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020B1 - 어음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어음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020B1
KR101044020B1 KR1020080046502A KR20080046502A KR101044020B1 KR 101044020 B1 KR101044020 B1 KR 101044020B1 KR 1020080046502 A KR1020080046502 A KR 1020080046502A KR 20080046502 A KR20080046502 A KR 20080046502A KR 101044020 B1 KR101044020 B1 KR 10104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ll
unit
not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610A (ko
Inventor
신진영
우용호
정한민
Original Assignee
바이시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시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바이시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8004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02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06K19/071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the sensor being of the biometric kind, e.g. fingerprint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음을 관리하기 위한 어음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서로 다른 두께의 어음과 신분증 각각에 대해 양면을 스캔하여 멀티이미지와 스캔데이터를 갖는 멀티페이지파일을 생성하는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멀티페이지파일내의 각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업데이트하여 하나의 어음에 대한 히스토리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어음의 배서인에 대한 정보를 어음정보와 함께 관리하여 보다 투명한 금융질서를 확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어음, 배서, 어음관리,

Description

어음관리시스템{System for bill management}
본 발명은 어음을 관리하기 위한 어음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음의 뒷면에 배서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어음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음은 발행하는 사람이 일정한 금전의 지급을 약속하거나 또는 제3자에게 그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증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급을 약속하는 증권인 약속어음과 제3자에게 지급을 위탁하는 증권인 환어음으로 구별되며, 상품 및 제품의 매출에 대한 대가로 받은 타인발행의 약속어음 또는 타인지급의 환어음 등과 같이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한 어음채권이 받을 어음이다.
대부분의 상거래에서 기업들은 상거래에 따른 대금결제를 위하여 어음을 발행하게 되는데, 특히 기업규모가 방대할수록 물건이나 서비스의 매매가 이루어지면 대금결제 시 현찰만 주고받을 수 없어 무수한 어음ㆍ수표 등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어음ㆍ수표 등은 일일이 현찰을 소지하여 결제할 수 없으므로 각 기업들은 은행에 개설된 구좌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결제하게 된다. 그러나 이 또한 어음ㆍ수표 의 건수가 많아지면 기업들이 장부에 기록했다가 매 시 결제하기가 곤란해지므로 대부분의 기업들은 어음의 결제 및 추심 등의 업무를 은행이 대행해 줄 것을 위탁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은행은 고객이 어음을 위탁하게 되면 상기 어음을 수탁한 은행의 영업점별로 어음실물을 금고에 입고하여 보관하고 보관어음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교환 또는 추심을 하여 고객의 계좌에 결제금액을 입금하며, 고객이 영업점창구에서 어음의 반환을 신청하면 보관어음을 반환하는 과정을 통해 어음의 보관, 추심, 교환 및 반환을 관리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음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업점의 전산단말기(1)와 집중화센터의 이미징처리장치(2), 전산단말기(1) 및 이미징처리장치(2)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집중화센터의 호스트(3) 및 상기 호스트와 인터페이스되는 어음명세관리모듈(4)로 구성된다.
또한 어음명세관리모듈과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어 고객에게 인터넷뱅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5)를 포함한다.
전산단말기(1)는 바람직하게는 고객이 제시한 어음 또는 어음수탁신청서의 기재사항을 입력시키는 입력기, 상기 입력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및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집중화센터의 계정계서버(3-2)로 전송할 수 있는 입출력터미널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기는 통상의 키보드이다.
이미징처리장치(2)는 어음실물에 표현된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 는 장치로서 밝은 광선을 어음실물 위에 주사해서 상기 어음실물로부터의 반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어음실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는 광센서에 아날로그 정보로 입력되어 증폭과정을 거치고 A/D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미지를 광전변환하는 방식으로는 광원의 폭을 좁힌 광선으로 종이 위를 주사해 그 반사광을 센서로 읽어내는 광주사 방식, 다수의 화소를 갖는 자기주사형 센서를 사용해 종이 위의 이미지를 읽는 자기주사형 방식 및 광원과 포토 센서가 탑재된 캐리지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미지를 읽어내는 기계식 스캐닝 방식 등이 있으며, 이미징처리장치(2)는 상기의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징처리장치(2)는 입출력터미널이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어음실물의 이미지데이터를 본점 집중화센터의 호스트(3)로 전송할 수 있다.
전산단말기(1)와 이미징처리장치(2)의 입출력터미널은 바람직하게는 플래쉬 메모리가 내장되어 입출력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며, 네트워크망을 통해 집중화센터의 호스트(3)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한 접속은 TCP/IP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등의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접속될수 있다.
호스트(3)는 은행 내 자금의 처리, 관리 및 계좌관리 등을 수행하며 모든 계정데이터를 DB로 저장하고 있는 계정계서버(3-2)와 고객으로부터 수탁된 모든 어음의 어음데이터와 어음실물의 이미지데이터의 DB를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서버(3-4)로 구성된다. 보관어음DB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재 구성할 수 있도록 정의한 테이블형의 데이터베이스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어음명세관리모듈(4)은 상기 이미지서버(3-4)에 저장된 보관어음DB를 리스트화하여 보관어음명세를 형성하여 제공하는 보관어음명세 형성모듈(미도시)과, 상기 보관어음명세의 만기일도래 여부를 체크하며 추심 등록 및 교환등록을 수행하는 기일관리모듈(미도시), 및 보관어음의 반환신청을 수신하고 반환인도, 반환인수 및 반환등록을 수행하는 보관어음반환 관리모듈(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듈(module)은 독립된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단위(unit)를 지칭한다. 모듈은 소프트웨어에서 어느 한 프로그램의 일부분이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독립적으로 개발된 모듈로 구성되며, 독립적으로 설치, 교체 및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웹사이트(5)는 상기 어음명세관리모듈(4)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수신한 보관어음명세를 저장하며 상기 웹사이트의 페이지 상에 상기 보관어음명세메뉴, 수탁일자별 거래명세메뉴 또는 어음반환신청명세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고객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검색 및 검색결과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웹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조회나 일반적인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처리를 위해 다양한 언어로 개발된 인터넷/인트라넷 환경의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자바스크립트 또는 JSP 등과 같은 스크립트 및 서비스들은 대개 최신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브라우저 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자들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고객이 영업점에서 어음수탁신청서와 함께 어음실물을 제시하면 창구의 직원은 상기 영업점의 전산단말기(1)를 통해 어음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어음데이터는 상기 전산단말기(1)의 입출력터미널과 연결된 네트워크망을 통해 집중화센터의 호스트(3)로 전송된다.
어음수탁신청서와 함께 제시된 어음실물은 배송전용가방에 수납되며 상기 배송전용가방은 바코드 스캔 후 물류관리시스템을 통해 집중화센터로 송부되고, 집중화센터의 담당자는 상기 송부된 전용가방을 바코드스캔하여 상기 어음실물을 인수 처리하게 된다.
집중화센터에서 인수 처리된 어음실물은 상기 집중화센터의 이미징처리장치(2)에 의해 이미징처리되며 이미지데이터는 이미징처리장치(2)의 입출력터미널과 연결된 네트워크망을 통해 집중화센터의 호스트(3)로 전송된다. 상기 어음데이터는 고객명, 계좌번호, 만기일, 어음번호 및 거래금액을 포함하여 구성된 문자데이터이다.
호스트(3)에서는 상기 전송된 어음데이터와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어음데이터에 포함된 어음번호를 인식하여 계정계서버(3-2)에 상기 어음번호를 전달하며 상기 계정계서버(3-2)는 상기 어음번호로 계좌번호를 찾아서 계정을 신규로 할당하고 계정계DB를 업데이트하여 저장을 한다. 상기 어음데이터와 이미지데이터를 상기 계정계서버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이미지서버(3-4)에 전달하며 상기 이미지서버(3-4)는 상기 전달된 데이터를 DB화하여 보관어음DB에 저장한다.
어음데이터가 보관어음DB에 저장되면 상기 이미지서버(3-4)와 데이터를 인터 페이스하는 어음명세관리모듈(4)에 상기 보관어음DB의 데이터가 전달된다. 어음명세관리모듈(4)의 보관어음명세 형성모듈은 상기 전달된 보관어음DB를 기초로 이용자가 쉽게 보관어음DB를 조회할 수 있는 보관어음명세를 형성하게 된다.
형성된 보관어음명세는 상기 이미지서버(3-4)의 DB와 연계되어 상기 보관어음명세상의 특정 리스트를 이용자가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미지서버(3-4)내 DB에 저장된 어음의 이미지데이터를 조회하여 선택한 이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보관어음명세는 상기 영업점의 전산단말기(1)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영업점의 직원에 의해 보관어음의 조회가 가능하며, 상기 웹사이트(5)에 제공하여 인터넷뱅킹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직접 상기 보관어음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음명세관리모듈(4)의 기일관리모듈은 상기 보관어음 DB상의 만기일을 인식하여 상기 보관어음DB에 저장되어 있는 어음들의 만기일도래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어음명세관리모듈(4)의 보관어음반환 관리모듈은 영업점의 전산단말기(1) 또는 상기 웹사이트(5)로부터 반환신청등록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반환 신청된 어음데이터를 상기 보관어음DB에서 검색하여 반환인도등록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음관리 방식에 의하면 어음데이터에 배서인에 대한 정보를 함께 송부할 수 없어 배서인의 정보를 관리할 수 없었으며 어음의 이동루트를 알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혀 이전 배서인에 대해서는 배서정보를 제외하고는 전무한 상태여서 그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어음의 이배서인에 대한 정보를 어음정보와 함께 관리하여 어음의 배서인정보를 함께 관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어음의 배서를 통한 어음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음관리시스템은서로 다른 두께의 어음과 신분증 각각에 대해 양면을 스캔하여 멀티이미지와 스캔데이터를 갖는 멀티페이지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어음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파일송/수신부; 상기 멀티페이지파일중 어음이미지만을 저장하는 어음이미지저장부; 상기 멀티페이지파일중 어음데이터만을 저장하는 어음데이터저장부; 상기 멀티페이지파일중 신분증이미지만을 저장하는 신분증이미지저장부; 상기 멀티페이지파일중 신분증데이터만을 저장하는 신분증데이터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이미지와 데이터들을 업데이트하여 하나의 어음에 대한 히스토리파일을 생성하는 히스토리파일생성부; 및 상기 멀티페이지파일을 분리하여 상기 각 저장부에 저장하고 어음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각 저장부에 저장된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히스토리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음관리시스템은 금융네트워크망과 연동하기 위한 금융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금융네트워크망과 연계한 어음관리결과를 송신하기 위한 어음관리결과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음관리시스템은 상기 금융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신분증을 인증받고 지불대상어음의 조회요청을 하고 지불대상어음의 신분증에 표시된 사용자의 신용평가를 수행하며 거래은행과 발행은행에 지급의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음관리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음이미지는 어음의 앞면/뒷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분증이미지는 신분증의 앞면/뒷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음데이터는 자기잉크문자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분증데이터는 주민번호정보와 이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어음의 배서인에 대한 정보를 어음정보와 함께 관리하여 보다 투명한 금융질서를 확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 히 기술하기로 한다.
하기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어음관리시스템에 적용된 스캐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스캐너는 어음과 해당 어음의 사용자의 신분증이 동시에 스캐닝되는 양면스캐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캐너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3은 스캐너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양면 스캐너(10)는 어음(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과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갖는 물체를 이송시키며, 면을 스캐닝하고, 자기잉크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양면 스캐너(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100)과 이송부(200), 스캐닝부(300), 자기잉크인식부(400), 배출롤러(500) 및 제어부(600)와 외부연결부(700)로 이루어진다.
몸체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으로 관통된 이송로(200)가 형성되어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이 이송되면서 스캐닝 및 자기잉크인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송부(200)는 몸체하우징(100)의 이송로(110) 전단부에 구비되어 이송로(110)로 투입되는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스캐닝부(3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의 물체를 스캐닝하는 것으로, 이송로(110) 상하측에 구비되어 물체의 양면을 동시에 스캐닝한다.
또한, 자기잉크인식부(400)는 스캐닝부(300)를 거친 물체의 자기잉크 코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수표와 같이 자기잉크 코드가 있는 물체의 자기잉크 코드를 인식한다.
배출롤러(500)는 이송로(110) 후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을 몸체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몸체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부(200)와 스캐닝부(300) 및 자기잉크인식부(400)와 배출롤러(50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600)는 스캐닝부(300)에서 스캐닝한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의 양면과 자기잉크인식부(400)에 의해 인식된 자기잉크 코드를 수신받아 연산한다.
외부연결부(700)는 제어부(600)에서 저장된 저장값을 외부 연산처리장치와 연결하는 것으로, 스캐닝부(300)에서 스캐닝된 내용 및 자기잉크인식부(400)에서 인식된 자기잉크 코드를 별도의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보관 또는 출력하거나 부도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외부연결부(700)는 유선으로 연결하는 실시 예로써, 경우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하여 별도의 저장장치 및 출력장치 또는 은행관련 시스템장치 등에 연결하여 스캐닝부(300)와 자기잉크인식부(400)에 의해 측정된 즉시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2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롤러(210)와 제2이송롤 러(220) 및 가압스프링(230)으로 구성된다.
제 1이송롤러(210)는 몸체하우징(100)의 이송로(110) 전단 하측에 구비되고, 제2이송롤러(220)는 이송로(110) 전단 상측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1이송롤러(210)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압스프링(230)은 제2이송롤러(220)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양단이 몸체하우징(100) 내면과 제2이송롤러(220)에 사이에 구비되어 제2이송롤러(220)와 제1이송롤러(210)를 상호 맞닿아 회전된다.
이는,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이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두께로 이루어진 물체를 용이하게 이송시킨다.
그리고 스캐닝부(300)는 제1스캐닝부(310)와 제2스캐닝부(3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스캐닝부(310)는 이송로(110)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2스캐닝부(320)는 이송로(110)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때, 제2스캐닝부(320)는 전단이 몸체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후단이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한다.
이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의 각 두께에 상관없이 하측으로 가압하여 양면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스캐닝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정밀한 스캐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캐닝부(310)와 제2스캐닝부(320)는 각각 램프(330)와 카메라(340)가 구비되어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의 양면을 동시에 스캐닝한다.
스캐닝부(300)에서 스캐닝된 아날로그 신호는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로 변환되어 제어부(600)로 전송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00)와 배출롤러(500)에 인식센서(80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인식센서(800)는 이송로(110)에 투입되어 이송되는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을 인식하여 측정값을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이송부(200)와 배출롤러(500)를 제어하게 된다.
인식센서(800)는 이송인식센서(810)와 배출인식센서(820)로 구성되며, 이송인식센서(810)는 이송부(200)의 전후 측에 각각 구비되어 투입된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의 유무를 측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이송로(110)에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이 투입되면, 이송부(200) 전방에 위치한 이송인식센서(810)가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600)는 구동모터(미 도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송부(20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이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어 후측에 위치한 이송인식센서(810)를 지날 경우, 제어부(600)에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600)는 구동모터(미 도시)에 전원을 차단하여 이송부(2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배출인식센서(82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로(110)를 따라 이송되는 수표와 장표 및 신분증 등이 배출롤러(500)를 통과할 경우, 제어부(600)에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모터(미 도시)에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배출롤러(5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배출롤러(500)는 이송부(200) 전방에 위치한 이송인식센서(81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스캐너를 이용하여 어음과 신분증의 이미지스캔이 완료되었으며, 두 개의 이미지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페이지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멀티페이지파일은 한 개의 파일에 여러개의 이미지가 삽입된 파일을 말한다. 즉, 어음의 앞면과 뒤면 및 신분증의 앞면과 뒷면의 총 4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에 삽입된다.
이러한 멀티페이지파일을 생성하는 양면스캐너를 이용한 어음관리시스템을 하기의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음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2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복수개의 스캐너(10)가 복수개의 단말기(40)와 일대일 대응하게 연결되어 있다. 단말기(40)는 멀티페이지파일을 어음관리시스템(5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통신망에는 어음관리시스템(50)에 접속하여 어음조회를 요청하는 어음조회단말(60)과 어음지급을 요청하는 어음지급요청단말(70)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어음조회단말(60)과 어음지급요청단말(70)에서 도 2 및 도 3에서 전술한 스캐너(10)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 조회를 요청할 어음과 지급을 요청할 어음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0)가 없는 경우는 어음의 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경우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어음관리시스템(50)은 금융네트워크망과 연계할수 있으며, 금융네트워크에는 어음의 부도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금융결재원과 어음배서인의 신용정보를 평가해주는 신용평가원 및 어음의 거래 및 발행한 은행, 및 신분증을 검증받기 위한 신분증인증기관등이 연결되어 있다.
도 4에서, 어음관리시스템(50)은 단말기(40)로부터 멀티페이지파일을 수신한다. 즉, 스캐너(10)와 연결된 단말기(40)는 어음과 신분증을 각각 이미지스캔하고 그 결과의 멀티페이지파일을 생성하여 어음관리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멀티페이지파일에는 어음앞면이미지와 배서정보를 포함하는 어음뒷면이미지와 어음데이터와 배서인의 신분증이미지 및 신분증데이터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어음관리시스템(50)은 어음조회단말(60)로부터 어음조회를 요청받아 어음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어음이 기저장되어 있으면 그에 대한 배서인의 신분증이미지와 신분증데이터 및 새로운 배서인을 포함하는 어음뒷면이미지를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그 업데이트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된 히스토리파일을 어음조회단말(60)로 전송한다. 그러면 어음조회단말(60)은 히스토리파일을 화면에 출력시켜 해당어음의 배서인에 대한 모든정보와 모든 배서인의 신분증을 화면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어음조회단말(60)은 어음관리시스템(50)으로부터 수신한 히스토리파일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재 조회대상인 어음의 배서인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음지급요청단말(70)은 어음의 지급을 요청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즉, 가맹점에 설치된 스캐너(10)를 이용하여 지불대상어음의 이미지와 신분증을 스캔하여 멀티페이지파일을 생성하여 어음관리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어음관리시스템(50)은 금융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신분증을 인증받고 지불대상어음의 조회요청을 금융결제원에 하고 지불대상어음의 신분증에 표시된 사용자의 신용평가를 수행하고 거래은행과 발행은행에 지급의뢰하여 그 결과를 어음지급요청단말(70)에 알려주고 가맹점으로 어음을 지급처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어음관리시스템(50)과 연결된 금융네트워크망(신분증인증기관, 은행, 신용평가원, 금융결재원 등)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전술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스캐너를 통한 멀티페이지파일내에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범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할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어음관리시스템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미지와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파일송/수신부(51)와 멀티페이지파일중 어음이미지를 저장하는 어음이미지저장부(52)와 어음데이터를 저장하는 어음데이터저장부(53)와 멀티페이지파일중 신분증이미지를 저장하는 신분증이미지저장부(54)와 신분증데이터를 저장하는 신분증데이터저장부(55)와 각 구성을 제어하여 수신된 멀티페이지파일을 이용해 어음의 히스토리파일 및 어음관리결과을 제공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56)와 상기 저장부에 업데이트되는 이미지와 데이터를 이용해 하나의 어음에 대한 히스토리파일을 생성하는 히스토리파일생성부(57)와 금융네트워크망과 연동하기 위한 금융인터페이스 부(58), 및 금융네트워크와 연계한 어음관리결과를 송신하기 위한 어음관리결과송신부(59)를 포함한다.
도 5에서, 파일송/수신부(51)는 멀티페이지파일이 수신되면, 제어부(56)로 출련한다. 제어부(56)는 멀티페이지파일에 저장된 멀티이미지(어음의 앞면/뒷면과 신분증의 앞면/뒷면의 이미지)와 스캔데이터(어음의 자기잉크문자정보와 신분증의 주민번호정보, 이름정보)를 분리한다. 멀티이미지는 어음의 앞면/뒷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어음이미지와 신분증의 앞면/뒷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신분증이미지로 나눈다. 또한, 스캔데이터는 어음의 자기잉크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어음데이터와 신분증의 이름 주민번호 등을 포함하는 신분증데이터로 나눈다.
따라서, 제어부(56)는 멀티페이지파일을 입력받아 멀티페이지파일중에 어음이미지는 어음이미지저장부(52)에, 어음데이터는 어음데이터저장부(53)에, 신분증이미지는 신분증이미지저장부(54)에 신분증데이터는 신분증데이터저장부(55)에 저장한다.
이후, 동일한 어음에 대한 멀티페이지파일이 입력될 때마다 모든 데이터를 각 저장부에 분리하여 업데이트시킨다. 제어부(56)는 이러한 각 저장부에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히스토리파일생성부(57)로 출력한다. 히스토리파일생성부(57)는 하나의 어음에 대한 배서인이 바뀔때 마다 입력되는 신분증이미지와 신분증데이터들을 하나의 파일형태로 저장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어음조회단말(60)로부터 해당 어음의 조회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56)는 조회요청이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저장부(52, 53, 54, 55)를 검색 하여 해당하는 히스토리파일을 히스토리파일생성부(57)에서 독출하여 파일송/수신부를 통해 어음조회단말(60)로 히스토리파일을 송신한다. 이때 히스토리파일을 통해 어음조회단말(60)은 멀티이미지와 스캔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그 일예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리파일에 따른 화면상태도이다.
즉, 멀티이미지중 어음이미지(수표앞면, 수표뒷면)와 신분증이미지(신분증앞면, 신분증뒷면)를 포함하여 화면출력하며, 스캔데이터중 어음데이터(수표데이터)와 신분증데이터를 화면출력한다. 따라서, 해당 어음의 이미지와 어음의 사용자의 신분증이미지와 어음데이터와 신분증데이터를 동시에 확인 가능하다. 도 6 화면의 수표데이터는 여러 장의 수표번호를 기재하고 있으나, 하나의 수표에 대해 배서인이 여러 번 바뀐 경우는 하나의 수표번호에 신분증데이터만 여러 개 화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어음지급요청단말(70)에 의한 어음지급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56)는 금융인터페이스부(58)를 통해 어음의 조회 및 신분증 소지자의 신용조회 및 신분증검증 등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어음관리결과로 생성하여 어음관리결과송신부(59)를 통해 어음지급요청단말(70)로 출력한다. 이때, 어음관리결과에 현재 지급요청어음의 히스토리파일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어음관리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캐너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캐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음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구성도,
도 5는 도 4의 어음관리시스템의 상세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캐너에 의해 생성된 멀티페이지파일에 따른 화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단말기 50 : 어음관리시스템
60 : 어음조회단말 70 : 어음지급요청단말

Claims (7)

  1. 서로 다른 두께의 어음과 신분증 각각에 대해 양면을 스캔하여 멀티이미지와 스캔데이터를 갖는 멀티페이지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어음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어음과 신분증이 이송되는 이송로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1스캐닝부와 전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단이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이송로의 상측에 위치된 제2스캐닝부를 갖는 상기 스캐너에 의해 두께가 다른 어음과 신분증의 양면을 밀착하여 스캔하고, 이 스캔에 의한 어음과 신분증의 멀티이미지와 스캔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페이지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파일송/수신부;
    상기 제1스캐닝부와 제2스캐닝부에 의한 멀티페이지파일 중 어음이미지만을 저장하는 어음이미지저장부;
    상기 제1스캐닝부와 제2스캐닝부에 의한 멀티페이지파일 중 어음데이터만을 저장하는 어음데이터저장부;
    상기 제1스캐닝부와 제2스캐닝부에 의한 멀티페이지파일 중 신분증이미지만을 저장하는 신분증이미지저장부;
    상기 제1스캐닝부와 제2스캐닝부에 의한 멀티페이지파일 중 신분증데이터만을 저장하는 신분증데이터저장부;
    상기 각 저장부에 저장되는 이미지와 데이터들을 업데이트하여 하나의 어음에 대한 히스토리파일을 생성하는 히스토리파일생성부; 및
    상기 멀티페이지파일을 분리하여 상기 각 저장부에 저장하고 어음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각 저장부에 저장된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히스토리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조회요청되어 전송된 해당 어음의 히스토리파일을 화면출력되도록 하는 어음조회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어음관리시스템은, 금융네트워크망과 연동하기 위한 금융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금융네트워크망과 연계한 어음관리결과를 송신하기 위한 어음관리결과송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금융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신분증을 인증받고 지불대상어음의 조회요청을 하며 지불대상어음의 신분증에 표시된 사용자의 신용평가를 수행하며 거래은행과 발행은행에 지급의뢰 정보를 포함하는 어음관리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음조회단말은 하나의 어음에 대한 변경된 모든 배서인에 대한 신분증데이터가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출력되어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데이터는 신분증 앞면의 주민번호정보와 이름정보, 주소정보 및 뒷면의 변경주소정보와 지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음관리시스템.
KR1020080046502A 2008-05-20 2008-05-20 어음관리시스템 KR10104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02A KR101044020B1 (ko) 2008-05-20 2008-05-20 어음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02A KR101044020B1 (ko) 2008-05-20 2008-05-20 어음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610A KR20090120610A (ko) 2009-11-25
KR101044020B1 true KR101044020B1 (ko) 2011-06-24

Family

ID=4160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502A KR101044020B1 (ko) 2008-05-20 2008-05-20 어음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0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6333A (ja) * 2003-08-07 2005-03-03 Seiko Epson Corp 小切手処理装置、プログラム、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小切手処理制御方法
KR20050111366A (ko) * 2004-05-21 2005-11-24 누리링크시스템 주식회사 수표 발행 및 수납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시스템
KR20060099545A (ko) * 2004-11-20 2006-09-20 주식회사 부산은행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6738A (ko) * 2007-02-12 2007-03-08 김유정 장표(또는 유가증권) 관리를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6333A (ja) * 2003-08-07 2005-03-03 Seiko Epson Corp 小切手処理装置、プログラム、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小切手処理制御方法
KR20050111366A (ko) * 2004-05-21 2005-11-24 누리링크시스템 주식회사 수표 발행 및 수납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시스템
KR20060099545A (ko) * 2004-11-20 2006-09-20 주식회사 부산은행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6738A (ko) * 2007-02-12 2007-03-08 김유정 장표(또는 유가증권) 관리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610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828B2 (en) Remote automated document processing system
US10558960B2 (en) Cash payment for remote transactions
US805100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oduc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cross a computer network
US8600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ng payment by checks through the use of image replacement documents
US7613655B2 (en) Value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8630945B1 (en) Method for transaction processing in a capture and deposit
US77927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depositing, image presentment and deposit taking in a commercial environment
US20060261149A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receipt printer and display
US200802286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Receipt Using 2D Code
JP2007528034A (ja) 販売時点における電子領収証の生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095894A1 (en) Alternative banking system for managing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markets
JP2006127453A (ja) 引換証利用の外国送金処理システムおよび外国送金処理方法
KR101044020B1 (ko) 어음관리시스템
KR100368015B1 (ko) 지로공과금 납부 장치 및 납부 처리 방법
KR20050057825A (ko) 수표업무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표업무처리방법
KR100407576B1 (ko) 바코드가 인쇄된 문서와 지로장표의 무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8265A (ko) 계좌 이체 연동 장치 및 방법
KR20210037490A (ko) 계좌 이체 연동 장치 및 방법
KR100413343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지로처리시스템
US20240046346A1 (en) Account transfer interworking system
KR102061397B1 (ko) 입금 장치 및 입금 방법
KR100444254B1 (ko) 은행의 어음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2152B1 (ko)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4846A (ko) 어음/수표책 교부 관리방법 및 그 프로그램소스를 기록한기록매체
JP2000276544A (ja) 銀行センタ及び現金支給要求受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