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145B1 -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145B1
KR100632145B1 KR1020030074950A KR20030074950A KR100632145B1 KR 100632145 B1 KR100632145 B1 KR 100632145B1 KR 1020030074950 A KR1020030074950 A KR 1020030074950A KR 20030074950 A KR20030074950 A KR 20030074950A KR 100632145 B1 KR100632145 B1 KR 10063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dust
plate
knitting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570A (ko
Inventor
마에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4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편성 중에 실의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 연결부의 편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스티치 억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스티치 억제판의 표면에 쌓이는 먼지를 당해 스티치 억제판의 이동에 따라 먼지를 제거하도록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을 형성하는 빗 모양 플레이트 및 편침의 이면에 접촉시키는 먼지 배출면을 구비하는 먼지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먼지 배출구는, 빗 모양 플레이트의 선단 근방의 이면에 접촉하는 스티치 억제판의 표면에 스티치 억제홈을 넘어서 상단측에 상부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그 상부 테두리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빗 모양 플레이트의 기부 방향으로 상호 간격이 넓어지게 되도록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2개의 먼지 배출면이 대향하는 먼지 제거 오목부와, 그 먼지 제거 오목부의 개구 측단에 먼지를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홈으로 구성하고,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복합 경사면의 근방에 형성하였다.

Description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STITCH HOLDER}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편성기 주요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일방의 니들베드(앞측)의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3은 제1실시예의 스티치 억제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4는 도3에서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의 니들베드 측면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5는 제1실시예의 부분 확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6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티치 억제판의 동작 범위를 설명하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7은 제2실시예의 스티치 억제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8은 도7에서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의 니들베드 측면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9는 종래의 스티치 억제판의 부분 확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0은 도9에서의 C-C선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의 니들베드 측면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갑용 횡편기(掌匣用 橫編機)(이하, 장갑 편성기(掌匣 編成機))는, 장갑의 새끼 손가락으로부터 집게 손가락의 순서로 손가락부를 편성하여 손바닥부의 엄지 손가락 밑 부분(4개의 몸통)까지를 편성하고, 계속하여 엄지 손가락을 편성한 후에 손바닥부의 손목(5개의 몸통)까지를 편성하고 또한 손목의 고무줄 삽입부를 편성하는 공정을 연속하여 편성하는 것으로서,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새끼 손가락으로부터 엄지 손가락을 편성하는 편침(編針)을 배열하고, 이들 편침은 각 손가락마다 필요한 소정 개수의 편침에, 인접하는 손가락부 또는 몸통부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2∼4개의 편침을 포함하도록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손가락의 편침은, 새끼 손가락으로부터 집게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의 손가락부를 편성함에 따라 편성동작을 하고, 각 손가락의 크기(두께)를 얻기 위하여 인접하는 손가락부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편침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의 기본적인 공지(公知)의 예로서,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7-4319호가 있고 또한 전자동 장갑 편성기(全自動 掌匣 編成機)로서는,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1-9823 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손가락부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편침에 의하여 2∼4의 스티치(stitch)를 다음 손가락부의 스티치와 포개어 편성하는 것은, 손가락 연결부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몸통부의 편성폭(編成幅)의 범위 내에서 각 손가락의 두께에 상당하는 손가락부의 둘레 길이를 보완하여 충분한 크기의 손가락부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장갑을 편성할 때에 손가락 연결부의 편침에 걸린 각 스티치를 억제하는 스티치 억제판(통칭 면도기(面刀器))의 스티치 억제홈은, 새끼 손가락과 약지 손가락의 공통 편침의 스티치를 억제하는 위치에서 엄지 손가락을 편성한 후에 몸통을 편성하는 위치, 즉 스티치 억제홈이 전체 편성폭의 엄지 손가락측의 외부까지 각 손가락 및 몸통의 편성위치로 이행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발가락 부분을 부착하는 양말을 편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발가락이나 몸통의 굵기 및 편성코스(編成 course)에 차이가 있더라도 동일한 동작이 반복된다.
종래의 장갑 편성기나 양말 편성기의 스티치 억제판은,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1-982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손가락, 몸통의 편성위치에 캠(cam) 등의 구동수단(驅動手段)에 의하여 이동되어 손가락 연결부의 편침에 결합된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으로 안내한다. 그런데 편성에 사용하는 실에 따라서는 먼지가 발생하기 쉬운 것이 있어 편성기를 장기 간 가동하는 사이에 편침의 하면(下面) 및 편침 사이의 빗 모양 플레이트의 이면(裏面)과 스티치 억제판의 표면과의 틈에 먼지가 쌓임으로써 스티치 억제판의 동작이 둔감하게 되어 손가락 연결부의 편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그 결과 편성 중의 제품이 불량품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도9,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억제판1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01을 형성하여 접촉면의 슬라이딩 저항(sliding 抵抗)이 작아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 불량을 해결하는 대책을 강구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 연결부의 편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스티치 억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의 스티치 억제판은, 각 손가락부 또는 몸통부를 편성하는 편침(編針)을 니들홈(needle groove) 내에서 진퇴(進退)하도록 배열하는 전후 니들베드(needle bed) 사이의 틈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형성하는 빗(comb) 모양의 플레이트(plate) 및 편침의 이면(裏面)에 접촉하여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미 편성된 편성포의 연결부의 스티치(stitch)를 편침에 지지하는 상태에서 인접 편성포가 편성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스티치 탈출을 억제하기 위한 스티치 억제홈(stitch 抑制 groove)과 상기 편침에 지지된 스티치를 밀어 올려서 인접 편성포의 스티치에 복합(複合)되도록 하기 위한 스티치 복합 경사면(stitch 複合 傾斜面)을 형성하는 횡편기(橫編機)의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억제판은,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 및 편침의 이면(裏面)에 침투한 먼지를 스티치 억제판의 이동에 따라 먼지를 배출하도록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 및 편침의 이면에 접촉되는 먼지 배출면(dust 排出面)을 구비하고, 이면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 배출구(dust 排出口)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형태로서,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의 스티치 억제판에 있어서의 먼지 배출구는,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의 선단(先端) 근방의 이면에 접촉하는 스티치 억제판의 표면에 상부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당해 상부 테두리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역방향(逆方向)으로 경사지는 2개의 먼지 배출면이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 제거 오목부를 형성하고, 당해 먼지 제거 오목부의 개구(開口)의 측단(側端)에 먼지를 이면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의 스티치 억제판에 있어서의 먼지 배출구는,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의 선단 근방의 이면에 접촉하는 스티치 억제판의 표면에 상기 스티치 억제홈의 깊이보다 더 깊어지도록 상단측(上端側)에 상부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당해 상부 테두리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빗 모양 플레이트의 기부(基部) 방향에 걸쳐 상호 간격이 넓어지게 되도록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2개의 먼지 배출면이 대향하는 먼지 제거 오목부와, 당해 먼지 제거 오목부의 개구 측단에 먼지를 이면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홈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복합 경사면의 근방에 형성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의 스티치 억제판에 있어서의 먼지 배출구는, 스티치 억제판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져서 넓어지고, 이면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의 내면(內面)에 먼지 배출면을 형성한 것이다.
더 바람직한 형태로서,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의 스티치 억제판에 있어서의 먼지 배출구의 먼지 배출면은,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의 이면에 접촉하는 스티치 억제판 표면과의 경계에 예리한 모서리를 형성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편성기의 측면도, 도2는 니들베드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스티치 억제판의 평면도, 도4는 도3에서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니들베드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스티치 억제판의 부분 확대도, 도6은 스티치 억제판의 동작범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7∼도8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인 장갑 편성기(掌匣 編成機)1은, 도1에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전후 한 쌍 설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2, 캐리지(carriage)3과 급사구(給絲口)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10은 전후 대칭형(前後 對稱形)으로 니들베드2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후 어느 일방(一方)의 스티치 억제판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후 각 니들베드2에는, 편침(編針)5가 니들베드 기판(needle bed 基板)6에 다수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7의 사이를 진퇴(進退)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상기 니들 플레이트7에 있어서의 상단(上端)의 편성구(編成口)측은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서 빗(comb) 모양의 플레이트(plate)8을 형성한다. 스티치 억제판10은 가늘고 긴 판자(板子) 모양체로서, 표면(表面)11은 당해 빗 모양 플레이트8의 이면(裏面)81에 접촉하고, 하단면(下端面)12는 니들베드 기판6의 상단면(上端面)9에 접촉하고, 이면13은 스티치 억제판 수용판(stitch 抑制板 受容板)18에 의하여 가이드 되고 있고,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단면14는 니들베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빗 모양 플레이트8의 외측에서 스티치 억제판 가압판(stitch 抑制板 加壓板)19에 의하여 가이드 되고 있다. 또한 스티치 억제판10의 일단(一端)에 형성되는 연결용 구멍15를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구동수단(驅動手段)에 설치하여 니들베드 길이 방향의 각 편성 조작위치로 슬라이딩(sliding)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티치 억제판10에 형성되는 스티치 억제홈16은, 이미 편성된 편성포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편침5에 지지하는 상태에서 인접 편성포가 편성될 수 있도록 상기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의 탈출을 억제하고, 그리고 스티치 복합 경사면(stitch 複合 傾斜面)17 은, 상기 인접 편성포의 편성 후에 스티치 억제판10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편침5에 지지된 스티치를 밀어 올려서 인접 편성포의 스티치에 복합시킨다. 이에 따라 장갑의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3∼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억제판10의 표면11에 먼지 제거 오목부20과 먼지 배출홈21에 의하여 먼지 배출구2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제거 오목부20의 좌측 먼지 배출면24와 우측 먼지 배출면25가 대향(對向)하는 간격이 넓어지는 일단(一端)에 스티치 억제판10의 이면13을 관통하는 먼지 배출홈21을 형성하여 먼지 배출구22를 구성한다. 상기 먼지 제거 오목부20은, 스티치 억제판10의 폭(幅) 방향에 있어서 스티치 억제홈16보다 더 깊어지게 되도록 상단면14측 위치의 표면11에 상부 테두리부23을 남겨두고, 당해 상부 테두리부23을 사이에 두고 하단면12를 향하는 좌측 경사면의 좌측 먼지 배출면24와 우측 경사면의 우측 먼지 배출면25를 대향시켜서 스티치 억제판10의 표면11로부터 적당한 깊이(스티치 억제판의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강도적(强度的)으로 가능한 깊이)로 형성한다. 이 먼지 제거 오목부20의 밑바닥으로부터 표면11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우의 먼지 배출면24, 25에 있어서 표면11과 교차하는 경계에는 모서리26, 27이 형성된다. 이 모서리의 각도는 예리하면 예리할수록 더 좋은 먼지제거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먼지 배출구22는, 니들베드2의 빗 모양 플레이트8의 이면81을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억제판10의 스티치 억제홈16 및 스티치 복합 경사면17은, 새끼 손가락과 약지 손가락 사이의 연결부 스티치를 억제할 때에는 가장 우측(도6-a)으로 이동하고, 엄지 손가락을 편성한 후에 몸통을 편성할 때에는 가장 좌측(도6-b)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먼지 배출구22는 스티치 억제판10의 스티치 복합 경사면17의 근방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스티치 억제판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당해 스티치 복합 경사면17에 먼지 제거 오목부20의 일부가 겹치는 위치에 먼지 배출구22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먼지 배출구22는 빗 모양 플레이트8의 니들베드 길이 방향의 전체 편성폭에 걸쳐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이에 따라 편성 중에 편침5의 이면 및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8의 이면81에 침투한 먼지는, 스티치 억제판10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 좌측의 먼지 배출면24의 모서리26에 의하여 제거되어 당해 먼지 배출면24의 경사에 의하여 먼지 배출홈21로 인도되고 또한 스티치 억제판10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 우측의 먼지 배출면25의 모서리27에 의하여 제거되어 당해 먼지 배출면25의 경사에 의하여 먼지 배출홈21의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인도되어 스티치 억제판10의 이면13측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먼지 배출구22의 형성장소는, 상기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스티치 억제홈16의 좌측 위치와 스티치 복합 경사면17 우측의 조금 떨어진 위치에 먼지 배출구22를 각각 형성하면 좋다. 이에 따라 편성 중에 편침5의 이면 및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8의 이면81에 침 투한 먼지는, 스티치 억제판10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와 스티치 억제판10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반드시 어느 일방(一方)의 먼지 배출구22가 빗 모양 플레이트81의 이면을 통과하여 스티치 억제판10의 이면13측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7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억제판30의 표면31로부터 이면32로 관통하는 먼지 배출구33을 스티치 복합 경사면37의 근방에 형성하고, 스티치 억제판30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져서 넓어지는 관통구멍의 내면(內面)에 먼지 배출면34를 형성한다. 또한 먼지 배출구33은, 스티치 억제판30의 표면31측과의 경계인 먼지를 긁어내는 면의 모서리35가 예리한 각이 되도록 이면32측을 넓혀서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편성 중에 편침55의 이면 및 빗 모양 플레이트38의 이면39에 침투한 먼지는, 스티치 억제판3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 먼지 배출면34의 모서리35에 의하여 제거되어 먼지 배출면34의 경사(먼지를 긁어내는 각)에 의하여 스티치 억제판30의 이면32측(화살표 방향)으로 배출된다.
먼지 배출구33의 형성위치는,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티치 억제홈36의 좌측 위치와 스티치 복합 경사면37 우측의 조금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 제1실시예의 먼지 배출구22는 도3∼도6에 나타나 있는 형상과 다르더라도 본 발명의 주지(主旨)를 일탈하지 않는 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먼지 제거 오목부20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과 같은 형상, 먼지 배출 면24, 25의 경사면이 원호(圓弧) 등의 곡선 형상 또는 먼지 배출면24, 25를 형성하는 경사면이 상단면14에 대면(對面)하고 있더라도 가능하고, 먼지 배출홈21은 하단면12가 연결된 투과구멍으로 하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의 먼지 배출구33은 도7 및 도8의 형상과 다른 형상이더라도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그 형상이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과 같은 형상이더라도 당연히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조합에 의한 태양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편침의 편성동작에 의하여 발생한 실의 먼지가 니들홈쪽으로 쌓이지만, 스티치 억제판이 편성에 따라 일방향(一方向)(예를 들면 우측으로부터 좌측) 또는 타방향(他方向)(예를 들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할 때마다 먼지 배출면의 경사면에 의하여 먼지 배출구로 안내되어 먼지가 스티치 억제판의 이면측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을 형성하는 빗 모양 플레이트의 이면 및 편침의 이면과 스티치 억제판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장갑 편성기에 있어서의 스티치 억제판에 의하면, 먼지가 니들베드의 빗 모양 플레이트의 이면과 스티치 억제판의 표면 부분에 침투하는 것에 의한 스티치 억제판의 동작불량이 일어나는 현상이 해소된다. 이 에 따라 손가락 연결부의 편성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품질 좋은 장갑을 안정하게 생산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각 손가락부 또는 몸통부를 편성하는 편침(編針)을 니들홈(needle groove) 내에서 진퇴(進退)하도록 배열하는 전후 니들베드(needle bed) 사이의 틈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형성하는 빗(comb) 모양의 플레이트(plate) 및 편침의 이면(裏面)에 접촉하여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미 편성된 편성포의 연결부의 스티치(stitch)를 편침에 지지하는 상태에서 인접 편성포가 편성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스티치 탈출을 억제하기 위한 스티치 억제홈(stitch 抑制 groove)과 상기 편침에 지지된 스티치를 밀어 올려서 인접 편성포의 스티치에 복합(複合)되도록 하기 위한 스티치 복합 경사면(stitch 複合 傾斜面)을 형성하는 횡편기(橫編機)의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억제판은,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 및 편침의 이면(裏面)에 침투한 먼지를 스티치 억제판의 이동에 따라 먼지를 배출하도록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 및 편침의 이면에 접촉되는 먼지 배출면(dust 排出面)을 구비하고, 이면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 배출구(dust 排出口)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구는,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의 선단(先端) 근방의 이면에 접촉하는 스티치 억제판의 표면에 상부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당해 상부 테두리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역방향(逆方向)으로 경사지는 2개의 먼지 배출면이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 제거 오목부를 형성하고, 당해 먼지 제거 오목부의 개구(開口)의 측단(側端)에 먼지를 이면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구는,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의 선단 근방의 이면에 접촉하는 스티치 억제판의 표면에 상기 스티치 억제홈의 깊이보다 더 깊어지도록 상단측(上端側)에 상부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당해 상부 테두리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빗 모양 플레이트의 기부(基部) 방향에 걸쳐 상호 간격이 넓어지게 되도록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2개의 먼지 배출면이 대향하는 먼지 제거 오목부와, 당해 먼지 제거 오목부의 개구 측단에 먼지를 이면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홈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티치 억제판의 스 티치 복합 경사면의 근방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구는, 스티치 억제판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져서 넓어지고, 이면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의 내면(內面)에 먼지 배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면은, 상기 빗 모양 플레이트의 이면에 접촉하는 스티치 억제판 표면과의 경계에 예리한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KR1020030074950A 2002-11-27 2003-10-27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KR100632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43568A JP3703797B2 (ja) 2002-11-27 2002-11-27 横編機の編目抑止板
JPJP-P-2002-00343568 2002-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570A KR20040047570A (ko) 2004-06-05
KR100632145B1 true KR100632145B1 (ko) 2006-10-11

Family

ID=3270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950A KR100632145B1 (ko) 2002-11-27 2003-10-27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03797B2 (ko)
KR (1) KR100632145B1 (ko)
CN (1) CN10044364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656B1 (ko) 2017-03-01 2019-03-0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스티치 억제판을 구비한 횡편기
KR20190000966U (ko) * 2017-10-14 2019-04-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장갑 편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2325B2 (ja) * 2017-07-07 2020-05-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
CN107447357B (zh) * 2017-08-29 2019-07-26 海宁市成达经编有限公司 经编机导经装置中的纱线分隔机构
JP7233309B2 (ja) * 2018-07-13 2023-03-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N111270396A (zh) * 2020-03-13 2020-06-12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成型分指的手套编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6163A (en) * 1975-10-04 1977-04-12 Shima Idea Center Co Ltd Device for pressing loop in glove knitting machine
SU1430420A1 (ru) * 1986-11-28 1988-10-15 Черновиц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Лег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Механизм выработки межпальцевых заходов перчатки
CN2044609U (zh) * 1988-04-05 1989-09-20 天津市手套厂 二梭三级半自动手套机
CN2036961U (zh) * 1988-09-05 1989-05-03 于长富 衬织橡筋线的半自动手套机
JPH0978414A (ja) * 1995-09-07 1997-03-25 Shima Seiki Mfg Ltd ループホルダーを有する横編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656B1 (ko) 2017-03-01 2019-03-0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스티치 억제판을 구비한 횡편기
KR20190000966U (ko) * 2017-10-14 2019-04-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장갑 편성기
KR200490925Y1 (ko) 2017-10-14 2020-01-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장갑 편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03797B2 (ja) 2005-10-05
CN1506514A (zh) 2004-06-23
JP2004176211A (ja) 2004-06-24
KR20040047570A (ko) 2004-06-05
CN100443648C (zh)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230B1 (ko) 횡편기
JP5055248B2 (ja) 磨耗低減を示す編みシステム
KR100632145B1 (ko) 횡편기의 스티치 억제판
KR20180033284A (ko) 루프 형성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구성 요소
KR100478557B1 (ko) 루프 프레스기를 구비한 횡편기 및 이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방법
CN102947498A (zh) 织针引导结构、织针、编织方法、编织物和手套
KR101523498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CN103668742A (zh) 编织机和手套的制造方法
KR101062665B1 (ko) 복합바늘
JP5637984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KR101844254B1 (ko)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EP1510606B1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having front neck
KR940018502A (ko) 더블니트 직물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EP2390395B1 (en)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JP6373361B2 (ja) スライド針
US5163305A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US4463577A (en)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resser foot device
JP2011026741A (ja) 編目抑止板を備えた横編機
JP3053376B2 (ja) 手袋編機における編口押え板
JP2003055869A (ja) 特に編目形成繊維機械用のスライドニードル
KR20180100483A (ko) 스티치 억제판을 구비한 횡편기
KR850000603Y1 (ko) 장갑 편직기의 캠군
EP2336410B1 (en) Cam for driving knitting needle and weft knitting machine
JPH07324260A (ja) 進入防止片を備えた横編機
KR200477894Y1 (ko) 횡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