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39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394B1
KR100630394B1 KR1020040045519A KR20040045519A KR100630394B1 KR 100630394 B1 KR100630394 B1 KR 100630394B1 KR 1020040045519 A KR1020040045519 A KR 1020040045519A KR 20040045519 A KR20040045519 A KR 20040045519A KR 100630394 B1 KR100630394 B1 KR 10063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ale
female
terminal
fema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241A (ko
Inventor
박성기
Original Assignee
박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기 filed Critical 박성기
Priority to KR102004004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394B1/ko
Priority to TW093130819A priority patent/TWI261954B/zh
Priority to CNB2004100953278A priority patent/CN100352103C/zh
Publication of KR2005012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들을 전기적/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암단자 및 암홀더로 이루어진 암커넥터와 수단자 및 수홀더로 이루어진 수커넥터를 포함한다. 암단자는, 암단자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호간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 1 수단자 수용편 및 제 2 수단자 수용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의 종단은 일측에 상기 제 2 수단자 수용편 방향으로 수용편 돌기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상기 종단의 폭이 감소되도록 소정 구간이 제거된다. 암홀더는, 암홀더 베이스부에 상기 암단자를 위한 암홀더 슬롯을 형성하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암홀더 슬롯 내에서 상기 제 1 및 2 수단자 수용편은 상기 제 1 및 2 지지부에 의해 각기 지지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 사이에는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 종단의 감소된 폭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수단자는, 수단자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단자 결합부 및 상기 단자 결합부 종단에 상기 수용편 돌기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결합부 돌기를 포함한다. 수홀더는, 상기 수단자를 위한 수홀더 슬롯이 형성된 수홀더 베이스부 및 상기 수홀더 베이스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2 수단자 수용편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 내에는 상기 단자 결합부가 양측이 노출되도록 수용된다.
커넥터, 단자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종래의 보드 결합용 커넥터 중 암커넥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보드 결합용 커넥터 중 수커넥터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암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암커넥터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수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수커넥터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6 및 7에 도시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회로 기판(이하, 편의상 "보드"라 칭함)들을 전기적/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드 결합용 커넥터 중 암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암커넥터(10)는 암단자(11) 및 암홀더(12)로 구성된다. 암홀더(12)에는 2개의 슬롯(13)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암단자(1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2개의 슬롯(13) 중 하나의 슬롯에 삽입되는 암단자들은 양극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슬롯에 삽입되는 암단자들은 음극에 연결된다.
암커넥터(10)는 암홀더(12)의 하부에 형성된 보드 고정 돌기(14)가 보드의 개구에 삽입되어 보드 상에 물리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암단자(11)는 암홀더(12)의 하부 측면으로 돌출된 암단자(11)들의 납땜부(15)를 납땜함으로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는 종래의 보드 결합용 커넥터 중 수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수커넥터(20)는 수단자(21) 및 수홀더(22)로 구성된다. 수홀더(22)에는 2개의 삽입부(23)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수단자(2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2개의 삽입부(23) 중 하나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수단자들은 양극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수단자들은 음극에 연결된다.
수커넥터(20)는 암커넥터(10)와 동일하게 보드 고정 돌기(24)에 의해 보드 상에 물리적으로 고정되며, 수단자(21)들은 납땜부(25)를 보드 상에서 납땜함으로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암단자(11)는 암홀더(12)의 슬롯(13) 내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수용되며, 암단자(11)의 종단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수단자(21)의 종단에 형성된 결합 돌기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드는 암단자(11)와 수단자(21)의 걸림 돌기 간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물리적 결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는 결합시 암단자(11)가 슬롯(13) 내부에서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결합시 결합 돌기 상호간에 과도한 마모가 발생되거나 암단자(11) 또는 수단자(21)가 밀려서 이탈이 되기도 한다. 또한 양 커넥터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결합 돌기 간에 많은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커넥터는 결합시 단자의 마모 및 이탈이 발생하여 전기적 접속이 불안정해 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넥터 결합시에 단자의 마모 및 이탈을 방지하고, 커넥터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안정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암단자 및 암홀더로 이루어진 암커넥터와 수단자 및 수홀더로 이루어진 수커넥터를 포함한다.
암단자는, 암단자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호간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 1 수단자 수용편 및 제 2 수단자 수용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의 종단은 일측에 상기 제 2 수단자 수용편 방향으로 수용편 돌기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상기 종단의 폭이 감소되도록 소정 구간이 제거된다.
암홀더는, 암홀더 베이스부에 상기 암단자를 위한 암홀더 슬롯을 형성하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암홀더 슬롯 내에서 상기 제 1 및 2 수단자 수용편은 상기 제 1 및 2 지지부에 의해 각기 지지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 사이에는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 종단의 감소된 폭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수단자는, 수단자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단자 결합부 및 상기 단자 결합부 종단에 상기 수용편 돌기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결합부 돌기를 포함한다.
수홀더는, 상기 수단자를 위한 수홀더 슬롯이 형성된 수홀더 베이스부 및 상기 수홀더 베이스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2 수단자 수용편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 내에는 상기 단자 결합부가 양측이 노출되도록 수용된다.
상기 암홀더에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보다 길이가 작은 제 2 수단자 수용편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수홀더 가이드부가 상기 수홀더 베이스부의 외측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지지부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 2 수단자 수용편은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 방향으로 평평한 측면을 형성하여 상기 단자 결합부와 접촉된다.
상기 암단자는 암단자 베이스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종단에는 고정 돌기가 형성된 암단자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홀더는 상기 암단자 고정부를 수용하는 암단자 고정부 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단자는 수단자 베이스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종단에는 고정 돌기가 형성된 수단자 고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홀더는 상기 수 홀더 고정부를 수용하는 수단자 고정부 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에는 고정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 1 지지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단자 결합부에는 고정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수홀더 베이스부에 고정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암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암커넥터의 분해 단면도이다.
암커넥터는 암단자(110) 및 암홀더(120)로 구성되며, 암단자(110)는 암홀더(120)에 형성된 암홀더 슬롯(124)에 삽입된다.
암단자(110)는 암단자 베이스부(111), 제 1 수단자 수용편(112), 제 2 수단자 수용편(113) 및 암단자 고정부(115)로 이루어진다. 암단자 베이스부(111)의 일단으로부터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이 암단자 베이스부(1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인 암단자(110)의 형상은 'F'형상이 된다.
암단자 베이스부(111)에 있어서,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형성측의 반대측은 암홀더(120)와의 결합에 의해 암홀더(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는 보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암단자 납땜부(118)가 된다.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은 종단에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의 방향으로 수용편 돌기(114)가 돌출되며, 수용편 돌기(114)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결 합시 발생하는 단자 간의 마모를 방지한다.
수용편 돌기(114) 형성측의 반대측은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종단으로부터 소정 구간 내에서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구간부터는 계단식으로 또는 완만하게 폭이 감소되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폭이 감소되지 않은 부분에는 암단자(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돌기(117)가 돌출된다.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은 제 1 수단자 수용편(112)보다 길이가 작으며, 외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 1 수단자 수용편(112) 및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은 상기와 같은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 외에 상호간에 위치가 바뀌는 것도 가능하다.
암단자 고정부(115)는 암단자 베이스부(111)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며, 암단자(110)가 암홀더(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에는 고정 돌기(116)가 형성된다.
암홀더(120)는 암홀더 베이스부(121), 제 1 지지부(122), 제 2 지지부(123) 및 암단자 고정부 홈(125)으로 구성된다. 제 1 지지부(122)와 제 2 지지부(123)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이 암단자(110)를 위한 암홀더 슬롯(124)이 된다.
암홀더 베이스부(121)는 암홀더(120)를 구성하는 육면체의 판형 부재이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지지부(122)와 그 양측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제 2 지지부(123)에 의해 2개의 암홀더 슬롯(124)이 형성된다. 암 홀더 베이스부(121)의 하면에는 보드 고정 돌기(128)가 형성되어 보드의 개구와 결합된다. 또한, 암홀더 베이스부(121)에는 암단자 고정부(115)가 수용되도록 암단자 고정부 홈(125)이 형성된다.
암커넥터는 암단자(110)가 암홀더 베이스부(121)의 암홀더 슬롯(124)에 삽입된 것이다. 제 1 지지부(122)는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하부(즉, 폭이 감소되지 않은 부분)를 측면에서 지지하며, 제 2 지지부(123)는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을 측면에서 지지한다.
제 1 지지부(122)와 제 1 수단자 수용편(112) 사이에는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종단 폭이 감소됨으로서 발생되는 공간(D)이 형성된다. 반면에 제 2 지지부(123)와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암단자(110)의 암단자 고정부(115)는 암홀더 베이스부(121)에 형성된 암단자 고정부 홈(125)에 삽입된다. 암단자 고정부(115) 및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은 각각 고정돌기(116, 117)가 암단자 고정부 홈(125) 및 제 1 지지부(122)의 표면에 걸림으로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특히 암단자 고정부(115)는 암커넥터가 보드와 결합하기 전에 암단자 납땜부(118)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암홀더(120) 내부의 암단자(110)가 부분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암커넥터와 보드의 결합시 암단자(110)들의 평탄도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암홀더(120)의 하면(보드 고정 돌기(128)의 형성면)으로부터의 제 2 지지부(123) 길이는 암홀더(120)에 결합된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의 종단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지지부(123)의 상면으로부터 수홀더 가이드부(129)가 돌출되고, 암홀더 베이스부(1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서 수홀더(140)는 수홀더 가이드부(129)에 의해 가이드되어 결합 후에 흔들림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중 수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수커넥터의 분해 단면도이다.
수커넥터는 수단자(130) 및 수홀더(140)로 구성되며, 수단자(130)는 수홀더(14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홀더 슬롯(143)에 삽입된다.
수단자(130)는 수단자 베이스부(131), 단자 결합부(132) 및 수단자 고정부(134)로 이루어 진다. 수단자 베이스부(131)의 일단으로부터 단자 결합부(132)가 수직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수단자(130)의 형상은 'L'형상이 된다.
수단자 베이스부(131)에 있어서, 단자 결합부(132)의 형성측의 반대측은 수홀더(140)와의 결합에 의해 수홀더(14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는 보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단자 납땜부(137)가 된다.
단자 결합부(132)는 암단자(110)와 결합시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수용편 돌기(114)와 대응되도록 결합부 돌기(133)가 종단에 형성된다. 결합부 돌기(133)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결합시 발생하는 단자 간의 마모를 방지한다. 또한, 수홀더(140)로부터 수단자(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 결합부(132)의 하부에 고정 돌기(136)가 돌출된다.
수단자 고정부(134)는 수단자 베이스부(131)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며, 수단자(130)가 수홀더(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에는 고정 돌기(135) 가 형성된다.
수홀더(140)는 수홀더 베이스부(141), 삽입부(142) 및 수단자 고정부 홈(144)으로 구성된다.
수홀더 베이스부(141)는 수홀더(140)를 구성하는 육면체의 판형 부재로서 중앙에는 2개의 수홀더 슬롯(14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도 7을 기준으로 각 수홀더 슬롯(143)의 상부에는 삽입부(142)가 수직으로 돌출됨으로서 수홀더 슬롯(143)이 수직으로 연장된다. 수홀더 베이스부(141)의 하면에는 보드 고정 돌기(147)가 형성되어 보드의 개구와 결합된다. 또한, 수홀더 베이스부(141)에는 수단자 고정부(134)가 수용되도록 수단자 고정부 홈(144)이 형성된다.
수커넥터는 수단자(130)가 수홀더 베이스부(141)의 수홀더 슬롯(143)에 삽입된 것이다. 단자 결합부(132)는 양측이 삽입부(142) 외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부(142)의 내부에 수용된다.
수단자(130)의 수단자 고정부(134)는 수홀더 베이스부(141)에 형성된 수단자 고정부 홈(144)에 삽입된다. 수단자 고정부(134) 및 및 단자 결합부(132)는 각각 고정돌기(135, 136)가 수단자 고정부 홈(144) 및 수홀더 베이스부(141)의 표면에 걸림으로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특히 수단자 고정부(134)는 수커넥터가 보드와 결합하기 전에 수단자 납땜부(137)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홀더(140) 내부의 수단자(130)가 부분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커넥터와 보드의 결합시 수단자(130)들의 평탄도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암커넥터와 도 7에 도시된 수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수홀더(140)의 삽입부(142) 내에 삽입된 수단자(130)의 단자 결합부(132)는 암단자(110)의 제 1 수단자 수용편(112) 및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의 사이로 삽입된다. 삽입되는 초기에는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이 제 1 지지부(122)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D) 내에서 벌어지고,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수용편 돌기(114)와 결합부 돌기(133)는 상호간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며 교차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벌어진 상태가 해제되고, 양 돌기(114, 133) 간에 물리적인 결합이 이루어져 양 커넥터가 고정된다.
반면에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은 제 2 지지부(123)와의 사이에서 벌어질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2 지지부(123)에 밀착된 채로 벌어짐 없이 단자 결합부(132)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은 삽입시에 벌어질 수 있도록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에 비해 더 길이가 길어야 하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 2 수단자 수용편(113) 부분에는 수홀더(140)가 암홀더(120) 안쪽으로 더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홀더 가이드부(129)는 수홀더 베이스부(141)를 측면에서 가이드하여 고정하므로 수홀더(140)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삽입하는 경우에 암단자의 제 1 수단자 수용편이 벌어져 삽입을 원활히 하고 삽 입 후에는 원래의 상태를 회복함으로서 반복적인 착탈 및 장기간의 결합 상태 유지에 따른 암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 2 수단자 수용편이 벌어짐 없이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함으로서 제 2 수단자 수용편의 길이를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홀더가 암홀더에 더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양 홀더 간의 고정을 강화하고, 결합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 외에도 양 단자들 모두 고정 돌기를 갖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납땜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단자가 이탈되어 평탄도가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암단자 베이스부(111)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호간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 1 수단자 수용편(112) 및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의 종단은 일측에 상기 제 2 수단자 수용편(113) 방향으로 수용편 돌기(114)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상기 종단의 폭이 감소되도록 소정 구간이 제거된 암단자(110);
    암홀더 베이스부(121)에 상기 암단자(110)를 위한 암홀더 슬롯(124)을 형성하는 제 1 지지부(122) 및 제 2 지지부(123)를 포함하되, 상기 암홀더 슬롯(124) 내에서 상기 제 1 및 2 수단자 수용편(112, 113)은 상기 제 1 및 2 지지부(122, 123)에 의해 각기 지지되고, 상기 제 1 지지부(122)와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112) 사이에는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 종단의 감소된 폭(D)만큼의 공간이 형성되는 암홀더(120);
    수단자 베이스부(131)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단자 결합부(132) 및 상기 단자 결합부(132) 종단에 상기 수용편 돌기(114)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결합부 돌기(133)를 포함하는 수단자(130); 및
    상기 수단자(130)를 위한 수홀더 슬롯(143)이 형성된 수홀더 베이스부(141) 및 상기 수홀더 베이스부(14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2 수단자 수용편(112, 113)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142)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142) 내에는 상기 단자 결합부(132)가 양측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수홀더(140);를 포함하되,
    상기 암홀더(120)에는 상기 제 2 지지부(123)가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112)보다 길이가 작은 제 2 수단자 수용편(113)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수홀더 가이드부(129)가 상기 수홀더 베이스부(141)의 외측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지지부(123)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단자 수용편(113)은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112) 방향으로 평평한 측면을 형성하여 상기 단자 결합부(132)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110)는 암단자 베이스부(11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종단에는 고정 돌기(116)가 형성된 암단자 고정부(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홀더(120)는 상기 암단자 고정부(115)를 수용하는 암단자 고정부 홈(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자(130)는 수단자 베이스부(13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종단에는 고정 돌기(135)가 형성된 수단자 고정부(13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홀더(140)는 상기 수홀더 고정부(134)를 수용하는 수단자 고정부 홈(1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자 수용편(112)에는 고정 돌기(117)가 돌출되어, 상기 제 1 지지부(12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결합부(132)에는 고정 돌기(136)가 돌출되어, 상기 수홀더 베이스부(14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40045519A 2004-06-18 2004-06-18 커넥터 KR10063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519A KR100630394B1 (ko) 2004-06-18 2004-06-18 커넥터
TW093130819A TWI261954B (en) 2004-06-18 2004-10-12 Connector
CNB2004100953278A CN100352103C (zh) 2004-06-18 2004-11-19 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519A KR100630394B1 (ko) 2004-06-18 2004-06-18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243U Division KR200363233Y1 (ko) 2004-06-18 2004-06-18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241A KR20050120241A (ko) 2005-12-22
KR100630394B1 true KR100630394B1 (ko) 2006-10-02

Family

ID=3570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519A KR100630394B1 (ko) 2004-06-18 2004-06-18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30394B1 (ko)
CN (1) CN100352103C (ko)
TW (1) TWI2619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609B1 (ko) * 2010-06-22 2012-05-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의 캡플라이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51B1 (ko) *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618Y1 (ko) 2003-01-20 2003-04-08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시블 기판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85014Y (zh) * 1996-03-29 1998-06-24 蔡添庆 高密度低型印刷电路板连接器
CN2276204Y (zh) * 1996-11-26 1998-03-11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终端连接器
JPH11135178A (ja) * 1997-10-30 1999-05-21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ソケット
US6024582A (en) * 1999-08-12 2000-02-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618Y1 (ko) 2003-01-20 2003-04-08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시블 기판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609B1 (ko) * 2010-06-22 2012-05-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의 캡플라이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2103C (zh) 2007-11-28
TW200601625A (en) 2006-01-01
TWI261954B (en) 2006-09-11
KR20050120241A (ko) 2005-12-22
CN1710754A (zh)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75B1 (ko) 커넥터 조립체
US799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950012748B1 (ko) 전기 접속기
US7217158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0061375B (zh) 连接器、对接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CN100399637C (zh) 电连接器
US808794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6322395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9218221A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H0631087U (ja) コネクタ装置
TWM477690U (zh) 低剖面背板連接器
JP2003031316A (ja) 誤嵌合防止コネクタ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TWI718736B (zh) 電性端子以及電連接器
CN107465011B (zh) 电子卡连接器及其组件
JP3044377U (ja) プリント回路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
US2006013498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CN109390721B (zh) 卡缘连接器
US8500459B2 (en) Receptacle with a cavity for receiving a plug with a recess for receiving a component
JP2005166376A (ja) コネクタ
KR100630394B1 (ko) 커넥터
JP3123630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JP2012243599A (ja) 電気コネクタ
KR200363233Y1 (ko) 커넥터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