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439B1 -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439B1
KR100630439B1 KR1020040056727A KR20040056727A KR100630439B1 KR 100630439 B1 KR100630439 B1 KR 100630439B1 KR 1020040056727 A KR1020040056727 A KR 1020040056727A KR 20040056727 A KR20040056727 A KR 20040056727A KR 100630439 B1 KR100630439 B1 KR 10063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curing
epoxy resin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412A (ko
Inventor
최두현
최종권
Original Assignee
(주)그린로보텍
주식회사 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로보텍, 주식회사 디엔씨 filed Critical (주)그린로보텍
Priority to KR102004005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4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은 (a)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37∼43 중량%, 변성석유수지 15∼20 중량%, 팽윤 분산제 1∼5 중량%, 체질안료 35∼40 중량% 및 착색안료 4∼8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폭시수지 조성물;및 (b) 이소포론 디아민(IPDA) 40∼45 중량%, 노르보넨디아민(NBDA) 8∼12 중량%, 벤질알코올 30∼40 중량% 및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10∼15 중량%로 이루어진 아민 경화제; 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용이 월등히 저렴하면서 수중경화의 특성과 경화에 있어서는 접착강도, 기계적강도, 내수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담수, 청수, 해수 및 침수 부위의 도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기계 도장 공정에도 적용이 우수한 에폭시 도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무용제 수중 경화용 도료로써 휘발성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습도막, 건도막 차이가 없어 고형분 비율에 따른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도장후 결로발생을 최소화하여 날씨, 온도와 상관없이 도장이 가능한 우수한 에폭시 도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 아민 경화제, 기계 도장 공정

Description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Two component epoxy coating composition for water-curing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도 1은 일반적인 청수용 관로 도장 시공을 간략하게 나타낸 공정도.
본 발명은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변성석유수지, 팽윤 분산제, 체질안료 및 착색안료가 적절한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특수 변성된 에폭시수지와 이소포론 디아민(IPDA), 노르보넨디아민(NBDA), 벤질알코올 및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가 알맞은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아민 경화제를 혼합한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수도관은 주철관, 강관, 합성수지관, 스테인레스관, 아연도강관 및 콘크리트관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관들은 종류별로 장단점이 각기 있으나, 관로의 재질에 관계없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모든 관로 내부는 물속에 함유된 성분이 관로 내부 표면에 흡착 또는 침전하여 슬러지(Sludge)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부터 유속이 저하됨에 따라 슬러지의 발생속도가 가중된다.
이로 인해 관로가 노후화되고, 시간이 경과되면서 관로 파손의 주원인이 되는 것이다.
특히, 청정수 공급에 있어서는 상술한 문제로 인한 문제로 수질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생기기 때문에, 해마다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여 관로를 교체하거나 주기적인 갱생시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청수용 관로 도장 시공을 간략하게 나타낸 공정도로서, 상술한 갱생시공을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 크게 관로 내부의 부식물, 녹, 슬러지 등을 파쇄하여 제거하는 제청공정(S1)과; 피도장(彼塗裝)면의 도장작업을 하기 위해 표면처리를 하는 표면처리공정(S2)과;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를 칠하거나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시키는 도장공정(S3)과; 이를 건조시키는 양생 공정(S4); 및 물을 통수하여 물의 냄새와 맛을 검사하는 통수공정(S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료의 종류에 따라 통상적으로 세라믹 모터 라이닝(Ceramic Motor Lining)공법, 에폭시 수지 라이닝 공법, 폴리에틸렌 수지 라이닝(PE Lining)공법 등의 검증된 갱생시공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시공법은 관로 교체공사 비용의 60∼80%에 해당되는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비용 구조의 문제점으로 수질관리 비용에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도료, 특히 에폭시 수지의 특성상 수분에 민감하여 경화 전 수분과 접촉시에는 박리현상과 균열 등 문제가 발생하고, 도장 전 전처리 공정이 일괄 기계화되지 못하여 공정의 효율이 떨어지고 경화 시 발생되는 휘발성 유해성분이 물에 녹아 물을 오염시키고, 도장 전 전처리 공정에서 피도장면의 충분한 건조가 필요함으로써, 이의 건조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1회 도장만으로는 충분한 도막을 형성시키지 못해 수차례의 도장이 필요하여, 이를 처리해야 하는 인력, 재료, 시간 등의 비용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에폭시 수지 라이닝 공법은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시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비용 절감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의 경화는 건조시간이 늦어, 양생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용제 성분이 잔존하여 기계 도장 공정에 적용할 시에는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정밀하지 못해 사용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비용이 저렴한 에폭시 수지로부터 청수용 관로의 도장 공정 뿐만 아니라, 담수, 해수 및 침수 부위의 도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기계 도장 공정에도 적용이 우수한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상기 용도에 적합한 특수 변성된 에폭시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에 대한 최적의 경화제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변성석유수지, 팽윤 분산제, 체질안료 및 착색안료가 적절한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특수 변성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과; (b) 이소포론 디아민(IPDA), 노르보넨디아민(NBDA), 벤질알코올 및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가 알맞은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아민 경화제; 및 (c)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과 아민계 경화제가 소정의 배합비율로 함유된 수중경화용 이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과 아민 경화제의 제조방법 및 에폭시 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37∼43 중량%, 변성석유수지 15∼20 중량%, 팽윤 분산제 1∼5 중량%, 체질안료 35∼40 중량% 및 착색안료 4∼8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폭시수지 조성물; 및
(b) 이소포론 디아민(IPDA) 40∼45 중량%, 노르보넨디아민(NBDA) 8∼12 중량%, 벤질알코올 30∼40 중량% 및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10∼15 중량%로 이루어진 아민 경화제;
를 혼합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당량 460∼475, 점도 14,000∼25,000cps 및 비중 1.55±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아민 경화제는 아민가 400∼500, 활성수소당량 80∼90, 점도 700∼1,300cps 및 비중 0.96∼1.02인 아민 부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과 아민 경화제의 배합비율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37∼43 중량%, 팽윤 분산제 1∼5 중량%, 체질안료 35∼40 중량% 및 착색안료 4∼8 중량%와 변성석유수지 사용량 15∼20 중량% 중 절반을 55∼6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나머지 변성석유수지를 투입하고 다시 55∼60℃에서 균일하게 분산하여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이소포론 디아민(IPDA) 40∼45 중량%, 노르보넨디아민(NBDA) 8∼12 중량%, 벤질알코올 30∼40 중량% 및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사용량 10∼15 중량% 중 절반을 75∼80℃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방치한 다음, 60℃ 이하의 온도에서 나머지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를 투입하여 80∼90℃에서 3∼4시간 반응하여 아민 경화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의 에폭시수지와 (b) 단계의 경화제를 5:1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변성석유수지와 무기안료 및 무기분산제로 이루어진 충진제를 최 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특수 변성시킨 에폭시수지와 아민계 경화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2액형 에폭시 도료로, 도막이 견고하고 강하며,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특히 물과의 친화력이 우수하여, 수중에서 도장되어도 단시간 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담수, 청수, 해수면 침수 부위의 도장용으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건조시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는 상온경화형으로 10℃, 20℃ 및 30℃에서 가사시간은 각각 1.5 시간, 1시간 및 40분이고, 경화시간은 72시간, 48시간 및 24시간이며, 지촉시간은 6시간, 3시간 및 1시간의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에폭시 도료는 무용제, 고압 에어리스에 의한 스프레이 분사, 자연건조 및 수중경화가 가능하기때문에 청수용 도장시 기계화 시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는 경화되어 소지에 도막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데,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주제(에폭시 수지 조성물)에서 37∼43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37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경화후 강도가 저하되고, 43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를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주제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당량 460∼475, 점도 14,000∼25,000cps 및 비중 1.55±0.05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리고, 변성석유수지는 도료에 부착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면서, 경화제 첨가 시 경화효과에 상승효과를 주는 데, 본 발명에서는 고품질의 변성석유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팽윤분산제는 콜로이드 실리카, 유기 벤토나이트, 산화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하는 데, 주제와 혼합시 점도 조정 작용으로 적절한 흐름성을 부여하여 수지 몰탈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미장작업을 용이하게 한다.이때, 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흐름성 조절이 어려우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물에 지나치게 수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중 1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량에 따른 효율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증량, 보강효과 등을 목적으로 체질안료와 착색안료를 무기 충진제로 사용하는 데, 체질안료로는 바라이트(황산바륨), 알루미나, 크레이, 카오린, 규조토, 탈크, 호분, 침강성탄산칼슘,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착색안료로는 티탄, 산화철 등의 금속 화합물이나 석유 또는 천연가스를 불완전 연소시켜 만든 카본 블랙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산화티탄, 울트라마린, 코발트 블루,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산화 그린 및 레드 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체질안료와 착색안료는 상기 에폭시 수지와 변성석유수지의 최적 사용량에 대비하여 조성물에서 부족분을 채워주는 증량 역할을 하고, 다른 성분들도 충 분히 사용할 수 있게 35∼4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색안료는 4 중량% 미만을 사용하면 상기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를 초과하면 사용량에 비하여 효율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제에서 균일한 혼합정도를 인식하기 쉽고, 도료의 색을 부여하기 위해 컬러풀한 무기 안료나 토너를 착색안료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민 경화제는 비스페놀 A에폭시수지 등의 여러 에폭시수지에 m-크실릴렌디아민 및 이소포론디아민 등이 부가된 아민 부가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중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10∼15 중량%에 이소포론디아민(IPDA) 40∼45 중량%, 노르보넨디아민(Norbornane diamine; NBDA) 8∼12 중량% 및 용제인 벤질알코올 30∼40 중량%을 반응시켜 에폭시 수지에 과량의 아민기를 부과한 상온경화의 특성을 가진 아민 부가물(adduct)을 사용한다.
이는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와 이소포론디아민은 1:3∼1:4 정도로 혼합되는 것이 주제의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와 변성석유수지를 경화시키는 데 경화제로서의 효율이 가장 우수하고, 여기에 노르보넨디아민을 이소포론디아민에 1:5 전후의 비율로 혼합하면 경화에 시너지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벤질알코올은 상기 이소포론디아민 및 노르보넨디아민과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와의 반응을 원활하게 하여 에폭시 수지에 과도하게 아민기가 부가되게 하고, 자체는 반응으로 휘발되는 데, 이때 30 중량% 미만이 되면 반응 효과가 저하되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사용량에 비하여 효율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벤질알코 올은 상기 혼합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이유로, 상기 배합비율로 혼합된 아민 부가물이 본 발명의 특수 변성 에폭시수지(주제)를 경화시키는 데 있어서, 경화물을 강인하고 단단하게 하고, 접착력, 내수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게 하며, 가사시간(Pot Life)이 단축되게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민 부가물은 아민가 400∼500, 활성수소당량 80∼90, 점도 700∼1,300cps 및 비중 0.96∼1.02에 산가는 3 미만이고, 색상은 1 이하(가드너)의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도료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a) 특수 변성된 에폭시수지의 제조공정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팽윤 분산제, 체질안료 및 착색안료의 소정의 사용량과 변성석유수지 사용량 중 절반을 55∼6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나머지 변성석유수지를 투입하고 다시 55∼60℃에서 균일하게 분산하여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준비한다.
이때, 반응온도 55∼60℃는 상기 성분들이 교반되어 반응하기에 최적의 온도이다.
(b) 아민 부가물(경화제)의 제조공정
이소포론 디아민(IPDA), 노르보넨디아민(NBDA), 벤질알코올의 소정의 사용량과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사용량 중 절반을 75∼80℃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를 방치한 다음, 60℃ 이하의 온도에서 나머지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를 투입하여 80∼90℃에서 3∼4시간 반응하여 아민 부가물을 준비한다.
이때, 반응온도 75∼90℃는 상기 성분 중 벤질 알코올이 충분히 휘발되면서 각 성분간에 반응이 최적으로 발생되는 온도이다.
(c)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제조공정
상기 (a) 공정의 에폭시수지와 (b) 공정의 아민 부가물을 5:1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에폭시 도료를 제조한다.
그런 다음, 건조성 및 물성을 확인하여 포장지시 캔에 포장을 하고, 이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에폭시 도료 제조
1. 주제
특수 변성된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하기 표 1의 배합량과 같이,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LER-850), 크레이 발락, 바라이트, 이산화티타늄과 변성석유수지 절반과 흑색토너를 55℃에서 혼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남은 변성석유수지를 넣고 60℃에서 30분간 다시 균일하게 분산하여 준비하였다.
이때, 흑색 토너는 색 발색은 물론 균일하게 혼합된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원료명 배합량(㎏)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LER-850, Bakelite사, 한국; CAS 25068-38-6) 37
크레이 발락(clay valley사, 미국) 1
바라이트(황산바륨) 36
이산화티타늄(TiO2) 4
변성석유수지(Hirenol, 코오롱, 한국) 20
2000 토너(흑색) 2
2. 경화제
아민 부가물은 하기 표 2의 배합량과 같이, 이소포론 디아민(IPDA), 노르보넨디아민(NBDA), 벤질알코올 및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절반을 혼합하여 80℃에서 10분간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방치한 다음 60℃에서 남은 에폭시 수지를 투입하고 90℃에서 4시간동안 유지 반응을 시킨 후, 반응을 중단하여 경화제를 준비하였다.
원료명 배합량(㎏)
이소포론디아민(CAS: 2855-13-2 ) 45
노르보넨디아민(2,5(또는 2,6)-비스 (아미노메틸)비시클로[2,2,1]헵탄) 10
벤질알코올 30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LER-850) 15
3. 본 발명에 따른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
상기 실시예 1(1)의 주제와 실시예 1(2)의 경화제를 5:1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사용할때까지 포장지시 캔에 넣어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도료의 기계화 시공방법
상기 실시예 1에서 완성된 에폭시 도료를 다음과 같은 기계화 시공을 하였다.
관로 탐사 후, 제청로봇을 이용한 제청공정을 거쳐 관로 내부의 부식물, 녹 등의 슬러지를 흡입 제거하고, 도장 작업을 위해 표면처리를 실시하면서 이물질을 집진기로 제거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펌프가 장착된 도장로봇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도료를 관로 내부에 기계 도장을 하였다.
[실험예]
본 실험예는 상기 실시예 2에서 도장된 도료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테스트를 하였다.
(1) 건조시간
하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의 도료를 사용한 도막의 시간별 건조시간을 나타내었으며, 이때 도료의 특성은 비중이 1.55±0.05였으며, 고형분이 98% 이상이었다.
구분 10℃ 20℃ 30℃
지촉 6시간 3시간 1시간
경화 72시간 48시간 24시간
가사시간 1.5시간 1시간 40분
이의 결과, 건조시간이 월등히 우수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2) 물리적인 특성
하기 표 4와 같이, 각 항목별로 본 발명의 도료를 사용한 도막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구분 대기상태에서의 경화 수중상태에서의 경화
내알카리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염수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촉진 내후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수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충격성 균열, 박리없음 균열, 박리없음
부착성 박리없음 박리없음
저온, 고온 반복시험 균열, 박리없음 균열, 박리없음
내습성 녹, 부풀음 및 박리없음 녹, 부풀음 및 박리없음
내산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의 결과, 본 발명의 도료가 대기상태는 물론 수중상태에서도 우수한 경화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종래 도료와의 비교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수지와 기존 에폭시 수지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구분 종래 에폭시 계 본 발명
도장손실 2∼5회도장 필요 (매도장시 20∼30% 손실) 단 1회의 도장 가능 (1회 마무리로 손실 최소화)
건조시간 2∼5회 도장 필요 (매도장시마다 건조시간필요) 단 1회의 도장 가능 (1회에 따른 건조시간만 필요)
고형분용적비 55∼85% 98%
작업환경 유독(유기용제 사용) 무독, 무취(용제, 콜타르가 없음)
인화성 인화점 38℃ 인화점 100℃이상
작업조건 고습, 저온에서 도장불가 5℃이상 고습도 하에서 도장가능
건조환경 고습도 하에서 건조불가 도장과 동시에 침수가능
방수성 특수도료만 가능 양호
방식성 특수 도료만 가능 양호
이와같이, 본 발명의 에폭시 도료는 수중에서도 경화가 가능하고, 상온경화용에 무용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액상형으로 고압의 유압식 에어리스로서 스프레이로 도장을 할 수 있어 기계화 시공을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용이 월등히 저렴하면서 수중경화의 특성과 경화에 있어서는 접착강도, 기계적강도, 내수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담수, 청수, 해 수 및 침수 부위의 도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기계 도장 공정에도 적용이 우수한 에폭시 도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용재 수중경화용 도료로서 휘발성 용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습도막, 건도막의 차이가 없어 고형분 비율에 따른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도장후 결로발생을 최소화하여 날씨, 온도와 상관없이 도장이 가능한 우수한 에폭시 도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a)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37∼43 중량%, 변성석유수지 15∼20 중량%, 팽윤 분산제 1∼5 중량%, 체질안료 35∼40 중량% 및 착색안료 4∼8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폭시수지 조성물; 및
    (b) 이소포론 디아민(IPDA) 40∼45 중량%, 노르보넨디아민(NBDA) 8∼12 중량%, 벤질알코올 30∼40 중량% 및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10∼15 중량%로 이루어진 아민 경화제;
    를 혼합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당량 460∼475, 점도 14,000∼25,000cps 및 비중 1.55±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경화제는 아민가 400∼500, 활성수소당량 80∼90, 점도 700∼1,300cps 및 비중 0.96∼1.02인 아민 부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과 아민 경화제는 혼합비율이 5:1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5. (a)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37∼43 중량%, 팽윤 분산제 1∼5 중량%, 체질안료 35∼40 중량% 및 착색안료 4∼8 중량%와 변성석유수지 사용량 15∼20 중량% 중 절반을 55∼6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나머지 변성석유수지를 투입하고 다시 55∼60℃에서 균일하게 분산하여 변성된 에폭시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이소포론 디아민(IPDA) 40∼45 중량%, 노르보넨디아민(NBDA) 8∼12 중량%, 벤질알코올 30∼40 중량% 및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사용량 10∼15 중량% 중 절반을 75∼80℃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방치한 다음, 60℃ 이하의 온도에서 나머지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를 투입하여 80∼90℃에서 3∼4시간 반응하여 아민 경화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의 에폭시수지와 (b) 단계의 경화제를 5:1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제조방법.
KR1020040056727A 2004-07-21 2004-07-21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727A KR100630439B1 (ko) 2004-07-21 2004-07-21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727A KR100630439B1 (ko) 2004-07-21 2004-07-21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412A KR20060009412A (ko) 2006-01-31
KR100630439B1 true KR100630439B1 (ko) 2006-09-29

Family

ID=3712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727A KR100630439B1 (ko) 2004-07-21 2004-07-21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0894A (zh) * 2012-03-27 2013-10-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中涂漆及其制备方法
CN102704653B (zh) * 2012-06-08 2014-06-04 武汉菲凡士建材有限公司 一种环保地板及其现场制作的方法
CN105936793A (zh) * 2016-05-27 2016-09-14 广西梧州龙鱼漆业有限公司 耐光涂料
CN106010093A (zh) * 2016-05-27 2016-10-12 广西梧州龙鱼漆业有限公司 耐光涂料的制备方法
KR102180902B1 (ko) * 2018-09-28 2020-11-20 주식회사 미래화학 강관용 도료 조성물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363A (ja) 1982-09-06 1984-03-14 Kubota Ltd エポキシ樹脂系粉体塗料
JPS6383174A (ja) 1986-09-26 1988-04-13 Mitsui Petrochem Ind Ltd 熱水用管内面塗料組成物
KR100358330B1 (ko) 1999-12-10 2002-10-25 국도화학 주식회사 바닥재용 에폭시 수지 경화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363A (ja) 1982-09-06 1984-03-14 Kubota Ltd エポキシ樹脂系粉体塗料
JPS6383174A (ja) 1986-09-26 1988-04-13 Mitsui Petrochem Ind Ltd 熱水用管内面塗料組成物
KR100358330B1 (ko) 1999-12-10 2002-10-25 국도화학 주식회사 바닥재용 에폭시 수지 경화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412A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221B1 (ko) 우수한 내화학성, 열탄성, 방수방식성 및 습윤코팅성을 갖는 습윤면 적용을 위한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5229438A (en) Two-component epoxy resin compositions
KR101717128B1 (ko) 에폭시계 방수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과 수처리 시설물의 표면 도장공법
KR101619099B1 (ko) 친환경 중방식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강재도장 시공공법
KR100962259B1 (ko) 후막용 수용성 에폭시수지 바닥마감재 조성물
KR101540926B1 (ko) 무취 및 무독성의 2액형 수용성 에폭시수지 바닥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5432B1 (ko) 친환경 도료를 이용한 주차장 시공 방법
JP6242318B2 (ja) Snイオンを利用した弱溶剤形高耐食性塗料組成物
KR101715825B1 (ko) 무용제형 하도용 고방식 도료와 실란 함유 중상도용 고방식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이중도막 초내후성 강구조물 도장방법
CN112250817B (zh) 一种水性天冬聚脲的合成方法及其在美缝剂中的应用
JP2017141401A (ja) 防食塗料組成物、塗膜、船舶及び海洋構造物
KR100630439B1 (ko) 수중경화용 2액형 에폭시 도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6827B1 (ko) 다중방청 기능을 갖는 에폭시계 방청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방청 공법
KR102582932B1 (ko) 습윤환경 대응성이 우수한 기능성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습윤환경에 노출된 구조물의 표면보호 시공방법
KR102243728B1 (ko) 유성 및 수성의 양성 멀티 기능을 갖는 바닥강화재 조성물 및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강화 시공 공법
JP2014227434A (ja) Snイオンを利用した高耐食性塗料組成物
KR101752385B1 (ko) 습윤면용 경화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
KR101700156B1 (ko) 부식방지 및 방수용 고분자 코팅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065208B1 (ko) 상하수도 오폐수 구조물의 방수 또는 방식용 수용성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 오폐수 구조물의 방수 또는 방식 처리방법
KR102133243B1 (ko) 친환경 중방식용 수용성 도장재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중방식용 도장방법
JP2001131468A (ja) 補修用塗料組成物及び設備補修方法
KR102666162B1 (ko) 고고형분 무용제 에폭시와 해초추출물 단백질을 이용한 수처리 구조물용 에폭시 수지계 방수 방식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구조물의 방수 방식 시공 공법
KR102449723B1 (ko) 표면 처리 공정을 포함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KR102645516B1 (ko) 고습윤대응 방수·방식 기능성 하이브리드 고강도 코팅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83644B1 (ko)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