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874B1 - 수평식 정미기 - Google Patents

수평식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874B1
KR100630874B1 KR1020040028493A KR20040028493A KR100630874B1 KR 100630874 B1 KR100630874 B1 KR 100630874B1 KR 1020040028493 A KR1020040028493 A KR 1020040028493A KR 20040028493 A KR20040028493 A KR 20040028493A KR 100630874 B1 KR100630874 B1 KR 10063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upport plate
horizontal
sta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083A (ko
Inventor
이중희
Original Assignee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87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수평식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11)가 장착된 받침판(13)의 양측 수직부(15)가 프레임(21)의 수직부(23)에 축핀(19)에 의해 장착되므로서, 받침판(13)이 프레임(2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13)의 하부에 배치된 푸싱수단(31 ; pushing means)에 의해 받침판(13)이 축핀(19)을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므로서, 스크린(43)을 포함하는 스테이터(41)와 로터(45)가 앞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식 정미기{Horizontal rice-poli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평식 정미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기울어진 상태의 수평식 정미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수평식 정미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기울어진 상태의 수평식 정미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수평식 정미기가 소형 완전미 일괄생산 시험기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은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수평식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를 지지하는 받침판의 양측 수직부가 프레임의 수직부에 축핀에 의해 장착되므로서, 받침판이 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배치된 푸싱수단(pushing means)에 의해 받침판이 축핀을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므로서, 스테이터와 로터가 앞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수평식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평식 정미기(횡형원통마찰식 정미기)는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내에 로터가 설치되어, 현미가 로터의 스크류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압송되고, 상기 현미가 스크린과 로터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마찰에 의해 도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평식 정미기는 스테이터가 언제나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정타입이기 때문에 곡물의 품질상태에 따라 현미의 도정시간(현미가 스크린과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시간)을 조정하기 어려웠다. 예를들어, 함수율이 낮은 오래된 현미를 정미할 경우, 적절한 도정을 위해 곡립마찰정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많고, 로터의 회전속도를 높이면 스크류에 의해 너무 많은 양의 현미가 롤러와 스크린 사이로 공급되어 곡립의 도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싸라기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이터와 로터가 앞으로 기울어지게 하므로서, 현미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로터의 롤러부와 스크린 사이를 통과하는 현미의 이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수평식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306022호에 소개된 "벼 도정수율 자동판정기"와 같은 테스트용 설비에 적합하게 개선되는 수평식 정미기를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는 모터(11)가 장착된 받침판(13)의 양측 수직부(15)가 프레임(21)의 수직부(23)에 축핀(19)에 의해 장착되므로서, 받침판(13)이 프레임(2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13)의 하부에 배치된 푸싱수단(31 ; pushing means)에 의해 받침판(13)이 축핀(19)을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므로서, 스크린(43)을 포함하는 스테이터(41)와 로터(45)가 앞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푸싱수단(31)은 솔레노이드(32)가 프레임(21)의 수평부(25)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32)에 하부로드(33)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로드(33)의 하단에 작동자(34)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로드(33)의 상단과 상부 로드(35)의 하단이 유니버설조인트(3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상부로드(35)의 상단이 브라켓(37)에 핀절점되고, 상기 브라켓(37)이 받침판(13)의 하부면(17) 후방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푸싱수단(31)은 솔레노이드(32)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32)의 자력에 의해 작동자(34)가 도 3의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승되므로서, 하부로드(33)가 상승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로드(35)가 상승되면서 받침판(13)을 위로 밀어올려, 받침판(13)이 축핀(19)을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부로드(35)는 받침판(13)의 회전에 대응되게 유니버설 조인트(36) 및 브라켓(37)의 핀축(38)에 의해 기울어지는 링크바아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전원이 오프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드(33) 및 작동자(34)가 하강되므로서, 받침판(13)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시 수평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푸싱수단(31)은 유압 실린더 및 공압 실린더와 같은 실린더 수단(도시하지 않음)가 적용될 수 있으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와 상부로드가 유니버설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는 푸싱수단(31)에 의해 받침판(13)이 축핀(19)을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므로서, 상기 받침판(13)에 장착된 모터(11)가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모터(11)에 연결된 스크린(43)을 포함하는 스테이터(41)와 로터(45)가 앞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호퍼(51)를 통해 현미의 공급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로터(45)의 스크류부(49) 작용 뿐만 아니라 스크린(43)의 경사작용에 의해, 공급된 현미가 배출구(53)로 빠르게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현미가 품질에 따라 현미의 투입량을 똑같이 유지하면서 로터(45)의 롤러부(47)와 스크린(43) 사이를 통과하는 현미의 이송속도를 변경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낮추고, 정미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1')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를 축소하여 테스트용으로 적용한 것으로서, 배출구에 장착된 배출안내부재(55)에 개폐장치(61)가 장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와 동일하다.
상기 개폐장치(61)는 배출안내부재(55)의 양측면부에 제 1 로드(6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로드(62)의 중심에 제 2 로드(63)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로드(63)에 무게추(64)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로드(62)의 중심에 "ㄴ"형상의 제 3 로드(65)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로드(65)에 배출구(53)을 막는 마개부재(66)가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푸싱수단(31)에 의해 스테이터(41)가 도 5의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앞으로 기울어질 때, 수집통(71)의 스톱퍼(73)에 제 2 로드(63)가 걸림으로서, 스테이터(41)와 배출안내부재(55)가 제 1 로드(63)에 대해 상대회전되므로서, 제 3 로드(65)에 장착된 마개부재(66)가 배출구(53)에서 개방되어, 배출구(53)을 통해 정미된 곡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스테이터(41)가 푸싱수단(31)에 의해 수평하게 배치되면, 무게추(64)에 의해 마개부재(66)가 배출구(53)을 막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1')는 개폐장치(61)에 의해 투입된 현미시료가 정미공정과정에서 배출구(53)를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정미과정에서 다른 요인에 의해 손실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싱수단(31)에 의해 스테이터(41)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수평식 정미기(1') 내에 도정된 정미가 남을 염려가 없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1')는 소위 "소형 완전미 일괄생산 시험기(100)"로 일컬어지는 완전미 품질 테스트 기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식 정미기(1')는 푸싱수단(31 ; 도 6 참조)으로 스테이터(41)를 기울일 수 있어, 복층으로 설치가능하여 소형 완전미 일괄생산 시험기(100)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정미기는 스테이터와 로터가 앞으로 기울어지게 하므로서, 현미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로터의 롤러부와 스크린 사이를 통과하는 현미의 이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낮추고, 정미율을 높일 수 있으며, 테스트용 설비에 적용되어 테스트 설비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모터(11)가 장착된 받침판(13)의 양측 수직부(15)가 프레임(21)의 수직부(23)에 축핀(19)에 의해 장착되므로서, 받침판(13)이 프레임(2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13)의 하부에 배치된 푸싱수단(31 ; pushing means)에 의해 받침판(13)이 축핀(19)을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므로서, 스크린(43)을 포함하는 스테이터(41)와 로터(45)가 앞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정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31)은 솔레노이드(32)가 프레임(21)의 수평부(25)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32)에 하부로드(33)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로드(33)의 하단에 작동자(34)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로드(33)의 상단과 상부 로드(35)의 하단이 유니버설조인트(3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상부로드(35)의 상단이 브라켓(37)에 핀절점되고, 상기 브라켓(37)이 받침판(13)의 하부면(17) 후방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정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31)은 유압 실린더 및 공압 실린더와 같은 실린더 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정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41)의 배출구에 장착된 배출안내부재(55)에 장착되는 개폐장치(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정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61)는 배출안내부재(55)의 양측면부에 제 1 로드(6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로드(62)의 중심에 제 2 로드(63)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로드(63)에 무게추(64)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로드(62)의 중심에 "ㄴ"형상의 제 3 로드(65)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로드(65)에 배출구(53)을 막는 마개부재(66)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정미기.
  6. 모터(11)가 장착된 받침판(13)의 양측 수직부(15)가 프레임(21)의 수직부(23)에 축핀(19)에 의해 장착되므로서, 받침판(13)이 프레임(2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13)의 하부에 배치된 푸싱수단(31)에 의해 받침판(13)이 축핀(19)을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므로서, 스크린(43)을 포함하는 스테이터(41)와 로터(45)가 앞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41)의 배출구에 장착된 배출안내부재(55)에 개폐장치(61)가 장착되는 수평식 정미기(1')를 완전미 품질 테스트 기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수평식 정미기.
KR1020040028493A 2004-04-24 2004-04-24 수평식 정미기 KR10063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493A KR100630874B1 (ko) 2004-04-24 2004-04-24 수평식 정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493A KR100630874B1 (ko) 2004-04-24 2004-04-24 수평식 정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083A KR20050103083A (ko) 2005-10-27
KR100630874B1 true KR100630874B1 (ko) 2006-10-04

Family

ID=3728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493A KR100630874B1 (ko) 2004-04-24 2004-04-24 수평식 정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8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972B1 (ko) 1998-03-09 2000-02-01 서용교 벼 공급량에 따라 주입통로를 자동개폐토록한 현미기용 주입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972B1 (ko) 1998-03-09 2000-02-01 서용교 벼 공급량에 따라 주입통로를 자동개폐토록한 현미기용 주입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083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029906A (ja) 縦型研削式精米機
KR101999095B1 (ko)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
KR100630874B1 (ko) 수평식 정미기
JP3871914B2 (ja) 樹枝粉砕機
CA2427372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eeding wood batches into a pressure grinder
KR200247628Y1 (ko) 벼 도정장치
JP3988276B2 (ja) 穀粒選別装置
JP4064293B2 (ja) コイン式籾摺精米装置
KR200162763Y1 (ko) 산업용 강구선별장치
JP4888321B2 (ja) 石抜き精米機
JP2007326006A (ja) 脱ぷ風力選別機の風力調節
CN220238648U (zh) 一种颚式破碎装置
JP3726868B2 (ja) 酒米の精米装置
CN220277503U (zh) 一种便于除杂去石的出料装置
KR950005060Y1 (ko) 정미, 정맥 비율 측정용 정미, 정맥기
JP6536261B2 (ja) 縦型研削式精穀機
JP2011011170A (ja) 籾摺装置
JPS60187366A (ja) 粒選別機の粒選角制御装置
JP2000189816A5 (ko)
KR20010086827A (ko) 다기능 정미기
JP3688150B2 (ja) コイン精米設備における白度制御装置
JPH07124484A (ja) 籾摺選別機の異常判定装置
JP3173078B2 (ja) 籾摺選別機の制御装置
JPH0615186A (ja) 籾摺ロ−ルの間隙調節装置
JP3454649B2 (ja) 精米設備の石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