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704B1 -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704B1
KR100982704B1 KR1020080026130A KR20080026130A KR100982704B1 KR 100982704 B1 KR100982704 B1 KR 100982704B1 KR 1020080026130 A KR1020080026130 A KR 1020080026130A KR 20080026130 A KR20080026130 A KR 20080026130A KR 100982704 B1 KR100982704 B1 KR 10098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housing
toothbrush
hol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740A (ko
Inventor
유훈상
Original Assignee
유훈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훈상 filed Critical 유훈상
Priority to KR102008002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70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칫솔에 치약을 공급받을 때 치약이 배출되는 부위와 칫솔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위생 및 위생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약 디스펜서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치약튜브 내의 치약을 칫솔에 인출하는 것으로, 하우징, 가동어셈블리, 인출하우징, 토출하우징, 적외선조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칫솔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치약을 공급받을 수 있어 위생적인 측면에서 개선되고, 전체 체적을 감소시키며 필수적인 요소로만 제작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칫솔, 치약, 치약튜브, 하우징, 가동어셈블리, 인출하우징, 토출

Description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Tooth powder dispensers by out of touch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칫솔에 치약을 공급받을 때 치약이 배출되는 부위와 칫솔이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위생 및 위생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치아를 청결하게 하고 연마할 목적으로 칫솔에 묻혀 사용하는 약물성 복합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분말, 크림, 액상 등으로 되어 있으며, 소독작용, 치석용해작용, 냄새감퇴작용 및 충치나 치조농루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치아에 청결을 도와주는 치약은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을 주원료로 하여 치아의 기계적 청소를 조력하는 물질로써, 그 입자의 크기, 경도, 모양이 적당하지 않으면 치아의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입자의 크기는 대략 1~2㎛으로서 균일하고, 형태는 너무 예 민하지않으며, 굳기는 모스 굳기 3도 정도일 것 등의 구성 조건이 요구된다.
상기 구성조건 외에 청정제, 향료, 색소, 살균소독제, 치석용해제, 중화제 등이 조금씩 혼입되어 있다. 크림 타입에는 이 외에도 접합제, 안정제 등이 첨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점성이 강한 치약은 일반적으로 튜브형태의 치약튜브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저장된 치약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치약튜브의 뚜껑을 열고나서, 치약튜브를 손으로 눌러서 적당량의 치약을 받아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약튜브에 들어 있는 치약을 손으로 짜서 사용할 경우, 치약튜브의 끝단부터 눌러서 짜는 것보다는 대부분 몸체부분을 꽉 쥐어서 치약을 짜는 습관이 일반적이다.
치약튜브의 임의의 위치를 쥐어서 짬으로 다음번 사용할 때는 용이하게 짤 수 없어서 매우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약이 많이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하기에 불편하여 새 제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치약튜브의 끝단을 롤 형태로 둘둘 말아 손으로 돌리거나, 납작한 물체를 튜브의 끝단에서 배출구 쪽으로 밀어주면 내장된 치약이 외부로 나오게 되어 이 치약을 사용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원시적인 방법은 손을 이용하여 일정한 힘으로 치약튜브에 강한 힘을 가하여 내용물을 밀어내어야 하는 것으로, 어린이나 노약자 즉, 도구를 다루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사용하기가 힘이 들고, 배출되는 치약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 치약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가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84786호로 안출된 바, 이를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치약튜브(200)가 수납되는 형태의 치약수납공간(114)과 치약이 인출되는 치약인출홀간(115)을 각각 구획되게 상부와 하부에 위치시키되 인출홀(116a)을 형성한 인출관(116)을 통하여 상호 연통 되도록 하면서 인출관(116)을 치약인출홀간(115)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치약하우징부(11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가이드공(111)에 슬라이드핀(119)을 관통시켜 치약하우징부(110)의 외부면에 결합시킨 손잡이하우징(122)과 치약하우징부(110)의 내부면에 결합시킨 가압하우징(123)을 상호 연결되게 결합시켜 손잡이하우징(122)과 가압하우징(123)이 일체로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가압하우징(123)의 내부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시킨 가압롤러(124)가 치약튜브(200)의 외주면을 압박하도록 하는 가압부(120)와, 상기 치약하우징부(110)의 치약인출홀간(115) 내부에 스프링(134)에 의해 인출관(116)의 인출홀(116a)을 폐쇄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는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부면에 원동기어(131a)를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되도록 종동기어(132a)를 형성시킨 인출차단블럭(132)을 인출개방블럭(131)의 상부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치차기어(133)를 통하여 원동기어(131a)와 종동기어(132a)를 치차 결합시켜 치약을 적정량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인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는 치약하우징부(110)에 삽입되어진 치약튜브(200)의 사용량 및 잔류량의 파악이 불가능하여 치약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원인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 치약튜브(200)을 분리하여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는 손잡이하우징(122)을 한 손을 이용하여 하부로 이동시키며 지지하게 되면, 가압하우징(123)에 결합된 한 쌍의 가압롤러(124)가 치약튜브(200)를 가압하여 치약이 인출관(116)에 충진되도록 치약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인출관에 충진된 치약은 인출개방블럭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나머지 한 손을 이용하여 칫솔을 잡고 칫솔을 치약인출홀간을 통해 삽입하면, 칫솔의 전방 끝단에 인출개방블럭이 접촉된 상태로 후방측으로 밀리는 동시에 스프링을 압축하여 밀리면서 인출관에 충진된 치약이 칫솔모에 공급되며, 이러한, 작동과정에서 치차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인출차단블럭이 인출관의 중간부분을 차단하여 치약의 지속적인 배출을 차단하는 작용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치약을 공급받는 불편함이 있으며,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손 힘이 약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치약인출홀간과 인출개방블럭이 치약하우징부의 내부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칫솔을 잡고 치약을 공급받기 위해 치약인출홀간에 칫솔을 삽입할 경우에는 칫솔과 치약인출홀간이 수평선상이 되도록 손목을 굽혀야 하거나 팔 전체를 들게 되어 손목 및 팔에 부담감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손목 이나 팔을 다치거나 사용상의 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치약 자동 공급 디스펜서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치약튜브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케이스가 구비되어 케이스 제작시 원자재의 증대와 원자재 구매를 위한 구매단가 및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공급단가가 추가적으로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치약 자동 공급 디스펜서는 치약을 공급받기 위해서 칫솔을 이용하여 인출개방블럭에 접촉시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칫솔에 의해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치약튜브에서 치약을 토출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요소만으로 제작하여 제조원가의 인하, 제조공정의 간단화, 공급단가의 인하로 저렴하게 공급가능하며 칫솔을 비접촉 방식으로 치약을 공급받도록 하여 위생적인 측면이 보완되도록 하는 개선된 치약 공급 디스펜서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칫솔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치약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체 체적의 감소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만 제작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푸쉬 작동으로 진공력을 발생시켜 치약튜브를 흡착하여 치약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 및 치약의 찌꺼기로 인해 폐쇄률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칫솔을 치약이 토출되는 위치로 유도하여 공급함과 함께 살균작용이 제공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치약튜브 내의 치약을 칫솔에 인출하는 치약디스펜서에 있어서,
양치질을 하는 욕실 등과 같은 벽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된 인출홀에 대하여 연통되어진 가동홀로 형성되며, 후방 하부측으로 칫솔의 위치선정을 유도하는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의 가동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이동으로 인출홀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가동어셈블리와, 하우징의 인출홀 상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치약튜브의 입구가 체결되어 가동어셈블리의 기동으로 인한 진공력에 의해 치약을 흡입하는 인출하우징과, 하우징의 인출홀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인출하우징에서 인출된 치약을 토출하는 토출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칫솔을 하우징 및 토출하우징과 비접촉상태에서 치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기 가동어셈블리는 푸쉬방식으로 작동되는 가동피스톤과, 가동피스톤에 결합되어 가동홀 및 인출홀 내의 공기가 소통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여러 개의 밀폐돌기가 형성되어 밀폐시키는 가동패킹과, 가동피스톤이 가동홀의 내부로 인(in) 후 외부로 아웃(out)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기 인출하우징, 토출하우징은 치약의 배출 및 차단을 위해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판막방식의 인출,토출막의 보강을 위하여 주변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기 인출,토출막의 중앙에는 절개면의 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돌리리브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기 인출홀의 주변에는 칫솔이 인출홀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유도하며 칫솔을 살균하는 자외선조사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칫솔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치약을 공급받을 수 있어 위생적인 측면에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체 체적의 감소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만 제작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푸쉬 작동으로 진공력을 발생시켜 치약튜브를 흡착하여 치약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장기간 사용 및 치약의 찌꺼기로 인해 폐쇄률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칫솔을 치약이 토출되는 위치로 유도하여 공급함과 함께 살균작용이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치약튜브(200) 내의 치약을 칫솔(300)에 인출하는 것으로, 하우징(10), 가동어셈블리(20), 인출하우징(30), 토출하우징(40), 적외선조사수단(50)으로 디스펜서(100)가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양치질을 하는 욕실 등과 같은 벽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된 인출홀(11)에 대하여 연통되어진 가동홀(12)이 형성되며, 후방 하부측으로 칫솔(300)의 위치선정을 유도하는 가이드판(16)으로 이루어지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상부하우징(13), 하부하우징(14)이 서로 결합되어 결합구(15)를 이용하여 일체가 되도록 체결한다.
여기서, 가이드판(16)은 하부하우징(14)의 하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디스펜서(100)가 설치될 벽면에 밀착되며 전면에는 세로방향인 'Y'축을 나타내는 세로라인홈(16a)의 끝단에 가로방향인 'X'축을 나타내는 가로기준홈(16b)이 형성되어, 칫솔(300)의 끝단을 가로기준홈(16b)에 일치시키게 되면 치약이 토출되는 토출하우징(40)의 중앙으로 칫솔모가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욕실 등과 같은 벽면에 설치를 위하여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 설치가 가능하며, 다른 설치방법으로는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걸이방식으로도 가능하나 유동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 발명에서는 접착 설치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동어셈블리(20)는 하우징(10)의 가동홀(12)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이동으로 인출홀(1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푸쉬방식으로 작동되는 가동피스톤(21)과, 가동피스톤(21)에 결합되어 가동홀(12) 및 인출홀(11)내의 공기가 소통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여러 개의 밀폐돌기(22a)가 형성되어 밀폐시키는 가동패킹(22)과, 가동피스톤(21)이 가동홀(12)의 내부로 인(in) 후 외부로 아웃(out)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동피스톤(21)은 치약을 공급받을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가동패킹(22)은 하우징(10)에 삽입 설치된 가동피스톤(21)의 끝단에 결합되어, 가동홀(12)과 인출홀(11)의 사이를 밀폐돌기(22a)에 의해 긴밀하게 차단 하며 가동홀(12)에 접촉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아울러, 탄성부재(23)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일 끝단은 하우징(10)의 가동홀(12)의 주변에 지지되고, 타 끝단은 가동피스톤(21)에 지지되어 가동피스톤(21)이 하우징(10)의 내부로 인(in)된 후 외부로 아웃(out)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인출하우징(30)은 하우징(10)의 인출홀(11) 상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치약튜브(200)의 입구가 체결되어 가동어셈블리(20)의 기동으로 생성되는 진공력에 의해 치약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인출하우징(30)은 살균 처리된 실리콘 재질로 인출홀(11)의 입구로 삽입 체결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내주면으로 치약튜브(200)의 입구가 삽입 결합되며, 치약은 인출막(31)의 개폐 동작을 통해 인출된다.
상기 토출하우징(40)은 하우징(10)의 인출홀(11)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인출하우징(30)에서 인출된 치약을 토출하는 것으로, 인출하우징(30)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며 인출하우징(30)을 통해 인출된 치약이 토출막(41)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하우징(30), 토출하우징(40)은 치약의 배출 및 차단을 위해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판막방식의 인출,토출막(31,41)의 보강을 위하여 외주면 주변으로 보강리브(32,42)가 형성된다.
즉, 보강리브(32,42)는 인출홀(11)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인출,토출하우징(30,40)을 중심방향으로 지지하는 작용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출,토출막(31,41)의 중앙에는 절개면(31a,41a)의 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돌기리브(31b,41b)가 더 형성되는데, 인출,토출막(31,41)이 개방된 후 폐쇄될 때 탄력성이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자외선조사수단(50)은 식별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백색 빛보다는 색채가 있는 컬러 빛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바람직하고, 인출홀(11)의 주변에 조사되어 칫솔(300)이 인출홀(11)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유도하며 칫솔(300)을 살균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자외선조사수단(50)은 하우징 내부에 체적이 작은 수은전지나 리듐전지와 같은 배터리수단(5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52)로 구성되며, 동작수단은 도면상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온/오프(on/off)스위치나 칫솔(3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와 같은 수단에 의해 제어되며 동작될 수 있도록 실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0)의 하우징(10)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욕실과 같은 벽면에 설치한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튜브(20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입구를 인출하우징(30)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 소통되지 않도록 결합한다.
다음으로, 치약을 공급받을 사용자는 한 손에는 칫솔모가 상부로 위치되도록 하여 토출하우징(40)의 중앙으로 위치킨다.
그리고, 디스펜서(100)가 사용자의 시각(눈높이)보다 높게 설치되면 토출하우징(40)의 위치를 쉽게 판별가능하나, 시각보다 낮은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려우므로 칫솔(300)을 가이드판(16)의 세로라인홈(16a)에 일치시키는 동시에 가로기준홈(16b)의 정 중앙에 위치시켜 칫솔(300)의 위치를 설정하거나, 자외선조사수단(50)의 조사 빛을 따라 치약이 토출되는 정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칫솔(300)의 칫솔모의 주변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토출하우징(40)의 중앙에 칫솔(300)을 정확히 위치시킨다.
이렇게, 칫솔(300)을 치약의 토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난 뒤 가동피스톤(21)을 사용자의 다른 손을 이용하여 하우징(10)의 내부/외부로 인(in),아웃(out)되도록 반복적으로 작동시킨다.
이러한, 가동피스톤(21)의 작동으로 가동홀(12)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가동패킹(22)에 의해 가동홀(12) 및 인출홀(11)의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공기가 토출하우징(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부연 설명하자면, 인출홀(11)은 인출하우징(30)과 토출하우징(40)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가동피스톤(21)이 인(in) 상태로 잔존 공기를 압축하게 되면 인출하우징(30)의 인출막(31)은 폐쇄상태가 되고, 토출하우징(40)의 토출막(41)은 개방되어 잔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반대로, 가동피스톤(21)이 아웃(out) 상태가 되면 인출하우징(30)의 인출막(31)은 진공력에 의해 개방 상태가 되고, 토출하우징(40)의 토출막(41)은 폐쇄된 다.
이러한, 가동피스톤(21)이 인(in)/아웃(out)의 반복동작으로 인출홀(11) 및 가동홀(12) 내의 잔존공기가 토출하우징(40)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면서 치약이 인출하우징(30)을 통해 인출되어 인출홀(11)의 내부를 충진 후 토출하우징(40)으로 배출되어 칫솔(30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칫솔(300)은 하우징(10) 및 토출하우징(30)과 비접촉상태에서 치약을 제공받을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더불어, 디스펜서(100)의 전체 제적의 감소 및 필요 요소들로만 제작되어 제작단가가 절감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공급단가가 낮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칫솔(300)의 치약 공급받을 정확한 위치를 유도하여 치약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살균기능으로 인하여 위생적인 측면이 보완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의 정단면도,
도 1b 내지 도 1c는 종래의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의 작동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저면도,
도 6은 인출하우징의 특징을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사시도,
도 7은 토출하우징의 특징을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설치 및 사용상태도,
도 9a는 디스펜서에 치약튜브가 결합된 단면도,
도 9b는 가동어셈블리가 인(in) 될 때 인출홀의 공기가 배출되는 단면도,
도 9c는 가동어셈블리가 아웃(out) 될 때 치약이 인출되는 단면도,
도 9d는 가동어셈블리가 인(in)되어 치약이 토출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인출홀
12 : 가동홀 13 : 상부하우징
14 : 하부하우징 15 : 결합구
16 : 가이드판 16a : 세로라인홈
16b : 가로기준홈 20 : 가동어셈블리
21 : 가동피스톤 22 : 가동패킹
22a : 밀폐돌기 23 : 탄성부재
30 : 인출하우징 31 : 인출막
31a : 절개면 31b : 돌기리브
32 : 보강리브 40 : 토출하우징
41 : 토출막 41a : 절개면
41b : 돌기리브 42 : 보강리브
50 : 자외선조사수단 51 : 배터리수단
52 : 자외선램프 100 : 디스펜서
200 : 치약튜브 300 : 칫솔

Claims (5)

  1.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치약튜브 내의 치약을 칫솔에 인출하는 치약디스펜서에 있어서,
    양치질을 하는 욕실 등과 같은 벽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관통된 인출홀(11)에 대하여 연통되어진 가동홀(12)이 형성되며, 후방 하부측으로 칫솔(300)의 위치선정을 유도하는 가이드판(16)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가동홀(12)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이동으로 인출홀(1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가동어셈블리(20)와,
    하우징(10)의 인출홀(11) 상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치약튜브(200)의 입구가 체결되어 가동어셈블리(20)의 기동으로 인한 진공력에 의해 치약을 흡입하는 인출하우징(30)과,
    하우징(10)의 인출홀(11)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인출하우징(30)에서 인출된 치약을 토출하는 토출하우징(40)으로 구성되어; 칫솔(300)을 하우징(10) 및 토출하우징(40)과 비접촉상태에서 치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어셈블리(20)는 푸쉬방식으로 작동되는 가동피스톤(21)과,
    가동피스톤(21)에 결합되어 가동홀(12) 및 인출홀(11)내의 공기가 소통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여러 개의 밀폐돌기(22a)가 형성되어 밀폐시키는 가동패킹(22)과,
    가동피스톤(21)이 가동홀(12)의 내부로 인(in) 후 외부로 아웃(out)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하우징(30), 토출하우징(40)은 치약의 배출 및 차단을 위해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판막방식의 인출, 토출막(31,41)의 보강을 위하여 주변으로 보강리브(32,42)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출, 토출막(31,41)의 중앙에는 절개면(31a,41a)의 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돌기리브(31b,41b)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홀(11)의 주변에는 칫솔(300)이 인출홀(11)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유도하며 칫솔(300)을 살균하는 자외선조사수단(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KR1020080026130A 2008-03-21 2008-03-21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KR10098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30A KR100982704B1 (ko) 2008-03-21 2008-03-21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30A KR100982704B1 (ko) 2008-03-21 2008-03-21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40A KR20090100740A (ko) 2009-09-24
KR100982704B1 true KR100982704B1 (ko) 2010-09-16

Family

ID=4135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130A KR100982704B1 (ko) 2008-03-21 2008-03-21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12B1 (ko) * 2010-12-02 2013-09-23 유훈상 치약 및 유동체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101B2 (ja) * 2011-01-28 2015-10-07 株式会社三輝 詰替えボトル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693A (ja) * 1994-02-15 1995-08-22 Inax Corp 水石鹸供給栓
KR100629970B1 (ko) 2005-09-12 2006-09-28 유훈상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100760521B1 (ko) 2006-10-23 2007-09-20 김동주 공기압축식 치약토출기
KR100815541B1 (ko) 2007-03-27 2008-03-20 유훈상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및 치약인출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693A (ja) * 1994-02-15 1995-08-22 Inax Corp 水石鹸供給栓
KR100629970B1 (ko) 2005-09-12 2006-09-28 유훈상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100760521B1 (ko) 2006-10-23 2007-09-20 김동주 공기압축식 치약토출기
KR100815541B1 (ko) 2007-03-27 2008-03-20 유훈상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및 치약인출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12B1 (ko) * 2010-12-02 2013-09-23 유훈상 치약 및 유동체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40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970B1 (ko) 치약 자동 디스펜서
JP2013527890A (ja) ドアハンドル
KR101025521B1 (ko) 치약 디스펜서
US20050276736A1 (en) Toothbursh storage unit
KR100982704B1 (ko)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KR100815541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및 치약인출 작동방법
KR100755489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CN201171723Y (zh) 多功能口腔冲洗器
KR20060097420A (ko) 치약 배출기
WO2015122754A1 (ko) 휴대용 치간 칫솔
KR20070000361U (ko) 칫솔 수납대를 구비한 치약 압출기
KR101789988B1 (ko) 살균기능을 가진 치약 디스펜서
AU2011101604A4 (en) A dispenser unit
KR20100006693A (ko) 물비누 자동디스펜서
KR20060101586A (ko) 자동 치약 분배기
KR200388279Y1 (ko) 액체 정량 배출장치
US20140001211A1 (en) Mouthwash Dispenser
KR100910351B1 (ko) 치약 자동공급기
WO2015110786A1 (en) A toothbrush cleaning apparatus
KR100907941B1 (ko) 치약 자동 공급 디스펜서
KR100915945B1 (ko) 치약 자동 공급 디스펜서
KR101500260B1 (ko) 휴대용 치간 칫솔
CN107307713A (zh) 一种使用方便的大容量易清洗筷子
US20230309758A1 (en) Mouthwash and toothpaste dispenser
CN214433899U (zh) 一种红外感应式洗手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