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220Y1 -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220Y1
KR200287220Y1 KR2020020015050U KR20020015050U KR200287220Y1 KR 200287220 Y1 KR200287220 Y1 KR 200287220Y1 KR 2020020015050 U KR2020020015050 U KR 2020020015050U KR 20020015050 U KR20020015050 U KR 20020015050U KR 200287220 Y1 KR200287220 Y1 KR 200287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giro
paper
unit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곤
Original Assignee
사이버씨브이에스(주)
김경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버씨브이에스(주), 김경곤 filed Critical 사이버씨브이에스(주)
Priority to KR2020020015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220Y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규격이 상이한 제반 장표의 수납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으로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를 통해 고객들이 신용카드, 전자화폐, 현금카드, 통장 및 현금, 수표 등을 이용하여 지로공과금을 결제하되 지로공과금 장표를 직접 입력받아 기입된 청구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지로공과금 장표의 청구금액을 합산하여 즉시 결제 완료하거나, 국세, 아파트관리비 등 지로장표의 상이, 훼손 또는 납부자내역이 수기로 작성될 수 있는 정액OCR, MICR, A장표 등의 경우 수기작성 과정의 문제로 인해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 상기 결제수단에 의해 수납하되, 수납 내역과 함께 장표 자체의 이미지를 금융기관의 지로공과금서버에 저장하여 수납 내역과 이미지로 저장된 장표를 금융기관이 확인한 후 결제 완료 처리하고 수납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고객계좌에 해당 결제금액을 환입하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AUTOMATIC PAYMENT APPARATUS FOR PUBLIC IMPOSTS AND GIRO}
본 고안은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를 통해 고객들이 신용카드, 전자화폐, 현금카드, 통장 및 현금, 수표 등을 이용하여 지로공과금을 결제하되 지로공과금 장표를 직접 입력받아 기입된 청구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지로공과금 장표의 청구금액을 합산하여 즉시 결제 완료하거나, 국세, 아파트관리비 등 장표의 상이, 훼손 또는 납부자내역이 수기로 작성될 수 있는 정액OCR, MICR, A장표 등 수기작성 과정의 문제로 인해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스캔한 장표의 이미지를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하고 고객으로부터 장표에 인자된 청구금액을 수기입력받아 상기 결제수단에 의해 수납하되 수납내역과 함께 장표 자체의 이미지를 금융기관 지로공과금서버에 저장하여, 수납내역과 이미지로 저장된 수납접수 장표를 관리자가 확인한 후 결제 완료 처리하거나 별도 저장부에 보관된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를 영업점 관리자가 회수하여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출력한 집계표 상의 처리내역 또는 관리단말시스템에서 조회한 처리내역과 비교하여 확인 후 결제 완료처리하는 방식을 포함하여 지로공과금을 수납하고 납부내용은 영수증으로 제공하며, 상기 청구정보의 판독이 이루어진 장표와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를 각각 별도의 저장부에 분리하여 저장하여, 판독이 이루어진 장표의 수납내역은 금융결제원 등의 기관에 전산매체로 제공하고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금융결제원에 실물로 송부하며, 판독된 지로공과금장표 및 납부된 지로공과금 내역을 디지털화된 전자적 정보로 보관, 관리, 제공하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청구내역의 데이터판독이 가능한 표준화된 장표외에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 수기입력장표 등 장표의 종류, 상태에 관계없는 자동수납처리 시스템을 통해 제 장표의 수납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으로 장표의 창구수납에 따른 비효율성을 제거하여 금융기관의 업무효율을 극대화하고, 고객의 납부편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현재 일반계좌이체 및 지방세 수납을 위한 장표의 경우 컴퓨터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장표의 규격, 지질, 주요부문의 인쇄위치, 색상 등이 금융결제원이 정한 "장표구비요건"에 따라 규격화되어 있고, 지로장표는 "지로영수증", "지로의뢰서" 및 "지로통지서"의 3매 1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표의 발행형태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지로영수증, 지로의뢰서 및 지로통지서가 가로 순으로 배열된 가로배열장표 또는 상단에 영수증, 하단에 의뢰서 및 통지서 순으로 배열된 세로배열장표가 있다.
참고적으로 현행 금융기관의 업무처리 절차를 살펴보면,
(가) 지로장표 수납
수납점은 고객이 의뢰한 지로장표(영수증, 의뢰서, 통지서)를 장표상의 기재사항 및 금액의 일치여부를 정확히 확인하여 수납한다.
(나) 지로일계표 작
당일 수납한 지로장표를 통지서 좌측 상단의 장표구분표시에 따라 OCR 장표/ MICR장표 / 표준OCR장표 / 지방세 장표로 분류하고, 분류된 지로장표는 종류별로 총건수, 금액을 산출하여 지로일계표를 작성하며, 일계표 하단의 인자란에는 수납점 코드를 인자한다.
(다) 수납대금 지로계정 입금
수납대금은 당일중 본부 또는 수납점 지로계정에 입금처리하고, 수납점 지로계정 입금분은 이체일까지 본부 지로계정으로 집중한다.
(라) 일계내역 전송
수납점은 당일 수납 집계한 지로일계내역을 자행 본부로 전송하고, 해당은행 본부에서는 수납당일 22:00(토요일은 19:30)까지 결제원에 일괄전송한다.
(마) 수납장표 송부
당일 수납한 지로장표는 장표 종류별로 각각 작성된 지로일계표 및 통지서를 당일(면지역이하 소재점포의 경우 익영업일) 수납분 교환어음 제출시각까지 결제원(각 분소 및 지부)에 제출하며, 어음교환소 미참가지역 소재점포는 당일 수납한 지로자료를 수납 익영업일 정해진 시각까지 해당지역 당번은행 모점에 송부하고, 동 모점은 빠른우편 등기제도를 이용하여 송부한다.
각행 본부를 통하여 일괄 제출하는 수납점은 각 업무별로 구분하여 자행본부에 제출하고 참가은행 본부는 확인 후 지로자료를 결제원에 제출한다.
그러나, 상기에 제시된 방법에 의하면, 판독이 어려운 장표의 자동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행과 같이 금융기관보관용 "지로의뢰서"와 금융결제원에 제출해야 하는 "지로통지서" 를 별도로 분리해야 하는 작업이 수반되고, 지로일계표 작성 - 수납대금 지로계정 입금 - 일계내역 전송 - 수납장표 송부로 이어지는 수납 이후 금융기관 창구에서 수행되는 후선업무를 절감하는 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근래 들어 금융기관은 창구업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나, 고유업무가 아닌 위탁업무인 상기 지로공과금 수납 대행 업무는 자동화되지 못하여 고유업무의 효율을 저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창구를 통한 지로공과금 수납대행 업무의 중단을 추진하고 있으나 고객들의 민원 및 공공기관으로서의 금융기관의 책무로 인해 창구를 통한 지로공과금 수납업무를 지속하고 있으며, 고객들은 특정일에 집중되는 지로공과금의 납부를 위해 창구를 이용하는 불편을 감수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된 지로 용지를 처리하는 CD/ATM 기가 한국특허공개 제2000-12722호에 제시되었으나, 제시된 기술은 바코드가 인쇄되지 않은 지로공과금 납부용지의 경우에는 처리가 불가능하며, 기존 지로공과금 납부용지에 별도의 바코드처리를 해야 하는 제약이 있고, 바코드리더기가 통합 장착된 기존 CD/ATM 기의 구입비용이 비싸 업무처리 건당 효용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시스템으로는 기존의 지폐자동입출금기의 내부에 지로용지 자동거래장치를 부착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기존 지폐자동입출금기 내부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하는 데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999-2468호에는 "지로영수증", "지로의뢰서", "지로통지서"로 삼분되어 있는 지로공과금납부용지 일체를 입력받아 납부 후, 고객용 "지로영수증"에 수납인을 스탬핑하고 커터로 "지로영수증" 부분을 절취하여 고객에게 반환하는 방식이 선보인 바 있으나, 절취선에 의해 구분된 지로공과금납부용지의 일부가 분리된 경우에는 수납이 불가능하며, 매건마다 고객용 "지로영수증"을절취하여 반환하여야 하므로 수납 결제가 1건씩 처리됨으로써 다량의 수납처리가 불가능하고 처리시간이 크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장표발행 형태 중 세로배열장표는 수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지로장표 수납 업무 자동화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위해 별도의 지로공과금 수납전용단말기를 통해 신용카드, 전자화폐, 현금카드, 통장 및 현금, 수표 등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지로공과금 장표, 엄밀히 말해 "지로통지서"를 직접 투입받아 청구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여러 장의 지로공과금 장표의 청구금액을 합산하여 수납하거나, 국세, 아파트관리비 등 지로공과금 장표의 상이, 훼손 또는 납부자내역이 수기로 작성될 수 있는 정액OCR, MICR, A장표 등 수기작성 과정의 문제로 인해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상기 결제수단에 의해 수납하되 수납내역과 함께 장표 자체의 이미지를 금융기관 지로공과금서버에 저장하여, 수납내역과 이미지로 저장된 장표를 금융기관이 확인한 후 결제 완료 처리하거나 별도 저장부에 보관된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를 영업점 관리자가 회수하여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출력한 집계표 상의 처리내역 또는 관리단말시스템에서 조회한 처리내역과 비교하여 확인 후 결제 완료 처리하고 수납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고객계좌에 해당 결제금액을 환입하는 방식을 포함하여 지로공과금수납을 자동화하고, 납부내역은 납부영수증을 발급하며, 판독된 지로공과금용지 및 납부내역을 디지털화된 전자적 정보로 보관, 관리, 제공하는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시스템 및 납부방법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국세, 아파트관리비 등 장표의 상이, 훼손 및 납부자내역이 수기로 작성될 수 있는 정액OCR, MICR, A장표 등 수기작성 과정의 문제로 인해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수납을 자동화하고, 지로 공과금 장표를 판독하여 수납 후 영수증 처리시에 매번 고객용 "지로영수증"을 절취 반환할 필요가 없는 지로 자동화 납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자기(MS)카드 및/또는 고주파 무선(RF) 카드 및/또는 아이시(IC) 카드 인식수단 및/또는 통장 인식 수단 및 지폐 인식 및 입출금수단, 외부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및 카드 조회 및/또는 현금 인식에 의해 고객이 원하는 거래를 온-라인 제어하고 그 처리결과에 대한 거래확인서를 고객에게 발급하거나 온-라인 통보하여 고객의 거래내역을 실시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지로 자동화 납부 장치에 있어서, 지로용지의 투입을 감지하는 장표투입부와 투입된 지로용지를 장표이미지화하고, 상기 장표 이미지로부터 지로번호와 납부 금액을 판독하는 장표판독부와 판독된 지로용지의 지로번호와 납부 금액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판독이 불가능한 지로용지에 표기된 지로번호 및/또는 납부 금액을 포함하는 납부내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와 판독이 불가능한 지로용지의 상기 장표이미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는 지로번호 및/또는 납부 금액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투입된 지로용지를 판독 가능한 용지와 판독이 불가능한 용지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복수 개 보관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장표이미지, 지로번호 및 납부금액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장표판독부의 판독으로부터 지로번호와 납부 금액의 판독 여부를 판단하고, 판독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납부금액 및/또는 지로번호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 자동화 납부 장치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3b 는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장표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가 진행되는 흐름도이다.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 출원인이 출원하였지만 아직 공개되지 않은 발명으로는 대한한국 특허출원 제2002-6511호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6511호에는 판독되지 못하는 지로공과금 장표가 포함된 경우 규격화된 봉투에 삽입하여 수납하는 방식이 선보인 바 있으며, 이 방식은 고객이 은행을 방문하는 은행의 업무시간 내에는 지로 공과금 처리에 대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수납접수된 봉투를 수거하여 수납접수내역을 확인 후 수납완료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당일 중 처리에 업무부담이 가중되고, 당일 중 처리완료를 위해서는 수시로 봉투를 수거해야 하는 불편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가 처리되는 시스템의 구성은 신용카드, 전자화폐, 현금카드 및 통장 등의 결제수단에 의해 계좌잔액을 확인 후 지로공과금 납부용지를 직접 인식하고 판독하여 수납하거나, 지로공과금 장표의 상이, 훼손 또는 납부자내역이 수기로 작성될 수 있는 정액OCR, MICR, A장표 등 수기작성 과정의 문제로 인해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 스캔한 장표의 이미지를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하고 고객으로부터 장표에 인자된 청구금액 등을 수기입력받아 수납하고, 수납된 장표를 판독된 장표와 판독이 되지 못한 장표로 분리하여 별도의 보관부에 보관하고, 수납내역과 삽입된 장표의 이미지를 지로공과금서버에 전송하여 수납내역과 이미지로 저장된 장표를 관리자가 확인하거나 판독이 불가능하여 수납내역을 수기입력 받아 수납한 장표를 영업점 관리자가 회수하여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출력한 집계표 상의 처리내역 또는 관리단말시스템에서 조회한 처리내역과 비교하여 확인한 후 결제 완료 처리하고 확인결과 수납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고객계좌에 해당 결제금액을 환입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100), 객장 및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100)의 상태를 체크하고 수납된 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하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 관리단말시스템(20), 은행 내의 장비의 통신을 관리하는 통합네트워크 장치(30),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를 통해 수납된 수납내역과 장표 이미지를 세입별, 징수기관별 등으로 분류하여 집계하며 저장 및 송부하는 지로공과금 서버(40), 지로공과금서버를 관리하고 지로공과금서버에 저장된 수납내역과 장표이미지를 비교하여 결제처리를 지시하는 본부관리 시스템(50), 은행의 모든 금융 처리를 관리하는 호스트 컴퓨터(60), 대외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대외 통신 시스템(70) 및 인터넷뱅킹 사용자들에게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지로공과금 납부 사항을 조회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뱅킹서버(8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100)는 신용카드, 전자화폐, 현금카드 및 통장 등의 결제수단에 의해 계좌잔액을 확인 후 1) 지로공과금 납부용지를 직접 인식하고 판독하여 수납하거나, 2)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 수납 금액 등 수납내역을 입력받고 수납내역과 삽입된 장표의 이미지를 통신부를 통해 지로공과금서버에 전송하여 수납내역과 이미지로 저장된 장표를 관리자가 확인하거나 별도 저장부에 보관된 판독이 불가능하여 수납내역을 수기입력 받아 수납한 장표를 영업점 관리자가 회수하여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출력한 집계표 상의 처리내역 또는 관리단말시스템에서 조회한 처리내역과 비교하여 확인하고, 수납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고객계좌에 해당 결제금액을 환입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로, 고객으로부터 투입받은 지로공과금 납부용지를 인식하여 판독하는 스캐너가 장착되어 지로공과금 납부용지의 인식이 가능하고, 수납내역 및 수납접수 내역은 영수증을 발급하며, 수납내역과 수납 및 수납접수된 납부용지는 디지털화하여 전자적 정보로 보관한다.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 관리단말시스템(20)은, 객장 및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100)의 상태를 체크하고 수납된 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한다. 또한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 관리단말시스템(20)은 상기시스템을 운영 및 관리하기 위한 관리 소프트웨어를 구비한다.
지로공과금 서버(40)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기기(100)를 통해 수납 또는 수납접수된 내역과 장표의 이미지를 세입별, 징수기관별 또는 영업점별 등으로 분류 집계하여 저장하고, 통지시스템을 통해 수납접수 사실을 본부관리 시스템(50)에 통지한다.
지로공과금 본부 관리시스템(50)은, 지로공과금 서버를 관리하고 지로공과금서버에 저장된 수납내역과 장표이미지를 비교하여 결제처리를 지시하며, 이를 운영 관리하기 위한 관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지로공과금의 납부가 처리되는 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형 단지 또는 은행 영업점 등에 위치한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100)로부터 수납된 데이터와 장표이미지는 내부 저장부에 저장되고 통합 네트워크 장치(30)를 거쳐 지로공과금 서버(40)에 전송되어 수납상태별, 세입별, 징수기관별, 영업점별 등으로 분류, 집계, 저장된다.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기기(100)에서 수납이 이루어진 수납금액은 호스트 컴퓨터(60)를 통해 고객계정에서 출금되어 지로계정에 즉시 입금처리됨으로써 기존 창구에서 별도로 수납대금을 지로계정에 입금하는 업무를 면제토록 한다.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가 수납된 경우 관리단말시스템(20)에 통지됨과 동시에 지로공과금 서버(40)의 통지시스템을 통해 본부관리시스템(50)에 통지되고, 영업점관리자 또는 본부관리자가 각각 관리단말시스템(20) 및 본부관리시스템(50)에서 해당 수납내역과 장표이미지를 비교하여 확인하거나 별도저장부에 보관된 판독이 불가능하여 수납내역을 수기입력 받아 수납한 장표를 영업점 관리자가 회수하여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출력한 집계표 상의 처리내역 또는 관리단말시스템에서 조회한 처리내역과 비교하여 확인토록 한다. 수납내역과 장표이미지 또는 별도 저장부에 보관된 장표를 대조 확인을 통해서도 수납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고객계좌에 해당 수납금액을 환입처리하고 고객에게 통지한다. 은행 호스트 컴퓨터(6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는 지로공과금 서버(40)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인터넷뱅킹 서버(80)를 통해 납부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수납 내역 및 수납된 장표는 대외 통신 시스템(70)을 통해 전산자료로 결제원에 송부함으로써 수납장표를 별도로 결제원에 송부하지 않거나, 수납된 장표를 영업점에서 별도로 지로일계표를 작성하지 않고 관리센터에 집중하여 다량 고속분류기인 소터(Sorter)기를 통해 장표를 분류 집계하여 관리센터에서 지로일계표 작성 및 일계내역을 전송하고, 수납장표를 결제원에 일괄 송부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100)의 내부 구성은, 신용카드, 전자화폐, 현금카드 및 통장을 인식하는 카드인식부(110), 지로공과금용지를 수납처리하는 장표처리부(120), 납부단계별로 납부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부(130), 판독된 정보 및 납부단계에 따른 처리화면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140), 금융기관 호스트와 결제정보 및 수납정보를 교환하고 수납내역과 장표이미지를 지로공과금서버(40)에 전송하는 통신부(150), , 수납결과 및 수납접수된 내역을 출력하는 출력부(160) 및 수납내역 및 장표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170), 수납된 실물 영수증을 보관하는 장표보관부(125), 상기 지능블록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80)를 포함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카드인식부(110)는 전자화폐, 신용카드, 현금카드 및 통장을 입력받아 판독하며, 판독된 정보를 중앙처리부(180)로 이송한다. 상기 장표처리부(120)는 지로공과금납부용지를 투입받는 장표투입부(121), 투입된 지로공과금 납부용지의 투입과 방향을 감지하는 장표 투입부 내부에 설치되는 투입구센서(S1; 도 4에 도시됨)로부터 감지된 지로공과금납부용지의 이송을 제어하는 장표이송부(122), 이송된 지로공과금납부용지에 인자(印字)된 청구정보를 판독하는 장표판독부(123), 복수 이상의 장표가 투입되는 경우 판독이 완료된 지로공과금 납부용지를 수납완료시까지 임시보관하는 임시보관부(124), 수납완료된 장표를 저장하는 장표보관부(125)를 포함하며, 장표보관부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 판독이 이루어져 수납이 완료된 장표를 저장하는 판독장표보관부(126)와 데이터판독이 불가능하여 고객으로부터 수납내역을 입력받아 수납한 장표를 저장하는 미판독장표보관부(127)로 구분됨으로써 수납된 장표를 판독이 이루어진 장표와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은 장표로 구분하여 업무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컨대, 데이터처리가 가능한 판독이 이루어진 장표는 수납내역과 장표이미지를 전산자료로 결제원에 송부하고 "지로통지서"를 별도 실물로 송부하지 않고,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은 장표만 분류 집계하여, "지로일계표"와 함께 "지로통지서"를 실물로 결제원에 송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별도 저장부에 보관된 판독이 불가능하여 수납내역을 수기입력 받아 수납한 장표를 영업점 관리자가 회수하여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출력한 집계표 상의 처리내역 또는 관리단말시스템에서 조회한 처리내역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경우 등을 대비한다.
상기 데이터입력부(130)는 계좌비밀번호 및 납부단계에 따른 필요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키패드부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니터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방식의 경우는 후술하는 화면표시부(140)와 병용(倂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면표시부(140)는 상기 장표판독부(123)에서 판독된 화면 및 납부단계에 따른 처리화면을 표시하는 모니터로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입력부(130)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카드인식부(110)에서 판독된 카드 및 계좌번호, 상기 장표판독부(123)에서 판독되어 중앙처리부(180)에서 연산된 납부정보, 상기 데이터입력부(130)에서 입력된 결제 및 납부정보를 금융기관 시스템과 교환하며,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 관리단말시스템(20) 및 지로공과금 서버(40)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수납내역 및 장표이미지를 지로공과금 서버(40)에 전송한다.
상기 중앙처리부(180)는 카드인식부(110), 장표판독부(123)에서 판독된 정보 및 데이터입력부(130)에서 입력된 정보의 연산처리 및 수납을 제어한다. 중앙처리부(180)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라 불리는 작은 메모리를 구비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부(160)는 처리된 수납결과 및 수납접수된 내역을 영수증을 통해 출력 처리한다.
상기 저장부(170)는 장표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수납내역/수납접수내역 및 장표이미지를 디지털화된 전자적 정보로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71), 장표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수납내역 및 데이터입력부(130)에서 수기 입력되어 처리된 수납내역/수납접수 내역을 지로공과금자동화기기 내부의 저널용지에 기록하는 저널기록부(172)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표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장표 투입부(121)를 통하여 장표가 투입되면, 센서 S1에서는 이를 감지하고 롤러를 구동시킨다. 롤러로 구성된 장표 이송부(122)를 거쳐 장표 판독부(123)에 도달하면, 센서 S2는 이를 감지하고 장표를 판독한다. 본 고안에서는 장표 판독시 스캔 방식을 이용하여 지로번호와 결제 금액을 인식한다. 스캔 방식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장표 판독은 스캔 방식 외에도 카메라 인식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판독된 데이터를 확인하게 되면 롤러를 이용하여 임시보관부(124)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한 개 이상의 장표를 투입할 경우에는 임시보관부(124)에 판독된 장표를 잠시 보관하고 있다가 나머지 장표를 판독한 후에 판독 완료한 장표를 임시보관부(124)에 저장한다.
국세, 아파트관리비 등 장표의 상이, 훼손 또는 납부자내역이 수기로 작성될 수 있는 정액OCR, MICR, A장표 등 수기작성 과정의 문제로 인해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는 임시보관부(124)에 저장한 후 화면표시부(140)를 통해 납부금액 등 수납내역의 수기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가 데이터입력부(130)을 통해 수납금액을 입력토록 한다. 이때 화면표시부(140)를 통해 납부금액의 수기입력을 요청할 때 장표의 금액란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쉽게 납부금액을 입력토록 한다.
추가 입력할 장표가 없는 경우에는 접수된 내역과 각각의 금액을 디스플레이하여 확인토록 한 다음 사용자가 결제를 요청할 경우에는 결제처리를 한 후 임시보관부(124)에 저장된 장표를 장표보관부(125)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장표보관부(125)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 판독이 이루어져 수납이 완료된 장표를 저장하는 판독장표보관부(126)와 데이터판독이 불가능하여 고객으로부터 수납내역을 입력받아 수납한 장표를 저장하는 미판독장표보관부(127)로 구분됨으로써 수납된 장표를 판독이 이루어진 장표와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은 장표로 구분하여 업무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컨대, 데이터처리가 가능한 판독이 이루어진 장표는 수납내역과 장표이미지를 전산자료로 결제원에 송부하고 "지로통지서"를 별도 실물로 송부하지 않으며,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은 장표만 분류 집계하여, "지로일계표"와 함께 "지로통지서"를 실물로 결제원에 송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별도 저장부에 보관된 판독이 불가능하여 수납내역을 수기입력 받아 수납한 장표를 영업점 관리자가 회수하여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출력한 집계표 상의 처리내역 또는 관리단말시스템에서 조회한 처리내역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경우 등을 대비한다.사용자가 결제를 취소할 경우에는 임시보관부(124)에 저장된 장표를 다시 장표 투입부(121)로 롤러를 이용하여 반송 처리한다.
센서 S3, S4는 각 롤러 사이에서 장표가 정상적으로 이송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설치되는 센서의 갯수는 시스템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도면에서 M은 모터 구동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스캔시 및 장표 이송시에 롤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가 진행되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흐름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고객이 조회 및 계좌이체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100)를 통해 지로공과금납부거래(S10 내지 S20)를 선택한다. 지로공과금납부거래 선택 후 계좌 이체, 신용 카드, 전자화폐 및 통장 거래등의 결제수단을 선택한다.(S30 내지 S40)
고객은 카드인식부(110)에 해당 카드 또는 통장을 삽입하고,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S50) 통신부를 통하여 금융기관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계좌를 조회하게 된다. 금융기관에 무통장무매체거래를 등록한 고객인 경우 무통장 무매체거래를 포함한다.
해당 카드 또는 통장에 대한 고객의 사용할 수 있는 잔액이 디스플레이된다.(S60) 고객이 장표투입부(121)에 장표를 삽입하면(S70) 장표투입구 센서(S1)가 투입과 방향을 감지하여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장표이송부(122)가 장표를 장표판독부(123)로 이송시킨다. 장표판독부(123)에서 이송된 장표를 판독하여(S80), 판독이 정상적이면(S90) 화면표시부(140)를 통해 결제 금액 등 청구내역을 디스플레이하여 고객에게 확인하게 한다(S120). 이때 장표의 판독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판독된 납부 금액을 고지하고(S95), 사용자에게 납부금액 등 수납내역의 입력을 요청하고(S100), 사용자가 데이터입력부(130)에서 수납내역을 입력하면 화면표시부(140)를 통해 입력내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확인하게 한다(S120). 장표의 판독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에 판독된 납부 금액을 고지하는 S95 단계는, 장표의 판독시 1) 납부 금액은 판독이 되나 지로번호가 판독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캔 또는 영상인식된 지로번호 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게 지로번호만을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2) 지로번호는 판독이 되나 납부금액이 판독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캔 또는 영상인식된 납부금액 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게 납부금액만을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의 확인 이후 추가로 납부하고자 하는 다른 장표가 있는지를 문의하게 된다(S130). 다른 장표가 있을 경우에는 S70 내지 S130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더 이상 납부할 장표가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결제여부를 확인(S140)하고 해당 금액을 합산 처리한다.(S150) 이때 반복 처리되는 장표는, 즉 복수 이상의 지로공과금 용지인 경우 장표판독부(123)를 통한 판독과 화면표시부(140)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청구내역이 확인된 장표를 임시보관부(124)에서 임시 저장한다. S150 단계에서는 지로공과금용지에 표시된 금액을 합산하여 고객의 납부확인을 얻어 중앙처리부(180)를 통해 해당 결제 수단에서 결제금액을 인출한다.(S160) 이때사용자가 결제를 취소할 경우에는 장표를 배출하게 된다(S190).
수납이 완료된 수납내역은 영수증을 사용자에게 배출하고 수납내역 및 장표이미지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하고(S170 내지 S180), 통신부(150)를 통해 지로 공과금서버(40)에 전송된다.(S210) 데이터 저장 단계(S170)와 영수증 배출 단계(S180)의 처리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급되는 영수증에는 납부기관, 납부 금액, 납부 시간,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기기(100)의 단말번호, 지로 번호 등이 기록된다.
데이터판독이 불가능한 장표는 지로공과금 서버(40)의 통지시스템을 통해 본부관리시스템(50)으로 통지되고(S220) 관리자가 지로공과금 서버(40)에 저장된 수납접수내역과 장표이미지를 비교 확인하거나(S230) 영업점 관리자가 별도 저장부에 보관된 판독이 불가능하여 수납내역을 수기입력 받아 수납한 장표를 회수하여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출력한 집계표 상의 처리내역 또는 관리단말시스템에서 조회한 처리내역과 비교하여 확인한다. 관리자가 확인한 수납접수내역과 장표이미지의 청구내용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결제완료처리(S240)하고, 수납접수내역과 장표이미지의 청구내용이 불일치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장표인 경우는 수납취소처리(S250)하여 고객계좌에 해당 금액을 환입처리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의 각 경우에 있어서 수납된 지로공과금납부용지 이미지화면 및 수납내역은 데이터저장부(171)에 디지털화된 전자적 정보로 저장되고, 통신부(150)를 통해 지로공과금 서버(40)에 전송된다. 또한 수납내역은 저널기록부(172)의 저널용지에도 기록되어 보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행형태와 규격이 상이한 제반 장표의 수납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으로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를 이용하여 지로공과금 납부자가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로공과금 납부에 소모되는 비효율을 제거하여 금융기관의 창구효율을 증대하고, 특정일에 집중되는 지로공과금 수납을 자동화하여 고객들의 납부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창구수납에 따른 금융사고를 방지하고, 수납에 따른 분쟁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로공과금 납부용지, 엄밀히 말해 지로공과금 납부용지의 금융결제원용 부분을 판독하여, 판독된 이미지와 납부내역을 디지털화된 전자적 정보로 저장 관리하여, 금융결제원 및 청구기관, 납부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지로실물의 이동, 보관에 따르는 불편과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납부자용, 청구기관용, 금융결제원 용으로 삼분되어 있는 지로공과금 납부용지의 발행양식을 개선하여 자원낭비를 제거하고, 납부용지의 통일화를 유도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장표의 데이터 판독이 이루어져 수납이 가능한 장표 이외에 데이터 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자동수납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데이터판독이 불가능한 장표의 경우 지로공과금수납자동화기기에서 처리하지 못하고 창구에서 수납할 수밖에 없는데서 야기되는, 2개의 수납채널 유지에 따른 업무의 비효율성을 극복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자기(MS)카드 및/또는 고주파 무선(RF) 카드 및/또는 아이시(IC) 카드 인식수단 및/또는 통장 인식 수단 및 지폐 인식 및 입출금수단, 외부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및 카드 조회 및/또는 현금 인식에 의해 고객이 원하는 거래를 온-라인 제어하고 그 처리결과에 대한 거래확인서를 고객에게 발급하거나 온-라인 통보하여 고객의 거래내역을 실시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지로 자동화 납부 장치에 있어서,
    지로용지의 투입을 감지하는 장표투입부;
    상기 투입된 지로용지를 장표이미지화하고, 상기 장표 이미지로부터 지로번호와 납부 금액을 판독하는 장표판독부;
    상기 판독된 지로용지의 지로번호와 납부 금액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판독이 불가능한 지로용지에 표기된 지로번호 및/또는 납부 금액을 포함하는 납부내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상기 판독이 불가능한 지로용지의 상기 장표이미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는 지로번호 및/또는 납부 금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투입된 지로용지를 판독 가능한 용지와 판독이 불가능한 용지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복수 개 보관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장표이미지, 지로번호 및 납부금액을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장표판독부의 판독으로부터 지로번호와 납부 금액의 판독 여부를 판단하고, 판독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납부금액 및/또는 지로번호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 자동화 납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 지로용지가 투입될 경우, 이미 판독이 완료된 지로용지를 임시 보관하는 임시보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 자동화 납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로용지의 수납접수된 내역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 자동화 납부 장치.
KR2020020015050U 2002-05-17 2002-05-17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 KR200287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50U KR200287220Y1 (ko) 2002-05-17 2002-05-17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50U KR200287220Y1 (ko) 2002-05-17 2002-05-17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079A Division KR100379160B1 (en) 2002-05-16 2002-05-16 Device for paying giro public impost automatical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220Y1 true KR200287220Y1 (ko) 2002-08-27

Family

ID=7312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050U KR200287220Y1 (ko) 2002-05-17 2002-05-17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2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015B1 (ko) * 2002-10-11 2005-04-14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무인자동 공과금 수납장치 및 그 수납방법
KR101280730B1 (ko) * 2011-12-26 2013-07-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금융 기기 및 금융 기기의 제어방법
CN113052583A (zh) * 2020-11-24 2021-06-29 北京国电通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线上缴纳特定费用的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015B1 (ko) * 2002-10-11 2005-04-14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무인자동 공과금 수납장치 및 그 수납방법
KR101280730B1 (ko) * 2011-12-26 2013-07-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금융 기기 및 금융 기기의 제어방법
CN113052583A (zh) * 2020-11-24 2021-06-29 北京国电通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线上缴纳特定费用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4159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cessing and/or Preparing a Tax Return and Initiating Certain Financial Transactions
US7000828B2 (en) Remote automated document processing system
US7475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hecks
US7520421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electronic deposit records and to track the status of a deposit
US62436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electronic funds transfer at a point of sale
US6283366B1 (en) Check writing point of sale system
US20100205063A1 (en)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system
US20020016764A1 (en) Internet expense account
US20050161502A1 (en) Remote terminal check payment with automated transmittal
CN103208155A (zh) 银行职员支持型窗口受理系统以及窗口处理方法
US20060080240A1 (en)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system
US7309003B2 (en) Credit card account pay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30115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transactions
KR200287220Y1 (ko) 지로공과금 납부자동화 장치
RU113044U1 (ru) Автомат по продаже sim-карт
KR100368015B1 (ko) 지로공과금 납부 장치 및 납부 처리 방법
WO1998007119A2 (en) Method and transaction machine for managing payments by means of financial documents
JP3599471B2 (ja) 帳票処理システム
KR20050100589A (ko) 뱅크 포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화폐 자동충전방법
KR20050057825A (ko) 수표업무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표업무처리방법
KR200300758Y1 (ko) 무인자동 공과금 수납장치
KR100482015B1 (ko) 무인자동 공과금 수납장치 및 그 수납방법
JP2003271710A (ja) 金券の請求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3616883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KR100631342B1 (ko) 어음 집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