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152B1 -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152B1
KR100512152B1 KR1020040074978A KR20040074978A KR100512152B1 KR 100512152 B1 KR100512152 B1 KR 100512152B1 KR 1020040074978 A KR1020040074978 A KR 1020040074978A KR 20040074978 A KR20040074978 A KR 20040074978A KR 100512152 B1 KR100512152 B1 KR 10051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electronic
check
information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훈
Original Assignee
한국슈퍼체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슈퍼체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슈퍼체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물 어음 및 실물 수표를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로 변환할 수 있는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기로 기재된 약속어음, 당좌수표, 및 가계수표와 같은 실물장표를 자동적으로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로 변환하여, 관리와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물어음 및 실물수표를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로 변환하여 제3자에게 전자적으로 양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A REAL BILL INTO A ELECTRIC BILL,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A REAL CHECK INTO A ELECTRIC CHECK}
본 발명은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물 어음 및 실물 수표를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로 변환할 수 있는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간의 상거래에 있어서 약속어음이나 당좌수표를 이용하여 대금을 결제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다. 어음 또는 당좌수표, 가계수표를 이용하고자 하는 업체가 거래은행에 당좌계좌를 개설하여 당좌거래를 시작하면, 거래은행은 조폐공사에서 발행한 약속어음의 장표 또는 당좌수표의 장표를 상기 기업에 교부한다. 그러면, 기업은 상기 장표에 금액 및 발행인의 이름을 손으로 직접 기재하거나 인쇄하여 어음 또는 수표를 발행할 수 있고, 이 실물어음 또는 실물수표를 판매기업에게 대금결제수단으로서 교부할 수 있다. 실물어음 또는 실물수표의 최종소지인이 이를 은행에 지급제시하면, 어음(또는 수표)의 원금을 만기일(또는 제시일 익일)에 현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은행에서 직접 발행하는 자기앞수표와는 달리 발행인이 직접 금액이나 발행인을 기재한 것이므로, 이와 같은 장표를 전산처리하기 위해서는 은행원이 수작업을 통해 금액과 발행인정보 등을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최종소지인이 지급제시를 한 은행과 어음(또는 수표)상의 지급은행이 다를 경우가 있는 데, 이는 어음교환소에서 어음교환이라는 절차를 통해 은행간에 서로 실물어음(또는 수표)은 교환하고 교환차액을 결제하게 된다. 그런데, 어음교환의 작업에 있어서 막대한 시간적·경제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2005년 1월 1일 시행예정인 전자어음은 실물어음에 있어서의 어음관리 및 교환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전자어음이란, 전자어음 관리기관이 전자적으로 어음발행인, 소지인, 어음금액 등을 전자적으로 표시하여 전자어음발행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으로써 전자어음을 발행하고, 만기일에 소지인 당좌계좌로 어음금액에 해당하는 현금을 자동적으로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전자어음의 경우, 실물장표가 발행되지 않으므로 은행간 실물어음교환에 소요되는 경비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전자수표도 전자어음과 마찬가지로 실물수표를 발행하지 않고 전자적으로 수표를 발행하고 지급하는 것을 의미하는 데, 전자수표의 경우도 은행간의 실물수표교환의 필요가 없다.
위와 같이 실물어음 및 실물수표 대신에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만이 결제수단으로서 사용된다면, 실물장표를 수작업으로 전산화할 필요성도 없고 은행간의 실물어음 및 수표의 교환 필요성도 없어져서, 어음 및 수표의 전산화 및 교환에 따른 비용이 현저히 줄어들 것이다. 그러나 제도적으로 완전히 실물장표의 사용을 금지하기 전까지는 여전히 전자어음(또는 수표)과 함께 실물어음 및 실물수표가 병행되어 사용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실물장표가 존재하는 한, 위와 같이 실물장표의 전산화·관리 및 교환에 따른 불편함과 비용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실물수표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공개특허 특2002-43207에서는 "무인자동화기기의 수표입출금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수표의 자기잉크문자 읽기를 행하여 은행계정 호스트에 전송하여 진위를 판단함과 동시에, 수표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실물수표 대신하여 이미지파일을 은행간의 서로 교환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자기잉크판독(MICR)으로만 수표의 진위를 확인하기 때문에 은행이 발행하는 자기앞수표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발행인이 직접 기재하는 약속어음이나 당좌수표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 10-2004-68536호에서는 "판매시점관리 단말에서 전자수표 전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결제수단으로서 수표를 제시하면 POS 단말기에서 수표의 정보를 판독하여 인증을 거친 후, 전자수표전환 승인정보가 기재된 문서(계약서)에 소비자의 서명을 받고, 대금지불 영수증을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에도 역시 자기잉크판독(MICR)으로만 수표의 진위를 확인하기 때문에 발행인이 직접 기재하는 약속어음이나 당좌수표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통증권(수표)의 원금을 현금으로 지급받을 목적으로 제시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할 목적으로 전자변환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대금의 대가로 유통시킬 목적으로 유통증권(수표)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표를 제시한 대가로 재화 및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뿐, 현금으로 지급받거나 전자적으로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기로 기재된 약속어음, 당좌수표, 및 가계수표와 같은 실물장표를 자동적으로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로 변환하여, 관리와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물어음을 전자어음으로 변환하여 제3자에게 전자적으로 양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어음 변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어음 변환시스템은 전자어음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실물어음을 전자어음으로 변환하는 전자어음 변환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실물어음이 투입 또는 배출되는 장표출입부;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어음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판독부; 미판독된 정보, 오판독된 정보의 수정된 정보, 및/또는 상기 어음의 소지인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어음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및/또는 프린트하고, 전자어음의 변환사실을 전자어음으로의 변환이 완료된 실물어음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표시하는 출력부;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어음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판독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어음의 정보를 접수받고, 상기 지급은행의 서버로부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전달받고, 상기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에 전달함으로써 전자어음 발행을 요청하고, 상기 실물어음의 전자어음 변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인쇄된 문자 및/또는 손으로 쓴 문자를 판독하는 광학 문자판독부 및/또는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자기잉크로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는 자기잉크 문자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잉크로 인쇄된 소정의 문자를 통해 상기 장표투입부로 투입된 장표가 실물어음임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어음으로의 변환이 완료된 실물어음이 적재되는 장표적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의 이미지를 스캐닝하고,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어음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이고, 상기 판독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획득한 어음의 정보를 저장되는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판독부에서 스캐닝한 이미지파일이 저장되는 실물어음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실물어음이 투입되면,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발행인 이름을 포함하는 어음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어음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에 전달하여 전자어음의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d) 단계에서 전자어음의 발행될 것을 조건으로 전자어음으로의 변환사실을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 오판독된 정보의 수정정보, 및 상기 어음의 소지인 식별코드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실물어음이 투입되면,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을 스캐닝하고,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발행인 이름을 포함하는 어음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이고,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또는 이면의 이미지, 및 상기 어음의 정보가 포함된 어음소지인의 어음정보확인용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 및 상기 어음의 소지인의 계좌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에서의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에는 상기 어음의 정보 및 상기 어음소지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어음의 정보를 상기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발행인에게로 전자어음 변환통지를 해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어음의 정보, 전자어음 변환일자, 및 전자어음 변환자 정보가 포함된 어음 소지인용 변환확인증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실물수표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장표출입부; 상기 실물수표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수표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판독부; 미판독된 정보, 오판독된 정보의 수정된 정보, 및/또는 상기 수표의 소지인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수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및/또는 프린트하고, 전자수표의 변환사실을 전자수표로의 변환이 완료된 실물수표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표시하는 출력부;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수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수표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수표 관리시스템에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판독부로부터 상기 수표의 정보를 접수받고, 상기 지급은행의 서버로부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전달받고, 상기 전자수표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수표 관리시스템에 전달하여 전자수표 발행을 요청하여 상기 실물수표의 전자수표 변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수표 변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실물수표가 투입되면, 실물수표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발행인 이름을 포함하는 수표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수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수표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수표 관리시스템에 전달하여 전자수표의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d) 단계에서 전자수표의 발행될 것을 조건으로 전자수표로의 변환사실을 상기 실물수표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수표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실물어음(수표)을 자동적으로 전자어음(전자수표)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 변환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물어음소지인이 어음발행인으로부터 직접 실물어음을 교부받거나, 교부받은자로부터 배서양수받아 실물어음을 소지하게 된다. 실물어음소지인이 전자어음 변환시스템을 운용하는 사업자에게 실물어음을 제시하여 전자변환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실물어음이 전자어음 변환시스템에 투입되면, 실물어음상에 기재된 정보가 자동적으로 전자화되어,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어음 등록정보가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에 전달된다. 이때,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이 어음발행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실물어음상에 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어음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지급은행에 의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전자어음등록사실이 접수되면, 실물어음 소지인에게 변환확인증을 교부함으로써 전자어음 변환사실을 알려준다. 또한, 변환통지는 지급은행을 통해 어음발행인(또는 배서인)에게 전달되어, 어음발행인이 전자화된 정보가 실물어음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전자어음으로서 변환이 완료되어, 전자어음의 만기일 도래시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을 통해 실물어음 소지인에게 지급되고, 만기일이 되기 전에는 실물어음 소지인은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자신이 소유하는 전자어음을 제3자에게 배서양도할 수 있다. 어음의 정보가 전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차후 은행간의 어음교환에 따른 인건비 및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수표 변환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수표 변환 방법은 도 1에서의 전자수표 변환 방법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실물수표 소지인에 의해 지급제시된 실물수표가 전자수표 변환시스템에 투입되어 자동적으로 전자수표 관리시스템에 전자수표로서 등록된다. 전자수표로서 등록된 이후, 통상적으로 지급제시된 익일에 실물수표 소지인 계좌에 출금가능한 형태의 현금이 입금되고, 상기 실물수표를 제시받은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운용자는 실물장표의 정보확인 및 교환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수표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어음(전자수표) 전환시스템(100, 이하 '시스템(100)')은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 전자수표 관리시스템(250), 및 지급은행의 서버(300)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계되어 있고, 제어부(101); 장표출입부(111); 판독부(112); 장표적재부(113); 출력부(114); 입력부(115); 통신부(116)를 구비하며, 데이터베이스로는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151); 수표정보 데이터베이스(152); 실물어음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61); 실물수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6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정보 통신망이라 함은 LAN, WAN, 인트라넷 및 이와 유사한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전용망, 공중전화망(PSTN)을 포함하는 유선망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IMT-2000과 같은 무선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은 전자어음발행 데이터베이스(201)를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전자어음을 발행하여 등록하고, 만기일에 어음원금을 지급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을 운용하는 기관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지정될 수 있다.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은 전자어음 변환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어음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받아, 상기 어음의 정보를 전자어음발행 데이터베이스(201)에 등록한 후, 그 전자어음으로의 변환결과를 전자어음 변환시스템(100)에 전달한다.
전자어음발행 데이터베이스(201)는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에서 발행한 전자어음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구체적으로, 전자어음 식별코드, 소지인 식별코드, 소지인 계좌정보, 전자어음 원금액, 발행일, 만기일, 발행인 식별코드, 배서인 식별코드, 배서횟수, 지급지정보 등이 저장된다. 소지인 식별코드, 발행인 식별코드, 또는 배서인 식별코드는 사업자(또는 법인) 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및/또는 별도로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에서 발급된 아이디(ID)일 수 있다.
상기 전자수표 관리시스템(250)도 수표를 전자적으로 발행하여 전자수표발행 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하는 시스템으로서, 그 기능과 작용은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과 대동소이하다.
전자수표발행 데이터베이스(251)는 전자수표 관리시스템(250)에서 발행한 전자수표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구체적으로, 전자수표 식별코드, 소지인 식별코드, 소지인 계좌정보, 전자수표 원금액, 발행일, 발행인 식별코드, 지급지정보 등이 저장된다. 역시 소지인 식별코드, 발행인 식별코드는 사업자(또는 법인) 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및/또는 별도로 전자수표 관리시스템(250)에서 발급된 아이디(ID)일 수 있다.
지급은행의 서버(300)는 어음 및 수표상에 표시된 지급은행이 운용하는 서버이다. 예를 들어, 어음의 지급장소가 주식회사 한국외환은행으로 표시된 경우, 지급은행의 서버는 한국외환은행의 서버가 되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어음이나 수표상에는 발행인의 이름만 기재되고, 발행인의 연락처나 발행인의 식별코드(사업자등록번호 등)는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시스템(100)은 실물어음(수표) 변환시 필요한 발행인의 정보(식별코드 등)를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의뢰하면, 지급은행의 서버(300)는 발행인정보 데이터베이스(301)에서 독출하여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100)에 전달한다.
발행인정보 데이터베이스(301)에는 상기 지급은행과 당좌계좌를 개설하여 어음 또는 수표를 발행하는 발행인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발행인 식별코드, 발행인 거래 지점, 발행인 당좌계좌번호, 발행인 인영 이미지, 발행인 연락처(주소, 전화번호, e-mail 주소, 휴대폰번호) 등이 저장된다.
이하,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시스템의 제어부(101)는 각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전자어음(전자수표)으로의 변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처리를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판독부(112) 및 입력부(115)로부터 어음의 정보를 접수받고, 지급은행의 서버(300)로부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전달받은 후, 통신부(116)를 통해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에 전송하여 전자어음 발행을 요청하는 등 상기 실물어음의 전자어음 변환 처리를 담당한다.
장표출입부(111)는 실물수표 또는 실물어음과 같은 장표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곳이다. 실물장표의 투입사실이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이송롤러가 작동한다. 그러면, 실물장표는 이송롤러에 의해 판독부(112)에 위치하게 된다.
판독부(112)는 실물장표의 전면 또는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어음(또는 수표)의 정보를 읽어들인다. 현재 조폐공사에서 발행하는 실물장표는 일반문자 로 인쇄부분, 수기로 작성하는 부분, 자기잉크로 인쇄된 부분으로 나뉘기 때문에, 판독부(112)는 실물장표상의 인쇄문자나 수기문자를 판독하는 광학 문자판독부(OCR부) 및 실물장표상의 자기잉크로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는 자기잉크 문자판독부(MICR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향후, 조폐공사에서 발행하는 실물장표에 컴퓨터용 연필이나 싸인펜으로 기재하는 부분이 있거나 바코드로 인쇄된 부분이 있다면, 판독부(112)는 광학마크판독부(OMR부) 및 바코드 판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판독부(112)에서 실물장표의 전면 또는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는 방법에 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현재 발행되는 실물장표(약속어음, 당좌수표, 가계수표 등)에는 자기잉크로 인쇄부분에 장표일련번호, 지급은행코드, 지점정보, 장표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장표출입부(111)로부터 투입되는 장표가 어떤 종류(약속어음인지 당좌수표인지 등)인지는 장표상단에 기재되어 있는 텍스트("약속어음", "당좌계좌" 등)로부터 판독하는 것과 자기잉크로 인쇄된 코드(약속어음:06, 당좌수표:11)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병행한다. 또한, 지급은행코드(및 지점정보)도 장표의 종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급장소 옆에 기재된 텍스트(한국외환은행, 국민은행 등)로부터 판독하는 것과 자기잉크로 인쇄된 코드(한국외환은행:05, 국민은행:05 등)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병행하여 읽어들인다.
나머지 정보는 광학 문자판독부에서 실물어음(수표) 전면 또는 이면에 기재된 문자로부터 판독된 텍스트 중에서 텍스트의 속성에 따라 데이터를 구분하여 획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물어음으로부터 판독된 텍스트가'주식회사 병정전기', '\10,000,000원', '지급기일 2005년 10월 10일', '발행일 2005년 4월 10일', '갑을전자 주식회사'일 때, 숫자텍스트(또는 숫자를 표현한 한문텍스트)에는 어음의 금액 필드에 저장하고, 날짜텍스트 중 앞선 날짜를 발행일 필드에, 뒤 날짜를 지급기일(만기일) 필드에 저장한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중에서 앞에 존재하는 것을 소지인 필드에, 뒤에 존재하는 것을 발행인 필드에 저장하도록 한다. 실물수표의 경우, 실물어음에 비해 배서인 정보, 지급기일 정보 등이 제외되어 데이터필드가 적기 때문에 문자판독과정이 더욱 간단하다.
상기 광학 문자판독부(OCR부)는 한글, 영어뿐만 아니라 한자(특히 숫자로 쓰이는 한자)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표적재부(113)는 판독이 완료된 실물장표가 보관되는 공간이다. 판독부(112)에서 판독되어 전자어음(전자수표)으로 전환이 완료된 실물장표는 그 위에 전환사실이 표시된 후 즉시 상기 장표출입부(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고, 이 장표적재부(113)에 일정기간 보관된 후 한꺼번에 배출될 수도 있다.
출력부(114)는 어음(수표)소지인 또는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시스템 관리자가 확인·수정할 수 있도록 어음(수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인쇄하고, 어음(수표)소지인이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사실을 보관할 수 있도록 어음소지인용 변환확인증을 인쇄하고, 전자변환 완료 후 실물어음(수표)이 유통될 수 없도록 실물어음(수표)상에 전자어음(전자수표)으로의 변환사실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그 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에 필요한 문서 및 페이지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114)는 문서에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115)는 판독부(112)에 의해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나 잘못 판독된 정보, 그 외 전자어음(전자수표)변환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100) 관리자 또는 어음소지인으로부터 입력받기위한 입력장치이다. 흔히 어음(수표)금액을 수기로 기입하기 때문에 판독부(112)에 의해 미판독 또는 오판독될 수 있는 데, 어음(수표)정보 확인용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면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100)의 관리자 또는 어음(수표)소지인이 실물어음(수표)과 대조하여 어음(수표) 금액이 판독되지 않았거나 잘못 판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올바른 정보를 상기 입력부(115)를 통해 입력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100)의 관리자 또는 어음(수표)소지인은 상기 입력부(115)를 이용하여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에 따른 기타 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입력부(115)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키패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16)는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 전자수표 관리시스템(250), 및 지급은행의 서버(300)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전달한 후 그 결과를 수신하고, 어음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에 전달한 후 그 결과를 수신한다.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151)는 판독부(112)에서 판독되거나 입력부(115)에서 입력받은 어음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어음의 정보란, 어음번호, 어음금액, 발행일, 발행인 정보(발행인 이름, 발행인 주소, 발행지), 지급정보(지급기일(만기일), 지급지, 지급장소), 소지인 정보(소지인 이름, 소지인 식별코드, 소지인 계좌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현재 조폐공사에서 발행하는 실물장표에는 발행인 식별코드(사업자/법인/주민 등록번호)란이 존재하지 않아 실물어음으로부터 획득할 수 없는데,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전자어음을 등록받기 위해서는 발행인 식별코드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발행인 이름, 지급은행 지점 코드 등을 전달하여 발행인 식별코드를 전달받아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수표정보 데이터베이스(152)는 판독부(112)에서 판독되거나 입력부(115)에서 입력받은 수표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수표의 정보란, 수표번호, 수표금액, 발행일, 발행인 정보(발행인 이름, 발행인 주소, 발행지), 지급정보(지급지, 지급장소), 소지인 정보(소지인 이름, 소지인 식별코드, 소지인 계좌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역시, 어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발행인 이름, 지급은행 지점 코드 등을 전달하여 발행인 식별코드를 전달받아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실물어음이미지 데이터베이스(161)는 판독부(112)에서 스캐닝한 실물어음의 이미지 파일을 상기 어음의 번호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실물어음의 이미지 파일은 전산처리된 어음의 정보와 대조·확인하기 위해서 저장해두는 것이다.
실물수표이미지 데이터베이스(162) 역시 판독부(112)에서 스캐닝한 실물수표의 이미지파일을 상기 수표의 번호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투입된 실물어음(또는 수표)을 전자어음(전자수표)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실물어음(수표)이 시스템(100)의 장표출입부(111)에 투입되면, 판독부(112)에서 상기 실물어음(수표)의 전면 및/또는 이면을 스캐닝하여 이미지파일을 저장하고, 판독부(112)의 OCR부 및 MICR부에서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어음(수표)의 정보를 획득한다(S100 단계).
그런 다음, 상기 어음(수표)의 정보를 시스템(100)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200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에 사용되는 전자어음(전자수표)정보 확인 페이지의 일 예가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를 이용하여 실물어음(수표)의 정보 중 미판독된 정보를 입력부(115)를 통해 입력받고, 오판독된 정보를 정정받는다. 또한, 이 단계에서 실물어음(수표)에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더 입력받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에 사용되는 전자어음(전자수표)정보 입력 페이지의 일 예이다. 여기서 실물어음(수표)의 소지인의 식별코드는 실물어음(수표)으로부터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로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물어음(수표)의 소지인의 계좌정보는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입력받아 전자어음 등록의뢰시 전자어음 관리시스템(2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0 단계가 완료되면, 판독부(112) 및 입력부(115)로부터 접수된 어음의 정보를 어음(수표)소지인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어음(수표)정보확인용 문서를 출력한다(S300 단계). 전자어음(전자수표)변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어음(수표)정보확인용 문서를 어음(수표)소지인에게 교부함으로써, 시스템(100) 관리자뿐만 아니라 어음(수표)소지인도 어음(수표)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음(수표)정보확인용 문서에는 실물어음(수표)의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한다.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전달하여, 지급은행의 서버(300)로부터 발행인식별코드를 접수받는다(S400 단계).
여기서 발행인식별코드를 지급은행의 서버(300)로부터 접수받는 이유에 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대로,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발행인 식별코드는 현재 발행되는 장표상에 기재하는 공란이 존재하지도 않고, 발행인에 의해 별도로 기재되지도 않는다. 또한, 발행인의 주소는 기재하는 공란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거래관행상 제대로 기재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발행인 이름만으로는 전자어음(전자수표) 관리시스템(200, 250)이 발행인을 특정할 수 없고, 발행인 이름, 지급은행, 및 지점 코드의 정보만으로 발행인을 특정하여 전자어음(전자수표)을 발행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발행인을 특정하여 전자어음(전자수표)을 발행하는데 발행인식별코드(법인/사업자/주민 등록번호)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문의하는 것이다.
상기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에는 발행인 이름, 발행인 주소, 지급은행 지점, 장표일련번호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 획득한 어음(수표)의 정보를 전자어음(전자수표) 관리시스템(200, 250)에 전송하여 전자어음(전자수표) 등록을 의뢰한다(S500 단계). 전자어음(전자수표) 관리시스템(200,250)에서 상기 어음(수표)의 정보를 전자어음(전자수표)발행 데이터베이스(201, 251)에 등록한 후 그 결과를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100)에 전달하면,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면, 시스템(100)은 어음(수표)의 정보,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일자, 및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자 정보가 포함되는 어음(수표)소지인용 변환확인증을 출력한다(S600 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에 사용되는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확인증의 일 예이다. 바람직하게는, 어음(수표)소지인용 변환확인증 이외에, 전자어음(전자수표) 관리시스템(200, 251) 제출용,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100) 관리자용도 출력하여, 어음(수표)소지인의 서명을 받아 보관한다.
그런 다음, 시스템(100)은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어음의 정보를 전달하여, 발행인에게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통지를 해줄 것을 요청한다(S700 단계). 전자어음(전자수표)으로의 변환은 어음(수표)소지인과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전자어음(전자수표)의 변환과정에 있어서 오류가 생기면 어음(수표)발행인에게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어음의 변환사실 및 변환내역을 통지하여, 발행인으로 하여금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어음의 경우, 지급은행의 서버(300)에 배서인에게도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통지를 해줄 것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700 단계에서 통지요청을 받은 지급은행의 서버(300)는 발행인의 연락처(주소, e-mail, 휴대폰 번호)로 어음(수표)의 정보, 어음(수표)의 이미지, 및 변환일자 등을 통지한다.
전자변환 절차가 최종적으로 완료되면, 실물어음(수표)이 유통될 수 없도록 실물어음(수표)상에 전자어음(전자수표)으로의 변환사실을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에서 실물어음(수표) 유통금지 표시의 일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은 위와 같은 단계를 통해, 실물어음(수표)을 자동적으로 전자어음(전자수표)으로 변환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기로 기재된 약속어음, 당좌수표, 및 가계수표와 같은 실물장표를 자동적으로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로 변환함에 따라, 실물장표 관리와 교환에 따른 시간과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어음소지인은 변환된 전자어음 및 전자수표를 제3자에게 전자적으로 양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실물어음(수표)의 전자화가 용이해짐에 따라 전자어음(전자수표)의 이용률이 향상되고, 전자어음(전자수표) 발행률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시간내에 종이어음 및 종이수표를 전자화시킴에 따라 어음 및 수표사용자의 원활한 경제활동 및 기업의 자금흐름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 변환 방법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수표 변환 방법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에 사용되는 전자어음(전자수표)정보 확인 페이지의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에 사용되는 전자어음(전자수표)정보 입력 페이지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에 사용되는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확인증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어음(전자수표) 변환 방법에서 실물어음(수표) 유통금지 표시의 일 예.

Claims (12)

  1. 전자어음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실물어음을 전자어음으로 변환하는 전자어음 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실물어음이 투입 또는 배출되는 장표출입부;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어음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판독부;
    미판독된 정보, 오판독된 정보의 수정된 정보, 및/또는 상기 어음의 소지인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어음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및/또는 프린트하고, 전자어음의 변환사실을 전자어음으로의 변환이 완료된 실물어음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표시하는 출력부;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어음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판독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어음의 정보를 접수받고, 상기 지급은행의 서버로부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전달받고, 상기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에 전달함으로써 전자어음 발행을 요청하고, 상기 실물어음의 전자어음 변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인쇄된 문자 및/또는 손으로 쓴 문자를 판독하는 광학 문자판독부 및/또는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자기잉크로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는 자기잉크 문자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잉크로 인쇄된 소정의 문자를 통해 상기 장표투입부로 투입된 장표가 실물어음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어음으로의 변환이 완료된 실물어음이 적재되는 장표적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의 이미지를 스캐닝하고,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어음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이고,
    상기 판독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획득한 어음의 정보를 저장되는 어음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판독부에서 스캐닝한 이미지파일이 저장되는 실물어음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시스템.
  5. 전자어음 변환시스템이 전자어음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실물어음을 전자어음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실물어음이 투입되면,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발행인 이름을 포함하는 어음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어음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어음 관리시스템에 전달하여 전자어음의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d) 단계에서 전자어음의 발행될 것을 조건으로 전자어음으로의 변환사실을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 오판독된 정보의 수정정보, 및 상기 어음의 소지인 식별코드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실물어음이 투입되면,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을 스캐닝하고, 실물어음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발행인 이름을 포함하는 어음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이고,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실물어음의 전면 및/또는 이면의 이미지, 및 상기 어음의 정보가 포함된 어음소지인의 어음정보확인용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 및 상기 어음의 소지인의 계좌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에서의 전자어음 발행요청정보에는 상기 어음의 정보 및 상기 어음소지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어음의 정보를 상기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발행인에게로 전자어음 변환통지를 해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어음의 정보, 전자어음 변환일자, 및 전자어음 변환자 정보가 포함된 어음 소지인용 변환확인증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어음 변환 방법.
  11. 전자수표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실물수표를 전자수표로 변환하는 전자수표 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실물수표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장표출입부;
    상기 실물수표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수표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판독부;
    미판독된 정보, 오판독된 정보의 수정된 정보, 및/또는 상기 수표의 소지인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수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및/또는 프린트하고, 전자수표의 변환사실을 전자수표로의 변환이 완료된 실물수표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표시하는 출력부;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수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수표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수표 관리시스템에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판독부로부터 상기 수표의 정보를 접수받고, 상기 지급은행의 서버로부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전달받고, 상기 전자수표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수표 관리시스템에 전달하여 전자수표 발행을 요청하여 상기 실물수표의 전자수표 변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수표 변환 시스템.
  12. 전자수표 변환시스템이 전자수표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실물수표를 전자수표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실물수표가 투입되면, 실물수표의 전면 및 이면에 존재하는 문자를 판독하여 발행인 이름을 포함하는 수표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판독되지 않은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발행인 이름이 포함된 발행인식별코드 요청정보를 지급은행의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발행인의 식별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수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수표 발행요청정보를 상기 전자수표 관리시스템에 전달하여 전자수표의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d) 단계에서 전자수표의 발행될 것을 조건으로 전자수표로의 변환사실을 상기 실물수표의 전면 및/또는 이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수표 변환 방법.
KR1020040074978A 2004-09-20 2004-09-20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 KR10051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78A KR100512152B1 (ko) 2004-09-20 2004-09-20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78A KR100512152B1 (ko) 2004-09-20 2004-09-20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152B1 true KR100512152B1 (ko) 2005-09-05

Family

ID=3730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978A KR100512152B1 (ko) 2004-09-20 2004-09-20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15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0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ng payment by checks through the use of image replacement documents
US7702588B2 (en) Enhanced Check 21 financial payment systems and methods
US8645241B2 (en) E-check and e-commerce
US8626661B2 (en) Electronic lockbox using digitally originated checks
US200200230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KR100805876B1 (ko) 터치스크린 가상 종이문서를 이용한 금융기관의 접객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0201521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heck within a financial system
JP5953048B2 (ja) 行員サポート型窓口受付システム及び窓口処理方法
US20040083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storage and processing of receipts and related data
JP2006338539A (ja) 電子決済システム,電子決済サーバ,電子決済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9045998A1 (en) Electronic check financial pay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50161502A1 (en) Remote terminal check payment with automated transmittal
JP2018151698A (ja) 債権債務管理装置、債権債務管理方法、および債権債務管理プログラム
KR100663875B1 (ko) 수표 발행 및 수납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시스템
KR100512152B1 (ko) 전자어음 변환시스템 및 방법, 전자수표 변환시스템 및 방법
KR20050057825A (ko) 수표업무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표업무처리방법
JP2011227787A (ja) 会計取引情報読取装置
KR200343332Y1 (ko) 수표업무처리시스템
KR100448845B1 (ko) 할인어음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소스를기록한 기록매체
KR20010079003A (ko) 바코드가 인쇄된 원서의 무인 접수 시스템
KR100631342B1 (ko)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4846A (ko) 어음/수표책 교부 관리방법 및 그 프로그램소스를 기록한기록매체
KR101044020B1 (ko) 어음관리시스템
KR20120042786A (ko) 계원용 출력 시스템
TWM565355U (zh) E-writing desk for collecting bills financial ser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