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970B1 - 치약 자동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치약 자동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970B1
KR100629970B1 KR1020050084786A KR20050084786A KR100629970B1 KR 100629970 B1 KR100629970 B1 KR 100629970B1 KR 1020050084786 A KR1020050084786 A KR 1020050084786A KR 20050084786 A KR20050084786 A KR 20050084786A KR 100629970 B1 KR100629970 B1 KR 100629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housing
tube
withdrawal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훈상
Original Assignee
유훈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훈상 filed Critical 유훈상
Priority to KR102005008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970B1/ko
Priority to PCT/KR2006/003585 priority patent/WO200703262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285Co-operating squeezing support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치약튜브(1)가 수납되는 형태의 치약수납공간(114)과 치약이 인출되는 치약인출공간(115)을 각각 구획되게 상부와 하부에 위치시키되 인출공(116a)을 형성한 인출관(116)을 통하여 상호 연통 되도록 하면서 인출관(116)을 치약인출공간(115)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치약하우징부(11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가이드공(111)에 슬라이드핀(119)을 관통시켜 치약하우징부(110)의 외부면에 결합시킨 손잡이하우징(122)과 치약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 결합시킨 가압하우징(123)을 상호 연결되게 결합시켜 손잡이하우징(122)과 가압하우징(123)이 일체로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가압하우징(123)의 내부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시킨 가압롤러(124)가 치약튜브(1)의 외주면을 압박하도록 하는 가압부(12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치약인출공간(115) 내부에 스프링(134)에 의해 인출관(116)의 인출공(116a)을 폐쇄 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는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부면에 원동기어(131a)를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되도록 종동기어(132a)를 형성시킨 인출차단블럭(132)을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부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치차기어(133)를 통하여 원동기어(131a)와 종동기어(132a)를 치차 결합시켜 치약을 적정량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인출부(1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실린더, 작동구, 정량표시구, 복귀스프링, 스토퍼

Description

치약 자동 디스펜서{Tooth Paste Automatic Dispens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치약 압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가압롤러를 통하여 치약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인출공 내부에 치약이 충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통하여 치약을 칫솔에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통하여 치약을 공급받은 후 칫솔을 외부로 취출한 상태의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약튜브 2 : 칫솔
100 : 디스펜서 110 : 치약하우징부
111 : 가이드공 112 : 결합돌기
113 : 슬라이드홈 114 : 치약수납공간
115 :치약인출공간 116 : 인출관
116a: 인출공 117 : 자외선 발광램프
117a : 스위치 117b : 베터리 하우징
117c : 자외선 회로기판 118 : 스토퍼
119 : 슬라이드핀 120 : 가압부
122 : 손잡이하우징 123 : 가압하우징
123a: 슬라이드돌기 124 : 가압롤러
130 : 인출부 131 : 인출개방블럭
131a: 원동기어 131b : 차단턱
131c : 밀착면 131d: 수납홈
131e : 고정튜브 131f : 세척튜브
131g : 홈 132 : 인출차단블럭
132a : 종동기어 132b : 튜브
133 : 치차기어 134 : 스프링
140 : 칫솔거치대 141 : 거치홈
본 발명은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약튜브를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시킨 다음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가압롤러를 통하여 치약튜브의 외주면을 압박시켜 치약을 외부로 반출 시키는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 반출되는 치약의 공급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치아를 청결하게 하고 연마할 목적으로 칫솔에 묻혀 사용하는 약물성 복합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분말, 크림, 액상 등으로 되어 있으며, 소독작용, 치석용해작용, 냄새감퇴작용 및 충치나 치조농루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치아에 청결을 도와주는 치약은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을 주원료로 하여 치아의 기계적 청소를 조력하는 물질로써, 그 입자의 크기, 경도, 모양이 적당하지 않으면 치아의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입자의 크기는 대략 1~2㎛으로서 균일할 하고, 형태는 너무 예민하지 않으며, 굳기는 모스 굳기 3도 정도일 것 등의 구성 조건이 요구된다.
상기 구성조건 외에 청정제, 향료, 색소, 살균소독제, 치석용해제, 중화제 등이 조금씩 혼입되어 있다. 크림 타입에는 이 외에도 접합제, 안정제 등이 첨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점성이 강한 치약은 일반적으로 튜브형태의 치약튜브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저장된 치약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치약튜브의 뚜껑을 열고나서, 치약튜브를 손으로 눌러서 적당량의 치약을 받아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약튜브에 들어 있는 치약을 손으로 짜서 사용할 경우, 치약튜브의 끝단부터 눌러서 짜는 것 보다는 대부분 몸체부분을 꽉 쥐어서 치약을 짜는 습관이 일반적이다.
치약튜브의 임의의 위치를 쥐어서 짜므로 다음번 사용할 때는 용이하게 짤 수 없어서 매우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약이 많이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하기에 불편하여 새 제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치약튜브의 끝단을 롤 형태로 둘둘 말아 손으로 돌리거나, 납작한 물체를 튜브의 끝단에서 배출구 쪽으로 밀어주면 내장된 치약이 외부로 나오게 되어 이 치약을 사용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원시적인 방법은 손을 이용하여 일정한 힘으로 치약튜브에 강한 힘을 가하여 내용물을 밀어내어야 하는 것으로, 어린이나 노약자 즉, 도구를 다루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사용하기가 힘이 들고, 배출되는 치약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 치약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치약을 자동으로 인출하는 종래기술의 자동치약압출기가 등록실용신안 제 20-2004-4578호에 안출된 바 이를 도 1 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치약튜브를 내장하여 치약튜브의 일측에 가압롤러로 압력을 가하여 치약을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하단일측에 결착공(2a)을 형성하고, 벽면에 장착하도록 배면에 장착공(2b)을 형성한 뒤판(2), 상기 뒤판(2)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하되, 상하측 모서리에 오목하게 레일(21)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장착공을 형성한 지지측벽(22)을 형성한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레일(21)에 장착하되, 레일(21)의 내측에 다수개의 이동바퀴(32)를 삽입 장착하여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일측에 가압롤러(31)를 굴대 장착하며, 타측에는 밀대(33)를 형성하고, 밀대(33)의 상단에는 암나사블록(34)을 형성하며, 암나사블록(34)의 외측에는 도그(35)를 일체로 형성한 이동대차(30)와, 상기 이동대차(30)의 암나사블록(34)에 체결하되, 좌우측은 하우징(27)과 다른 하우징(28)에 굴대 장착하고, 베이스(20)의 레일(21)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한 스크루(29)와, 상기 스크루(29)의 일측에는 고정 장착하여 전동모터와 같은 구동수단(24)의 동력을 감속시켜 전달하는 웜(25)과 웜휠(26)을 상기 뒤판(2)의 일측에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20)의 레일(21)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렬로 장착하여 상기 이동대차(30)의 도그(35)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36)(37)(38)를 상기 지지측벽(22)의 일측에 장착하되, 솔레노이드(40)의 구동에 의해 레버(43)를 작동시켜 치약튜브(11)의 배출구에 마개(44)를 열고 닫는 튜브마개개폐수단(5), 상기 뒤판(2)의 전면에 일체로 장착하여 베이스(20), 이동대차(30)를 씌워 보호하도록 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전면 일측에 굴대 장착하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투시창(9)을 형성하고, 하단 모서리에 결착돌기 (4a)를 형성하여 상기 뒤판(2)의 결착공(2a)에 장착하도록 하는 전면커버(4), 상기 몸체케이스(3)의 전면일측에 장착하여 상기 구동수단(24)과 솔레노이드(40)를 작동시키는 작동개시스위치(6), 상기 몸체케이스(3)의 전면일측에 장착하여 상기 구동수단(24)을 임의로 구동시키는 복귀스위치(7), 상기 센서(36)(37)(38)에 의해 도그(35)의 위치를 감지하여 치약의 잔여 량을 표시하는 치약잔여표시부(8), 및 상기 구동수단(24), 솔레노이드(40), 센서(36)(37)(38), 작동개시스위치(6), 복귀스위치(7)의 입출력 값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1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자동치약압출기는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치약튜브를 가압하여 내부의 치약을 인출하는 것으로 구동수단이 전동모터는 전력이 필요한 고가의 제품으로 생산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자동치약압출기는 전동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속도를 조절하면서 전달하도록 웜과 웜휠을 설치하여 전동모터의 구동으로 치약튜브의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동되는 장치가 복잡하여 생산비가 증가하고 유지 관리에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자동치약압출기는 전기로 구동되는 구동수단의 전력공급을 위해서 전기와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나, 일반적으로 욕실과 같이 습기가 높은 지역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전원인가에 따른 누전 및 합선의 위험성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반자동방식으로 가압롤러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칫솔을 치약인출공간측에 삽입하면 치약이 칫솔에 자동으로 일정량만큼 씩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통한 동력장치를 완전히 배제시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제조 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약을 인출시키기 위해 한 번의 간단한 조작으로 치약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치약 인출 사용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어린이 등의 칫솔 습관을 자연스럽게 습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약을 공급받기 위해 치약인출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칫솔을 자외선 발광램프가 작동하여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약이 묻어나는 인출공의 내주연을 살균함으로써, 디스펜서의 위생적 유지 관리를 향상시켜 치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출개방블럭의 외부면 전체에 고정튜브와 세척튜브를 결합시키되 디스펜서의 세척을 위해 외부로 세척튜브를 반출 가능하도록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펜서의 세척이 가능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생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약하우징부 후방에 칫솔거치대를 슬라이딩 결합방법으로 착탈이 쉽게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치약의 자동공급과 더불어 칫솔의 보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치질 사용에 대한 편의 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약인출공간 내부로 치약을 인출받기 위한 칫솔의 삽이 깊이에 따라 배출되는 치약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칫솔을 끝까지 삽입하게 되면 항상 정량의 치약을 반복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치약소비량을 선택적으로 사용자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치약튜브가 수납되는 형태의 치약수납공간과 치약이 인출되는 치약인출공간을 각각 구획되게 상하부에 위치시키되 인출공을 형성한 인출관을 통하여 상호 연통되도록 하면서 인출관을 치약인출공간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치약하우징부와, 상기 치약하우징부의 가이드공에 슬라이드핀을 관통시켜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시킨 손잡이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면에 결합시킨 가압하우징을 상호 연결되게 결합시켜 손잡이하우징과 가압하우징이 일체로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가압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시킨 가압롤러가 치약튜브의 외주면을 압박하도록 하는 가압부와, 상기 치약하우징부의 치약인출공간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인출관의 인출공을 폐쇄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는 인출개방블럭의 상부면 원동기어를 형성시키고 그 상부에 종동기어를 대향되도록 형성시킨 인출차단블럭을 치차기어를 통하여 치차 결합시켜 치약의 적정량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인출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약하우징부의 후면에 결합돌기를 테이퍼지게 형성시키고 그 결합돌기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 칫솔거치대를 결합시키되 칫솔걸이대의 양측면에 칫솔을 걸어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을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치약하우징부의 치약인출공간 내부 양측면에는 발광자외선 램프를 장착하여 자외선을 치약 인출공간 내부에 조사시켜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가압부의 가압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면에 위치시키되 가압하우징의 양 끝단에 슬라이드돌기를 형성시키고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슬라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슬라이드홈을 형성시켜 손잡이하우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하우징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치약하우징부의 상부 양측면에 스토퍼를 돌출되도록 결합시켜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손잡이하우징의 상단이 걸려 하우징에서의 상하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인출개방블럭은 일측 상부에 차단턱을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그 하부에 는 칫솔의 머리부가 삽입되면서 인출개방블럭을 후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곡 시킨 밀착면을 형성시키며 인출개방블럭의 타측에 수납홈을 형성시킨 다음 스프링을 안치시켜 인출개방블럭의 차단턱이 탄력적으로 인출관의 인출공을 폐쇄 시키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인출개방블럭에는 외주연 일측으로 고정튜브를 결합시키고 타측으로는 세척튜브를 결합하되 세척튜브와 고정튜브를 끼움 결합시키고 세척튜브의 외주연에 인출관을 부분 내입시킬 수 있도록 홈을 형성시켜 인출관이 세척튜브의 외주연 상부를 관통하여 인출개방블럭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칫솔 삽입으로 치약을 인출시 발생하는 치약의 잔여분이 세척튜브 내벽에 묻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가압롤러를 통하여 치약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인출공 내부에 치약이 충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통하여 치약을 칫솔에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통하여 치약을 공급받은 후 칫솔을 외부로 취출한 상태의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100)는 치약튜브(1)를 수납하여 안치하는 치약하우징부(11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치약튜브(1)를 가압하여 치약을 치약하우징부측으로 인출하는 가압부(12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설치되 어 치약을 일정한 량 만큼만 칫솔(2)의 칫솔모에 제공하도록 하는 인출부(130)로 구성한다.
상기 치약하우징부(110)는 치약튜브(1)가 수납되는 형태의 치약수납공간(114)과 치약이 인출되는 치약인출공간(115)을 각각 구획되게 상부와 하부에 위치시키되 인출공(116a)을 형성한 인출관(116)을 통하여 상호 연통 되도록 하면서 인출관(116)을 치약인출공간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다.
또한, 가압부(120)는 치약하우징부(110)의 가이드공(111)에 슬라이드핀(119)을 관통시켜 치약하우징부(110)의 외부면에 결합시킨 손잡이하우징(122)과 치약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 결합시킨 가압하우징(123)을 상호 연결되게 결합시켜 손잡이하우징(122)과 가압하우징(123)이 일체로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가압하우징(123)의 내부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시킨 가압롤러(124)가 치약튜브(1)의 외주면을 압박하도록 한다.
아울러, 인출부(130)는 치약하우징부(110)의 치약인출공간(115) 내부에 스프링(134)에 의해 인출관(116)의 인출공(116a)을 폐쇄 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는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부면에 원동기어(131a)를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되도록 종동기어(132a)를 형성시킨 인출차단블럭(132)을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부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치차기어(133)를 통하여 원동기어(131a)와 종동기어(132a)를 치차 결합시켜 인출관(116) 내의 치약을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적정량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치약하우징부(110)은 후면에 결합돌기(112)를 테이퍼지게 형성시키 고 그 결합돌기(112)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 칫솔거치대(140)를 결합시키되 칫솔거치대(140)의 양측면에 칫솔(2)을 걸어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141)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치약하우징부(110)의 치약인출공간(115) 내부 양측면에는 발광자외선 램프(117)를 장착하여 자외선을 치약 인출공간 내부에 조사시켜 살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압부(120)의 가압하우징(123)은 치약하우징부(110) 내부면에 위치시키되 가압하우징(123)의 양 끝단에 슬라이드돌기(123a)를 형성시키고 치약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는 슬라이드돌기(123a)가 삽입되도록 슬라이드홈(113)을 수직으로 형성시켜 손잡이하우징(12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하우징(123)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치약하우징부(110)의 상부 양측면에 스토퍼(118)를 돌출되도록 결합시켜 상하부로 슬라이딩 하는 손잡이하우징(122)의 상단이 스토퍼(118)에 걸려 치약하우징부(110)에서의 상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또한, 인출개방블럭(131)에는 외주연 일측으로 고정튜브(131e)를 결합시키고 타측으로는 세척튜브(131f)를 결합하되 세척튜브(131f)와 고정튜브(131e)를 끼움 결합시키고 세척튜브(131f)의 외주연에 인출관(116)을 부분 내입시킬 수 있도록 홈(131g)을 형성시켜 인출관이 세척튜브(131f)의 외주연 상부를 관통하여 인출개방블럭(131)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칫솔(2) 삽입으로 치약을 인출시 발생하는 치약의 잔여분이 세척튜브(131f) 내벽에 묻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자외선 발광램프(117)를 컨트롤 하기 위한 배터리 하우징(117b) 및 자외선 회로기판(117c)은 인출차단블럭(132)의 상부의 내부공간에 설치하고 자외선 발광램프(117)는 인출개방블럭(131)의 전방 측 공간에 위치시켜 칫솔(2)을 통하여 인출개방블럭(131)을 후방으로 밀어낼 때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단에 설치한 스위치(117a)가 이를 센서링 하여 자외선 발광램프(117)가 작동 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인출개방블럭(131)은 일측 상부에 차단턱(131b)을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그 하부에는 칫솔(2)의 머리부가 삽입되면서 인출개방블럭(131)을 후방으로 밀어 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곡시킨 밀착면(131c)을 형성시키며 인출개방블럭(131)의 타측으로 수납홈(131d)을 형성시킨 다음 스프링(134)을 안치시켜 인출개방블럭(131)의 차단턱(131b)이 탄력적으로 인출관(116)의 인출공(116a)을 폐쇄 시키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약튜브(1)를 치약하우징부(110)의 치약수납공간(114) 내부에 안치시킨 다음 치약튜브(1)의 인출부분을 인출관(116)의 인출공(116a)에 결합되도록 하고 치약튜브(1)의 상부에 평판을 이루는 끝 부분을 가압롤러(124) 사이에 위치되도록 셋팅 한다.
이후, 치약을 인출할 때에는 가압부(120)의 손잡이하우징(122)을 하방으로 내리면 슬라이드핀(119)에 의해 손잡이하우징(122)과 연동되는 가압하우징(123)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치약하우징부(110)의 슬라이드홈(113)에 결합된 결합돌 기(112)에 의해 가압하우징(123)은 하방으로의 직진성을 보장 받는다.
이렇게 하방으로 이동하는 가압하우징(123)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가압롤러(124)는 치약튜브(1)를 가압하여 인출공(116a) 측으로 치약을 인출시킨다.
이때, 스프링(134)의 탄력에 의해 인출개방블럭(131)의 차단턱(131b)이 인출공(116a)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인출되는 치약은 인출공(116a)에서 누출되지 않은 상태로 충진된다.
상기와 같이, 치약을 인출공(116a) 내부에 안치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칫솔(2)을 치약인출공간(115) 내부로 삽입하여 칫솔(2)의 머리부가 인출개방블럭(131)을 후방으로 밀어내면 인출공(116a)의 구멍 단부는 개방되는 동시에 인출개방블럭(131)과 치차 결합된 치차기어(133)는 종동기어(132a)를 통하여 인출차단블럭(132)을 인출공(116a) 내부로 진입시켜 인출공(116a) 내부에 충진된 치약을 인출공(116a) 하방으로 밀어내어 칫솔(2)의 칫솔모에 정량의 치약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인출개방블럭(131)이 칫솔(2)에 의해 스프링(134)을 가압하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신호에 의해 자외선 발광램프(117)를 7분 정도 작동시켜 칫솔(2)과 치약이 인출되는 내부공간에 자외선을 조사시킴에 따라 칫솔(2)과 인출개방블럭(131)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칫솔(2)에 치약을 공급받은 다음 칫솔(2)을 치약인출공간(115)에서 반출시키면 인출개방블럭(131)은 스프링(134)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원되면서 차단턱(131b)이 인출공(116a)을 폐쇄 시키는 동시에 원동기어(131a)에서 전달되는 치차기어(133) 측으로 제공되면서 종동기어(132a)가 형성된 인출차단블럭(132)이 인출공(116a)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어 가압하우징(123)의 가압롤러(124)에 가해진 하강압력이 치약 외벽을 통하여 치약통 내부에 전달 되도록 함으로써, 인출공(116a) 내부에 치약을 다시 재 충진 받을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디스펜서을 정기적으로 세척하여 위생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세척튜브를 외부로 반출시켜 묻어있는 치약의 잔여분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반자동방식으로 가압롤러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칫솔을 치약인출공간측에 삽입하면 치약이 칫솔에 자동으로 일정량 만큼씩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통한 동력장치를 완전히 배제시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치약을 인출시키기 위해 한 번의 간단하고 부드러운 조작으로 치약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치약 인출 사용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어린이 등의 칫솔 습관을 자연스럽게 습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치약을 공급받기 위해 치약인출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칫솔을 자외선 발광램프가 작동하여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약이 묻어나는 인출공의 내주연을 살균함으로써, 디스펜서의 위생적 유지 관리를 향상시켜 치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인출개방블럭의 외부면 전체에 고정튜브와 세척튜브를 결합시키되 디스펜서의 세척을 위해 외부로 세척튜브를 반출 가능하도록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펜서의 세척이 가능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생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치약인출공간 내부로 치약을 인출받기 위한 칫솔의 삽이 깊이에 따라 배출되는 치약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칫솔을 끝까지 삽입하게 되면 항상 정량의 치약을 반복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치약소비량을 선택적으로 사용자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Claims (7)

  1. 치약튜브(1)가 수납되는 형태의 치약수납공간(114)과 치약이 인출되는 치약인출공간(115)을 각각 구획되게 상부와 하부에 위치시키되 인출공(116a)을 형성한 인출관(116)을 통하여 상호 연통 되도록 하면서 인출관(116)을 치약인출공간(115)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치약하우징부(11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가이드공(111)에 슬라이드핀(119)을 관통시켜 치약하우징부(110)의 외부면에 결합시킨 손잡이하우징(122)과 치약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 결합시킨 가압하우징(123)을 상호 연결되게 결합시켜 손잡이하우징(122)과 가압하우징(123)이 일체로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가압하우징(123)의 내부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시킨 가압롤러(124)가 치약튜브(1)의 외주면을 압박하도록 하는 가압부(12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치약인출공간(115) 내부에 스프링(134)에 의해 인출관(116)의 인출공(116a)을 폐쇄 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는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부면에 원동기어(131a)를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되도록 종동기어(132a)를 형성시킨 인출차단블럭(132)을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부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치차기어(133)를 통하여 원동기어(131a)와 종동기어(132a)를 치차 결합시켜 치약을 적정량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인출부(1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후면에 결합돌기(112)를 테이퍼지게 형성시키고 그 결합돌기(112)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 칫솔거치대(140)를 결합시키되 칫솔거치대(140)의 양측면에 칫솔(2)을 걸어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141)을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치약인출공간(115) 내부 양측면에는 발광자외선 램프(117)를 장착하여 자외선을 칫솔(2)과 치약 인출공간 내부에 조사시켜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20)의 가압하우징(123)은 치약하우징부(110) 내부면에 위치시키되 가압하우징(123)의 양 끝단에 슬라이드돌기(123a)를 형성시키고 치약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는 슬라이드돌기(123a)가 삽입되도록 슬라이드홈(113)을 수직으로 형성시켜 손잡이하우징(12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하우징(123)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상부 양측면에 스토퍼(118)를 돌출되도록 결합시켜 상하부로 슬라이딩 하는 손잡이하우징(122)의 상단이 스토퍼(118)에 걸려 치약하우징부(110)에서의 상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개방블럭(131)은 일측 상부에 차단턱(131b)을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그 하부에는 칫솔(2)의 머리부가 삽입되면서 인출개방블럭(131)을 후방으로 밀어 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곡시킨 밀착면(131c)을 형성시키며 인출개방블럭(131)의 타측으로 수납홈(131d)을 형성시킨 다음 스프링(134)을 안치시켜 인출개방블럭(131)의 차단턱(131b)이 탄력적으로 인출관(116)의 인출공(116a)을 폐쇄 시키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개방블럭(131)에는 외주연 일측으로 고정튜브(131e)를 결합시키고 타측으로는 세척튜브(131f)를 결합하되 세척튜브(131f)와 고정튜브(131e)를 끼움 결합시키고 세척튜브(131f)의 외주연에 인출관(116)을 부분 내입시킬 수 있도록 홈(131g)을 형성시켜 인출관이 세척튜브(131f)의 외주연 상부를 관통하여 인출개방블럭(131)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칫솔(2) 삽입으로 치약을 인출시 발생하는 치약의 잔여분이 세척튜브(131f) 내벽에 묻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1020050084786A 2005-09-12 2005-09-12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100629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786A KR100629970B1 (ko) 2005-09-12 2005-09-12 치약 자동 디스펜서
PCT/KR2006/003585 WO2007032625A1 (en) 2005-09-12 2006-09-08 Tooth paste automatic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786A KR100629970B1 (ko) 2005-09-12 2005-09-12 치약 자동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970B1 true KR100629970B1 (ko) 2006-09-28

Family

ID=3762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786A KR100629970B1 (ko) 2005-09-12 2005-09-12 치약 자동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9970B1 (ko)
WO (1) WO200703262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89B1 (ko) 2006-09-29 2007-09-04 유훈상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KR100815541B1 (ko) 2007-03-27 2008-03-20 유훈상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및 치약인출 작동방법
KR100982704B1 (ko) 2008-03-21 2010-09-16 유훈상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KR101471016B1 (ko) * 2013-08-30 2014-12-11 이문수 치약 자동 공급 장치
CN107963321A (zh) * 2017-11-15 2018-04-27 甘世昌 一种日常生活用高效卫生挤牙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9985B2 (ja) * 2007-05-07 2014-05-14 マレク・スジィマンスキー 液体分配器具
CN104071470B (zh) * 2013-03-27 2016-12-28 蔡宏亮 一种牙膏盛取器
CN104843299A (zh) * 2015-04-17 2015-08-19 苏州市职业大学 一种自动挤牙膏盒
CN106725021B (zh) * 2016-11-14 2019-05-14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家用牙膏挤出装置
WO2019061451A1 (zh) * 2017-09-30 2019-04-04 贺碧先 一种设置于公寓的自动挤牙膏装置
CN107672876A (zh) * 2017-09-30 2018-02-09 贺碧先 一种便于孤寡老人使用的挤牙膏装置
CN107640383A (zh) * 2017-09-30 2018-01-30 贺碧先 一种学生宿舍用的挤牙膏装置
WO2019061449A1 (zh) * 2017-09-30 2019-04-04 贺碧先 一种酒店适用的挤牙膏装置
WO2019061450A1 (zh) * 2017-09-30 2019-04-04 贺碧先 一种学生宿舍用的挤牙膏装置
WO2019061457A1 (zh) * 2017-09-30 2019-04-04 贺碧先 一种监狱使用的定量挤压装置
CN107713873A (zh) * 2017-09-30 2018-02-23 贺碧先 一种酒店适用的挤牙膏装置
CN107672875A (zh) * 2017-09-30 2018-02-09 贺碧先 一种自动挤牙膏系统
CN109533543A (zh) * 2019-01-25 2019-03-29 黄石卫生材料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盛装胶状物或液体的软体涂敷瓶及其挤出装置
CN113749538B (zh) * 2021-08-23 2023-05-12 惠安先锋机械有限公司 一种家用便捷式牙刷自动上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7704C2 (de) * 1988-11-07 1994-03-24 Andris Raimund Gmbh & Co Kg Pastenspender
JPH08253251A (ja) * 1995-03-17 1996-10-01 Akebono Brake Ind Co Ltd 練り歯磨きチューブ絞り装置
KR20010009703A (ko) * 1999-07-13 2001-02-05 오용일 치약 가압장치
KR200288387Y1 (ko) * 2002-06-14 2002-09-09 김현철 치약 인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89B1 (ko) 2006-09-29 2007-09-04 유훈상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KR100815541B1 (ko) 2007-03-27 2008-03-20 유훈상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및 치약인출 작동방법
KR100982704B1 (ko) 2008-03-21 2010-09-16 유훈상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KR101471016B1 (ko) * 2013-08-30 2014-12-11 이문수 치약 자동 공급 장치
CN107963321A (zh) * 2017-11-15 2018-04-27 甘世昌 一种日常生活用高效卫生挤牙膏装置
CN107963321B (zh) * 2017-11-15 2019-04-16 新昌县寅源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日常生活用高效卫生挤牙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2625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970B1 (ko) 치약 자동 디스펜서
US8534950B2 (en) Toothbrush with integral toothpaste dispenser and timed music play interval
CN215884940U (zh) 手术室医用垃圾桶
CN200960074Y (zh) 自动消毒的洗漱用具组合装置
KR100755489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KR100815541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및 치약인출 작동방법
WO2010018382A1 (en) Sterilisation apparatus
KR101410048B1 (ko) 구강살균세정기
KR101415267B1 (ko) 치약이 도포된 일회용 칫솔 제조 장치
JP2008120460A (ja) 中空体
KR100618561B1 (ko)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101789988B1 (ko) 살균기능을 가진 치약 디스펜서
CN110250738B (zh) 一种牙刷消毒套装
ITUB20155798A1 (it) Dispositivo utile per la disinfezione o sterilizzazione di spazzolini per l?igiene orale.
CN113120472A (zh) 一种五官科用废弃体液收集装置
CN113100665A (zh) 一种医院用消毒清洁车
KR20060097420A (ko) 치약 배출기
KR20090043701A (ko) 가글액 취출 및 손 소독액 분사 겸용 디스펜서
US10750912B2 (en) Dental hygiene storage device with salt and water dispensers
CN207575068U (zh) 一种智能电动牙刷架
KR100982704B1 (ko)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KR100910351B1 (ko) 치약 자동공급기
CN2486091Y (zh) 卫生纸喷湿配给机
CN213665003U (zh) 一种挤牙膏机
KR100894543B1 (ko) 치약 자동 압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