
캐비티(68)의 상면(70)을 형성하는 측부들(76, 77) 및 캐비티(68)의 하면 또는 저면(80)을 형성하는 측부(86, 87)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캐비티(68)는 그 주요 길이방향 부분을 따르는 대체로 장방형 단면 형상으로 제공된다. 캐비티(68)의 상면(70)의 측부들(76, 77) 및 하면 또는 저면(80)을 형성하는 측부들(86, 87)이 종단벽(67)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므로, 캐비티(68)의 단면 형상은 그 후방의 개방된 단부(58)로부터 전방으로 측정된 만큼 영역이 감소된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68)는 약 45°의 각도로 전방 컷팅 또는 침입 에지에 대하여 벗어나 위치된다.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캐비티(68)의 상면 및 저면(70 및 8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톱니(14)의 종방향 중심선(22)의 하나의 측부에 배치되는, 그러한 모나게 배치된 측부(76 및 86)는,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68)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79)를 따라 서로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캐비티(68)의 상면 및 저면(70 및 8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톱니(14)의 종방향 중심선(22)의 대향 측부에 배치되는, 그러한 모나게 배치된 측부(77 및 87)는,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68)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89)를 따라 서로 결합된다.
어댑터(12)와 공동 작동하기 위하여, 굴착용 톱니(14)는 보유지지 장치(16)의 길이부를 수용하도록 추가로 오목부가 형성된다. 도8, 9, 16 및 17에 도시된 실시예로서, 오목부가 형성된 톱니(14)는 한쌍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관통구멍 또는 개구(90 및 92)를 형성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50) 및 톱니의 구멍(90, 92)은 톱니(14) 및 어댑터(12)가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하여 정렬될 때 서로 대체로 맞추어져 배치된다. 구멍(90, 92)은, 상면 및 저면 (70 및 80)의 대향 측부들(76 및 87)을 직경방향으로 교차시키며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68)를 관통하는 축(94)에 대해 정렬된다.
본 발명의 기술된 형태로서, 톱니(14)의 구멍들(90, 92)에 의해 형성된 축(94)은 톱니(14)의 지반 침입 에지(56)에 대하여 약 45°로 기울어져서 배치된다. 톱니(14) 내의 구멍 또는 개구(90, 92)는 보유지지 장치 또는 고착부(16)의 단부방향 통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댑터(12) 및 톱니(14)가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상호연결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톱니(14)로서의 구멍(90, 92) 및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서의 보어(50)는 종방향으로, 상기 고착부(16)가 우연히 고착부(16)의 단부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어댑터(12) 및 톱니(14)에 대하여 록킹된 관계로 유지되도록 정렬된다.
상기 어댑터(12) 및 톱니(14)가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상호연결 및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유지지 장치 또는 고착부(16)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일 형태로서, 보유지지 장치(16)는 본원에서 참조로 사용되는 1998년 6월 16일자로 특허 허여된 공동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5,765,301호에서 기술된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16 및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유지지 장치(16)가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 형성된 보어를 통하여 단부방향으로 통과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각 구멍 또는 개구(90, 92) 내로 단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도16 및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유지지 장치(16)는,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보어(50) 내에 수용된 중공의 긴 경질 슬리브(95)와, 그 슬리브(95)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톱니(14) 내의 정렬 구멍 또는 개구부(90, 92)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슬리브(94)의 대향 단부 너머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핀(96)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어댑터(12) 및 톱니(14)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상호연결 및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댑터(12) 및 톱니(14)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상호연결 및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 또는 고착부(16)의 다른 실시예가 도18에 도시된다. 상기 보유지지 장치의 선택적 형태가 참조부호 116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논의된 보유지지 장치 또는 고착부(16)의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고착부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고착부(116)의 실시예가 1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이 형태에서, 고착부(116)는 종래의 설계에 해당하며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서 보어(50)를 관통하고 그 보어(50) 너머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톱니 조립체(194)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톱니 조립체(194)는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반쪽핀(195 및 197)을 포함하며, 또한 탄성 중합체 부재(196)를 이들 사이에 개재하여 삽입하고 있다. 상기 반쪽핀(195 및 197)은 이들의 길이를 따라 적절히 구성되어, 핀 조립체(194)가 굴착작업 중에 그 단부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핀 조립체를 정상으로 유지시킨다.
상기 어댑터(12) 및 톱니(14)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상호연결 및 유지되게 하기 위한 고착부(16)의 다른 실시예가 도19에 도시된다. 상기 고착부의 선택적 형태가 참조부호 216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전술된 고착부(16)의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고착부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고착부(216)에 대한 실시예가 2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이 형태에서, 고착부(216)는 종래의 설계에 해당하며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서 보어(50)를 관통하고 그 보어(50) 너머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핀(294)을 포함한다. 특히, 핀(294)의 대향 자유 단부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축방향 정렬된 구멍 또는 개구(90, 92)를 관통하고, 그리고 그 구멍 또는 개구(90, 92)의 주변과 맞물리게 된다. 이 형태에서, 상기 고착부(216)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 의해 형성된 카운터 보어(299) 내에서, 보어(50)의 하단부를 향하여 그리고 보어(50)와 동축으로 이동되는 탄성 스냅 링(298)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긴 핀(294)이 그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링(298)은 핀(294)이 그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보유지지 핀(294)의 길이방향 부분이 링(298)을 통하여 연장된 후, 핀(294) 상의 환형홈(296)이 링(298)을 다시 핀 주위로 그리고 홈(296) 내로 수축시킴으로써, 핀이 어댑터(12) 및 톱니(14)에 대하여 단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상기 복수개 톱니 조립체의 어댑터(12) 및 톱니(14)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20에 도시된다. 보유지지 장치 또는 고착부의 이 선택적 형태가 참조부호 316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논의된 고착부(16)의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고착부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고착부(316)에 대한 실시예가 3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이 형태에서, 보유지지 장치(316)는 종래의 설계에 해당하며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상면(30) 상에 상승된 리지 또는 상부 에지(38)와 작동할 수 있게 결합한 상태로 그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통과하는 긴 핀(394)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굴착용 톱니(14)에는 그 상면(60)의 대향 측부들에 배치된 축방향 정렬된 구멍 또는 개구(390 및 392)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그리고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서의 상부 에지(38)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된 상부 채널 또는 오목부(350)가 설치된다. 특히, 오목부 또는 채널(350)은 상기 어댑터(12)의 종방향 축(322)에 대체로 수직이고 축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351)을 형성한다. 인정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 장치(316)가 삽입된 후 톱니 및 어댑터가 서로 해제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유지함에 있어서 톱니(14) 상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개구(390, 392)와 공동 작용하기 위하여 채널(350)이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도20).
인정된 바와 같이, 톱니(14) 상의 축방향 정렬된 구멍들(390, 392) 및 어댑터(12) 상의 채널(350)은 2개의 보유지지 장치(316)의 핀(394) 모두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이 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에서, 고착 핀(394)은, 핀(394)을 반경방향 외부로 자연스럽게 확장되도록 강제하는 한편 핀(394)의 반경방향 축소를 허여하여 핀이 구멍(390, 392) 및 채널(350)을 통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되도록 하는 자연 탄성 바이어스를 가지는 긴 스플릿 형상을 가진다. 톱니가 어댑터에 조립된 후, 구멍들(390, 392)은 채널(350)과 정렬되고 그럼으로써 보유지지 핀(394)이 그를 통하여 단부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널(350)은 어댑터(12)의 한정된 영역을 통하여만 연장되고 그럼으로써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 강도를 더한다.
상기 복수개 톱니 조립체의 어댑터 및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22에 도시된다. 보유지지 장치 또는 고착부의 이 선택적 형태가 참조부호 416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논의된 고착부(16)의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고착부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고착부(416)에 대한 실시예가 4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이 형태에서, 보유지지 장치(416)는, 굴착용 톱니(14)의 일측부 상에 형성되는 개구부(490)를 통과하며 어댑터(12)의 상면(430)의 일측부(436) 상에 형성되는 막힌 오목부 또는 개구(450) 내에 수용되는 스터브 고착부(494)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브 고착부(494)는 탄성부재(499)에 의하여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반부(495 및 497)를 포함하며, 탄성부재(499)는 상기 핀 반부(495 및 497)와 면하는 면들에 결합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핀 반부(495 및 497)는 서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가 조립될 때 보유지지 장치(416)가 톱니(14)를 어댑터(12)의 노즈부(26) 상의 길이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배치된다.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힌 오목부(450)가 상기 스터브 고착부(494)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기술된 바와 같이, 막힌 오목부 또는 개구(450)는 어댑터(12)의 상면(430)의 측부(436)로 통하고, 어댑터(12)의 상면(430)의 대체로 평행인 측부(436)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된 축(452)을 따라 배치된다. 인정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톱니 조립체의 요소들이 서로 결합된 후 상기 오목부(450)는 톱니(12) 내의 개구부(490)에 대하여 소정의 관계로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보유지지 장치(416)가 톱니(12) 내의 개구(490)를 관통한 후, 보유지지 장치(416)의 길이방향 부분이 오목부(450) 내에 수용되고 그럼으로써 톱니(12) 및 어댑터(12)를 서로에 대하여 단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오목부(450)가 어댑터(12)의 제한된 영역을 통하여 부분적으로만 연장되기 때문에, 어댑터(12)의 노즈부(26)에 특별한 강도 및 강성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 톱니 조립체의 어댑터 및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보유지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24에 도시된다. 보유지지 장치 또는 고착부의 이 선택적 형태가 참조부호 516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논의된 보유지지 장치(16)의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보유지지 장치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고착부(516)에 대한 실시예가 5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이 형태에서, 보유지지 장치(516)는 본원에서 참조로 사용되는 1986년 9월 16일자로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611,418호에서 기술된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24 및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 장치(516)는 탄성적으로 편향된 멈춤쇠(594)를 포함한다. 도2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쇠(594)는 어댑터(12)의 노즈부(26) 상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개구(550) 내에 수용된다. 오목부 또는 개구(550)는 상기 멈춤쇠(594)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굴착용 톱니(12) 상에 협동 정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 장치(516)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 또는 오목부(550)가 어댑터의 노즈부(26)의 상면 또는 저면 중의 임의의 일면 상에서의 측부의 평면 형상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축(552)을 형성한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멈춤쇠가 서로 협동 관계로 정렬될 수 있다. 도24 및 25에 기술된 것에 유사한 복수의 보유지지 장치(516)가 서로 협동 관계로 정렬되어, 상기 톱니 및 어댑터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된 상태로 해제할 수 있게 고착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멈춤쇠(594)의 축방향 배치가 어댑터(12)의 노즈부(26)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 간격을 필요로 한다. 당업자에게 인정된 바와 같이, 상기 톱니(14)에 의해 형성된 막힌 캐비티(68)의 선단 에지의 곡면은, 톱니 및 어댑터의 조립 중에 탄성 고착부(594)의 압축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화하는 어댑터(12)에 대하여 다른 형태를 기술한다. 어댑터(12)의 이러한 선택적 형태는 참조부호 612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어댑터(12)에 관하여 상기 논의된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어댑터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실시예가 6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612)는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관계에 있는 베이스부(624) 및 노즈부(626)를 포함하며, 중심선(622)을 형성한다. 어댑터(12)와 마찬가지로, 어댑터(612)의 내구성, 즉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어댑터(612)는 바람직하게는 단조 작업으로부터 제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노즈부(626)는 노즈부(626)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고 수렴되는 상면 및 저면(630 및 640)을 가지는 축방향으로 긴 테이퍼형 형상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저면(630 및 640)은 각각 종방향 중심선(62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면(630)은 어댑터(612)의 베이스부(6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6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 2개의 측부(636 및 637)를 가지며, 그리고 그것은 상부 공통 에지(638)를 따라 서로 교차하고 병합된다. 상기 상부 공통 에지(638)는 어댑터(612)의 노즈부(6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그 종방향 중심선(622)을 따라 대체로 집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612)의 상면(630)을 형성하는 각 측부(636, 637)는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612)의 상면(630)을 형성하는 측부(636, 637)는 각각 수평면에 대해 약 35°의 각도로 경사져있다.
도26에 도시된 어댑터의 실시예에서, 어댑터(612)의 저면(640)은 상면(630)에 대하여 상보적 형상을 가진다. 즉, 어댑터(612)의 노즈부(626)의 하면 또는 저면(640)은, 연결되거나 또는 하부 공통 에지(648)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병합된 2개의 측부(646, 647)를 가지며, 어댑터(612)의 중심선(6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하측부 또는 저측부(646, 647)는 그 자유 단부를 향하여 어댑터(612)의 베이스부(6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저면(6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646, 647)를 연결시키고 상호 작동시키는 공통 에지는 어댑터의 노즈부(6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622)에 관하여 대체로 중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 기술된 형태에서, 어댑터(612)의 저면 또는 하면(6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646, 647) 각각이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612)의 저면 또는 하면(6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646, 647)는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약 35°의 각도로 경사져있다.
도26에 도시된 어댑터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630 및 6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모나게 배치되는 측부(636 및 646)는, 어댑터(612)의 종방향 중심선(622)의 하나의 측부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어댑터(612)의 베이스부(6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639)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2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630 및 6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측부(637 및 647)는, 어댑터(612)의 종방향 축(622)의 다른 측부에 배치되고, 어댑터(612)의 베이스부(6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649)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상면 및 저면(630 및 640)의 측부들(636, 637 및 646, 647)의 대체로 평면 형상은 각각 전방단부로부터 측정된 바와 같이 증가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대체로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어댑터(612)의 노즈부(626)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어댑터(612)의 노즈부(626)의 긴 길이방향 단면이 어댑터(612)의 베이스부(624)에 대하여 모나게 벗어나 위치되거나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어댑터(612)의 노즈부(626)는 어댑터(612)를 통하여 연장되고 어댑터(612) 및 톱니(614)를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한 상태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적당한 (도시되지 않은) 고착부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자유 단부에서 개방된다.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650)는 상면 및 저면의 측부들(636, 637 및 646, 647)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축(652)을 형성하여, 보어(65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특히, 보어(650)는 어댑터(612)의 노즈부(626)의 상면 및 저면(630 및 640)의 완전 대향 측부들(636, 637)에 대해 대향 단부에 개방된다.
도27은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화하는 어댑터(12)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어댑터의 이러한 선택적인 형태의 구성요소는 참조부호 712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어댑터(12)에 관하여 상기 논의된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어댑터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실시예가 7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712)는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관계에 있는 베이스부(724) 및 노즈부(726)를 포함하며, 중심선(722)을 형성한다. 어댑터(12)와 마찬가지로, 어댑터(712)의 내구성, 즉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어댑터(712)는 바람직하게는 단조 작업으로부터 제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어댑터(12)의 노즈부(726)는 노즈부(726)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고 수렴되는 상면 및 저면(730 및 740)을 가지는 긴 테이퍼형 형상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저부 에지(730 및 740)는 각각 종방향 중심선(72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면(730)은 어댑터(712)의 베이스부(7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7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 2개의 측부(736 및 737)를 가지며, 그리고 그것은 상부 공통 에지(738)를 따라 서로 교차하고 병합된다. 상기 상부 공통 에지(738)는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그 종방향 중심선(722)을 따라 대체로 집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712)의 상면(730)을 형성하는 각 측부(736, 737)는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712)의 상면(730)을 형성하는 측부(736, 737)는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로 경사져있다.
도27에 도시된 어댑터의 실시예에서, 어댑터(712)의 저면(740)은 상면(730)에 대하여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하면 또는 저면(740)은, 연결되거나 또는 하부 공통 에지(748)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병합된 2개의 측부(746, 747)를 가지며, 어댑터(712)의 중심선(7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하측부 또는 저측부(746, 747)는 그 자유 단부를 향하여 어댑터(712)의 베이스부(7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저면(7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746, 747)를 연결시키고 병합시키는 공통 에지(748)는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722)에 관하여 대체로 중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 기술된 형태에서, 어댑터(712)의 저면 또는 하면(7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746, 747) 각각이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특히,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저면 또는 하면(7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746, 747)는,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상면(73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736, 737)의 경사진 배치되는 달리 수평면에 대하여 하나의 각도로 모나게 배치된다. 도2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저면(740)의 측부들(746, 747)은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35°의 각도로 경사져있다. 당업자에게 인정된 바와 같이,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상면 및 저면(730 및 740)을 형성하는 각 배치는 원한다면 역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상면(730)의 측부(736 및 737)는 수평면에 대하여 35°로 기울어져서 배치될 수 있고, 한편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저면(740)의 측부들(746, 747)은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45° 또는 그 이상의 각도로 모나게 벗어나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730 및 7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모나게 배치되는 측부(736 및 746)는, 어댑터(712)의 종방향 중심선(722)의 일측부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어댑터(712)의 베이스부(7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739)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2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730 및 7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모나게 배치되는 측부(737 및 747)는, 어댑터(712)의 종방향 축(7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되고, 어댑터(712)의 베이스부(7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749)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상면 및 저면(730 및 740)의 측부들(736, 737 및 746, 747)의 대체로 평면 형상들은 각각 전방단부로부터 측정된 바와 같은 증가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대체로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어댑터(712)의 노즈부(726)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도2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긴 길이방향 단면이 어댑터(712)의 베이스부(724)에 대하여 모나게 벗어나 위치되거나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어댑터(712)의 노즈부(726)는, 어댑터(712)를 통하여 연장되어 어댑터(712)를 적당한 형태의 굴착용 톱니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고착부 수용의 대향 단부에서 개방되는 보어(750) 또는 개구를 형성한다.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750)는 상면 및 저면의 측부들(736, 737 및 746, 747)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축(752)을 형성하여, 보어(75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특히, 보어(750)는 어댑터(712)의 노즈부(726)의 상면 및 저면(730 및 740)의 완전 대향 측부들(736, 737)에 대해 대향 단부에서 개방된다.
도28은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화하는 어댑터에 대하여 다른 형태를 기술한다. 어댑터의 이러한 선택적 형태는 참조부호 812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도2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면 및 저면을 형성하는 측부들의 각 배치가 각각 벗어나 위치될 수 있으며 수평면에 대하여 55° 내지 65° 사이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26에 대하여 상술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도29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어댑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기술한다. 어댑터의 이러한 선택적 형태는 참조부호 912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어댑터(12)에 관하여 상기 논의된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어댑터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실시예가 9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실시예에서, 어댑터(912)는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관계에 있는 베이스부(924) 및 노즈부(926)를 포함하며, 중심선(922)을 형성한다. 어댑터(12)와 마찬가지로, 어댑터(912)의 내구성, 즉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어댑터(912)는 바람직하게는 단조 작업으로부터 제조된다. 어댑터(12)의 노즈부(926)는 노즈부(926)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고 수렴되는 상면 및 저면(930 및 640)을 가지는 긴 테이퍼형 형상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저면(930 및 640)은 각각 종방향 중심선(92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면(930)은 어댑터(912)의 베이스부(9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9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 2개의 측부(936 및 937)를 가지며, 그리고 그것은 상부 공통 에지(938)를 따라 서로 교차하고 병합된다. 상기 상부 공통 에지(938)는 어댑터(912)의 노즈부(9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그 종방향 중심선(922)을 따라 대체로 집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912)의 상면(930)을 형성하는 각 측부(936, 937)는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912)의 상면(930)을 형성하는 측부(936, 937)는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약 25°의 각도로 경사져있다.
도29에 도시된 어댑터의 실시예에서, 어댑터(912)의 노즈부(926)의 저면(940)은, 연결되거나 또는 하부 공통 에지(948)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병합된 2개의 측부(946, 947)를 가지며, 어댑터(912)의 종방향 중심선(9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하측부 또는 저측부(946, 947)는 그 자유 단부를 향하여 어댑터(912)의 베이스부(9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저면(9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946, 947)를 연결시키고 병합시키는 공통 에지는 어댑터의 노즈부(9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922)에 관하여 대체로 중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 기술된 형태에서, 어댑터(912)의 저면 또는 하면(940)을 형성 하는 2개의 측부(946, 947) 각각이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912)의 노즈부의 저면 또는 하면(9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946, 947)는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로 경사져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930 및 9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모나게 배치되는 측부(936 및 946)는, 어댑터(912)의 종방향 중심선(922)의 하나의 측부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어댑터(912)의 베이스부(9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939)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930 및 9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측부(937 및 947)는, 어댑터(912)의 종방향 축(922)의 다른 측부에 배치되고, 어댑터(912)의 베이스부(9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949)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어댑터(912)의 노즈부(926)는, 어댑터(912)를 통하여 연장되어 어댑터(912) 및 굴착용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적당한 (도시되지 않은) 고착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대향 단부에서 개방되는 보어 또는 개구(950)를 형성한다.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950)는 상면 및 저면(930 또는 940)의 측부들(936, 937 및 946, 947) 중의 적어도 임의의 일측부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축(952)을 형성하여, 보어(95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도30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어댑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기술한다. 어댑터의 이러한 선택적 형태는 참조부호(1012)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 어진다. 어댑터(12)에 관하여 상기 논의된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어댑터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실시예가 10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실시예에서, 어댑터(1012)는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관계에 있는 베이스부(1024) 및 노즈부(1026)를 포함하며, 중심선(1022)을 형성한다. 어댑터(1012)의 노즈부(1026)는 노즈부(1026)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고 수렴되는 상면 및 저면(1030 및 1040)을 가지는 긴 테이퍼형 형상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저면(1030 및 1040)은 각각 종방향의 중심선(102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면(1030)은 어댑터(1012)의 베이스부(10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10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 2개의 측부(1036 및 1037)를 가지며, 그리고 그것은 상부 공통 에지(1038)를 따라 서로 교차하고 병합된다. 상기 상부 공통 에지(1038)는 어댑터(1012)의 노즈부(10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그 종방향 중심선(1022)을 따라 대체로 집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1012)의 상면(1030)을 형성하는 각 측부(1036, 1037)는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1012)의 상면(1030)을 형성하는 측부(1036, 1037)는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약 35° 및 약 55° 사이의 각도로 경사져있다.
도30에 도시된 어댑터의 실시예에서, 어댑터(1012)의 저면(1040)은, 연결되거나 또는 하부 공통 에지(1048)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병합되며, 어댑터(1012) 의 종방향 중심선(1022)의 대향 측방향 측부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측부(1046, 1047)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2개의 하측부 또는 저측부(1046, 1047)는 그 자유 단부를 향하여 어댑터(1012)의 베이스부(10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저면(10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1046, 1047)를 연결시키고 병합시키는 공통 에지는 어댑터의 노즈부(10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종방향중심선(1022)에 관하여 대체로 중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 기술된 형태에서, 어댑터(1012)의 저면 또는 하면(10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1046, 1047) 각각이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1012)의 노즈부의 저면 또는 하면(1040)을 형성하는 2개의 측부(1046, 1047)는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약 5° 내지 15°의 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져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1030 및 10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모나게 배치되는 측부(1036 및 1046)는, 어댑터(1012)의 종방향 중심선(1022)의 하나의 측부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어댑터(1012)의 베이스부(10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1039)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3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 및 저면(1030 및 104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모나게 배치되는 측부(1037 및 1047)는, 어댑터(1012)의 종방향 축(1022)의 다른 측부에 배치되고, 어댑터(1012)의 베이스부(10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1049)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어댑터(1012)의 노즈부(1026)는, 어댑터(1012)를 통하여 연장되어 어댑터(1012) 및 굴착용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적당한 (도시되지 않은) 고착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대향 단부에서 개방되는 보어 또는 개구(1050)를 형성한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1050)는 상면 및 저면(1030 또는 1040)의 측부들(1036, 1037 및 1046, 1047) 중의 적어도 임의의 일측부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축(1052)을 형성하여, 보어(105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도31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어댑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기술한다. 어댑터의 이러한 선택적 형태는 참조부호(1112)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어댑터(12)에 관하여 상기 논의된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어댑터의 선택적 형태에서의 구성요소는, 실시예가 1100대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에 사용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1112)는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관계에 있는 베이스부(1124) 및 노즈부(1126)를 포함하며, 중심선(1122)을 형성한다. 어댑터(1112)의 노즈부(1126)는 노즈부(1126)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고 수렴되는 상면 및 저면(1130 및 1140)을 가지는 긴 테이퍼형 형상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저면(1130 및 1140)은 각각 종방향의 중심선(112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면(1130)은 어댑터(1112)의 베이스부(11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112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 2개의 측부(1136 및 1137)를 가지며, 그리고 그것은 상부 공통 에지(1138)를 따라 서로 교차하고 병합된다. 상기 상부 공 통 에지(1138)는 어댑터(1112)의 노즈부(1126)의 긴 길이에 대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그 종방향 중심선(1122)을 따라 대체로 집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댑터(1112)의 상면(1130)을 형성하는 각 측부(1136, 1137)는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서, 어댑터(1112)의 상면(1130)을 형성하는 측부(1136, 1137)는 각각 수평면에 대하여 약 35° 및 55° 사이의 각도로 경사져있다.
도31에 도시된 어댑터의 실시예에서, 어댑터(1112)의 저면(1140)은, 이들 상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어댑터(1112)의 종방향 중심선(1122)에 대체로 수직이고 수평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체로 평평한 측부(1146)를 가진다. 상기 하측부(1146)는 그 자유 단부를 향하여 어댑터(1112)의 베이스부(112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113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모나게 배치되는 측부(1136)는, 어댑터(1112)의 베이스부(11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1139)를 따라 저면(1140)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3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면(1130)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모나게 배치되는 측부(1137)는, 어댑터(1112)의 베이스부(1124)로부터 종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측부 에지(1149)를 따라 저면(1140)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어댑터(1112)의 노즈부(1126)는, 어댑터(1112)를 통하여 연장되고 어댑터(1112) 및 굴착용 톱니를 서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적당한 (도시되지 않은) 고착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대향 단부에서 개방되는 보어 또는 개구(1150)를 형성한다.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1150)는 상면(1130)의 측부들(1136, 1137) 중의 적어도 임의의 일측부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축(1152)을 형성하여, 보어(115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특별히 기술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당업자에게는, 어댑터의 상면 또는 저면 중의 임의의 일면의 대향 측부가 반드시 서로에 대하여 아니면 대체로 수평면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로 배치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어댑터 상에서 상면 또는 저면중의 임의의 일면의 대향 측부들 사이에 임의의 각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인정되는 바와 같이, 톱니 및 어댑터 사이의 결합면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어댑터의 노즈부의 단면 형상 및 톱니에 의해 형성된 막힌 캐비티가 서로 대체로 대응할 것이다. 따라서, 어댑터의 노즈부가 도26에 도시된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면,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막힌 캐비티는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질 것이고 그럼으로써 이들 사이의 접합을 강화시킬 것이다. 마찬가지로, 어댑터의 노즈부가 도29에 도시된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면,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막힌 캐비티는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종래기술 장치에서 공지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별개의 형상을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서, 어댑터의 노즈부의 단면 크기 또는 영역은 증가된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하는 반면 지금까지 공지된 비교가능한 어댑터와 동일한 양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리하여, 어댑터의 재료 또는 중량 중 어느 것도 증가하지 않는 반면, 그 강도 및 강성이 상당히 증가된다. 베이스부에 대하여 어댑터의 노즈부의 단면 형상을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방향 모두에서 재료 두께가 상당히 증가한다. 인정되는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의 상면 및 저면을 형성하는 측부들의 각 배향은 서로 다른 작업을 위한 제조 중에 형성될 수 있으면서도 통상적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톱니 조립체의 결합면에 배치되는 단면 형상을 능가하는 향상된 강도 및 내구성을 제공한다. 이리하여 복수개의 톱니 조립체의 톱니 및 어댑터 사이에서의 결합면의 단면 설계는 지반 침입 장비와 관련된 기대되는 수직 또는 수평 증가분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사이에 결합면을 형성하는 굴착용 톱니 및 어댑터의 구성요소들의 모난 배향은 어댑터 상에 비교적 느슨하게 조립된 톱니가 자기 중심을 정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복수개의 톱니 조립체의 톱니 및 어댑터 요소는 종래의 기술로부터 본 발명의 구성부품을 의도적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이전의 복수개의 굴착용 톱니 설계로부터 상당히 변형되었다. 즉, 베이스 또는 장착부에 대하여 어댑터의 노즈부의 경사진 형상은, 상술된 작업상의 이익을 제공하는 한편, 추가로 지금까지 모든 다른 공지된 설계로부터 본 발명의 어댑터를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굴착용 톱니의 후방 단부에서 막힌 캐비티 또는 포켓의 경사진 형상은 본 발명의 굴착용 톱니를 모든 다른 것으로부터 구별짓는다.
또한, 당업자에게 인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 달성된 보유지지 장치의 경사진 배향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된 보유지지 핀 시스템에 대하여 증가된 이점을 제공한다. 인정된 바와 같이, 어댑터의 경사진 상면 및 저면의 대향 측부에 대체로 수직인 각도로 보유지지 핀을 수용하기 위하여 보어의 축을 정렬하는 것은 어댑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보유지지 핀의 모난 배향은 굴착용 톱니를 복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우수한 접근을 허용한다. 또한, 지금까지 공지된 보유지지 핀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모나게 배치된 보유지지 핀에는 굴착되는 재료 및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수직 및 수평 이동, 그리고 이로 인한 힘이 현저히 더 적은 효과를 미치게 된다. 또한, 보유지지 장치의 경사진 배향은 굴착용 톱니의 복구 또는 교체 중에 인간공학적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한 인간공학적 이점은 낮은 수직 배치에서 버킷 또는 로딩 수단으로 더욱 구체화된다. 더욱이, 상기 보유지지 장치의 경사진 배향은 어댑터에 대하여 굴착용 톱니의 조립 및 적당한 배향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사용자가 그러한 굴착용 톱니와 관련된 그 설계 특성의 전체 이점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신규한 개념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물은 본 발명의 일예를 기술하고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을 특정하게 기술하는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개시물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한 이러한 변경 및 변화를 청구의 범위의 요지 및 범위 내에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60)

  1. 그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베이스부 및 노즈부를 갖는 어댑터로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어댑터를 굴착 장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즈부는 전방 자유 단부에서 종결되며, 대체로 상기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선 위에 및 아래에 각각 배치된 상면 및 저면을 가지며, 상기 노즈부의 상면은 상기 노즈부의 후방 단부로부터 노즈부의 길이방향 거리만큼 전방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면 측부에 배치된 2개의 각진 측부를 가지며, 상기 상면의 각 각진 측부는 수평면에 대하여 25°내지 60°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며, 상기 노즈부의 저면은 상기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면 측부에 배치된 2개의 측부를 가지며, 상기 노즈부는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상의 상기 상면의 하나의 각진 측부로 개방되고 축을 따라 배치되는 오목부를 더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의 축은 상기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선을 통과하고 대체로 수평인 면에 대해 25°내지 65°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어댑터와,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갖는 굴착형 톱니로서,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는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에 대해 개방된 소켓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길이방향 단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톱니 및 어댑터가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정렬될 때 상기 어댑터의 오목부와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상기 톱니 상에 배치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굴착형 톱니와,
    상기 어댑터의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보유지지 장치로서, 상기 톱니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를 통과하며 그럼으로써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된 상기 톱니 및 상기 어댑터를 해제할 수 있게 고정시키는 보유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상면의 각 측부 또는 상기 어댑터의 저면의 각 측부는 대체로 평면 형상인 굴착용 톱니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축은 상기 어댑터의 상면 상의 상기 각진 측부 중의 하나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오목부는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면 및 저면 상의 대향하는 각진 측부에 대해 대향 단부들에서 개방되는 보어를 포함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축은 상기 어댑터의 저면상의 상기 측부들 중 하나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축에 의해 교차되는 어댑터 노즈부의 저면상의 각진 측부는 상기 축에 대해 동심형으로 정렬된 카운터 보어를 형성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저면 상의 각 측부는 수평면에 대하여 약 25°내지 약 65°사이의 각도로 배치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전방 단부의 상면 및 저면과 상기 톱니의 대응 영역에는 상기 굴착용 톱니 조립체의 작업 중에 상기 어댑터 및 톱니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형성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용 톱니는 그 전방 단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지반 침입 에지를 가지며, 상기 지반 침입 에지는 이에 상기 톱니가 부착될 때 굴착 장치의 에지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굴착용 톱니는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로 개방되는 막힌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막힌 캐비티는 상면 및 저면을 포함하며, 상기 막힌 캐비티의 각 상면 및 저면은 2개의 각진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막힌 캐비티의 상면상의 각 각진 측부는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하여 약 25° 내지 65°사이의 예각으로 연장하며, 상기 상면 및 저면의 각 측부는 상기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면 측부 상에 정렬되고, 상기 톱니는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하여 25° 내지 65°사이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을 통과하면서 상기 캐비티의 상기 상면 및 저면의 대향 측부를 교차하는 축을 따라 정렬되는 오목부를 더 형성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상기 캐비티의 상면 및 저면이 상기 톱니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그리고 서로를 향하여 수렴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의 상기 상면의 각진 측부들 또는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의 상기 저면의 측부들은 그 대향 에지들 사이에서 대체로 평면 형상인 굴착용 톱니 조립체.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의 종방향 축의 공통 측부에 배치되는,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의 상기 상면 및 저면의 각진 측부들은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로부터 그리고 상기 톱니를 따라 종방향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연장되는 공통 에지를 따라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14. 삭제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상기 노즈부는 상기 어댑터에 강도 및 강성을 더하기 위해 그 주요 길이방향 부분을 따라 대체로 마름모꼴 단면 형상을 갖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마름모꼴 단면 형상은 그 전방 자유 단부로부터 그 후방 단부로 측정된 단면 크기가 증가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는 4개의 각진 측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기 상면상의 2개의 각진 측부는 어댑터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고, 어댑터의 노즈부의 저면상의 2개의 각진 측부는 어댑터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상면 및 저면상에 있고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선의 각각의 대향 측면 측부에 대해 배치된 각진 측부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21. 삭제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의 소켓은 4개의 각진 측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상면상의 2개의 각진 측부는 톱니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고, 상기 소켓의 저면상의 2개의 각진 측부는 톱니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켓의 상면 및 저면상의 2개의 각진 측부를 결합하는 공통 에지는 각각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갖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소켓의 상면 및 저면상에 있고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의 각각의 대향 측면 측부에 대해 배치된 각진 측부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25. 그 전방 단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지반 침입 에지를 갖는 굴착용 톱니로서,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는 상기 톱니의 후방 단부에 대해 개방된 막힌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막힌 캐비티는 상기 톱니의 전방 단부쪽으로 서로 수렴하는 상면 및 저면을 포함하며, 상기 막힌 캐비티의 상면은 2개의 각진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막힌 캐비티의 상면상의 각 각진 측부는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해 25° 내지 65°사이의 예각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면의 각 측부는 상기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면 측부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막힌 캐비티의 저면은 상기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면 측부에 대해 배치된 2개의 각진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톱니는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해 25° 내지 65°사이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톱니의 종방향 중심선을 통과하면서 상기 캐비티의 상기 상면 및 저면의 대향 측부를 교차하는 축을 따라 정렬되는 보어를 더 형성하는 굴착용 톱니와,
    톱니 조립체가 지반 결합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베이스부를 갖는 어댑터로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톱니의 막힌 캐비티내에서 단부 방향으로 고정되고 이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노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즈부는 그 후방 단부쪽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 및 상기 톱니의 보어는 상기 톱니 및 어댑터가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하여 정렬될 때 서로 대체로 맞추어져 배치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오목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좌되도록 구성된 보유지지 장치로서,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된 상기 톱니 및 상기 어댑터를 해제할 수 있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톱니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어를 통해 연장하는 보유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26. 삭제
  27. 제1항, 제2항 또는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는 상기 어댑터의 종방향 축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베이스부로부터 전방 연장되는 상부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대체로 평면인 측부들에 의하여 형성된 상면을 갖는 굴착용 톱니 조립체.
  28. 삭제
  29. 삭제
  30. 그 전방 단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지반 침입 에지를 갖는 웨지형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지형 부재의 후방 단부는 상기 부재의 후방 단부에 대해 개방된 막힌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막힌 캐비티는 상기 부재의 종방향 축의 대향 측부에 대해 배치된 상면 및 저면을 포함하며, 상기 막힌 캐비티의 각 상면 및 저면은 상기 부재의 전방 단부쪽으로 서로 수렴되며, 상기 막힌 캐비티의 상면은 2개의 각진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의 각 각진 측부는 상기 부재의 종방향 중심선의 하나의 측면 측부에 대해 배치되며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하여 약 25° 내지 65°사이의 예각으로 연장되며, 상기 부재는 막힌 캐비티의 상면의 적어도 하나의 각진 측부에 대해 개방된 보어를 더 형성하며, 상기 보어의 축은 상기 부재의 종방향 중심선을 통과하며 상기 부재의 지반 침입 에지에 대해 25° 내지 65°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굴착용 톱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막힌 캐비티의 저면은 2개의 각진 측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각진 측부는 상기 부재의 종방향 중심선의 각 측면 측부에 대해 배치되는 굴착용 톱니.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형 부재는 다른 보어가 개방이 되는 막힌 캐비티의 상면의 각진 측부로부터 측면 대향 배치된 상기 막힌 캐비티의 저면상의 각진 측부에 대해 개방된 보어를 형성하며, 상기 부재에 의해 형성된 보어들은 서로 축방향 정렬되는 굴착용 톱니.
  33.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막힌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상면의 각진 측부 또는 막힌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저면의 측부는 각각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갖는 굴착용 톱니.
  34.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축방향 정렬된 보어는 상기 길다란 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막힌 캐비티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측부들 중 하나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축을 형성하는 굴착용 톱니.
  35.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막힌 캐비티의 측부는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에 마름모꼴 단면 형상을 상기 막힌 캐비티의 주요 길이방향 부분에 제공하도록 서로 배치되는 굴착용 톱니.
  36.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의 마름모꼴 단면 형상은 그 자유 전방 단부로부터 그 후방 단부쪽으로 측정된 단면 크기가 증가하는 굴착용 톱니.
  37.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막힌 캐비티의 상면상의 각진 에지는 상기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
  38. 삭제
  39.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막힌 캐비티의 저면상의 각진 에지는 상기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
  40. 삭제
  41.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종방향 중심선의 각 측면 측부에 대해 배치된 상기 막힌 캐비티의 상기 상면 및 저면의 각진 측부가 상기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굴착용 톱니.
  42. 삭제
  43.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막힌 캐비티의 상면 및 저면상의 각 각진 측부는 각각 대체로 평면인 형상을 갖는 굴착용 톱니.
  44.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용 어댑터이며,
    그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베이스부 및 노즈부를 갖는 길다란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어댑터를 굴착 장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즈부는 전방 자유 단부에서 종결되며, 대체로 상기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선 위에 및 아래에 각각 배치된 상면 및 저면을 가지며, 상기 노즈부의 상면은 상기 부재의 종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면 측부상에 배치된 각진 측부를 가지며, 노즈부의 상면상의 각각의 각진 측부는 수평면에 대해 25° 내지 65°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며, 상기 노즈부는 노즈부의 후방 단부에 인접 배치된 오목부를 더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는 축을 따라 연장하며 상면상의 적어도 하나의 각진 측부에 대해 개방되며, 상기 오목부의 축은 상기 부재의 종방향 중심선을 통과하며 수평면에 대해 25° 내지 65°사이의 각도로 연장하는 어댑터.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노즈부의 저면은 상기 부재의 종방향 축의 대향 측면 측부상의 2개의 각진 측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면상의 각각의 각진 측부는 대체로 평면인 형상을 갖는 어댑터.
  47.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어댑터의 노즈부에 형성된 오목부는 상기 부재의 노즈부의 상면 및 저면상의 대향 각진 측부에 대해 대향 단부에서 개방된 보어를 포함하는 어댑터.
  48.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에 의해 형성된 축은 상기 어댑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부재의 상면 상의 상기 각진 측부들 중의 하나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어댑터.
  49.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부재의 상면 및 저면상의 각진 측부는 부재의 노즈부가 주요 길이방향 부분에 대해 마름모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서로 배치되는 어댑터.
  50.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노즈부의 종방향 축의 대향 측부상의 상면의 각진 측부는 상기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어댑터.
  51.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노즈부의 종방향 축의 대향 측부상의 저면의 각진 측부는 상기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어댑터.
  52.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공통 에지는 상기 부재의 대향 측부를 정반대 방향으로 분리하는 거리보다 큰 거리만큼 이격된 어댑터.
  53. 삭제
  54.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노즈부의 종방향 축의 각 측면 측부에 대해 배치된 상기 부재의 상면 및 저면상의 각진 측부는 상기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 에지를 따라 서로 결합되는 어댑터.
  55. 삭제
  5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노즈부상의 상면 및 저면은 그 위에 안정화 지지부를 갖는 어댑터.
  57. 서로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된 톱니 및 어댑터를 해제할 수 있게 상호연결 및 유지시키는 보유지지 장치이며, 상기 보유지지 장치는 상기 어댑터의 노즈부에 형성된 보어를 통해 단부 방향으로 통과하며, 상기 톱니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구멍 각각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보유지지 핀은 수평면에 대해 약 25° 내지 약 65°사이의 각도로 벗어나 위치되는 보유지지 장치.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KR1020017000704A 1998-07-17 1999-07-14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 KR100632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18,658 US6047487A (en) 1998-07-17 1998-07-17 Multipiece excavating tooth assembly
US09/118,658 1998-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121A KR20010083121A (ko) 2001-08-31
KR100632911B1 true KR100632911B1 (ko) 2006-10-11

Family

ID=2237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704A KR100632911B1 (ko) 1998-07-17 1999-07-14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6047487A (ko)
EP (1) EP1121495B1 (ko)
JP (1) JP4469501B2 (ko)
KR (1) KR100632911B1 (ko)
CN (1) CN1182304C (ko)
AU (1) AU753118B2 (ko)
BR (1) BR9912422B1 (ko)
CA (1) CA2336824C (ko)
ES (1) ES2197788B2 (ko)
GB (1) GB2356000B (ko)
HU (1) HU226503B1 (ko)
RU (1) RU2249655C2 (ko)
TR (1) TR200100199T2 (ko)
WO (1) WO2000004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5890B2 (en) * 2001-07-06 2004-05-18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ES2146541B1 (es) * 1998-06-08 2001-04-01 Metalogenia Sa Dispositivo para el acoplamiento de dientes de excavadoras.
ES2146174B1 (es) 1998-07-03 2002-01-16 Metalogenia Sa Acoplamiento para dientes de excavadoras y similares.
US6467203B2 (en) * 1999-04-05 2002-10-22 Trn Business Trust Removable tooth assembly retention system and method
US6374521B1 (en) 1999-04-05 2002-04-23 Trn Business Trust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an excavation tooth assembly
ES2158805B1 (es) 1999-10-01 2002-04-01 Metalogenia Sa Perfeccionamientos en los acoplamientos para dientes de maquinas para movimiento de tierras.
ES2168988B1 (es) * 2000-10-03 2003-12-01 Metalogenia Sa Sistema de acoplamiento para los dientes de una excavadora.
US6430851B1 (en) 2001-04-10 2002-08-13 H&L Tooth Co. Hammerless attachment assembly for a two-part digging tooth system
US6993861B2 (en) * 2001-07-06 2006-02-07 Esco Corporation 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US6467204B1 (en) 2001-08-09 2002-10-22 Trn Business Trust Adapter assembly having multiple retainer pins
US6393739B1 (en) 2001-08-16 2002-05-28 G. H.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tooth point and adapter apparatus
US6574892B2 (en) 2001-09-05 2003-06-10 Trn Business Trust Retainer pin having an internal secondary retainer pin
US6729052B2 (en) * 2001-11-09 2004-05-04 Esco Corporation Assembly for securing an excavating tooth
US6799387B2 (en) 2002-01-29 2004-10-05 Trn Business Trust Removable adapter assembly having a retractable insert
CA2392643A1 (en) * 2002-07-01 2004-01-05 Pennsylvania Crusher Corporation Excavator teeth, apparatus and method
US6757995B2 (en) 2002-07-12 2004-07-06 Trn Business Trust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excavation equipment components
US20040111927A1 (en) * 2002-12-12 2004-06-17 Livesay Richard E. Tip and adapter assembly
SE0203856L (sv) * 2002-12-23 2004-02-10 Combi Wear Parts Ab Slitdelssystem för lösbar montering av slitdelar till en markberedningsmaskins verktyg
US7080470B2 (en) * 2003-04-30 2006-07-25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excavator digging edge
US7036249B2 (en) 2003-05-22 2006-05-02 Trn Business Trust Tooth adapter having an elastomeric clamp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ame
ZA200601967B (en) * 2003-09-09 2007-05-30 Tooth H & L Co Winged digging tooth
CA2548026C (en) * 2003-12-05 2012-03-27 Metalogenia, S.A. Wear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which is intended for machines that are used to move materials such as earth and stones
US7032334B2 (en) * 2004-05-28 2006-04-25 Trn Business Trust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excavation equipment components
FR2878871B1 (fr) * 2005-03-22 2013-09-20 Predac Ensemble d'accouplement entre des pieces d'usure sur des outils supports pour equipement d'engins de travaux publics
ES2383697T3 (es) * 2004-12-02 2012-06-25 Predac Conjunto de acoplamiento entre piezas de desgaste sobre herramientas de soporte para equipos de máquinas para obras públicas
WO2007022579A1 (en) * 2005-08-24 2007-03-01 James A Calderwood An improved ripper boot
AU2013200107B2 (en) * 2006-03-30 2016-07-21 Esco Group Llc Wear assembly
JOP20190303A1 (ar) * 2006-02-17 2017-06-16 Esco Group Llc تجميعة مقاومة للتآكل
AU2013202351C1 (en) * 2006-02-17 2019-03-28 Esco Group Llc Wear assembly
PT3263778T (pt) 2006-03-30 2022-02-03 Esco Group Llc Conjunto de desgaste
US20080005940A1 (en) * 2006-07-10 2008-01-10 Esco Corporation Assembly for securing a wear
ES2751349T3 (es) * 2006-08-16 2020-03-31 Caterpillar Inc Sistema de herramientas de movimiento de tierra
AU2012201808B2 (en) * 2007-05-10 2014-08-21 Esco Group Llc Wear assembly for excavating equipment
NZ581007A (en) * 2007-05-10 2012-02-24 Esco Corp Wear assembly with mounting section having leading side of greater width than trailing side
US8061064B2 (en) 2007-05-10 2011-11-22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excavating equipment
SE533207C2 (sv) * 2007-12-21 2010-07-20 Atlas Copco Rock Drills Ab Slitdel till en skopa för en last-eller grävmaskin,fästenhet där för jämte slitdelssystem, skopa och last-eller grävmaskin
BRPI0907252A2 (pt) * 2008-01-08 2019-08-27 Esco Corp ponteira para cilindro de trabalhar a terra
US20090277050A1 (en) * 2008-05-06 2009-11-12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Excavating Equipment
US7818902B2 (en) * 2008-11-12 2010-10-26 H & L Tooth Company Ground engaging digging tooth
BR112012002687B1 (pt) * 2009-08-05 2021-05-25 H&L Tooth Company conjunto de dente e método para acoplar de modo liberável um dente a um adaptador
US9359744B2 (en) 2009-08-05 2016-06-07 H&L Tooth Company Multipiece wear assembly
PL2494113T3 (pl) * 2009-10-30 2019-08-30 Esco Group Llc Zespół podlegający zużyciu dla sprzętu wydobywczego
US8443504B2 (en) * 2010-02-05 2013-05-21 H&L Tooth Company Pin tool assembly for acting on a retaining pin for a tooth of a ground engaging implement
US20120297649A1 (en) * 2011-05-27 2012-11-29 Caterpillar, Inc. Ground engaging tool tooth tip
US9062436B2 (en) 2011-10-07 2015-06-2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8943717B2 (en) 2011-10-08 2015-02-0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9057177B2 (en) 2011-10-08 2015-06-16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8943716B2 (en) 2011-10-10 2015-02-0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FR2983880B1 (fr) * 2011-12-08 2014-11-21 Afe Metal Systeme mecanique comprenant une piece d'usure et un support, et godet comprenant au moins un tel systeme mecanique
DK2815035T3 (en) 2012-02-17 2019-04-08 Esco Group Llc wear Event
JP5373169B1 (ja) * 2012-10-10 2013-12-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掘削爪および掘削爪用ボディ
ES2918624T3 (es) * 2013-01-25 2022-07-19 Cqms Pty Ltd Conjunto desgastable para excavadora
AU2013204898B2 (en) 2013-04-12 2016-11-03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Excavation Tooth Assembly
US9670648B2 (en) 2015-08-10 2017-06-06 Caterpillar Inc. Replaceable tip systems for a tine
US10508418B2 (en) 2016-05-13 2019-12-17 Hensley Industries, Inc. Stabilizing features in a wear member assembly
WO2017209898A1 (en) 2016-06-03 2017-12-07 H&L Tooth Company Multipiece wear assembly
USD842345S1 (en) 2017-07-21 2019-03-05 Caterpillar Inc. Lip shroud for a ground engaging machine implement
USD832309S1 (en) 2017-08-30 2018-10-30 Caterpillar Inc. Lip shroud for a ground engaging machine implement
USD842347S1 (en) 2017-10-11 2019-03-05 Caterpillar Inc. Shroud for a ground engaging machine implement
USD842346S1 (en) 2017-10-11 2019-03-05 Caterpillar Inc. Shroud for a ground engaging machine implement
USD859103S1 (en) 2017-10-20 2019-09-10 H&L Tooth Company Tool for acting on a securement member of a digging tooth assembly
DE102017126755A1 (de) * 2017-11-14 2019-05-16 Alfred Reuter Stopfpickel
CN107806004B (zh) * 2017-11-28 2023-08-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市政工程用的沥青铲除板
USD918965S1 (en) 2018-06-19 2021-05-11 Hensley Industries, Inc. Ground engaging wear member
USD882645S1 (en) 2018-10-03 2020-04-28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USD882644S1 (en) 2018-10-03 2020-04-28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USD873306S1 (en) 2018-10-03 2020-01-21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USD882646S1 (en) 2018-11-09 2020-04-28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USD928848S1 (en) * 2019-10-04 2021-08-24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USD927561S1 (en) 2019-10-04 2021-08-10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USD928849S1 (en) * 2019-10-04 2021-08-24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USD959505S1 (en) 2021-03-25 2022-08-02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USD978923S1 (en) 2021-06-03 2023-02-21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9850A (en) * 1931-02-12 1933-05-16 Electric Steel Foundry Co Dipper tooth
US2118872A (en) * 1936-06-10 1938-05-31 Raymond S Weimer Removable teeth for earth working machines
US2227674A (en) * 1938-11-21 1941-01-07 American Brake Shoe & Foundry Dipper tooth assembly
US3091044A (en) * 1960-10-28 1963-05-28 Cleveland Trencher Co Digger tooth
US3117386A (en) * 1961-03-07 1964-01-14 Ferwerda Ray Tooth arrangement for earth digging apparatus
GB935785A (en) * 1961-07-28 1963-09-04 Austin Hoy &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al cutter picks
JPS5066004A (ko) * 1973-10-16 1975-06-04
FR2264140A1 (en) * 1974-03-15 1975-10-10 Garcia Roger Tooth support for an excavator bucket - has tooth point and adaptor abutting on only three faces
US4317300A (en) * 1979-09-20 1982-03-02 Esco Corporation Earth working tooth with wear cap
DE2938119C2 (de) * 1979-09-20 1983-03-24 O & K Orenstein & Koppel AG Werk Lübeck, 2400 Lübeck Baggerzahn
US4481728A (en) * 1981-12-01 1984-11-13 Abex Corporation Dipper tooth tip and adapter
SE8405819L (sv) * 1984-11-20 1986-05-21 Bofors Wear Parts Ab Slitdelssystem
US4577423A (en) * 1984-12-24 1986-03-25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system
US4611418A (en) * 1985-03-28 1986-09-16 Launder Richard L Locking mechanism for earth excavation teeth
DE3531787C1 (de) * 1985-09-06 1986-06-26 Berchem & Schaberg Gmbh, 4650 Gelsenkirchen Auswechselbarer Zahn fuer ein Grab- und Brechwerkzeug mit Hartmetallspitze und Kantenbewehrung
US4761900A (en) * 1986-12-04 1988-08-09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assembly
US5016365A (en) * 1989-06-06 1991-05-21 Gh Hensley Industries, Inc. Wear parts for excavation apparatus
US5074062A (en) * 1990-09-10 1991-12-24 Esco Corporation Method of replacing a worn excavating tooth point
US5075986A (en) * 1991-02-08 1991-12-31 H & L Tooth Company Attachment assembly for excavation teeth
US5224282A (en) * 1992-01-21 1993-07-06 Harnischfeger Corporation Tooth assembly for a digger bucket
US5177886A (en) * 1992-03-16 1993-01-12 Caterpillar Inc. Tooth with clearances in socket
US5469648A (en) * 1993-02-02 1995-11-28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EP0649945B1 (de) * 1993-08-30 1996-04-17 Baz Service Ag Baggerzahn
DE4345100A1 (de) * 1993-12-31 1995-07-06 Peddinghaus Carl Dan Gmbh Zahn/Zahnhalter-Verbindungssystem
US5666748A (en) * 1995-12-11 1997-09-16 Esco Corporation Wear cap and components useable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103999A (en) 2000-02-07
BR9912422B1 (pt) 2009-05-05
GB2356000A (en) 2001-05-09
JP4469501B2 (ja) 2010-05-26
EP1121495B1 (en) 2017-12-06
CA2336824A1 (en) 2000-01-27
EP1121495A4 (en) 2003-01-02
KR20010083121A (ko) 2001-08-31
HUP0200086A2 (en) 2002-05-29
CA2336824C (en) 2008-05-20
JP2002520524A (ja) 2002-07-09
ES2197788A1 (es) 2004-01-01
GB0100558D0 (en) 2001-02-21
US6247255B1 (en) 2001-06-19
GB2356000B (en) 2003-03-05
US6047487A (en) 2000-04-11
ES2197788B2 (es) 2007-02-16
HU226503B1 (en) 2009-03-02
AU753118B2 (en) 2002-10-10
BR9912422A (pt) 2001-11-20
CN1314965A (zh) 2001-09-26
TR200100199T2 (tr) 2001-10-22
RU2249655C2 (ru) 2005-04-10
WO2000004244A1 (en) 2000-01-27
CN1182304C (zh) 2004-12-29
EP1121495A1 (en) 200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911B1 (ko) 다품식 굴착용 톱니 조립체
AU2010210101B2 (en) System for coupling a wear element to an adapter for excavators and similar machinery, and components thereof
US20080000114A1 (en) Tooth and adaptor assembly
US7114272B2 (en) Winged digging tooth
JP4584247B2 (ja) 掘削機の掘削縁部用の磨耗アッセンブリ
CN110073062A (zh) 具有带有锥形固位通道的尖端的器具地面接合尖端组件
CA2523513A1 (en) Tooth and adaptor assembly for a dipper bucket
US20050055853A1 (en) Mechanically attached tip assembly
US20120246982A1 (en) Tooth and Adaptor Assembly
US20100115803A1 (en) Ground engaging digging tooth
CN110062832A (zh) 具有带磨损指示器的尖端的器具尖端组件
MXPA01000604A (en) Multipiece excavating tooth assembly
CN1867738B (zh) 带翼的挖掘齿
EA039111B1 (ru) Фикс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