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342B1 -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342B1
KR100631342B1 KR1020040095494A KR20040095494A KR100631342B1 KR 100631342 B1 KR100631342 B1 KR 100631342B1 KR 1020040095494 A KR1020040095494 A KR 1020040095494A KR 20040095494 A KR20040095494 A KR 20040095494A KR 100631342 B1 KR100631342 B1 KR 100631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ch
bill
information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545A (ko
Inventor
옥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산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산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산은행
Priority to KR102004009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3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Abstract

본 발명은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업점에 접수된 어음수탁신청서 또는 어음실물의 정보를 입력하여 어음데이터를 형성하는 영업점의 전산단말기 ; 집중화 센터에 마련되어 상기 영업점으로부터 배송된 상기 어음실물로부터 적어도 어음실물이미지 및 어음표지정보를 포함하는 어음이미지데이터를 독취하는 어음독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형성하는 이미지처리장치 ; 상기 전산단말기로부터 상기 어음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이미지처리장치가 형성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사를 수행한 후 상기 어음데이터를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계 서버 ; 상기 이미지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보관하는 이미지 서버 ; 상기 정보계 서버 및 상기 이미지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수탁관리, 명세관리, 추심교환관리, 또는 보관어음반환관리 등을 수행하는 어음관리모듈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음, 관리, 집중, MICR, 어음금액, 감사

Description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BILLS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어음 집중 관리 방법의 단계별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어음관리모듈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산단말기 310 : 정보계 서버
311 :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 320 : 어음관리모듈
330 : 이미지처리장치 331 : 어음독취장치
340 : 이미지서버
본 발명은 은행 업무 중 하나인 어음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각각의 영업점에서 수행되던 어음 관리를 집중화 센터로 집중시킬 수 있는 새로운 어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음은 발행하는 사람이 일정한 금전의 지급을 약속하거나 또는 제3자에게 그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증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급을 약속하는 증권인 약속어음과 제3자에게 지급을 위탁하는 증권인 환어음으로 구별되며, 상품 및 제품의 매출에 대한 대가로 받은 타인발행의 약속어음 또는 타인지급의 환어음 등과 같이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한 어음채권이 받을 어음이다.
대부분의 상거래에서 기업들은 상거래에 따른 대금결제를 위하여 어음을 발행하게 되는데, 특히 기업규모가 방대할수록 물건이나 서비스의 매매가 이루어지면 대금결제시 현찰만 주고받을 수 없어 무수한 어음, 수표 등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어음, 수표 등은 일일이 현찰을 소지하여 결제할 수 없으므로 각 기업들은 은행에 계설된 구좌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결제하게 된다. 그러나 이 또한 어음, 수표의 건수가 많아지면 기업들이 장부에 기록했다가 매시 결제하기가 곤란해지므로 대부분의 기업들은 어음의 결제 및 추심 등의 업무를 은행이 대행해 줄 것을 위탁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은행은 고객이 어음을 위탁하게 되면 상기 어음을 수탁한 은행의 영업점별로 어음실물을 금고에 입고하여 보관하고 보관어음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교환 또는 추심을 하여 고객의 계좌에 결제금액을 입금하며, 고객이 영업점 창구에서 어음의 반환을 신청하면 보관어음을 반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어음의 보관, 추심, 교환 및 반환을 관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음관리 방식에 의하면 수탁된 어음실물을 영업 점별로 관리함으로써 사고의 위험이 농후하며, 또한 어음등록 또는 반환 등에 따른 업무처리시간이 과다하여 영업점 직원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10-0444254호 "은행의 어음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은 영업점에서 입력되는 어음데이터는 집중화 센터의 호스트로 전송되며, 어음실물은 배송을 통해 집중화 센터로 전달된 후 이미지만이 스캔되어 상기 어음데이터와 상기 이미지가 연계되어 이미지 서버에 저장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 집중화 센터는 단순히 어음실물을 스캔하여 이를 어음데이터와 연계시키는 작업만을 수행함으로써, 오직 어음데이터 하나에 어음실물의 이미지가 첨부되어 저장되는 결과가 됨으로써, 어음실물의 이미지와 어음데이터가 불일치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집중화 센터에 저장되어 있는 보관어음DB의 데이터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영업점에서의 인력에 의한 데이터 입력 및 그 오류 확인은 물론이며, 집중화 센터에서 간단한 데이터 입력 작업을 통하여 어음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한 어음실물의 감사시 이중의 실물감사를 통하여 감사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사상은,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으로서, 영업점에 접수된 어음수탁신청서 또는 어음실물의 정보를 입력하여 어음데이터를 형성하는 영업점의 전산단말기 ; 집중화 센터에 마련되어 상기 영업점으로부터 배송된 상기 어음실물로부터 적어도 어음실물이미지 및 어음표지정보를 포함하는 어음이미지데이터를 독취하는 어음독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형성하는 이미지처리장치 ; 상기 전산단말기로부터 상기 어음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이미지처리장치가 형성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사를 수행한 후 상기 어음데이터를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계 서버 ; 상기 이미지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보관하는 이미지 서버 ; 상기 정보계 서버 및 상기 이미지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수탁관리, 명세관리, 추심교환관리, 또는 보관어음반환관리 등을 수행하는 어음관리모듈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어음독취장치는 MICR 리더기가 장착된 스캐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어음 이미지의 스캔은 물론 어음의 MICR 정보의 독취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어음표지정보는 적어도 어음번호 및 어음금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어음데이터와 어음이미지데이터의 정합성 검사는 적어도 어음번호 및 어음금액을 포함하는 어음표지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일회의 스캔에 의해 어음실물이미지를 스캔하는 동시에 어음실물에 인자된 MICR을 통하여 어음표지정보를 독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인 어음 집중 관리 방법은, 영업점의 전산단말기에 상기 영업점에 접수된 어음수탁신청서 또는 어음실물의 정보를 입력하여 어음데이터를 형성한 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계 서버에 상기 어음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영업점에서 상기 어음실물 표면에 상기 어음실물의 어음금액을 MICR 인자한 후 상기 어음실물을 집중화 센터로 배송하는 단계 ; 집중화 센터의 이미지처리장치가 상기 전달된 어음실물의 어음실물이미지 및 어음표지정보를 독취하여 어음이미지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정보계서버가 상기 어음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이미지처리장치가 형성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정보계서버가 상기 정합성 검사가 완료된 어음데이터를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이미지처리장치가 상기 정합성 검사가 완료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이미지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 어음관리모듈이 상기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이미지서버의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탁관리, 명세관리, 추심교환관리, 또는 보관어음반환관리 등을 수행하는 단계 ; 를 포 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처리장치는 MICR 리더기가 장착된 스캐너로 이루어진 어음독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어음표지정보는 적어도 어음번호 및 어음금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정합성 검사가 완료된 어음실물을 상기 집중화 센터의 금고에 보관하는 단계가 부가되며,
상기 금고에 보관된 어음실물들을 감사하기 위하여 상기 금고에 보관된 어음실물들의 어음표지정보를 독취하는 감사독취단계, 상기 감사독취된 어음표지정보를 상기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어음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사독취단계 및 이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감사가 매우 간단히 종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감사독취된 어음표지정보를 상기 이미지서버에 저장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매우 적은 시간 및 비용의 투입으로 두차례의 비교분석을 수행할 수 있어, 감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감사독취된 어음표지정보와 상기 어음데이터의 비교, 및 상기 감사독취된 어음표지정보와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은 전체 어음실물 매수 및 전체 어음금액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어음 집중 관리 방법의 단계별 블록도이다.
상기 및 이하에서 MICR은 자기잉크문자인식(Magnet Ink Character Recognition)의 약자를 의미하며, 특수한 자기 잉크와 문자를 사용하는 문자인식시스템 혹은 그 시스템에 따라 인자된 것을 말한다. 자기잉크로 쓰여진 문서는, 읽혀질 때 잉크속의 자성물질을 검출한 뒤 문자의 모양을 판단하고, 그 모양을 저장된 문자의 집합과 대조하는 방법을 사용,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 등에 입력된다. 이러한 MICR 문자 인식은 은행 업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도 1에서 ①은 어음실물의 흐름을 표현한 것이며, ②는 영업점의 전산단말기에서 형성된 어음데이터의 흐름을 표현한 것이며, ③은 이미지처리장치에서 형성된 어음이미지데이터의 흐름을 표현한 것이다.
영업점
먼저 각 영업점의 어음 관리 시스템 및 어음 관리 방법을 살핀다.
고객이 영업점에 어음수탁신청서와 함께 어음실물을 제시한다(S110).
영업점 창구의 직원은 제시된 어음수탁신청서 및 어음실물을 접수받아 영업점 전산단말기(100)를 통하여 신청서에 기재된 내용 및 어음 기재 정보를 입력하여 어음데이터를 형성(S130)하고 이를 계정계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전산단말기(100)는 고객이 제시한 어음 또는 어음수탁신청서의 기재사항을 입력시키는 입력기, 입력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 입력된 정보를 계정계 서버(200)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업점 직원은 당일 접수 어음을 집중화 센터로 발송하기 위하여 은행 업무 마감 후에 해당 영업점에서 접수받은 총 접수 어음 매수, 총 어음금액을 기장하고 그 내용을 전산단말기(100)에 입력하여 물류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센터발송용 집계표에 영업점번, 총 어음매수, 총 어음금액 등을 MICR로 인자한다.
또한 영업점 직원은 수납한 보관어음의 우측 하단에 그 보관어음에 기재된 어음금액을 MICR로 인자한다(S120). 이러한 MICR 인자작업으로 인하여 영업점 직원은 자연스럽게 인자된 어음금액과 기재된 어음금액을 비교하여 그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어음의 하단에 MICR로 기재되어 있는 내용은 권종, 발행은행, 발행지점, 어음번호이며, 어음금액은 MICR로 기재되어 있는 내용이 아니다. MICR로 기재된 어음금액은 추후 집중화 센터에서 어음이미지데이터를 형성하거나, 어음데이터의 정합성을 확인하거나, 집중화 센터에 보관된 실물어음의 감사를 수행할 경우 필요한 자료가 된다.
이후 영업점 직원은 어음실물들과 센터발송용 집계표를 배송전용가방에 수납한다.
배송전용가방은 바코드 스캔 후 은행 물류 시스템을 통하여 집중화 센터로 배송된다.
집중화 센터에 배송전용가방이 도착되면, 집중화 센터의 직원은 다시 배송전용가방을 바코드 스캔하며, 도착된 어음의 실물과 물류관리서버에 입력된 총 어음 매수 및 총 어음 금액을 확인하고 승인한다.
이미지처리장치
상기와 같이 총 어음 매수 및 총 어음 금액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며, 도착된 실물어음을 이미지처리장치(330)의 어음독취장치(331)를 통하여 자동으로 독취한다(S310).
상기 어음독취장치(331)는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이 인식 가능한 전용스캐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캐너는 어음실물에 표현된 이미지를 디지털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하며, 밝은 광선을 어음 실물위에 주사해서 상기 어음실물로부터의 반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어음실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는 광센서에 아날로그 정보로 입력되어 증폭과정을 거치고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스캐너는 MICR 리더기(MICR Reader)가 장착되어 있어, 실물어음하단에 MICR로 인자된 권종, 발행지점, 발행은행, 어음번호, 어음금액 등에 관한 정보를 독취한다. 이때 실물어음의 하단에 인자된 어음금액에 관한 정보는 영업점에서 인자한 것이다.
본 스캐너는 분당 200매 이상을 스캔할 수 있으며, 실물어음을 자동급지(ADF)할 수 있으며, MICR Reader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스캐너는 일회의 스캔에 의하여 어음실물이미지를 스캔하는 동시에 어음실물에 인자된 MICR을 통하여 어음표지정보를 독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처리장치(330)는 상기 스캐너(331)에 의하여 어음의 어음실물이미지와 권종, 발행지점, 발행은행, 어음번호, 어음금액 등의 어음표지정보를 포함하는 어음이미지데이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어음이미지데이터는 어음실물이미지와 어음표지정보로 구분되며, 또한 어음표지정보는 권종, 발행지점, 발행은행, 어음번호, 어음금액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미지처리장치(330)에 의해 형성된 어음이미지데이터는 후술하는 정보계 서버와 연계되어 정합성 검사가 수행된다.
계정계 서버
계정계 서버(200)는 은행내의 수신, 여신 업무 행위 중 발생하는 전산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를 말하며, 영업점에서 수탁받은 어음의 기재 정보는 전산단말기(100)를 통하여 계정계 서버(200)에 저장되며, 계정계 서버(200)는 어음데이터정보를 정보계 서버(310)로 전송한다.
정보계 서버
정보계 서버(310)는 계정계 서버(200)로부터 매일 매일 입력받는 여신, 수신 거래 내역을 데이터로 전달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계 서버(310)는 영업점으로부터 입력받은 어음데이터 정보를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311)에 최종적으로 저장하고 그 정보가 어음관리모듈(320)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정보계 서버(310)는 이미지처리장치(331)와 연계되어, 영업점의 전산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어음데이터 정보와 이미지처리장치(330)의 의해 형성된 어음이미지데이터 정보를 비교하여 어음데이터 정보의 정합성 검사를 수행한다(S330).
이러한 정합성 검사가 이미지처리장치(3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정합성 검사는 어음이미지데이터 정보 중 어음표지정보인 어음번호, 어음금액, 추심유형 등의 정보를 정보계 서버가 전송받은 어음데이터 정보와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어음데이터 정보와 어음이미지데이터 정보의 정합성 검사가 완료되면, 어음데이터는 어음정보데이터베이스(311)에 저장되며(S345), 어음이미지데이터는 이미지서버(340)에 저장되며(S340), 실물어음은 집중화 센터의 금고에 보관된다(S350).
이미지서버
이미지서버(340)는 이미지처리장치(330)로부터 수신한 어음이미지데이터를 대용량 디스크 장치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이미지서버(340)는 어음관리모듈(320)이 특정어음의 어음이미지를 요청하였을 때 어음관리모듈(320)에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전송한다.
어음관리모듈
어음관리모듈(320)은 도 3과 같이 어음수탁관리모듈(321), 어음명세관리모듈(322), 추심교환관리모듈(323), 보관어음반환관리모듈(324)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듈(module)은 독립된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단위를 지칭한다. 모듈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구성단위이며 하나 이상의 독립적 설치, 교체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어음수탁관리모듈(321)은 어음정보데이터베이스(311) 또는 이미지서버(340)에 저장된 어음정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목록화하여 관리한다.
어음명세관리모듈(322)는 목록화된 어음의 상세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보관어음명세를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보관어음명세는 영업점의 전산단말기 모니터에 실물어음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어 영업점의 직원에 의해 조회가 가능하며, 또한 은행의 웹사이트에 제공되어 어음을 수탁한 고객이 직접 자기가 보관한 어음의 명세 및 이미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심교환관리모듈(323)은 보관어음데이터베이스상의 지급일을 인식하여 추심등록, 교환등록, 부도등록, 결제연장등록 등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보관어음반환관리모듈(324)는 영업점의 전산단말기 또는 은행의 웹사이트 등으로부터 반환신청 등록정보를 수신하면 신청된 어음의 정보를 보관어음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반환인도등록을 수행한다. 반환인도등록된 어음은 물류관리모듈에 매수와 금액 및 행선 은행지점명이 등록되고 물류전용가방에 수납되고 바코드 스캔후 반환요청 영업점으로 배달된다. 영업점은 물류전용가방을 통하여 전송된 어음의 실물을 확인하고 고객에게 반환한다.
보관어음항목변경관리모듈(325)은 영업점의 전산단말기 또는 은행의 웹사이트로부터 항목변경 등록정보를 수신하면 항목변경 신청된 어음의 정보를 보관어음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어음의 항목 변경 등록을 수행하고 항목변경된 내용을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항목변경 등록의뢰점 등으로 통지한다.
할인어음변경모듈(326)은 영업점의 전산단말기 또는 은행의 웹사이트로부터 할인어음 변경신청 등록정보를 수신하면 변경신청된 어음의 정보를 보관어음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어음의 할인어음변경 등록절차를 취하고 그 내용을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할인변경 등록의뢰점 등으로 통지한다. 통지받은 영업점은 웹사이트로 할인변경할 어음을 확인하고 할인실행을 하였을 경우 센터는 전산단말기 등으로 확인하여 실물을 할인어음으로 변경한다.
부도어음등록모듈(327)은 보관하고 있는 어음을 교환 또는 추심을 하여 상대은행으로부터 부도통지를 접수하였을 경우 전산단말기와 웹사이트에 등록하고 부도등록된 사실을 관리영업점으로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통지하며, 관리영업점은 부도사실을 전산단말기 또는 웹사이트 화면을 통하여 확인한다.
결제연장등록모듈(328)은 보관하고 있는 어음을 교환 또는 추심을 하여 상대은행으로부터 결제연장을 접수하였을 경우 전산단말기와 웹사이트에 등록하여 결제연장된 사실을 관리영업점으로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통지하며, 관리영업점은 부도사실을 전산단말기와 웹사이트 화면을 통하여 확인한다.
물류관리모듈(329)는 영업점에서 접수한 실물어음의 배송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실물어음감사
정기적으로 집중화 센터의 금고에 보관되어 있는 실물어음을 감사할 필요가 있다.
이때 감사담당자는 금고에 보관된 보관어음을 인출하여, 보관어음실물의 스캔인식을 통하여 실물어음 하단에 MICR로 인자된 어음번호 및 어음금액을 확인하여(S410) 실물어음의 총 어음 매수 및 총 어음 금액을 집계한다.
정보계 서버(310)에 저장되어 있는 어음정보데이터로부터 보관어음의 총 어음 매수 및 총 어음 금액을 확인하여 실물어음의 집계와 대비하여 정합성 검사를 수행한다(S420).
다음으로, 이미지 서버(340)에 저장되어 있는 어음이미지데이터로부터 보관어음의 총 어음 매수 및 총 어음 금액을 확인하여 실물어음의 집계와 대비하여 정합성 검사를 수행한다(S430).
이러한 이중의 정합성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집중화 센터의 실물어음 감사가 간단하게 종료된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영업점에서의 데이터 입력시의 어음금액 확인, 집중화 센터에서의 스캔작업을 통한 어음데이터의 정합성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정합성 검사가 완료된 어음데이터 및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생성시킬 수 있어, 보관어음DB의 데이터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두개의 흐름을 가지는 데이터 흐름을 형성하고, 이들의 정합성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신뢰도 향상으로 인하여 집중화 센터의 어음실물 감사시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어음실물 감사가 완료될 수 있다.

Claims (10)

  1. 영업점에 접수된 어음수탁신청서 또는 어음실물의 정보를 입력하여 어음데이터를 형성하는 영업점의 전산단말기 ;
    집중화 센터에 마련되어 상기 영업점으로부터 배송된 상기 어음실물로부터 적어도 어음실물이미지 및 어음표지정보를 포함하는 어음이미지데이터를 독취하는 어음독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형성하는 이미지처리장치 ;
    상기 전산단말기로부터 상기 어음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이미지처리장치가 형성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사를 수행한 후 상기 어음데이터를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계 서버 ;
    상기 이미지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보관하는 이미지 서버 ;
    상기 정보계 서버 및 상기 이미지 서버와 각각 연결되어 수탁관리, 명세관리, 추심교환관리, 또는 보관어음반환관리 등을 수행하는 어음관리모듈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음독취장치는 MICR 리더기가 장착된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음표지정보는 적어도 어음번호 및 어음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일회의 스캔에 의해 어음실물이미지를 스캔하는 동시에 어음실물에 인자된 MICR을 통하여 어음표지정보를 독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5. 영업점의 전산단말기에 상기 영업점에 접수된 어음수탁신청서 또는 어음실물의 정보를 입력하여 어음데이터를 형성한 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계 서버에 상기 어음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
    집중화 센터의 이미지처리장치가 영업점에서 배송된 어음실물의 어음실물이미지 및 어음표지정보를 독취하여 어음이미지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정보계서버가 상기 어음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이미지처리장치가 형성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정보계서버가 상기 정합성 검사가 완료된 어음데이터를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이미지처리장치가 상기 정합성 검사가 완료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이미지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
    어음관리모듈이 상기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이미지서버의 어음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탁관리, 명세관리, 추심교환관리, 또는 보관어음반환관리 등을 수행하는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처리장치는 MICR 리더기가 장착된 스캐너로 이루어진 어음독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음표지정보는 적어도 어음번호 및 어음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금고에 보관된 어음실물들을 감사하기 위하여
    상기 금고에 보관된 어음실물들의 어음표지정보를 독취하는 감사독취단계,
    상기 감사독취된 어음표지정보를 상기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어음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사독취된 어음표지정보를 상기 이미지서버에 저장된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사독취된 어음표지정보와 상기 어음데이터의 비교, 및 상기 감사독취된 어음표지정보와 상기 어음이미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은 전체 어음실물 매수 및 전체 어음금액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 집중 관리 방법.
KR1020040095494A 2004-11-20 2004-11-20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3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494A KR100631342B1 (ko) 2004-11-20 2004-11-20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494A KR100631342B1 (ko) 2004-11-20 2004-11-20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545A KR20060099545A (ko) 2006-09-20
KR100631342B1 true KR100631342B1 (ko) 2006-10-04

Family

ID=3763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494A KR100631342B1 (ko) 2004-11-20 2004-11-20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20B1 (ko) * 2008-05-20 2011-06-24 바이시스코리아(주) 어음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545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21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electronic deposit records and to track the status of a deposit
US7475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hecks
US8630945B1 (en) Method for transaction processing in a capture and deposit
US7000828B2 (en) Remote automated document processing system
KR100877375B1 (ko) 영수증 제공 방법, pos 단말기, 전자 영수증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US73498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commerce services at a point of sale
US20100205063A1 (en)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system
US20020016764A1 (en) Internet expense account
US20070095894A1 (en) Alternative banking system for managing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markets
KR20130084645A (ko) 은행원 서포트형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창구 처리 방법
US20030115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transactions
TWI605395B (zh) 用於代收第三方帳款的代收帳款平台、代收帳款系統與代收帳款的方法
KR100631342B1 (ko)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469786B2 (ja) 精算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03370B1 (ko) 전자 회계 서버 및 그를 구비한 수입인지 발급 시스템
KR200287220Y1 (ko)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
RU99638U1 (ru) Нетто
TW201939410A (zh) e寫字檯辦理代收票據金融服務之方法
KR100448845B1 (ko) 할인어음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소스를기록한 기록매체
JP2003271710A (ja) 金券の請求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20020078571A (ko)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497049B1 (ko) 매출/매입 세액 공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187660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18783A (ja) 通貨回収システム
JP2003022375A (ja) 法律遵守によるカード利用者のコンビニでの払込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22

Effective date: 200609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